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0744B1 -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0744B1
KR100700744B1 KR1020050047977A KR20050047977A KR100700744B1 KR 100700744 B1 KR100700744 B1 KR 100700744B1 KR 1020050047977 A KR1020050047977 A KR 1020050047977A KR 20050047977 A KR20050047977 A KR 20050047977A KR 100700744 B1 KR100700744 B1 KR 10070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ncer
extract powder
functional food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196A (ko
Inventor
박희학
Original Assignee
박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학 filed Critical 박희학
Publication of KR2006004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를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로 이루어지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암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작두콩, 어성초, 도두, 항암

Description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A functional food for preventing cancer containing Canavalia gladiata extract and Houttuynia cordata extract}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를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로 이루어지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암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은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서, 줄기에 털이 없으며 콩 낟알 한 개의 길이 2~3cm, 무게 1.5~3g으로 콩 종류 중에서 크기가 가장 크고 맛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두콩의 종자, 깍지,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위는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작두콩에는 가수분해 효소인 우레아제(urease), 혈구응집소(hemagglutinin), 카나발린(canavalin), 리놀렌산, 사포닌, 콜린, 레시신, 식이 섬유소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다.
작두콩을 한방에서는 도두(刀豆)라고 하며,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뛰어나고 신체의 면역력을 키워주기 때문에 각종 종기나 화농성 질병에 효과가 있으며,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천식, 가래, 관절염, 신허요통에 효과가 있고,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이수작용이 있어 관절염, 신허요통, 변비, 비만증 등을 두루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약모밀, 십약, 집채, 중약초 등으로 불리우며 그 잎과 뿌리에서 생선 비린내와 같은 독특한 냄새를 발산한다.
어성초는 요도염, 방광염, 자궁염, 폐렴, 축농증, 기관지염, 치루, 탈홍, 악창 등 갖가지 염증질환에 매우 탁월한 효험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혈압에도 효과가 있고 해독작용도 강력하며 당뇨병의 혈당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어성초는 특히 항균작용이 가장 강력한 식물 중의 하나이며 항생제 "설파민"보다 수십 배나 항균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장균, 적리균, 파라티푸스균, 임균, 포도알균, 사상균, 백선균, 무좀균 등을 억제 내지 죽이는 것이 입증되었다.
작두콩(도두)과 어성초에 관련된 선행특허로는, 등록특허 제0350911호 "도두로부터 분리한 항균 활성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특허출원 제2000-0081443호 "어성초 화장수", 등록특허 제0407557호 "어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촉진제 조성물", 특허출원 제2001-0074767호 "어성초의 성분이 함유된 청결미 제조방 법", 등록특허 제0394584호 "작두콩이 첨가된 두유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0324132호 "작두콩을 이용한 청국장 및 그의 제조방법", 특허출원 제2002-0055538호 "작두콩과 금송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특허출원 제2002-0056697호 "도두를 이용한 항선충 제제의 개발" 등이 있다.
그러나 작두콩과 어성초 추출물을 혼합사용하여 특정 암 세포주에 현저한 효과를 발현하는 조성물에 관한 시도는 없었으며, 본 발명자들은 작두콩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이 특정 암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얻고, 작두콩 추출물의 암세포에서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고,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의 항암효과를 조사하고,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를 첨가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항암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함으로써 달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를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로 이루어지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암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두콩의 콩, 깍지,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위를 열수추출하여 작두콩 추출 분말을 얻는 단계; 잎, 줄기, 뿌리로 이루어진 어성초로부터 추출 분말을 얻는 단계; 상기 작두콩 추출 분말의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효과를 MTT법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혼합사용하는 경우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 효과를 MTT법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 및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의 제조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로 이루어지는 식품 조성물은, 작두콩 추출물과 어성초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의하여 현저한 상승적 항암 효과를 나타내므로, 암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의 제조
작두콩의 콩(종자), 깍지, 잎, 줄기, 뿌리를 분리하여 각각 10g 씩 혼합하고(총 50g), 세절한 후 10배량(v/v)의 물을 첨가하여 100℃에서 4시간 열수추출한 다음, 10,000 rpm에서 9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일반여과지를 써서 pore size 0.8㎛, 0.45㎛ 순으로 여과한 후 클린벤치에서 무균상태로 다시 여과하였다. 얻어진 작두콩 추출물은 85℃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70℃에서 보관하였다.
