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1600A -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1600A
KR20090101600A KR1020080026837A KR20080026837A KR20090101600A KR 20090101600 A KR20090101600 A KR 20090101600A KR 1020080026837 A KR1020080026837 A KR 1020080026837A KR 20080026837 A KR20080026837 A KR 20080026837A KR 20090101600 A KR20090101600 A KR 20090101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topic dermatitis
composition
weight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975B1 (ko
Inventor
전혜경
조수묵
김현석
박기문
한성훈
염경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주식회사 성균바이오텍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to KR102008002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975B1/ko
Priority to JP2008288600A priority patent/JP5302632B2/ja
Publication of KR20090101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각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60 중량부의 유근피 추출물, 1~6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1~6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및 1~60 중량부위 자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OF MATTER HAVING PLANT EXTRACTS TO IMPROVE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을 개선시키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이러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및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완화와 악화가 반복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가려움증과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천식 등과도 관련되어 있다.
아토피성 피부 질환은 그 원인이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알레르기와 관련된 면역글로불린인 Ig E의 증가에 따른 면역과민 반응 또는 T 림프구의 기능 결여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Ig E는 점막이나 피부의 비만세포(mast cell)에 부착하여 그 농도가 높으면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histamine)이 분비되어 염증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대부분에서 혈청 Ig E치가 증가되어 있고 그 수치와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적 중증도가 비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Ig E의 생성을 유도하는 IL-4, Ig E 생성을 촉진하는 IL-5, Ig E생성을 증폭시키는 IL-6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또 다른 인자로 활성산소를 포함하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 알려져 있으며 활성산소의 발생이 지나치게 많으면 피부 세포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 등과 반응하여 과산화지질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피부 각질층의 보습기능이 저하됨으로써 진드기 등 접촉성 자극에 민감해져 아토피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면역과민반응과 활성산소의 과다 발생은 근본적인 발병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유전적 원인 이외에 주로 환경오염에 따른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의 인체 내 유입에 따른 내, 외인적 스트레스에 의해 면역체계의 기능악화 및 파괴에 의해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아토피성 피부염에 수반되는 이차적인 세균감염, 약물 부작용에 대한 감수성의 증가, 곰팡이류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대한 저항력 감소 등도 나타나게 된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알레르기원을 제거하거나 면역체계를 개선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알레르기원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면역에 관련된 치료와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분비를 낮추기 위한 약물치료를 받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치료방법으로는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아토피 질환자의 피부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습제를 도포하고 수반되는 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국소 부신피질호르몬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소 부신피질호르몬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피부위축 및 혈관확장 등 다양한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완화를 위하여 항균성 및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활용한 천연물 유래의 선행기술로는 아토피 피부염의 2차적인 질환인 피부염을 더욱 악화 시키는 염증 유발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성분을 함유한 알로에 베라, 녹차 및 황금 추출물 등이 함유된 화장품(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 2001-0016162)이 개발되었고 영지버섯 및 유근피, 감초 , 백봉령 등을 사용하여 피부 조직의 각질화와 오염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한방화장료(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10-2003-0002827)가 있다.
또한 살균효과를 가진 계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및 예방용화장료(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2- 0060286), 고삼 및 백급, 지모, 소엽맥문동 등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항균 및 프리라디칼의 제거, 항염, 보습효과를 나타내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는 화장료(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3-0053370), 백급 및 자소, 에키나시아, 발효대두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항균효과 및 보습효과, 항염효과,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 등이 나타나 아토피 피부의 치유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료(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3-0038851), 구아바 추출물을 발효시켜 항산화 및 항균,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아토피 개선 조성물(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6-0116279)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알로에 및 대나무 등에 존재하는 아이소오리엔틴(isoorientin)을 포함하는 과잉의 히스타민으로 인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5-0022772)이 보고되어 있다.
