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398B1 -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398B1
KR101751398B1 KR1020160100188A KR20160100188A KR101751398B1 KR 101751398 B1 KR101751398 B1 KR 101751398B1 KR 1020160100188 A KR1020160100188 A KR 1020160100188A KR 20160100188 A KR20160100188 A KR 20160100188A KR 101751398 B1 KR101751398 B1 KR 101751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composition
red ginseng
hone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최학주
심부용
김항원
반경태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 한꿀팜스원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 한꿀팜스원,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 한꿀팜스원
Priority to KR102016010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당귀 10~20중량%, 산수유 10~20중량%, 녹용 5~15중량%, 홍삼 5~15중량%, 숙지황 5~15중량%, 침향 1~3중량% 및 벌꿀 30~50중량%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NO(nitric oxide), PGE2(prostaglandin 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을 이용한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gelica gigas Nakai, Cornus officinalis, Cervi Parvum Cornu, Red ginseng, Rehmanniae Radix Preparata, Aquilaria agallocha Roxburgh and Honey for anti-inflammation}
본 발명은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inflammation)은 비염 및 기관지염, 간염,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인간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인구의 노령화로 그 문제가 심각한 퇴행성 질환의 경우, 그 병태생리가 염증·면역 반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연구보고들이 증가하고 있어 염증 반응의 기전 및 역할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염증 치료를 위한 치료제 개발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상처, 미생물 감염 등에 대항하는 숙주의 방어기제에 따른 병리학적인 기작 중 가장 중요한 반응이지만, 지속적이고 과도한 염증 반응은 조직을 손상시키게 된다. 대식세포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가장 대표적인 면역세포로서,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PEG2(prostaglandin E2), NO(nitric oxide), ROS(reactive oxygen species) 등과 같은 다양한 염증성 매개체를 분비한다(Laskin D.L., et al., 2011). 한편, 이러한 염증성 매개체의 과발현은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패혈증, 혈관 질환, 암 등을 유도한다(Lawrence T., et al., 2002). 최근에는 한약재를 비롯한 천연물로부터 염증반응 억제 물질을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Krakaure T., et al., 2001; Chen Y.C., et al., 2001; Jang S.I., et al., 2003).
공진단(供辰丹)은 송(宋)대 왕구가 저술한 '시재백일선방'에서 최초로 수록되어진 것으로 보여지며, 이후 '동의보감'을 비롯한 다수의 의서에서 활용된 장부허손(臟腑虛損)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활용된 처방이다. 공진단은 녹용, 산수유, 당귀, 사향의 네 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다.
녹용(Cervi Parvum Cornu)은, 사슴과 사슴속(cervidae)에 속한 매화록(C. neippon Temminck), 마록(C. elaphus L.) 또는 대록(C. canadensis Erxleben)의 숫사슴의 털이 밀생되고 아직 골질화 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 된 어른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으로, 전통적으로 한의학의 약물로 사용되어 왔다. 녹용의 주성분은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및 미량 원소 등으로, 이런 성분들에 기인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녹용은 강장 효과가 가장 잘 알려져 있고, 보혈, 무기력,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약한 증상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녹용의 생리 기능에 대한 연구는 국내의 한의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항피로 효과, 면역 활성 증가 작용,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내분비 기능 증진 작용, 조혈작용, 면역 활성 증가작용, 진통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기능 개선 작용, 성장촉진작용 및 당뇨병 치료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Park P.J., et al., 2005).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Cornaceae)의 낙엽교목인 산수유 나무의 열매를 따서 씨를 뽑아내고 햇볕에 말린 것을 말한다. 한의학적 특성으로서의 산수유는 맛이 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간경, 신경에 좋고,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단백질의 소화를 돕는 작용, 항암 및 항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Seo K.I., et al., 1999). 또한, 보고된 산수유의 성분으로는 갈릭산(gall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우르솔산(ursolic acid)과 모르로노시드(morronoside), 로가닌(loganin), 스웨로사이드(sweroside)와 같은 이리도이드(iridoid) 배당체 등이 있으며, 탄닌(tannin)류의 분리도 보고되었다(Park E.B., et al., 2012). 산수유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연구, 항암물질 분리, 항균활성 분리, 영양성분 분석 등 다양한 기능성 관련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Lee K.Y., et al., 2009).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 다년생 초목의 뿌리를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이다. 당귀는 혈액을 보충시켜주는 보혈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빈혈이나 부인병 등에서 보혈제로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의 약리학적 작용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코우마린(coumarin) 유도체인 데쿠르신(decursin)이라는 물질이며, 이외에 데쿠르시놀(decursinol), 움벨리페론(umbellifero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코우마린 유도체는 과거 출혈을 막는 지혈시에 사용한 항응고제로 급성심근경색 시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의 주성분인 데쿠르신이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단백질 인산화효소 C(protein kinase C)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고, 당귀의 분획물은 인간 면역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 자연 살해세포(NK 세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im J.H., et al., 2006).