또한, 뿌리, 줄기, 잎이 있는 어성초를 깨끗하게 세척하고 20g에 10배의 물을 첨가하고 4시간 열수추출하여 추출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2: 작두콩 추출 분말의 In vitro 항암 효과 실험 (MTT assay)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작두콩 추출 분말에 대하여 여러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세포에 대한 시료의 세포독성효과는 MTT colorimetric assay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배양된 세포(cell)에서 배지를 제거한 후 PBS를 첨가하여 가볍게 섞은 후, PBS를 다시 제거하고 트립신/EDTA 용액(solution)을 첨가하여 37℃에서 5분간 배양하여 세포가 배양 접시(culture dish)의 바닥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는지 현미경 하에서 관찰한 후, 배양 배지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여 세포수를 1×104 cells/㎖로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시료는 PBS에 용해시킨 후 0.22 ㎛ 멤브린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사용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티터 플 레이트(96-well microtiter plate)에 104 cells/well 농도로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 후,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MTT 시약을 각 웰(well)에 50 ㎕씩 첨가하여 MTT가 생존 암세포의 효소작용에 의해 환원되도록 4시간 더 배양하였다. 상징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Jurkat cell의 경우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DMSO 200 ㎕와 Soerensen's buffer 25 ㎕를 첨가해 생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용해시켜 595 nm에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흡광도는 MTT가 세포에 의해서 환원된 양을 나타내며, 따라서 각 웰(well)에 존재하는 생존 수와 비례한다. 각 웰(well)로부터 한 칼럼의 평균 값을 구하여 대조군(100% 생존군)의 평균 값에 대한 백분율의 값을 산출하였다. 이 백분율은 비교한 시험군의 세포 생존율에 해당하는 값으로 세포의 생존율(Cell viability)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세포 생존율(%) = [T(treated cell의 OD)/C(control cell의 OD)] x 100
모든 실험은 3회 실시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측정 대상 암세포는 SNU778(자궁경부암), SNU719(위암), Hep3B(간암), A253(구강암), Jurkat-T(혈액암)이며,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았고, 작두콩 추출 분말의 처리 농도를 각각 0.157, 0.313, 0.625, 1.25, 2.5, 5, 7.5, 10mg/㎖로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내었다.
SNU778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 농도별 실험군 (mg/㎖) 대조군 0.157 0.313 0.625 1.25 2.5 5 7.5 10
1.518 1.427 1.496 1.475 1.473 1.496 1.348 1.352 1.343 1.235 1.177 1.177 1.042 1.062 1.05 0.916 0.944 0.943 0.717 0.733 0.744 0.391 0.421 0.401 0.07 0.066 0.068
평균 1.480 1.481 1.348 1.196 1.051 0.934 0.731 0.404 0.068
표준편차 0.047 0.013 0.005 0.005 0.033 0.010 0.016 0.014 0.002
생존율(%) - 100.07 91.04 80.82 71.02 63.12 49.40 27.31 4.59
표준편차 - 0.88 0.32 2.28 0.63 1.07 0.92 1.06 0.15
SNU719 위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 농도별 실험군 (mg/㎖) 대조군 0.157 0.313 0.625 1.25 2.5 5 7.5 10
1.705 1.761 1.802 1.587 1.59 1.59 1.35 1.415 1.432 1.216 1.264 1.244 1.078 1.066 1.075 0.948 0.977 0.966 0.834 0.818 0.872 0.122 0.149 0.158 0.088 0.084 0.093
평균 1.756 1.589 1.399 1.241 1.073 0.964 0.841 0.143 0.088