면역과민반응 억제를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려는 선행기술로는,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소서네올, 소서네올 C, 마나산틴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용 조성물로 비정상적인 B 세포 및 T 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우수한 면역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장기이식 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아토피 등과 같은 면역과민반응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식품첨가물(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5-0130601)과,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 치료제로 Ig E를 감소시키는 효과 및 자유 라디칼 제거 및 면역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세포 독성이 적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5- 0024430)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진교(Gentianae macrophyllae radix) 추출물도 지유 추출물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피부질환치료제(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5- 0024429)로 알려져 있으며, 화피 및 생지황, 현삼, 당귀, 계지, 창출, 마황, 강활, 형개, 방풍, 세신, 천오, 초오, 천궁, 감초, 하수오, 석웅황을 사용하여 Ig E 및 IL-4등 사이토카인 분비를 조절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에 도움을 주는 한약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5-0026551)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아토피성 피부염 발생원인 중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에 의한 면역체계의 파괴가 가장 심각한 발병 원인이라고 판단되어 체내에 흡수된 환경호르몬을 해독하면서 동시에 면역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Ig E를 감소시키고 IL-6 등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는 물질을 탐색하여 적정 비율로 혼합한 신규한 조성물을 제조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내 환경호르몬의 유입에 따른 면역체계의 혼란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아토피성 피부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증진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실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개선용 조성물은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 추출물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각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60 중량부의 유근피 추출물, 1~6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1~6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및 1~60 중량부위 자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위의 각 식물 추출물은 추출액을 건조시킨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강 증진용 식품은 위의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식품은 산제, 정제, 캡슐제, 선식, 츄잉껌, 캔디, 비스켓, 건강음료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에 각각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는 단계, 유기용매가 가해진 각각의 상기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를 10 내지 30℃에서 2 내지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후의 결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압 농축의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유기용매로는 4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상기 각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60 중량부의 유근피 추출물, 1~6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1~6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및 1~60 중량부위 자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식물로 과량 복용 시에도 부작용 없이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대표되는 과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식물 추출물 처리 농도별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의 분비량 변화를 나타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AF-343 처리 농도에 따른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의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AF-343 처리 농도에 따른 TNF-α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는 AF-343 처리 농도에 따른 IL-6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AF-343 처리 농도에 따른 IL-8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AF-343 급여가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 생쥐의 귀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d는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 후 AF-343의 급여가 귀의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들이다.
도 6은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 후 AF-343의 급여가 생쥐의 혈액 내 Ig 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AF-343 섭취가 아토피 피부염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 본 발명에서는 면역조절 활성 뿐만 아니라 염증 억제효과를 보이는 4종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 소재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각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60 중량부의 유근피 추출물, 1~6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1~6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및 1~60 중량부위 자두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선별된 4종의 식물추출물 제법
본 발명에서 얻어진 4종의 식물에 대한 추출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유근피 추출물 제법
유근피(Ulmus davidiana var.) 즉 음건한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분쇄기로 세절하고 그 부피에 대해 2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10 내지 50℃에서 1 내지 10일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조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 및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40 내지 90%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결명자추출물 제법
결명자(Cassia obtusifolia)를 분쇄한 후 그 부피에 대해 2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10 내지 30℃에서 1 내지10일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조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 및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40~ 90%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포공영추출물 제법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을 분쇄한 후 그 부피에 대해 2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10 내지 30℃에서 1 내지 10일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조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 및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40 내지 90%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자두추출물 제법
자두(Prunus salicina)의 핵을 제거하고 4등분하여 50℃ 이하의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건조한 후 그 부피에 대해 2 내지 200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고 10 내지 30℃에서 1 내지 10일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고 건조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 및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40 내지 90% 에탄올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환류장치가 부착된 추출기를 사용하여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또는 그 건조물에 대해 10배의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72시간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고 이 추출물에 필요에 따라서는 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부형제를 첨가하고 동결건조하거나 분무건조하여 추출물 분말을 얻는다.
탈과립 억제 효과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는 인체 비만세포(human mast cell line-1(HMC-1))안의 과립 내에 히스타민(histamine)과 같이 존재하는 염증전구물질이다. 항원이 비만세포(mast cell)의 세포막 표면에 존재하는 Fc수용체와 결합되어 있는 Ig E 항체사이에 교차결합(cross linking)을 형성하면 세포막이 활성화되고 효소반응을 거쳐 짧은 시간에 탈과립되어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와 히스타민(histamine)이 분비된다. 히스타민(Histamine)은 비만세포(mast cell) 내에 낮은 농도로 존재하며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분석 편차가 심하여 비교적 오차가 적고 안정적으로 측정되는 베타헥소사미니다제 애세이(β-hexosaminidase assay)를 사용하였다.