사향(Musk)은 사향노루 수컷의 사향선(musk sac, pod) 분비물을 건조한 것으로 유효성분은 무스콘(muscone)이며 그밖에 콜레스테롤(cholesterol),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탄산암모늄(ammonium carbonate), 지방, 무기질, 섬유질 등이 함유되어 있고, 강심작용, 항염증작용, β-아드레날린(β-adrenaline) 효과증강작용, 모세혈관 투과성 항진억제작용, 항트롬빈작용 등이 있으며 흥분, 강심, 강장, 진정, 진경, 배농 해독약으로 쓰여왔다(Choi, Y.J., et al., 1996).
공진단은 고가의 약재 사용과 일부 약재의 진위 논란 등으로 다른 대체 약물을 가감하거나 흑원과 같이 단순화 하여 동일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진 처방이 활용되어지고 있다(Hwang S.Y., et al., 2013).
공진단의 활용을 살펴보면, 노화를 방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경우, 수술이나 큰 병으로 원기가 쇠약해진 경우, 정신적·신체적 과로로 기력이 저하된 경우, 만성 피로가 심하여 휴식으로도 회복이 더딘 경우,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한 경우, 혈액순환 저하로 몸이 무겁고 저린 경우, 신경이 예민하여 어지럼증과 불면증이 있는 경우, 과다한 스트레스와 음주로 간 기능이 약화된 경우 등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공진단과 유사한 약리 효과를 갖는 새로운 배합의 생약 조성물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높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998225호에는 녹용, 산수유, 당귀, 홍삼 및 꿀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숙지황, 침향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73913호에는 당귀, 산수유, 녹용, 침향 및 꿀을 포함하는 공진단이 기재되어 있으나, 홍삼 및 숙지황이 기재되어 있지 않고, 항염증 효과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476750호에는 녹용, 당귀, 산수유, 홍삼 및 꿀이 기재되어 있으나, 숙지황 및 침향이 기재되어 있지 않고, 알코올성 치매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의 항염증과는 그 효과에 있어서 전혀 다르다.
한국등록특허 제0998225호,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2010. 11. 29.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15-0073913호, 유효 성분 손실을 최소화하는 공진단 및 그의 제조 방법. 2015. 07. 01.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476750호, 머스크랫의 사향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뇌질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2014. 12. 19. 등록.
Chen Y.C., et al., Wogonin, baicalin, and baicalein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gene expressions induced by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s and lipopolysaccharide, Biochem. Pharmacol., 61, 1417-1427, 2001. Chio Y.J., et al., Antihepatotoxic activity of Bezor Bovis and Moschus,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4, 271-274, 1996. Hwang S.Y.,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pruritonic effects of WSY-1075 composited with medicinal plants on the activated rat peritoneal mast cells and mouse pruritus, Kor. J. Herbology, 28(4), 93-100, 2013. Jang S.I.,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 of baicalin, a major flavone from Scutellaria radix, on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in mic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5, 585-594, 2003. Kim J.H., et al.,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Rubus coreanus Miquel and Angelica gigas Nakai on anti-tumor and anti-stress activities in mic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4), 206-211, 2006. Krakaure T., et al., The flavonoid baicalin inhibits superantigen-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FEBS Lett., 500, 52-55, 2001. Laskin D.L., et al., Macrophages and tissue injury: agents of defense or destruc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51, 267-288, 2011. Lawrence T., et al., Anti-inflammatory lipid mediaters and insights into the resolution of inflammation, Nat. Rev. Immunol., 2, 787-795, 2002. Lee K.Y., et al., Cognitive-enhancing activity of loganin isolated from Cornus officinalis in scopolamine-induced amnesic mice, Arch. Pharm. Res., 32, 677-683, 2009. Park E.B., et al., Antioxidative activity of Cornus officianalis extracts obtained by four different extraction techniques, J. Life Sci., 22(11), 1507-1514, 2012. Park P.J.,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of Velvet Antler, Food Industry and Nurition, 10(2), 50-59, 2005. Seo K.I.,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 J. Postharv. Sci. Technol., 6, 99-103, 1999.
