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016B1 -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016B1
KR100846016B1 KR1020070013202A KR20070013202A KR100846016B1 KR 100846016 B1 KR100846016 B1 KR 100846016B1 KR 1020070013202 A KR1020070013202 A KR 1020070013202A KR 20070013202 A KR20070013202 A KR 20070013202A KR 100846016 B1 KR100846016 B1 KR 10084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guamegi
drying
function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춘
Original Assignee
이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춘 filed Critical 이병춘
Priority to KR1020070013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항산화 작용이 증강되고 시각적, 미각적, 후각적으로 향상된 기능성 과메기 및 이러한 과메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꽁치, 청어 등의 과메기용 생선을 할복, 절편하고, 머리, 내장 및 중골을 축출하며, 해수에 세척한 후 채반 상에서 탈수하는 준비 단계, 준비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담수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한 제 1 기능성 성분 혼합액에 침지시키는 침지 단계, 침지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수분 함량이 25 내지 4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에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담수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한 제 2 기능성 성분 혼합액을 분사하는 분사 단계, 및 분사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실외 차양막 하에서 12 시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과메기 생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과메기를 제공한다.
과메기, 항균, 항산화, 프로폴리스, 녹차, 소나무껍질, 방풍

Description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Functional Gwamegi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메기 생산 과정에서 항균, 항산화 작용이 증강되고 시각적, 미각적, 후각적으로 향상된 기능성 과메기 및 이러한 과메기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메기는 청어, 꽁치 등의 어류를 동절기에 밤에는 냉동하고 낮에는 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건조한 제품을 말한다. 옛날 청어가 흔하던 시절부터 유래된 과메기는 근래에 청어의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주재료가 꽁치로 대체되었다. 예전에 청어 또는 꽁치를 통채로 새끼줄에 엮어서 15일 이상 건조하여 통과메기로 생산되었지만, 근래에 유통의 편리함과 건조의 신속함 때문에 일명 베지기라 하는 절편 후 건조 방식으로 과메기가 생산된다. 현재 과메기는 머리, 내장, 뼈를 제거하고 생산되어 먹기 전에 껍질과 꼬리만을 손질하면 되는 껍질 붙은 과메기, 생산 단계에서 껍질을 제거한 껍질 벗긴 과메기, 유통 과정 중에서 변질을 방지한 진공 포장 과메기, 기능성 과메기 등으로 출하되고 있다.
예전에 생산되던 통과메기는 껍질만이 외부에 노출되었다. 그러나, 현재 건조의 신속함을 추구하여 꽁치의 배를 갈라 양쪽으로 뒤집어 건조하는 베지기 과메기는 꽁치 등의 속살이 태양광(자외선), 산소, 대기 중에 포함된 중금속 등에 노출된다. 과메기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함유한 꽁치 등의 생선을 순수 건조하여 생산되기 때문에, 속살이 태양광, 산소, 중금속 등에 노출되면 단백질의 분해, 지방의 산화 등의 변질이 빠르게 진행되어 산화, 산패의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미생물에 의해 노출된 면으로부터 부패하여 변질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변질에 의해 과메기에서 비린내가 나서 거부감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과메기를 먹고 식중독에 걸릴 위험이 있다.
또한, 껍질을 벗긴 과메기는 생산 과정 중에 껍질이 벗겨진 면으로부터도 변질될 수 있다.
생산 과정뿐만 아니라, 과메기는 유통 과정 중이나 소비자가 보관하는 중에도 변질될 수 있다. 유통 과정 중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 포장한 경우라도 소비자가 포장을 개봉한 후 과메기는 빠르게 변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산화, 항균 작용이 증강되고, 시각적, 미각적, 후각적으로 향상된 기능성 과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기능성 과메기를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 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꽁치, 청어 등의 과메기용 생선을 할복, 절편하고, 머리, 내장 및 중골을 축출하며, 해수에 세척한 후 채반 상에서 탈수하는 준비 단계; 준비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담수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한 제 1 기능성 성분 혼합액에 침지시키는 침지 단계; 침지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수분 함량이 25 내지 4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에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담수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한 제 2 기능성 성분 혼합액을 분사하는 분사 단계; 및 분사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실외 차양막 하에서 12 시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과메기 생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과메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방법은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 단계는, 침지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적외선 건조실에서 12시간 건조시키는 1차 건조 단계, 및 1차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실외 차양막 하에서 수분 함량이 25 내지 4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기능성 성분 혼합액은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추출액 10 중량부, 소나무 껍질 추출액 10 중량부 또는 방풍 추출액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꽁치, 청어 등의 과메기용 생선은 우선 할복, 절편한 후, 머리, 내장 및 중골 등을 축출한다(S1 단계). 이는 일명 베지기로서 과메기를 생산하기 위함이다.
머리, 내장 및 중골이 축출된 생선은 해수에 세척되어 이물질이 제거된다(S2 단계).