HMC-1을 배양 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은 다음 티로이드 버퍼(tyroid buffer)에 2×106cell/ml로 농도를 맞춰 900㎕씩 48웰플레이트(48well plate)에 분주하였다. 티로이드 버퍼(Tyroid buffer)에 10㎍/㎖, 100㎍/㎖의 농도로 희석된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령, 자두 추출물을 각 웰(well)에 첨가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30분 동안 배양하고 난 후 탈괴립 유발물질인 컴파운드48/80(compound 48/80)을 6㎍/㎖의 농도로 첨가하여 다시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48웰플레이트(48well plate)를 10분간 아이스배스(ice bath)에 두어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cell)를 가라앉힌 후 상등액 30㎕를 96웰플레이트(96well plate)에 옮긴 후 각 웰(well)에 1mM(p-nitrophenyl- N- acetyl-β-D-glucosaminide)의 기질 30㎕를 첨가하여 37℃에서 한 시간 반응시킨 후 120㎕의 stop solution(sodium bicarbonate, pH 10.2)을 넣고 엘리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ELISA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의 분비량은 다음의 수학식1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분비량(%) = B/A x 100
이식에서,A는 포지티브콘트롤(positive control) 흡광도이고, B는 시료 처리구 흡광도를 나타낸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을 단독처리한 포지티브콘트롤(positive control)에 비해 결명자 및 유근피, 포공령, 자두 추출물을 10ug/ml 처리한 경우 95%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탈과립을 억제하였으며, 100ug/ml 처리시 모든 처리구에서 99%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탈과립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질환의 증상 개선용 혼합 추출물( AF -343)의 조성비
외부 항원에 대한 반응으로 인체 비만세포(human mast cell)의 탈 과립에 의한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와 히스타민(histamine)의 분비를 억제하여 피부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4종의 식물추출물 즉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령, 자두 추출물 등을 각각 동일한 성분 비율로 혼합하여 천연물제제(AF-343)를 완성시켰다. AF-343을 사용하여 베타헥소사미니다제(β-hexosaminidase) 분비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각 식물 추출물을 단독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가 우수하였다(도 2). 즉 1ug/ml 수준에서도 9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탈과립 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면역활성 ( cytokines 분비량 억제 효과)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대부분에서 면역과민 반응으로 혈청 Ig E치가 증가되어 있고 Ig E의 생성을 증폭시키는 IL-6 등의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시 예 3에서 탈과립을 억제하는 효능이 밝혀진 AF-343을 사용하여 면역활성에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즉 HMC-1을 IMDM에 3×106cell/ml의 농도로 24웰플레이트(24well plate)에 분주하고 혼합추출물 1㎍/㎖, 10㎍/㎖, 100㎍/㎖의 농도로 희석된 시료를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40nM의 포르볼(phorbol) 12-myristate 13-acetat와 1uM의 Calcium ionophore A23187I를 첨가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2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 상등액을 사용하여 TNF-α와 IL-6, IL-8의 정량은 Quantikine kit(R&D systems, cat. DTA00C)를 사용하여 정량하였고 RT-PCR(Reverse transcriptaes-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는 도 3a, 3b 및 3c와 같다. 즉 TNF-α의 경우 95% 유의수준에서 1ug/ml 농도 이상 처리시 유의성 있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하여도 그 억제력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L-6의 경우, 도 3b와 같이 95% 유의수준에서 1ug/ml 농도 이상 처리 시 유의성 있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ug/ml에서는 농도 증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100ug/ml 처리시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L-8의 경우, TNF-α와 유사하게 95% 유의수준에서 1ug/ml 농도 이상 처리시 유의성 있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농도가 증가하여도 그 억제력은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염증 효능 평가
아토피 유발 모델로 잘 알려진 6주령의 NC/Nga 생쥐(mice) 수컷을 사용하여 7일간 적응 사육한 후 4주 동안 실험하였다. 무처리군과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군 그리고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군에 AF-343을 1.667㎎/㎏/day(체중 60kg인 경우 1일 0.1g), 16.67㎎/㎏/day, 166.7㎎/㎏/day 경구투여한 시험군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각 시료는 동일한 시간에 매일 경구투여하였고 대조군은 1% DMSO가 포함된 PBS 시료를 투여한 mice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게에 맞게 투여하였다. 또한 아토피 유발을 위하여 집먼지 진드기(Dermato - phagoides farinae(DF))를 항원으로 사용하여 이틀에 한번 씩 양쪽 귀에 5㎎/㎖의 농도로 10㎕씩 도포 하였다. 염증발현 현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틀에 한번씩 항원을 도포하기 전에 버어니어캘리퍼스(vernier calipers)를 사용하여 귀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같다.