표준편차 0.049 0.002 0.043 0.043 0.024 0.006 0.015 0.028 0.005
생존율(%) - 90.49 79.67 70.69 61.10 54.88 47.91 8.14 5.03
표준편차 - 0.09 2.45 1.37 0.37 0.82 1.59 1.05 0.24
Hep3B 간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 농도별 실험군 (mg/㎖) 대조군 0.157 0.313 0.625 1.25 2.5 5 7.5 10
1.257 1.267 1.254 1.282 1.243 1.235 1.18 1.199 1.182 1.073 1.066 1.048 0.801 0.816 0.818 0.641 0.626 0.647 0.523 0.526 0.567 0.166 0.134 0.148 0.053 0.053 0.061
평균 1.259 1.253 1.187 1.062 0.812 0.638 0.539 0.149 0.056
표준편차 0.007 0.025 0.010 0.010 0.013 0.009 0.011 0.025 0.005
생존율(%) - 99.52 94.26 84.36 64.45 50.66 42.77 11.86 4.42
표준편차 - 2.01 0.83 1.01 0.73 0.86 1.96 1.25 0.37
A253 구강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 농도별 실험군 (mg/㎖) 대조군 0.157 0.313 0.625 1.25 2.5 5 7.5 10
2.542 2.52 2.448 2.115 2.118 2.137 1.866 1.864 1.737 1.798 1.792 1.604 1.585 1.679 1.663 1.327 1.406 1.33 1.053 1.274 1.199 0.698 0.773 0.718 0.332 0.354 0.356
평균 2.503 2.123 1.822 1.731 1.642 1.354 1.175 0.730 0.347
표준편차 0.049 0.012 0.074 0.110 0.050 0.045 0.112 0.039 0.013
생존율(%) - 84.82 72.80 69.16 65.61 54.10 46.95 29.15 13.87
표준편차 - 2.16 1.60 3.12 2.92 1.81 4.88 1.62 0.75
Jurkat-T 혈액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 농도별 실험군 (mg/㎖) 대조군 0.157 0.313 0.625 1.25 2.5 5 7.5 10
1.594 1.58 1.565 1.399 1.38 1.353 1.165 1.216 1.264 1.144 1.146 1.233 1.153 1.139 1.139 1.043 1.057 1.099 1.04 1.029 0.098 0.824 0.912 0.815 0.066 0.084 0.08
평균 1.580 1.377 1.215 1.174 1.144 1.066 1.019 0.850 0.077
표준편차 0.015 0.03 0.050 0.051 0.008 0.029 0.027 0.054 0.009
생존율(%) - 87.19 76.91 74.34 72.40 67.50 64.51 53.83 4.85
표준편차 - 0.670 3.840 3.850 0.350 2.455 1.188 3.375 0.628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작두콩 추출 분말은 SNU778(자궁경부암), SNU719(위암), Hep3B(간암), A253(구강암), Jurkat-T(혈액암) 등 5가지의 암세포에 대해 뛰어난 항암 효과를 발휘하였다. 특히, 간암에 대한 항암 효과가 컸다. 상기 결과에 따라, 암세포의 50%를 저해하는 농도인 IC50을 산출한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암 세포 종류에 따른 작두콩 추출 분말의 IC50
단위 (mg/㎖) SNU778 (자궁경부암) SNU719 (위암) Hep3B (간암) A253 (구강암) Jurkat-T (혈액암)
작두콩 추출물 5.0 4.0 2.5 4.0 7.5
상기 결과로 부터, 작두콩 추출 분말은 다양한 암 세포에 대해 낮은 농도에서도 뛰어난 저해 활성을 나타내나, 특히 간암에 대한 저해 활성이 뛰어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의 혼합물의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 효과 실험(MTT assay)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의 암세포주에 대한 항암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암세포에 대한 시료의 세포독성효과는 MTT colorimetric assay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측정 대상 암세포는 SNU778(자궁경부암), SNU719(위암), Hep3B(간암), A253(구강암), Jurkat-T(혈액암)이며,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았고,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은 4:1, 3:2, 2:3, 1:4의 비율로 혼합하였고, 이들 혼합물의 처리 농도는 2.5 mg/㎖ 및 5mg/㎖로 하였고, 자세한 실험방법은 실시예 2에 따라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7 내지 표 11에 나타내었다.
