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357B1 -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 Google Patents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357B1
KR101701357B1 KR1020160077970A KR20160077970A KR101701357B1 KR 101701357 B1 KR101701357 B1 KR 101701357B1 KR 1020160077970 A KR1020160077970 A KR 1020160077970A KR 20160077970 A KR20160077970 A KR 20160077970A KR 101701357 B1 KR101701357 B1 KR 10170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ring
washing
raw
green tea
sl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의
Original Assignee
홍영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의 filed Critical 홍영의
Priority to KR1020160077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2Behead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은 회로 사용될 수 있는 청어를 선별하는 원물 청어 선별 단계(S100); 상기 선별된 청어를 할복, 절편한 후 머리, 내장, 껍질 및 뼈와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정제된 해수로 세척하는 해수 세척 단계(S300); 상기 해수로 세척된 청어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정제수 세척 단계(S400); 상기 정제수로 세척된 청어를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 상기 녹차 추출물로 세척된 청어를 냉풍으로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건조 숙성 단계(S600); 및 상기 냉풍으로 건조 숙성된 청어를 진공 포장한 후 급속 냉동하여 진공 포장된 청어 회를 제조하는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원물 청어를 손질 후 냉풍으로 숙성 건조하여 회를 제조함으로써 청어 회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어 특유의 맛과 영양을 배가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횟집에서만 먹을 수밖에 없었던 회를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며, 회의 선도와 식감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METHOD FOR MANUFACTURING SLICES OF RAW HERRING AND SLICES OF RAW HERRING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물 청어를 손질 후 냉풍으로 숙성 건조하여 회를 제조함으로써 청어 회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어 특유의 맛과 영양을 배가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살아있는 활어를 사용하게 되는 생선회는 어회라고도 하며, 횟감으로는 흰살 생선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참치, 가다랭이, 참다랭이 등 붉은살 생선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생선은 제철에 나는 것, 신선한 것을 골라 회를 떠야 하는데, 회로 먹는 생선은 종류가 많아 예전부터 민어, 병어, 넙치, 가자미, 방어, 도미 등이 많이 쓰였으며, 요즈음은 삼치, 참치, 가다랭이, 참다랭이 등을 사용하고, 또한 붕장어와 같은 뱀장어류 등도 횟감으로 사용한다. 그 밖에 문어, 새우, 조개류 등도 함께 쓰는 일이 많다.
이러한 생선회는 통상적으로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 준비한 다음에 각종 야채(예를 들면, 양배추, 적채, 부추, 상추, 당근 등)을 일정한 크기로 채를 썰어 생선회와 함께 따로 준비한 초고추장에 버무려 회무침으로 먹기도 하는데, 신선한 상태에서 먹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먹기가 힘들고 통상 횟집에서 주로 먹게 된다.
또한, 생선회로 사용되는 고등어, 꽁치, 청어 등과 같은 등푸른 생선에는 DHA(docosahexano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등의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방산의 생선 체내의 축적은 이들 생선이 해조류나 플랑크톤과 같은 식품을 섭취하기 때문이며, 이들 식물만이 상기 물질들을 합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불포화지방산은 탄소와 탄소 연결고리에 수소가 배제되어 있어 수소가 없는 탄소가 이중결합되어 있어서 포화지방산과 달리 상온에서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DHA나 EPA는 뇌와 신경의 구성물질로서 알츠하이머 질환 억제 효능이 있음이 최근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등푸른 생선의 일종인 청어(Herring)는 청어과의 바다물고기로서 몸길이 35cm정도 되며, 가늘고 긴 정어리와 유사한 어류로, 몸빛깔은 담흑색에 등에 푸른색을 띄고, 배는 은백색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온이 4∼5℃일 때 동해안 선단에서 포획되고 최근 수온변화에 의해 어획량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어를 이용하여 생선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수분증발에 의한 온도 강하로 인하여 짧은 시간 동안 신선도를 유지하기는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변 온도와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 신선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비린내가 증대되고 청어 회의 식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28333호(2007년 06월 07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900350호(2009년 05월 25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0-0019239호(2010년 02월 18일 공개)
본 발명은 원물 청어를 손질 후 냉풍으로 숙성 건조하여 회를 제조함으로써 청어 회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어 특유의 맛과 영양을 배가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횟집에서만 먹을 수밖에 없었던 회를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고, 회의 선도와 식감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비린내를 감소시켜 청어 고유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청어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은 회로 사용될 수 있는 청어를 선별하는 원물 청어 선별 단계(S100); 상기 선별된 청어를 할복, 절편한 후 머리, 내장, 껍질 및 뼈와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정제된 해수로 세척하는 해수 세척 단계(S300); 상기 해수로 세척된 청어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정제수 세척 단계(S400); 상기 정제수로 세척된 청어를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 상기 녹차 추출물로 세척된 청어를 냉풍으로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건조 숙성 단계(S600); 및 상기 냉풍으로 