즉, 1.667㎎/㎏/day 이상 4주간 경구투여 시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군에 비해 95%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염증이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증억제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도 5a 내지 5d는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 후 AF-343의 급여가 귀의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귀 조직을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하여 조직을 관찰한 결과이다. 보다 상세히, 5a는 정상군(NC), 5b는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군(NC), 5c는 1.667mg/kg/day로 급여한 군, 5d는 1.667mg/kg/day로 급여한 군, 5e는 166.7mg/kg/day로 급여한 군의 귀조직 사진이다.
도 5a 내지 5e의 현미경 사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정상군(NC)에 비해 아토피 유발물질 처리군(PC)에서 부종이 발생하여 조직이 두꺼워지고 파괴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AF-343 처리 농도가 증가하면서 귀의 두께가 얇아지고 조직도 정상화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동물의 혈중 Ig E의 측정
도 6은 4주 동안 시험 사육한 NC/Nga 생쥐(mice)의 혈청을 채취하여 아토피 피부염 유발에 관련된 Ig 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즉, 아토피 유발물질만을 처리한 PC군에 비해 아토피 유발물질과 AF-343을 1.667㎎/㎏/day 씩 경구 투여한 경우, 95% 유의 수준에서 Ig E의 저하 효과가 나타났으며 16.67㎎/㎏/day 이상에서는 아토피 유발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정상군의 Ig E 농도와는 차이가 있으나 99% 수준에서 PC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Ig E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실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일반인 30명을 대상으로 4주간 AF-343을 하루에 500mg/day 급여한 후 그 치료효과를 확인한 설문 결과이다(도 7). 설문의 번호는 다음의 내용으로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가장 심각한 경우 7점으로 전혀 그렇지 않으면 1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1. 비누 또는 화장품 사용 후 가렵고 따끔따끔하는 정도가 얼마입니까?
2. 꽃가루가 날리는 계절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가렵거나 붉어짐이 어느 정도입니까?
3. 팔 안쪽이나 목주름 등 접히는 부분에 땀이 나면 가렵거나 붉어지는 정도는 얼마입니까?
4. 피부가 건조하며, 특히 피부가 더욱 건조해지는 경우 가렵습니까?
5. 평소에 환부의 가려움의 정도는 얼마입니까?
6. 피부를 긁은 후, 가렵거나 빨갛게 부풀어 오름의 정도가 얼마입니까?
7. 피부를 긁은 후, 긁힌 곳에 염증이 생기는 정도는 얼마입니까?
8. 피부를 긁은 후, 긁힌 곳에 각질이 생기는 정도는 얼마입니까?
9. 잘 때 환부를 긁어 피가 나거나, 가려움에 잠을 깬 적이 있습니까?
10. 먼지가 많은 날에 외출한 후, 환부의 가려움이나 염증이 더 심해집니까?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일반인에 1일 AF-343을 500mg을 4주간 섭취시켰을 때 모든 항목에서 아토피 피부염에 관련된 증상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제조 예 1] 산제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 예 2] 정제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100mg
유당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 예 3] 캡슐제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100mg
유당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 예 4] 선식
현미 40%, 보리 30%, 율무 20%, 알파미분 10%를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곡물류 분말을 만든다.
검정콩 40%, 검정깨 30%, 들깨 30%를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종실류 분말을 만든다.
본 발명의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을 분무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 분말을 만든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75%, 종실류 20% 및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의 건조 분말 5%를 배합후 과립화하여 선식을 제조한다.
[제조 예 5] 츄잉껌
껌 베이스 20%, 설탕 76%, 향료 1.5% 및 물 2%와 본 발명의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0.5%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한다.
[제조 예 6] 캔디
설탕 60%, 물엿 39% 및 향료 0.5%와 본 발명의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0.5%를 배함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한다.
[제조 예 7] 비스켓
박력 1급 25%, 중력 1급 23%, 정백당 6%, 식염 1%, 팜쇼트닝 13%, 밀크향 0.1%, 대용분유 3%, 분무유 7% 및 물 16.9%와 본 발명의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5%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켓을 제조한다.