세척된 생선은 채반에 올려져 1 내지 2시간 동안 생선으로부터 물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탈수한다(S3 단계).
탈수된 생선은 프로폴리스(propolis)와 담수(수돗물 등)를 중량비 1:100 내지 1:200으로 혼합한 기능성 혼합액에 5 내지 10분간 침지한다(S4 단계).
프로폴리스는 꿀벌에 의해 만들어지고 벌집으로부터 추출되는 물질이다.
프로폴리스는 면역 강화 효능이 있다. 프로폴리스가 함유된 과메기는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폴리스는 항산화 효능이 있다. 과메기 건조 과정, 과메기 유통 과정 또는 과메기 보관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과메기의 산화 및 산패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폴리스는 박테리아에 의한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항균 효능이 있다. 프로폴리스는 과메기 건조 과정, 과메기 유통 과정 또는 과메기 보관 과정 동안 침투하는 세균들을 살균할 수 있어 세균에 의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항균 효능은 과메기의 비린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밖에 프로폴리스는 신체 내에서 항산화, 항종양을 촉진하는 효능, 알레르기 반응을 저지하는 효능, 혈관 및 세포막 결합 조직 강화 효능, 탈모 방지 효능, 혈액 정화 효능, 궤양 방지 및 치료 효능, 갑상선 기능 장애 회복 효능,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 등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효능을 가진 프로폴리스를 침지 과정 동안 과메기용 생선 육즙 내로 일정량 침투시켜 과메기가 항균, 항산화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과메기 건조 과정, 유통 과정 및 보관 과정 동안 과메기의 변질을 방지한다. 특히 이후에 과메기 껍질을 벗기는 경우에도 껍질이 벗겨진 면에 침지 과정 중에 침투한 프로폴리스가 잔존할 수 있게 한다.
침지 과정을 거친 생선은 적외선 건조실에서 약 12시간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약 50%가 되게 한다(S5 단계). 이는 과메기 건조 시간을 단축하여 신속하게 과메기를 생산하기 위함이다.
약 50% 건조된 과메기는 실외에 차양막을 설치하고 건조하여 수분 함량이 25 내지 40%가 되게 한다(S6 단계).
본 실시예에서 과메기의 건조는 실내 건조 및 실외 건조의 2단계로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건조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메기는 실외에 차양막을 설치하고 건조하는 방식만으로 건조될 수 있다.
건조된 생선은 껍질이 완전히 벗겨진다(S7 단계). 과메기의 껍질은 소비자의 수고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벗겨지고, 껍질이 안 벗겨진 과메기를 생산할 경우 본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선의 표면에 기능성 혼합액을 분사한다(S8 단계).
기능성 혼합액은 프로폴리스와 담수를 중량비 1:100 내지 1:200으로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기능성 혼합액은 또한 프로폴리스 1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의 녹차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녹차는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고, 그 밖에 항암 효능, 노화 억제 효능, 성인병 예방 효능, 비만 방지 효능, 중금속 및 니코틴 해독 효능, 피로 회복 효능, 숙취 제거 효능, 변비 치료 효능, 충치 예방 효능, 체질 산성화 예방 효능, 염증 및 세균 감염 억제 효능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녹차는 과메기를 미각적, 후각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기능성 혼합액은 또한 프로폴리스 1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의 소나무 껍질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나무 껍질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소나무 껍질 추출액은 적색 천연 염료로서 정통적인 과메기 색상을 연출할 수 있다.
기능성 혼합액은 또한 프로폴리스 1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방풍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풍은 중풍, 신경통 및 감기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기능을 가진 기능성 혼합액을 생선 표면에 분사하여 기능성 혼합액으로 생선 표면을 코팅한다. 그리하여 노출된 생선의 표면이 항균,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시각적, 미각적, 후각적으로 우수한 과메기를 생산할 수 있다.
기능성 혼합액이 분사된 생선은 실외에 차양막을 설치하고 약 12시간 동안 숙성한다(S9 단계). 숙성을 통하여 과메기의 풍미와 육질이 향상된다.