본 발명의 목적은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당귀 10~20중량%, 산수유 10~20중량%, 녹용 5~15중량%, 홍삼 5~15중량%, 숙지황 5~15중량%, 침향 1~3중량% 및 벌꿀 30~50중량%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환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당귀 10~20중량%, 산수유 10~20중량%, 녹용 5~15중량%, 홍삼 5~15중량%, 숙지황 5~15중량%, 침향 1~3중량% 및 벌꿀 30~50중량%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 다년생 초목의 뿌리를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건조한 것이다. 당귀는 혈액을 보충시켜주는 보혈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해 빈혈이나 부인병 등에서 보혈제로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의 약리학적 작용을 나타내는 주성분은 코우마린(coumarin) 유도체인 데쿠르신(decursin)이라는 물질이며, 이외에 데쿠르시놀(decursinol), 움벨리페론(umbelliferon),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코우마린 유도체는 과거 출혈을 막는 지혈시에 사용한 항응고제로 급성심근경색 시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의 주성분인 데쿠르신이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단백질 인산화효소 C(protein kinase C)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졌고, 당귀의 분획물은 인간 면역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 자연 살해세포(NK 세포)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기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Cornaceae)의 낙엽교목인 산수유 나무의 열매를 따서 씨를 뽑아내고 햇볕에 말린 것을 말한다. 한의학적 특성으로서의 산수유는 맛이 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간경, 신경에 좋고,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단백질의 소화를 돕는 작용, 항암 및 항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Seo K.I., et al., 1999). 또한, 보고된 산수유의 성분으로는 갈릭산(gallic acid),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우르솔산(ursolic acid)과 모르로노시드(morronoside), 로가닌(loganin), 스웨로사이드(sweroside)와 같은 이리도이드(iridoid) 배당체 등이 있으며, 탄닌(tannin)류의 분리도 보고되었다(Park E.B., et al., 2012). 산수유에 대한 연구로는 항산화연구, 항암물질 분리, 항균활성 분리, 영양성분 분석 등 다양한 기능성 관련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상기 녹용(Cervi Parvum Cornu)은, 사슴과 사슴속(cervidae)에 속한 매화록(C. neippon Temminck), 마록(C. elaphus L.) 또는 대록(C. canadensis Erxleben)의 숫사슴의 털이 밀생되고 아직 골질화 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 된 어른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으로, 전통적으로 한의학의 약물로 사용되어 왔다. 녹용의 주성분은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및 미량 원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런 성분들에 기인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녹용은 강장 효과가 가장 잘 알려져 있고, 보혈, 무기력,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약한 증상 등의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녹용의 생리 기능에 대한 연구는 국내의 한의학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항피로 효과, 면역 활성 증가 작용,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내분비 기능 증진 작용, 조혈작용, 면역 활성 증가작용, 진통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간기능 개선 작용, 성장촉진작용 및 당뇨병 치료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상기 홍삼(Red ginseng)은 인삼의 재배 적지에서 생산된 좋은 품질의 6년근 수삼을 엄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을 띠는 인삼이다. 홍삼은 원기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 강장 효과, 혈소판 응집 억제를 통한 혈액 흐름에 도움을 준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인삼의 주요 약리 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의 화학적 구조가 변하면서, 항암성분, 항당뇨 성분, 항염증 성분, 항산화 성분, 간 기능 해독 성분, 중금속 해독 성분 등 수삼에는 없거나 함유량이 극히 미미했던 성분들이 새로 생겨나거나 함유량이 몇 배로 커진다.
상기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은 현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인 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의 뿌리를 쪄서 말린 한약재로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따듯하다. 숙지황은 보약, 빈혈, 위장병, 산후쇠약, 뇌빈혈 등에 쓰인다. 또한 약리실험에서 항동맥경화 작용이 밝혀졌고,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침향(Aquilaria agallocha Roxburgh)은 침향 나무에 천연적으로 분비된 수지가 침착하여 침향나무의 심재부위에 조직학적으로 단단한 덩어리 모양을 이루고 있는 부분을 말한다. 침향은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는 예로부터 피부 소양, 복통, 천식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진정, 건위, 소화불량, 식욕부진 등에 전통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항알러지, 항균, 항산화 등의 효능이 보고되었다.