건조 숙성된 청어를 진공 포장한 후 급속 냉동하여 진공 포장된 청어 회를 제조하는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세척 단계(S300)는 13 내지 17℃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고, 4.5 내지 5.5%의 염도를 가지는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 세척 단계(S400)는 10 내지 15℃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5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에 사용되는 녹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잎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을 15℃의 온도로 10분 동안 유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숙성 단계(S600)에서 상기 냉풍은 3 내지 7℃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세척된 청어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는 -35℃ 이하의 온도 분위기하에서 상기 청어의 중심부 온도가 -20 내지 -30℃가 되도록 냉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청어 회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은 원물 청어를 손질 후 냉풍으로 숙성 건조하여 회를 제조함으로써 청어 회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어 특유의 맛과 영양을 배가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청어 회는 횟집에서만 먹을 수밖에 없었던 회를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고, 회의 선도와 식감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청어 회는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비린내를 감소시켜 청어 고유의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청어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은 원물 청어를 손질 후 냉풍으로 숙성 건조하여 회를 제조함으로써 청어 회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청어 특유의 맛과 영양을 배가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은 원물 청어 선별 단계(S100),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 해수 세척 단계(S300), 정제수 세척 단계(S400),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 건조 숙성 단계(S600), 및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를 포함한다.
1. 원물 청어 선별 단계(S100)
상기 원물 청어 선별 단계(S100)는 회로 사용될 수 있는 청어를 선별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물 청어로는 신선도가 유지되는 것을 사용하고, 일정한 크기 및 중량 이상의 원물 청어를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
상기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는 상기 선별된 청어를 할복, 절편한 후 머리, 내장, 껍질 및 뼈와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에서는 할복하여 머리, 내장, 뼈, 지느러미 등을 제거하고 껍질과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할 수 있다.
3. 해수 세척 단계(S300)
상기 해수 세척 단계(S300)는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정제된 해수로 세척하는 단계이다.
상기 해수 세척 단계(S300)는 13 내지 17℃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고, 4.5 내지 5.5%의 염도를 가지는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염도를 가지는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청어를 세척함으로써 상기 청어의 표면과 육질 내부에 존재하는 일반 세균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청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비린내를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의 체내 염분 농도는 약 0.7 내지 1.0%의 범위인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해수 세척 단계(S300)에서는 4.5 내지 5.5%의 염도를 가지는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청어의 표면과 내부 육질을 세척함으로써, 염도 차이에 의한 삼투 작용에 의해 상기 청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혈액이 상기 해수로 유출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세균과 비린내를 제거하여 안정성과 풍미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고염분의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청어를 세척하여 삼투압에 의해 유출된 불순물들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
4. 정제수 세척 단계(S400)
상기 정제수 세척 단계(S400)는 상기 해수로 세척된 청어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로, 상기 정제수로는 흐르는 깨끗한 물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 세척 단계(S400)는 10 내지 15℃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5 내지 10분 동안 상기 청어의 몸통 내부까지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청어를 정제수로 세척함으로써 상기 청어에 잔류할 수 있는 염분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5.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
상기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는 상기 정제수로 세척된 청어를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에서는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기 청어를 다시 한번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녹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잎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을 15℃의 온도로 10분 동안 유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에서 상기 녹차 추출물의 제조가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녹차 추출물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청어 고유의 비린내는 제거될 수 있으나 녹차 특유의 향으로 청어 고유의 맛이 사라지고 청어 살의 탄력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차 추출물의 제조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녹차 추출물의 농도가 낮아 청어 고유의 비린내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청어에 수분을 필요 이상으로 공급하여 청어 살의 조직감을 물러지게 할 수 있다.
