KR20150019739A -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739A
KR20150019739A KR20130096924A KR20130096924A KR20150019739A KR 20150019739 A KR20150019739 A KR 20150019739A KR 20130096924 A KR20130096924 A KR 20130096924A KR 20130096924 A KR20130096924 A KR 20130096924A KR 20150019739 A KR20150019739 A KR 2015001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food
cabbage
food composition
shiitak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김호섭
김한영
한동성
백현거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20130096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739A/ko
Publication of KR2015001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켜 항암 치료 후 환자의 기력 회복 또는 부작용을 완화시키는데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SIDE EFFECTS RELIEF AFTER ANTICANCER THERAPY}
본 발명은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기능성 식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현저한 정상세포 생존율 증가 효능을 지니면서 암 세포에 대한 살상 효율을 지녀 항암 치료 후 환자의 기력 회복 및 부작용 완화에 매우 유용한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이란 특정 세포가 분화 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 무한정으로 성장하여 정상 조직들을 침범 및 파괴하는 질환으로 정의된다. 암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그 발생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암의 발생은 여러가지 화학적 발암 물질, 종양 유발 바이러스 또는 다량의 방사선에 노출된 후 암 유전자의 활성화와 암 억제 유전자의 기능소실에 의해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방법에는 외과 수술,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 호르몬 요법 및 면역 요법 등이 있다. 이중에서 호르몬 요법과 면역 요법은 치료 효과 및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임상에서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외과 수술은 병소(즉, 암)를 제거하는 치료 방법으로서 초기 암의 경우에는 외과 수술만으로도 완치가 가능하지만, 중기 이후의 암의 경우에는 외과 수술을 이용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치료 또는 이의 병행 치료는 공통적으로 유리 라디칼을 생성시켜 표적 암세포를 제거하는 것이지만, 이들은 특이성이 낮기 때문에 조혈 세포나 면역 세포 등 빠르게 분열 및 증식하는 특성을 가진 정상 세포도 손상시킴으로써 구토증세, 식욕감퇴, 구내염, 설사, 변비, 발열, 감염증, 백혈구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빈혈, 복통, 신장 독성, 간 독성, 심장 독성, 말초신경 독성, 중추신경 독성, 근육 통증, 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한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학 요법 및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유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 중 식품은 암 환자의 항암 치료 과정에서 손상된 세포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기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에너지와 영양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특정 식품 성분은 손상된 골수 기능 및 면역 기능을 회복 또는 증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과학적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특히 식품 성분 중 비타민 A, C, E, D3와 셀레늄, 과일 및 채소의 플라보노이드, 생선 오일, 버섯, 인삼, 특용 작물의 고분자 물질들은 방사선 요법과 화학 요법에 의해 유도된 세포 독성을 감소시키거나 항암 요법의 유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상과 같은 항암 치료의 부작용을 완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02-0015906호는 항암제의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는 잎새 버섯(Grifola frondasa)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시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잎새 버섯 추출물이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인 시스플라틴의 투여에 의해 야기되는 신장 독성, 소화기 독성, 조혈기의 독성 등을 억제함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04-0000757호는 항암치료 부작용을 억제하는 효능을 가진 한약재 조성물을 개시한 것으로서, 상기 한약재 조성물은 건조중량비로 숙지황 7 내지 20 중량부, 당귀 5 내지 15 중량부, 천궁 5 내지 15 중량부, 