벌꿀(honey)은 꿀벌들이 꽃꿀, 수액 등 자연물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것을 채밀한 것으로, 벌꿀의 품질은 밀원의 종류, 채밀지, 시기 등에 따라 색조, 풍미, 성분 조성치 등에 차이가 있다. 벌꿀의 주성분은 당류가 60% 이상, 수분이 20% 내외, 그 외 영양성분으로 단백질, 산, 미네랄 등이 공통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예로부터 벌꿀은 천연감미료 및 약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도 제과류, 과실, 음료 등에 첨가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벌꿀의 당 성분은 단당류로써 높은 에너지로 섭취 시 신체 흡수가 빨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며,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항균, 항암, 항산화 등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활성 관련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소재로써 가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녹용, 산수유, 당귀, 홍삼, 숙지황 및 침향을 400메쉬 미만의 크기로 각각 분쇄하여 분말화 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분말을 배합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배합된 분말에 벌꿀을 넣고 반죽한 후 5~10시간 숙성시키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숙성된 반죽을 이용하여 환을 만드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환을 멸균기에 넣어 멸균 처리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5단계의 멸균 처리된 환의 표면을 고르게 만드는 제6단계;로 이루어진 과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의 녹용은 우유에 적셔 1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숙성한 녹용을 후라이팬에 넣어 약한 불로 볶아 낸 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의 산수유는 정종(술)으로 증숙한 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의 당귀는 70% 에탄올로 세척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당귀의 주성분이 소실되지 않도록 간단히 세척해야 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의 홍삼 및 숙지황은 기존에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홍삼 및 숙지황은 분말화 되지 않은 형태 또는 분말화 된 형태 모두 사용 가능하다. 분말화 되지 않은 경우에는 건조 후 400메쉬 이하로 분말화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의 벌꿀은 환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위해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벌꿀의 첨가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반죽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밀가루 풀 또는 찹쌀 풀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 반응 매개체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항염증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염증 반응 매개체란 염증 반응 과정 중에 NO(nitric oxide), PEG2(prostaglandin E2), IL-6(interleukin-6), IL-1β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알레르기성 질환,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및 신장염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당귀 10~20중량%, 산수유 10~20중량%, 녹용 5~15중량%, 홍삼 5~15중량%, 숙지황 5~15중량%, 침향 1~3중량% 및 벌꿀 30~50중량%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반응과 관련되어 있는 NO(nitric oxide), PGE2(prostaglandin E2)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천연생약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처리에 따른 세포 내 NO 생성량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처리에 따른 세포 내 PGE2 생성량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처리에 따른 세포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양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A)는 IL-6 생성량을, (B)는 TNF-α 생성량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처리에 따른 염증 유발 동물 모델의 혈청 내 PGE2 생성량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처리에 따른 염증 유발 동물 모델의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양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A)는 IL-6 생성량을, (B)는 TNF-α 생성량을, (C)는 IL-1β 생성량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처리에 따른 동물세포에의 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녹용은 우유에 적셔 1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 시키고, 숙성한 녹용을 후라이팬에 넣어 약한 불로 볶아 낸 후 건조하였고, 산수유는 정종(술)으로 증숙한 후 건조하였다. 