SNU778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농도 혼합비 (작두콩:어성초) 대조군 2.5 mg/㎖ 5 mg/㎖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4:1 1.394±0.022 - 0.425±0.025 30.5 0.014±0.009 2.97
3:2 - 0.836±0.022 59.99 0.126±0.033 9.04
2:3 - 1.099±0.032 78.83 0.971±0.007 69.70
1:4 - 1.397±0.008 100.24 1.254±0.032 89.95
SNU719 위암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농도 혼합비 (작두콩:어성초) 대조군 2.5 mg/㎖ 5 mg/㎖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4:1 1.555±0.063 - 0.429±0.027 27.58 0.118±0.003 7.57
3:2 - 1.055±0.015 67.85 0.332±0.036 21.35
2:3 - 1.35±0.026 86.80 0.655±0.023 42.13
1:4 - 1.460±0.009 93.87 1.236±0.026 79.47
Hep3B 간암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농도 혼합비 (작두콩:어성초) 대조군 2.5 mg/㎖ 5 mg/㎖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4:1 1.155±0.102 - 0.15±0.014 13.02 0.04±0.002 3.46
3:2 - 0.487±0.002 42.16 0.055±0.009 4.76
2:3 - 0.712±0.023 61.62 0.393±0.016 34.03
1:4 - 0.983±0.009 85.14 0.561±0.023 48.57
A253 구강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농도 혼합비 (작두콩:어성초) 대조군 2.5 mg/㎖ 5 mg/㎖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4:1 2.489 - 1.225±0.016 49.21 0.155±0.009 6.21
3:2 - 1.856±0.087 74.58 0.696±0.061 27.98
2:3 - 2.217±0.016 89.07 1.627±0.022 65.36
1:4 - 2.381±0.058 95.67 2.108±0.061 84.69
Jurkat-T 혈액암 세포에 대한 결과
처리농도 혼합비 (작두콩:어성초) 대조군 2.5 mg/㎖ 5 mg/㎖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평균±표준편차 생존율(%)
4:1 1.691±0.038 - 0.456±0.025 26.99 0.084±0.002 4.99
3:2 - 1.164±0.037 68.85 0.123±0.002 7.29
2:3 - 1.385±0.042 81.90 0.949±0.015 56.15
1:4 - 1.493±0.046 88.33 1.272±0.033 75.22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의 혼합물은 SNU778(자궁경부암), SNU719(위암), Hep3B(간암), A253(구강암), Jurkat-T(혈액암) 등 5가지의 암세포에 대해 뛰어난 항암 효과를 발휘하는데, 작두콩 추출 분말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더 낮은 농도에서 암세포를 죽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작두콩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4:1과 3:2의 비율로 처리하였을 때 항암효과가 컸다.
실시예 4: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음료로 제조하였으며, 담체에 넣어 건조한 후 캡슐화하거나 기타 정제, 과립, 분말, 음료 등의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은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얻었고, 헛개나무(지구자), 산청목(벌나무), 감초, 프로폴리스는 각각 20g에 10배의 물을 첨가하고 4시간 열수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1: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로 제조된 음료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음료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단위: 전체 100에 대한 중량 %)
작두콩 추출 분말 60%(w/w), 어성초 추출 분말 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5%(w/w), 죽염 5%(w/w), 감초 추출물 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w/w), 꿀 3%(w/w) 및 올리고당 3%(w/w).
제조예 2: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로 제조된 음료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음료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단위: 전체 100에 대한 중량 %)
작두콩 추출 분말 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w/w), 죽염 4%(w/w), 감초 추출물 0.5%(w/w), 프로폴리스 추출물 4%(w/w), 꿀 5%(w/w) 및 올리고당 5.5%(w/w).