백작약 5 내지 15 중량부, 산수유 3 내지 10 중량부, 목단피 1.5 내지 5 중량부, 구기자 1.5 내지 5 중량부, 홍화 0.5 내지 2.0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3 중량부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2002-0040532호는 저분자화된 홍삼 사포닌과 활성 산소 억제 효과를 갖는 글루메이트(Glumate, GMT)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암 요법에 따른 부작용 억제 효과를 갖는 항산화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항산화 음료는 우수한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발휘하여 자유 라디칼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에 밝혀진 항암제 부작용 억제제는 "천연물질"인 경우에는 대부분 약용작물을 사용하여 장기간 복용이 어려운 것이 많고, "화학물질"인 경우에는 목적하는 항암제의 부작용은 감소시키지만 또 다른 독성을 일으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일례로 독소루비신을 포함한 안트라사이클린계 약물의 심장독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의 유도체인 덱스라족산(dexrazoxane)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시적인 혈소판감소증, 오심, 구토, 간기능 장애, 돌연변이원성이 보고되고 있다(Levine B.S. et al. Cancer Treat Rep. 1980, vol.64(12), pp.1211-1215; Von Hoff DD. et al. Cancer Treat Rep. 1981, vol.65(3-4), pp.249-252; Whittaker, P. et al. Environ Mol Mutagen. 2001, vol.38(4), pp.347-356; Levine, B.S. et al. Cancer Treat Rev. 1991, vol.18(4), pp.241-252).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발효 추출물을 항암치료와 병용하는 경우 정상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암 세포에 대한 살상 효율을 증가시켜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새롭게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암 세포에 대한 살상 효율을 증가시켜 항암 치료 후 환자의 기력 회복 및 부작용 완화에 매우 유용한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포의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콩나물은 대두(Glycine Max)에 광선을 쬐지 않고 발아시켜 어느 정도 성장시킨 것을 말한다. 콩나물은 신선한 맛과 비교적 단단하고 질긴 씹힘성으로 오랫동안 국 또는 찌개에 넣거나 콩나물 무침을 하여 즐겨 먹어 왔던 식품이다. 콩나물은 단백질과 지방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B1, B2,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비타민 C)의 함유량도 높아 영양적으로도 큰 도움이 되는 식품이다. 발아기간 중 성분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소당류는 급속히 감소하나 섬유질은 증가하고 단백질은 약간 감소하나 아미노산, 펩타이드(peptides) 등 비단백태질소가 증가한다. 콩나물은 일반적으로 콩을 상온에서 4~6시간 침지시켜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어두운 상자나 시루 속에 넣고 수시로 물뿌림(水注)을 하면서 7~10일 정도 재배하여 5~7cm 가량 자랐을 때 먹기 시작한다.
본 발명에서 양배추(Brassica oleracea)는 겨자(평지)과의 1년 또는 2년생 채소로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이며, 현재의 재배 품종수는 400여 종으로 잎사귀는 대체로 녹색이지만 자주색인 것도 있다. 양배추는 수분(94.3%) 이외에는 당질이 많은 채소이다. 당질의 조성은 설탕(sucrose) 0.5%, 과당(fructose) 2.1%, 포도당(glucose) 1.8%로서 이로 인해 양배추는 감미를 띤다. 당분 함량은 생육 시기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데 11월, 12월 및 3월, 4월의 것이 많은 경향이 있다. 단백질(1.5%)은 염기성 아미노산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고, 특히 우리들 식생활에서 부족되기 쉬운 리신(lysine, 68mg%)은 식물성 단백질로는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K, Ca이 풍부하다. 비타민 C는 비교적 많은 편이다. 또한, 엽록소(chlorophyll) 함량과 비타민 C 함량과는 상관관계가 깊다. 생식 또는 가열용으로도 이용되는데, 채침, 샐러드(salad) 등으로 많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은 느타리버섯과 잣버섯속, 구멍장이버섯과 잣버섯속, 송이과 표고속으로 분류하는 등 여러 주장이 있다. 봄과 가을 2회에 걸쳐 참나무류, 밤나무, 서어나무 등 활엽수의 마른 나무에 발생한다. 버섯갓 지름 4~10cm이고 처음에 반구 모양이지만 점차 펴져서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다갈색이고 흑갈색의 가는 솜털처럼 생긴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으며 때로는 터져서 흰 살이 보이기도 한다. 갓 가장자리는 어렸을 때 안쪽으로 감기고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피막으로 덮여 있다가 터지면 갓 가장자리와 버섯대에 떨어져 붙는다. 버섯대에 붙은 것은 불완전한 버섯대 고리가 되고, 주름살은 흰색이며 촘촘하다.