6. 건조 숙성 단계(S600)
상기 건조 숙성 단계(S600)는 상기 녹차 추출물로 세척된 청어를 냉풍으로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숙성 단계(S600)는 냉풍을 이용하여 상기 세척된 청어를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냉풍은 3 내지 7℃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세척된 청어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숙성 단계(S600)에서 냉풍이 7℃의 온도보다 높거나 200분 이상 진행되는 경우에는 청어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과도하게 빠져나가 청어 고유의 맛이 변질되고 부드러운 식감이 사라질 수 있다. 또한, 냉풍이 3℃의 온도보다 낮거나 150분 미만으로 진행되는 경우에는 청어의 수분 제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시간이나 온도의 변화에 따라 청어의 비린내가 발생하거나 육질이 변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3 내지 7℃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분 동안 냉풍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보관 기간이 장기간이어도 청어의 비린내가 생성되지 않음과 동시에 청어 살이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운 맛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7.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
상기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는 상기 냉풍으로 건조 숙성된 청어를 진공 포장한 후 급속 냉동하여 진공 포장된 청어 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에서는 공기의 출입이 제한되도록 밀폐하여 진공 포장한 후, 상기 진공 포장된 청어를 급속 냉동할 수 있는데, 상기 급속 냉동은 -35℃의 온도 분위기하에서 상기 청어의 중심부 온도가 -20 내지 -30℃가 되도록 신속하게 냉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가 상기한 범위 이외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유통중 약간의 비린내가 발생할 수 있고, 추후 소비자가 자연 해동하여 회를 취식하는 경우 청어 살의 조직들의 물성이 약해져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후, 소비자는 상기와 같이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를 거친 청어 회를 자연 해동하여 회로 즐길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어 회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먼저, 청어를 선별한 후 할복, 절편하여 머리, 내장, 껍질 및 뼈와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15℃의 온도 및 5%의 염도를 가지는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세척하였고, 이후 12℃의 정제수로 세척한 후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세척하였다. 이때, 상기 녹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잎 2 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우려서 제조되었다.
그 다음으로, 5℃의 온도인 냉풍을 3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상기 청어를 건조시킨 후, 수분이 제거된 청어를 진공 포장하였다.
이어서, 상기 진공 포장된 청어를 -30℃ 이하의 온도 분위기하에서 상기 청어 살의 중심부 온도가 -30℃가 되도록 신속하게 냉동시킴으로써 청어 회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실시예와 동일하게 청어를 이용하여 회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1에서는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청어를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았다.
< 비교예 2 >
실시예와 동일하게 청어를 이용하여 회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진공 포장된 청어를 -10℃의 온도 분위기하에서 상기 청어 살의 중심부 온도가 -5℃가 되도록 냉동시켰다.
< 비교예 3 >
실시예와 동일하게 청어를 이용하여 회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녹차 추출물을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잎 8 중량부를 혼합한 후 15℃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우려서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상기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 1, 2, 3을 통해 제조된 청어 회를 자연 해동한 후, 자연 해동한 청어 회의 맛, 냄새, 선호도, 조직감 등에 대하여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식품관련 전문가 및 일반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맛(풍미) 향(냄새) 조직감(물성) 종합적 선호도
실시예 8.4 8.5 8.3 8.4
비교예 1 5.2 5.3 5.4 5.3
비교예 2 5.3 5.5 6.0 5.7
비교예 3 5.1 5.2 5.5 5.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청어 회의 맛(풍미), 향(냄새), 종합적 선호도가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청어 회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에 따라 청어 회를 제조할 때 청어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해수나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적절한 범위의 냉풍으로 건조 숙성한 후 급냉시킴으로써, 청어 회에 대한 소비자의 맛이나 향, 종합적 선호도를 배가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회로 사용될 수 있는 청어를 선별하는 원물 청어 선별 단계(S100);
    상기 선별된 청어를 할복, 절편한 후 머리, 내장, 껍질 및 뼈와 같은 비식용 부위를 제거하는 원물 청어 전처리 단계(S200);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정제된 해수로 세척하는 해수 세척 단계(S300);
    상기 해수로 세척된 청어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정제수 세척 단계(S400);
    상기 정제수로 세척된 청어를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는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
    상기 녹차 추출물로 세척된 청어를 냉풍으로 건조하여 숙성시키는 건조 숙성 단계(S600); 및
    상기 냉풍으로 건조 숙성된 청어를 진공 포장한 후 급속 냉동하여 진공 포장된 청어 회를 제조하는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를 포함하되,
    상기 해수 세척 단계(S300)는 13 내지 17℃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고, 4.5 내지 5.5%의 염도를 가지는 정제된 해수를 이용하여 상기 비식용 부위가 제거된 청어를 세척하고,
    상기 정제수 세척 단계(S400)는 10 내지 15℃의 정제수를 이용하여 5 내지 10분 동안 수행되며,
    상기 녹차 추출물 세척 및 탈수 단계(S500)에 사용되는 녹차 추출물은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녹차 잎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액을 15℃의 온도로 10분 동안 유지함으로써 제조되고,
    상기 건조 숙성 단계(S600)에서 상기 냉풍은 3 내지 7℃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상기 세척된 청어를 건조하며,
    상기 진공 포장 및 급냉 단계(S700)는 -35℃의 온도 분위기하에서 상기 청어의 중심부 온도가 -20 내지 -30℃가 되도록 냉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어 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어 회.