상기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를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로 이루어지는 식품 조성물은, 작두콩 추출 분말과 어성초 추출 분말의 혼합 사용에 의하여 현저한 상승적 항암 효과를 나타내며, 암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는 의약 및 기능성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작두콩 추출 분말 60~70%(w/w), 어성초 추출 분말 5~15%(w/w), 헛개나무(지구자) 추출물 3~5%(w/w), 산청목(벌나무) 추출물 3~5%(w/w), 죽염 4~5%(w/w), 감초 추출물 0.5~1.0%(w/w), 프로폴리스 추출물 3~4%(w/w), 꿀 3~5%(w/w) 및 올리고당 3~5.5%(w/w)로 이루어지는 암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자궁경부암, 위암, 간암, 구강암 및 혈액암에 대해 항암 활성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암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050047977A 2004-08-25 2005-06-03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KR1007007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242 2004-08-25
KR20040067242 2004-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96A KR20060048196A (ko) 2006-05-18
KR100700744B1 true KR100700744B1 (ko) 2007-03-28

Family

ID=3714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977A KR100700744B1 (ko) 2004-08-25 2005-06-03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57B1 (ko) * 2006-08-25 2008-05-16 김희성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46016B1 (ko) * 2007-02-08 2008-07-11 이병춘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KR100865907B1 (ko) * 2008-01-29 2008-10-29 유희철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KR101121871B1 (ko) * 2009-10-21 2012-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어성초 유래 카페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토포아이소머라아제 ⅰ 억제제, 혈액암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9929A (ja) 1985-04-25 1986-11-07 Koichi Sakurai 胃癌、胃潰瘍等の薬草飲料の製造方法
KR20010008295A (ko) * 2000-11-18 2001-02-05 유연실 작두콩 이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KR20020021271A (ko) * 2000-09-14 2002-03-20 구자홍 고주파 신호의 감시장치
KR20030005127A (ko) * 2002-12-10 2003-01-15 황정규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한 건강식품
KR20040066952A (ko) * 2003-01-21 2004-07-30 김영수 어성초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추출물과 그 발효주제조방법
US20050079237A1 (en) 2003-08-27 2005-04-14 Chiang Yang Chi Methods for preparing dry-heating seeds of Canavalia ensiformi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for immunomodulation
KR100552398B1 (ko) 2004-08-25 2006-02-21 박희학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9929A (ja) 1985-04-25 1986-11-07 Koichi Sakurai 胃癌、胃潰瘍等の薬草飲料の製造方法
KR20020021271A (ko) * 2000-09-14 2002-03-20 구자홍 고주파 신호의 감시장치
KR20010008295A (ko) * 2000-11-18 2001-02-05 유연실 작두콩 이용 건강식품 제조방법
KR20030005127A (ko) * 2002-12-10 2003-01-15 황정규 지구자와 오리나무를 주제로한 건강식품
KR20040066952A (ko) * 2003-01-21 2004-07-30 김영수 어성초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추출물과 그 발효주제조방법
US20050079237A1 (en) 2003-08-27 2005-04-14 Chiang Yang Chi Methods for preparing dry-heating seeds of Canavalia ensiformi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for immunomodulation
KR100552398B1 (ko) 2004-08-25 2006-02-21 박희학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96A (ko)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Bandara et al. Polyporus umbellatus, an edible-medicinal cultivated mushroom with multiple developed health-care products as food, medicine and cosmetics: a review
KR100700744B1 (ko)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20070089309A (ko) 항균,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우뭇가사리 농축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식품조성물
KR101790654B1 (ko) 잣박 추출물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01600A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54409B1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이 있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9311A (ko) 면역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조제한 인삼의 상황버섯 균사체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활성용 조성물
KR100759579B1 (ko) 항암 효과를 가지는 작두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기능성 식품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4348B1 (ko)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KR101817053B1 (ko) 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암, 항비만 또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50019739A (ko) 항암 치료 후 부작용 완화를 위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4624A (ko) 발아서목태 동충하초 발효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56702A (ko) 홍삼 및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3954B1 (ko) 다크티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293400B1 (ko) 한국형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590150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68703B1 (ko) 오미자와 발아녹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4347B1 (ko) 녹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헬리코박터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