본 발명에서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자연에서 직접 채취 또는 재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콩나물 발효 추출물, 양배추 발효 추출물, 표고버섯 발효추출물은 각각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에 균을 첨가하고, 배양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한 추출물을 사용하며,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을 추출한 후 이를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것이거나 균주로 발효된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을 추출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균의 종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유산균, 효모균, 누룩균, 바실러스속균(고초균) 등을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sp.), 류코노스톡(Leuconostoc sp.), 또는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a sp.) 등의 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효모균으로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sp.),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 sp.), 토룰로프시스(Torulopsis sp.), 로도토룰라(Rhodotorula sp.), 또는 칸디다(Candida sp.) 등의 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누룩균으로는 라이조푸스(Rhyzopus), 우사미(Usami) 및 오리재(Oryz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 sojae) 등의 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실러스속균(고초균)으로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017,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32,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67,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68,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F1200, 바실러스 푸미루스(Bacillus pumilus) F1337, 바실러스 소노렌시스(Bacillus sonorensis) F1005,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36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F1279 등의 균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상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암 세포에 대한 살상 효율을 증가시켜 항암 치료 후 환자의 기력 회복 및 부작용 완화에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항암 화학 요법 또는 항암 방사선 요법으로 인해 체력 저하 상태인 환자에게 사용함으로써, 빠른 시일 내에 환자가 체력을 회복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이미 처리된 항암 치료에 의해 야기된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암 치료와 병행하여 상기 항암 치료에 의해 야기될 부작용을 예방 및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 "항암 치료의 부작용"은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화학 요법(chemotherapy) 및 방사선 요법(radiotherapy) 등에 의해 초래되는 부작용을 일컫는 것으로, 암 치료법 또는 이용되는 항암제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구토증세, 식욕감퇴, 구내염, 설사, 변비, 발열, 감염증,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빈혈, 복통, 신장 독성, 간 독성, 심장 독성, 말초신경 독성, 중추신경 독성, 근육 통증, 뼈 통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항암 치료의 부작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작용, 특히 골수기능저하 (즉,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빈혈), 심장 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용어 "완화"는 상술한 부작용 중 어느 하나의 경감, 감소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화학 요법"은 항암제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항암제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멜팔란(melphal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비술판(bisulfan), 니트로소우레아(nitrosourea), 디악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플리코마이신(plicomycin), 미토마이신(mitomycin), 에토포시드(etoposide), 탁목시펜(tamoxifen), 택솔(taxol), 트랜스플라티눔(transplatinum),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빈크리스틴(vincristin), 빈블라스틴(vinblastin),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등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에서 "방사선 요법"은 X-선 조사 및 γ-선 조사와 같은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법을 총칭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독소루비신에 의해 야기된 부작용을 완화시킨다. 독소루비신은 스트렙토미세스 퓨세티우스(Streptomyces peucetius)로부터 분리된 안트라사이클린계(anthracycline) 항생제로서, 광범위한 혈액암 및 고형암에 대해 강력한 항암 작용을 갖는 화학 요법제이다. 