최종적으로, 상술한 단계를 거쳐 생산된 과메기는 위생 포장지에 의해 포장되거나 진공 포장된 후 유통된다(S1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과메기는 프로폴리스의 항균, 항산화 기능, 녹차 추출액의 항산화 기능, 소나무 껍질 추출액의 항산화 기능 등에 의해 과메기 생산, 유통 및 보관 동안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과메기의 산패 또는 부패에 의한 식중독의 위험이 감소하여 위생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메기는 과메기의 변질에 의한 비린내가 감소하여 미각적, 후각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녹차 추출액에 의해 과메기의 미각적, 후각적 효과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소나무 껍질 추출액에 의해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메기는 프로폴리스에 의한 면역 강화 기능, 항산화 기능, 항암 기능, 녹차 추출액에 의한 항산화 기능, 중금속 배출 기능, 소나무 껍질 추출액에 의한 항산화 기능, 방풍 추출액에 의한 중풍, 신경통 및 감기의 예방 및 치료 기능 등을 가진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7)

  1. 꽁치, 청어 등의 과메기용 생선을 할복, 절편하고, 머리, 내장 및 중골을 축출하며, 해수에 세척한 후 채반 상에서 탈수하는 준비 단계;
    상기 준비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담수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혼합한 기능성 성분 혼합액에 침지시키는 침지 단계;
    상기 침지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수분 함량이 25 내지 4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에 상기 기능성 성분 혼합액을 분사하는 분사 단계; 및
    상기 분사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실외 차양막 하에서 12 시간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의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단계에서 상기 기능성 성분 혼합액은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추출액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단계에서 상기 기능성 성분 혼합액은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액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단계에서 상기 기능성 성분 혼합액은 프로폴리스 1 중량부에 대하여 방풍 추출액 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기 침지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적외선 건조실에서 12시간 건조시키는 1차 건조 단계, 및 상기 1차 건조 단계를 거친 과메기용 생선을 실외 차양막 하에서 수분 함량이 25 내지 40%가 되도록 건조시키는 2차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생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생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과메기.
KR1020070013202A 2007-02-08 2007-02-08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KR10084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02A KR100846016B1 (ko) 2007-02-08 2007-02-08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202A KR100846016B1 (ko) 2007-02-08 2007-02-08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016B1 true KR100846016B1 (ko) 2008-07-11

Family

ID=398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202A KR100846016B1 (ko) 2007-02-08 2007-02-08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0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64B1 (ko) * 2009-07-13 2013-02-28 김보경 생약재를 이용한 고등어과메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01357B1 (ko) * 2016-06-22 2017-02-01 홍영의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098B1 (ko) 1995-03-06 1999-10-15 가타야마 시스카 가공어육 및 그것을 사용한 어육식품재료 및 가공어육의 제조방법(process fish meat, fish meat material prepared by v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processed fish meat)
KR20020036932A (ko) * 2000-11-11 2002-05-17 김진호 한방생약자원을 이용한 생선 가공
KR100478021B1 (ko) 1997-03-31 2005-07-11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수용성이개선된프로폴리스추출물
KR20060048196A (ko) * 2004-08-25 2006-05-18 박희학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098B1 (ko) 1995-03-06 1999-10-15 가타야마 시스카 가공어육 및 그것을 사용한 어육식품재료 및 가공어육의 제조방법(process fish meat, fish meat material prepared by v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processed fish meat)
KR100478021B1 (ko) 1997-03-31 2005-07-11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수용성이개선된프로폴리스추출물
KR20020036932A (ko) * 2000-11-11 2002-05-17 김진호 한방생약자원을 이용한 생선 가공
KR20060048196A (ko) * 2004-08-25 2006-05-18 박희학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364B1 (ko) * 2009-07-13 2013-02-28 김보경 생약재를 이용한 고등어과메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701357B1 (ko) * 2016-06-22 2017-02-01 홍영의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658B1 (ko) 기능성 과메기의 제조방법
KR101559543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자반생선의 제조방법
KR20100061108A (ko) 클로렐라가 처리된 수산물의 가공 및 포장방법
KR100863108B1 (ko) 들국화추출액이 첨가된 손질굴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6016B1 (ko)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CN105029472A (zh) 一种巴马香猪腊全猪的制作方法
KR100465091B1 (ko) 천연 폴리페놀을 함유한 굴비의 가공방법 및 가공굴비
KR101658484B1 (ko) 감을 이용한 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말랭이 또는 곶감말랭이
KR20210068674A (ko) 돼지고기 숙성방법
KR101297488B1 (ko) 울외 무침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7098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훈제전복의 제조방법
KR102372344B1 (ko) 아로니아 및 녹차 추출액을 이용한 육류 숙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류 숙성 방법
KR102043619B1 (ko) 염장생선의 가공방법
KR101184914B1 (ko) 블루베리를 이용한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간생선, 간고등어
KR100645899B1 (ko) 건조미역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미역
CN105661371B (zh) 一种蓝莓香酒糟鱼的生产方法
CN1372853A (zh) 纯天然植物保鲜剂
KR20050028952A (ko) 기능성 과메기의 제조방법
EP4039102B1 (en) Process for freezing kinds of fresh coconut fruits
KR102467705B1 (ko) 숙성벌꿀을 이용한 보존력과 풍미를 향상시킨 훈제연어 및 그 제조방법
KR102340847B1 (ko) 오가피를 이용한 굴비의 제조방법
KR102615389B1 (ko) 키토산 고등어 제조 방법
KR20180130025A (ko) 허브딜(Dill) 또는 바질(Basil)을 이용한 과메기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과메기
KR101338245B1 (ko) 톳과 검은콩을 함유한 고등어 및 그 가공방법
KR20120010286A (ko) 다이어트 초절임 셀러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