당귀는 70% 에탄올로 세척하여 건조하였다. 홍삼 및 숙지황은 기존에 판매되고 분말 형태의 홍삼 및 숙지황을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침향 및 건조된 녹용, 산수유, 당귀를 400메쉬 미만의 크기로 각각 분쇄하였다. 분쇄한 당귀, 산수유, 녹용 및 침향 분말과 구매한 홍삼 및 숙지황 분말을 잘 배합하고, 배합된 분말에 벌꿀을 넣어 반죽하였다. 이때,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의 배합 비율은 하기 표 1에 따라 배합하였다. 반죽이 완료된 후에 상온에서 5시간 이상 숙성시킨 후, 숙성된 반죽을 장환기에 넣어 장환하여 제환하였다. 제환이 끝난 환을 멸균기에 넣어 멸균하고, 멸균이 끝난 환을 당의기에 넣어 표면을 고르게 만든 후 완성된 환을 포장하였다.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벌꿀
함량(중량%)
실시예 1 14 13.5 11 9 9 2 41.5
실시예 2 15.8 15.3 12.4 10.2 10.2 2.3 33.9
실시예 3 12.9 12.4 10.1 8.3 8.3 1.8 46.1
실시예 4 14.1 13.6 11.1 9.1 9.1 1.0 41.9
실시예 5 13.9 13.4 10.9 8.9 8.9 3.0 41.1
실시예 6 14.6 14.1 11.5 9.4 5.2 2.1 43.2
실시예 7 13.2 12.7 10.4 8.5 14.2 1.9 39.2
실시예 8 14.6 14.1 11.5 5.2 9.4 2.1 43.2
실시예 9 13.2 12.7 10.4 14.2 8.5 1.9 39.2
실시예 10 10.4 14.1 11.5 9.4 9.4 2.1 43.2
실시예 11 18.9 12.7 10.4 8.5 8.5 1.9 39.2
실시예 12 14.5 10.4 11.4 9.3 9.3 2.1 43.0
실시예 13 13.1 18.8 10.3 8.5 8.5 1.9 39.0
실시예 14 14.9 14.4 5.3 9.6 9.6 2.1 44.1
실시예 15 13.5 13.0 14.4 8.7 8.7 1.9 39.9
실시예 16 20 20 15 5 5 1 34
실시예 17 10 10 5 15 15 3 42
<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비교대상의 항염증 조성물의 제조>
비교대상의 항염증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2의 배합 비율대로 비교대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벌꿀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찹쌀 풀을 넣어 반죽하였다.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벌꿀 찹쌀풀
함량(중량%)
비교예 1 17.1 16.5 13.4 0.0 0.0 2.4 0.0 50.6
비교예 2 15.4 14.8 12.1 0.0 9.9 2.2 45.6 0.0
비교예 3 15.4 14.8 12.1 9.9 0.0 2.2 45.6 0.0
비교예 4 14.0 13.5 11.0 9.0 9.0 2.0 0.0 41.5
비교예 5 15.7 15.2 12.4 10.1 0.0 0.0 46.6 0.0
비교예 6 23.8 23.8 19 2.9 2.9 3.8 23.8 0.0
비교예 7 4.4 4.4 2.6 17.6 17.6 0.4 52.9 0.0
< 실험예 1. 동물세포 배양 및 염증 유발 동물 모델 제조>
실험예 1-1. 동물세포의 배양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KOR)에서 구입하여 이용하였다.
구입한 RAW 264.7세포를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현탁한 후 50㎖ 튜브에 옮기고 1,200rpm에서 5분간 원심 분리 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세포가 있는 튜브에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이 함유되어 있는 DMEM(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 1㎖을 넣어 현탁하였다. 100㎜ 세포배양 접시에 배양배지 9㎖을 넣고 현탁한 RAW 264.7 세포를 넣은 후 37℃, 5% CO2가 있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 횟수는 5회 이상으로 하였다.
실험예 1-2. 마우스 관리
염증 유발 동물 모델을 제조하기 위해서 샘타코(KOR)로부터 5주령의 20~27g 무게의 수컷 BALB/c 마우스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마우스는 1주일간의 안정기를 가지면서 순화시켰으며, 안정기 및 실험기간에 모든 마우스는 일반 사료를 자유식이 하며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조건은 22±2℃에서 12시간은 200~300Lux로 조명하고, 12시간은 모든 빛을 차단하였다. 1주일간의 안정기 이후 6주령부터 동물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3. 급성 염증 유발
실험예 1-2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급성 염증을 유발하였다. 마우스는 증류수를 투여하는 대조군, 실시예 1의 항염증 조성물 200㎎/㎏ 및 400㎎/㎏을 투여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증류수 또는 항염증 조성물은 매일 1회, 오후 2시에 200㎕씩 7일간 경구 투여하였다. 7일 후 ㎏당 1㎎의 LPS(lipopolysaccharide)를 복강에 주사하고 90분 후에 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하고 심장 천자법으로 채혈하였다.