특히, 독소루비신은 유방암, 식도암(esophageal carcinomas) 골육종(osteosarcoma),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 연조직 육종(soft-tissue sarcomas),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Hodgkin's and non-Hodgkin's lymphoma)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독소루비신은 조혈작용의 억제, 구토, 탈모 등과 같은 다른 화학 요법제에 의해 야기되는 통상적인 부작용뿐만 아니라 독소루비신의 누적된 용량은 울혈성 심부전과 같은 심장 독성을 유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심장 독성을 완화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므로(하기 실시예 참조), 독소루비신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발효 추출물은 분말 또는 추출물의 형태로 고형분 기준으로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희석제, 분산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유기산, 인산염, 항산화제, 유당 카제인, 덱스트린, 포도당, 설탕, 솔비톨,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천연 또는 합성 풍미제, 착색제,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기산은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또는 사과산일 수 있으며, 인산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또는 폴리인산염(중합인산염)일 수 있으며, 항산화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페놀, 카테킨, α-토코페롤, 로즈마리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또는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 환제, 과립제, 분말제, 액제,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죽, 빵, 음료, 바, 초콜릿, 쿠키, 차, 드링크제, 비타민 복합제, 육류, 소시지, 캔디, 면, 젤리 등과 같은 임의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음료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 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해당된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제형 또는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전술한 부형제들과 같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 또는 형태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 세포의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항암 치료 후 정상세포의 생존율 및 암세포의 상상효율을 증진시켜, 항암 치료 후 환자의 기력 회복 및 항암 치료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항암 화학 요법 또는 항암 방사선 요법으로 인해 체력 저하 상태인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빠른 시일 내에 환자가 체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콩나물, 양배추 또는 표고버섯을 세척하여 효모균, 버섯균, 유산균, 누룩균 및 바실러스속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접종시키는 단계; 균이 접종된 콩나물, 양배추 또는 표고버섯을 용기에 저장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및 밀폐된 용기에서 5 내지 10일간 혐기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상세포 생존율 및 암세포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한 콩나물, 양배추 또는 표고버섯에 유산균을 접종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김치유래 유산균을 접종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종시킨 콩나물, 양배추 또는 표고버섯을 밀폐된 용기에서 7일간 발효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상세포 생존율 및 암세포 살상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지니며, 특히 항암 치료시 수반되는 방사선 치료 혹은 항암제 등의 약물 치료 이후, 환자의 체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정상세포 생존율 및 암세포 살상 효과를 부여하여 항암치료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빠른 시일 내에 기력을 회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콩나물 발효추출물, 양배추 발효추출물, 표고버섯 발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Dox와 함께 투여 받은 마우스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콩나물 발효추출물, 양배추 발효추출물, 표고버섯 발효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Dox와 함께 투여 받은 마우스의 심장 조직 중 지질 과산화물 형성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정상 심장 세포주 및 유방암 세포주에 본 발명의 콩나물 발효 추출물 및 Dox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정상 심장 세포주 및 유방암 세포주에 본 발명의 양배추 발효 추출물 및 Dox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정상 심장 세포주 및 유방암 세포주에 본 발명의 표고버섯 발효 추출물 및 Dox를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발효추출물의 제조
A. 동물 실험용 시료의 제조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을 각각 세척 후 건조하여 분쇄하고 이를 121℃에서 20분간 멸균하고 2.67×108 CFU/ml 농도로 배양한 김치유래 유산균(Lactobacillus sp.)을 10%로 접종한 후 밀폐된 배양기에서 42℃, 7일간 혐기발효시켰다. 발효된 추출물을 다시 건조 후 분쇄하였다. 이를 하기 실시예 2의 동물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콩나물 발효추출물을 GM, 양배추 발효추출물을 BO, 표고버섯 발효추출물을 LE라 나타내었다.
B. 세포 배양 실험용 시료의 제조