KR1020160077970A 2016-06-22 2016-06-22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KR101701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70A KR101701357B1 (ko) 2016-06-22 2016-06-22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970A KR101701357B1 (ko) 2016-06-22 2016-06-22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357B1 true KR101701357B1 (ko) 2017-02-01

Family

ID=5810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970A KR101701357B1 (ko) 2016-06-22 2016-06-22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3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00B1 (ko) * 2017-03-07 2017-07-31 홍영의 과메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메기
KR101980494B1 (ko) * 2018-12-03 2019-05-20 남춘희 복층구조의 생선어체 숙성건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932A (ko) * 2000-11-11 2002-05-17 김진호 한방생약자원을 이용한 생선 가공
KR100728333B1 (ko) 2006-08-03 2007-06-13 전석수 블랜칭한 껍질이 있는 생선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6016B1 (ko) * 2007-02-08 2008-07-11 이병춘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KR100900350B1 (ko) 2007-06-01 2009-06-02 김대성 생선 회무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9239A (ko) 2008-08-08 2010-02-18 오브 주식회사 횟감용 생선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요리 제조방법
KR20150031575A (ko) * 2013-09-16 2015-03-25 강태웅 등푸른생선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932A (ko) * 2000-11-11 2002-05-17 김진호 한방생약자원을 이용한 생선 가공
KR100728333B1 (ko) 2006-08-03 2007-06-13 전석수 블랜칭한 껍질이 있는 생선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6016B1 (ko) * 2007-02-08 2008-07-11 이병춘 기능성 과메기 및 그 생산 방법
KR100900350B1 (ko) 2007-06-01 2009-06-02 김대성 생선 회무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9239A (ko) 2008-08-08 2010-02-18 오브 주식회사 횟감용 생선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회요리 제조방법
KR20150031575A (ko) * 2013-09-16 2015-03-25 강태웅 등푸른생선의처리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꽃피는 아침마을, 바다로 고등어포세트, 우리가게 구매후기 모음, ttp://www.cconma.com/Cconma/productReview.fmv?cmd=productReviewStore&amp;serial_no=12199&amp;storeNo=15&amp;pageNo=12* *
꽃피는 아침마을, 바다로 고등어포세트, 우리가게 구매후기 모음, ttp://www.cconma.com/Cconma/productReview.fmv?cmd=productReviewStore&serial_no=12199&storeNo=15&pageNo=1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300B1 (ko) * 2017-03-07 2017-07-31 홍영의 과메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과메기
KR101980494B1 (ko) * 2018-12-03 2019-05-20 남춘희 복층구조의 생선어체 숙성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356B1 (ko) 시즈닝 육류 수비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시즈닝 육류 수비드 제품
KR100672900B1 (ko) 조미훈제고등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조미훈제고등어
KR100740464B1 (ko) 조미고등어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조미고등어
KR20190084655A (ko) 냉동참치의 해동 및 숙성방법
CN103549492B (zh) 一种粘粉秋刀鱼片的制作方法
KR20160140291A (ko) 기능성 젓갈 및 그 제조방법
KR102431054B1 (ko) 라면용 해산물 조미료 제조방법
KR101701357B1 (ko) 청어 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회
KR20110061045A (ko) 냉풍건조 굴비를 이용한 고추장굴비 제조방법
KR101817462B1 (ko) 장어의 숙성 방법 및 이에 의해 얻어진 숙성 장어와 이를 활용한 요리
KR101907615B1 (ko) 김치의 제조방법
KR101413235B1 (ko) 육질과 기호성이 향상된 반건조 어류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건조 어류
KR101701358B1 (ko) 청어 과메기 구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청어 과메기 구이
KR101772364B1 (ko) 명태 회무침 제조방법
KR102319457B1 (ko) 냉동 다시마 김치의 제조방법
KR101942386B1 (ko) 반건조 및 반숙된 가공 생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공 생선
KR102064315B1 (ko) 저염 어리굴젓을 제조하는 방법
KR100760708B1 (ko) 과메기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과메기발효식품
KR102222052B1 (ko) 간장전복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 되는 간장전복
KR20220092699A (ko) 가리비 통조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가리비 통조림
KR102399726B1 (ko) 저장성이 개선된 구운 조미 아귀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399723B1 (ko) 저장성이 개선된 조미 아귀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917682B1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KR20210039027A (ko) 조미 훈제 새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한 조미 훈제 새우
RU229214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яленой рыб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