[제조 예 8] 건강 음료
꿀 5중량%, 과당 3%,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염산피리독신 0.0001%, 및 물 86.9998%와 본 발명의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5%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한다.
[제조 예 9] 건강기능식품
옥타코사놀분말 15%, 유당가수분해물분말 15%, 분리대두단백분말 15%, 키토올리고당 15% 효모추출물분말 10%, 비타민미네랄혼합제재 1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4.6%, 이산화티타늄 0.2% 및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0.2%와 본 발명의 유근피 및 결명자, 포공영, 자두 추출물 20%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8)

  1.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가지는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60 중량부의 유근피 추출물, 1~6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1~6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및 1~60 중량부위 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3. 제 1항 내지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식물 추출물은 추출액을 건조시킨 분말 상태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5.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식품이 음료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6.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에 각각 10 내지 30배의 유기용매를 가하는 단계;
    유기용매가 가해진 각각의 상기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를 10 내지 30℃에서 2 내지 5일간 추출하고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후의 결과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감압 농축의 결과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40 내지 90%의 에탄올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근피, 결명자, 포공영 및 자두 추출물은 모두 동일한 고형분 함량을 가지도록 농축된 것을 기준으로, 1~60 중량부의 유근피 추출물, 1~60 중량부의 결명자 추출물, 1~60 중량부의 포공영 추출물 및 1~60 중량부위 자두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80026837A 2008-03-24 2008-03-24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KR10098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37A KR100986975B1 (ko) 2008-03-24 2008-03-24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JP2008288600A JP5302632B2 (ja) 2008-03-24 2008-11-11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及び治療用経口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837A KR100986975B1 (ko) 2008-03-24 2008-03-24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600A true KR20090101600A (ko) 2009-09-29
KR100986975B1 KR100986975B1 (ko) 2010-10-11

Family

ID=4124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837A KR100986975B1 (ko) 2008-03-24 2008-03-24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02632B2 (ko)
KR (1) KR1009869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686A (zh) * 2012-12-25 2013-03-20 广元五行天酒业有限责任公司 一种川明参养胃口服液及其制备方法
WO2015182989A1 (ko) * 2014-05-27 2015-12-03 윤종성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46543A (ko) * 2018-10-25 2020-05-07 인산죽염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능 및 항산화능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865B1 (ko) * 2019-05-30 2020-10-12 칼리아코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가려움증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049A (ja) * 1996-06-25 1998-01-13 Shiseido Co Ltd 抗酸化剤組成物
JP2000128728A (ja) * 1998-10-20 2000-05-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1151686A (ja) * 1999-11-22 2001-06-05 Keiko Tanaka グルコースのゾル状化における塗付剤としての天然色素成分の作用性の高さの発見とそれに基づきすももを代表とする赤く薄い果皮を形成する果実の色素群から造る抗アレルギー剤及び肌細胞の補修剤
JP5551848B2 (ja) * 2001-08-09 2014-07-16 ライオン株式会社 痒み防止皮膚外用剤
JP2003267882A (ja) * 2002-03-13 2003-09-25 Maruzen Pharmaceut Co Ltd 皮膚化粧料
KR100633041B1 (ko) * 2005-01-22 2006-10-12 최향자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3686A (zh) * 2012-12-25 2013-03-20 广元五行天酒业有限责任公司 一种川明参养胃口服液及其制备方法
WO2015182989A1 (ko) * 2014-05-27 2015-12-03 윤종성 결명자 추출물 및 지구병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46543A (ko) * 2018-10-25 2020-05-07 인산죽염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능 및 항산화능을 갖는 건강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27654A (ja) 2009-10-08
KR100986975B1 (ko) 2010-10-11
JP5302632B2 (ja)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EP2391374B1 (en) Composition from sphaeranthus indicus and garcinia mangostana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syndrome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192629B1 (ko) 국내 자생식물 유래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86975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1887A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8743B1 (ko)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5087A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102016077B1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829810B1 (ko) 청보리잎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82813A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Fahey Medicinal potential and benefits of Moringa oleifera 13.1 Moringa oleifera medicinal potential and benefits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060048196A (ko) 작두콩과 어성초를 이용한 항암 기능성 식품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58429B1 (ko) 감피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84039B1 (ko) 덩굴차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및 화장품
KR20060058530A (ko)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및 항염 효과를나타내는 조성물
KR20190120860A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6008B1 (ko)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