상기 동물 실험용 시료를 Sep-Pak C18 카트리지(Waters, USA)를 이용한 고상추출법(solid phase extraction)을 통해 반정제(semi-purification)하였다. 먼저 C18 카트리지는 산성 메탄올(acidified methanol)과 산성수(acidified water)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동물 실험용 샘플(1g)을 증류수(10mL)에 녹여 카트리지에 주입하였다. 불순물을 제거하고 유효성분을 농축하기 위하여 산성수로 씻어낸 후 산성 에탄올을 이용하여 C18 카트리지로부터 유효성분을 녹여내었다. 이렇게 수득한 에탄올 시료 용액을 감압증류한 후 다시 산성수에 녹이고 표준물질(cyanidin 3-glucoside)의 소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UV/Vis 분광광도계(Diode array spectrophotometer HP8453, Hewlett-Packard Co. USA)로 520nm에서 비색정량하여 반정제된 추출물의 농도를 보정한 후 하기 실시예 3의 세포배양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동물 실험을 통한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발효 추출물의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 효과 확인
A. 동물 사육
4주령된 수컷 C57BL/6 마우스를 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간 동물사육실 환경에 순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적응 후, 체중에 따른 난괴법을 이용하여 10 내지~ 15마리씩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 실험동물은 한 마리씩 케이지(cage)에서 사육하였고 식이로는 고형배합사료를 제공하였으며 식이와 물은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앞서 분류된 6개의 군을 1개의 대조군과 5개의 실험군으로 구분하고 5개의 실험군 모두에는 독소루비신(Dox)을 10mg/kg B.W. 농도로 복강 주사하였다. 이 때, 상기 실험군 중 4개의 실험군에는 각각 GM 추출물 단독(GM 투여군), BO 추출물 단독(BO 투여군), LE 추출물 단독(LE 투여군), GM, BO 및 LE 추출물의 혼합물("GBL" 혼합 투여군; 여기서 각 추출 성분의 비율은 1:1:1)을 상기 Dox 복강주사 5일전부터 총 10일 동안 500mg/kg B.W.의 농도로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B. 실험 동물의 처리 및 조직 채취
복강 주사 후 5일째 되는 날 안와 채혈을 통해 혈액을 채혈하는 한편, 개복하여 복수를 관찰한 후 심장, 비장을 떼어내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심장과 대퇴골은 조직 관찰을 위해 10% 중성 포르말린 고정액에 담가 2-3일간 고정시켰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ox를 투여한 군의 평균 체중은 Dox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되었다. Dox 투여군의 경우, 비장과 심장의 무게도 약간 감소되었으나 체중 당 장기 무게로 비교할 때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발효추출물의 영향을 살펴보면, GM 또는 GBL의 투여는 Dox 투여로 인한 체중감소를 약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시작 후 체중은 서서히 증가하다가 Dox 투약 후 체중의 급격한 감소를 보이는데 GM 또는 GBL을 투여하였을 때 체중의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Dox만을 투여한 군에서는 투약 후 체중이 많이 감소되었으나 GM 또는 GBL 투여군은 유의적으로 체중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또한, 체중 감소 외에도 해부시 Dox 투여 군에서는 대부분의 개체에서 복수가 고이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1ml를 기준으로 복수의 양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1ml 이상의 복수가 관찰된 개체의 수가 LE 투여군 및 GBL 혼합 투여군에서는 현저하게 감소되어 복수가 형성되는 것을 개선하는데 LE와 GBL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1).
[표 1] 추출물이 복수 형성에 미치는 영향 비교
Figure pat00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GM, LE를 단독 투여하거나 GM과 BO 및 LE를 혼합 투여하는 겨우 Dox 투여로 인해 나타나는 체중 감소 및 복수 발생 등의 부작용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C. 혈중 혈구 분석
실시예 2의 A에서 채혈한 혈액에 대해, 혈액내 혈소판수, 적혈구수, 백혈구수, 림프구, 단핵구, 과립구, 호산구, 호염구 등의 혈액 지표를 측정하였다. 혈액 지표의 측정은 ADIVA 120 Hematology System (Bayer,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Dox 투여에 의해 일반적인 항암제를 투여했을 때 나타나는 조혈계의 독성이 유발되었다. 혈중 혈구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Dox의 투여로 인해 적혈구, 백혈구, 헤모글로빈 등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백혈구 감별(WBC differential) 분석에서도 호중구의 비율이 증가되고 림프구의 비율은 감소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GM, BO, LE 및 GBL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감소되었던 적혈구수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거나 Dox 처리에 의해 변화된 백혈구 감별 분석의 수치가 대조군에 가깝게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표 2]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 혈중 혈구세포에 미치는 영향
Figure pat00002
D. 심장 조직의 지질 과산화도 분석
실시예 2의 A에서 입수한 심장 조직의 일부는 즉시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급속냉동한 후 실험 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심장 조직에 20배의 인산완충용액을 가하여 유리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시킨 후 0.5ml씩 duplicate로 취하고 여기에 최종 1mM FeSO4, 0.01mM BHT, 1mM L-아스코르빈산이 되도록 잘 혼합한 후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incubation)하였다. 인큐베이션이 완료된 후 10% TCA 용액을 가하고, 12,0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1% TBA 시약을 가하고 95℃ 수조에서 10분간 방치하여 발색시킨 후 30분간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이를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532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말론알데히드 표준 곡선은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을 표준용액으로 반응시켜 곡선을 얻어 사용하였다.
Dox의 투여는 다양한 ROS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직접적으로 심장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DNA 및 지질 과산화, 세포고사(apoptosis) 등을 일으킴으로써 다양한 심장 질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Dox 투여 군의 심장조직에서 지질과산화가 증가되었다. GM, BO, LE을 단독으로 투여한 경우, 및 GBL 혼합물을 투여한 경우, Dox 투여로 인해 증가되었던 심장의 지질과산화물(MDA로 나타냄)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GM, BO, LE, 또는 GBL 혼합물의 투여가 Dox로 인해 발생되는 심장독성에 대해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3> 세포 배양 실험
H9C2(rat, cardiomyocytes)와 MCF-7(human, breast adenocarcinoma) 세포주는 ATCC(Rockville, MD)로부터 분양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MCF-7 세포주는 DMEM 배지에 배양하였고, H9C2 세포주는 10% FBS, 스트렙토마이신(100㎍/ml), 페니실린(100 U/ml)이 첨가된 변형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존재 하에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H9C2 세포주는 분화능(differentiation potential)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70% 컨플루언시(confluency)에 이르면 계대 배양하였다. 상기 컨플루언시에 이른 세포는 트립신-EDTA로 처리하여 배양 디쉬로부터 세포를 떼어내어 단일 세포 현탁액을 얻고 96-구판에 1-1.5 × 104세포/구의 농도로 세포를 분주하고 37℃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Dox를 첨가하여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고 실시예 1의 B에서 수득한 반 정제 GM과 BO 및 LE 시료를 0-100㎍/ml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SRB 및/또는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3a, 3b 및 3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GM, BO 또는 LE는 정상 심장 세포주에서 Dox만을 투여한 군 대비 최고 약 30%의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암 세포주인 MCF-7 세포에서는 Dox로 인해 나타난 세포 독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각 시료의 최고 농도에서 약 20-30%의 활성 증가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세포 배양 실험결과를 통해, 세 시료는 Dox의 보조제로서 Dox의 암세포에 대한 효과를 더 증진시켜줄 뿐 아니라 정상 심장 세포에 나타난 독성에 대해서는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상세포 생존율 및 암세포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의 발효추출물은 효모균, 버섯균, 유산균, 누룩균 및 바실러스속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이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9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콩나물, 양배추, 표고버섯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발효 추출물이 총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항암 치료 후 환자의 기력 회복 또는 부작용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희석제, 분산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정제, 환제, 과립제, 분말제, 액제,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죽, 빵, 음료, 바, 초콜릿, 또는 쿠키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9. 콩나물, 양배추 또는 표고버섯을 세척하여 효모균, 버섯균, 유산균, 누룩균 및 바실러스속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균을 접종시키는 단계;
    균이 접종된 콩나물, 양배추 또는 표고버섯을 용기에 저장하여 밀폐시키는 단계;
    밀폐된 용기에서 5 내지 10일간 혐기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상세포 생존율 및 암세포 살상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130096924A 2013-08-14 2013-08-14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50019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24A KR20150019739A (ko) 2013-08-14 2013-08-14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924A KR20150019739A (ko) 2013-08-14 2013-08-14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739A true KR20150019739A (ko) 2015-02-25

Family

ID=52578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924A KR20150019739A (ko) 2013-08-14 2013-08-14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7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035B1 (ko) * 2023-05-10 2024-01-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비트 및 양배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625213B1 (ko) * 2022-08-01 2024-01-1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산돌팜 효소로 처리된 효소양배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213B1 (ko) * 2022-08-01 2024-01-1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산돌팜 효소로 처리된 효소양배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젤리
KR102624035B1 (ko) * 2023-05-10 2024-01-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비트 및 양배추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4532B1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806720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황기 뿌리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1467698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13132B1 (ko) 항산화 고활성 수수
KR102066637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47246B1 (ko) 벌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2651296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에 의해 발생한 위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김치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20180098888A (ko)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20150019739A (ko)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0700744B1 (ko)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KR10177651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발효시킨 향나무 열매 배양액의 리스테리아 항균조성물
KR100977076B1 (ko) 오미자 추출물 및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조성물
KR102064516B1 (ko) 꾸지뽕 잎 추출물, 꾸지뽕 뿌리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3473B1 (ko)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KR20050110186A (ko) 보라밸리 품종의 감자로부터 추출한 페룰릭 에시드,카페익 에시드, 클로로제닉 에시드의 화합물 또는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제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100385658B1 (ko) 이노노투스 오브리쿠우스의 곡물배양체 조성물과 이로부터항암 면역활성 다당류를 분리 제조하는 방법 및 이들의 용도
KR102620997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력 보호용 또는 망막 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74348B1 (ko)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102461798B1 (ko) 리그난 함량이 증가된 신품종 참깨 밀양 74호 및 이의 이용
KR101498075B1 (ko) 수수 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EP205273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tumor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KR100803385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질환 예방용 조성물과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