<실험예 2. 세포 수준에서의 항염증 활성 확인>
실험예 2-1. 세포에서의 NO(nitric oxide) 생성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배양한 RAW 264.7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5×105개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새로운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이 함유되어 있는 DMEM(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으로 교체하고, LPS와 항염증 조성물을 동시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LPS는 1㎍/㎖이 되도록 하였고,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항염증 조성물은 각각 1, 10, 100㎍/㎖이 되도록 처리하였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을 정상군으로, LPS만 처리한 실험군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NO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때 NO 양은 NO 검출 키트(Nitric oxide dete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100㎕를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N1 버퍼 50㎕를 처리하여 상온에서 10분간 반응 한 후, N2 버퍼 50㎕를 각 웰에 처리하고 1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3은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을 100㎍/㎖을 처리한 경우의 NO 생성 비율을 나타냈고, 이때, 대조군을 100% 기준으로 하고, 이에 따른 상대적인 생성 비율로 표기하였다.
NO 생성비율(%)
실시예 1 58.0±2.1
실시예 2 59.1±3.0
실시예 3 60.9±2.2
실시예 4 59.4±3.4
실시예 5 58.7±3.6
실시예 6 59.4±3.0
실시예 7 61.1±3.5
실시예 8 59.9±2.7
실시예 9 60.9±3.0
실시예 10 59.4±4.7
실시예 11 59.8±2.9
실시예 12 61.1±3.9
실시예 13 62.0±4.1
실시예 14 60.8±4.3
실시예 15 61.1±4.0
실시예 16 61.4±3.2
실시예 17 63.7±4.6
비교예 1 92.6±3.9
비교예 2 82.0±3.5
비교예 3 90.1±4.4
비교예 4 87.5±3.7
비교예 5 91.5±4.0
비교예 6 81.7±3.4
비교예 7 83.6±4.1
대조군 100.0±4.8
정상군 31.2±4.6
상기 표 3에서 보여주듯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을 처리한 경우에 NO의 생성 비율이 비교대상의 항염증 조성물(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을 처리한 경우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를 통해 알 수 있듯이, NO의 생성 비율이 실시예 1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이 항염증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2 세포에서의 PGE 2 생성 확인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세포 염증 실험을 진행하였고, 진행 후 세포 배양액을 이용하여 PGE2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PGE2의 생성은 R&D system사의 ELISA 키트(R&D system, USA)를 이용하였고, 키트에서 제공한 매뉴얼대로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4는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을 100㎍/㎖을 처리한 경우의 PGE2 생성 비율을 나타냈고, 이때, 대조군을 100% 기준으로 하고, 이에 따른 상대적인 생성 비율로 표기하였다.
PGE2 생성비율(%)
실시예 1 74.4±3.7
실시예 2 76.3±3.1
실시예 3 76.9±3.0
실시예 4 75.7±2.8
실시예 5 76.2±1.8
실시예 6 75.9±1.4
실시예 7 77.3±2.5
실시예 8 76.9±2.7
실시예 9 75.3±2.7
실시예 10 77.0±1.1
실시예 11 75.1±2.9
실시예 12 76.1±2.9
실시예 13 77.4±3.1
실시예 14 75.8±2.4
실시예 15 76.2±2.3
실시예 16 77.1±1.5
실시예 17 76.8±2.2
비교예 1 98.6±2.4
비교예 2 93.7±2.5
비교예 3 95.1±4.4
비교예 4 93.5±1.9
비교예 5 97.5±2.5
비교예 6 94.7±2.4
비교예 7 95.6±3.1
대조군 100.0±1.0
정상군 9.3±1.2
상기 표 4에서 보여주듯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7)을 처리한 경우에 PGE2의 생성 비율이 비교대상의 항염증 조성물(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을 처리한 경우보다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PGE2의 생성 비율이 실시예 1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이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3 세포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12-웰 플레이트에 2×105개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새로운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이 함유되어 있는 DMEM(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으로 교체하고, LPS와 항염증 조성물을 동시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LPS는 1㎍/㎖이 되도록 하였고, 실시예 1의 항염증 조성물의 항염증 조성물은 각각 1, 10, 100㎍/㎖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과 세포를 50㎖ 튜브에 넣고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루미넥스(luminex) 키트를 통해 IL-6와 TNF-α의 양을 측정하였다.
확보한 상층액 50㎕를 제공된 표준시약 50㎕과 혼합한 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세척 완충 용액(washing buffer)을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이를 다시 50㎕의 검출 항체(detection antibody)을 가하여 1시간 동안 실온에서 암소 반응 시키고 추가로 50㎕의 스트렙트아비딘-피코에리트린(streptavin-phycoerythrin)을 가하여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세척 완충용액을 이용하여 2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세척 완충용액 100㎕를 넣고 2분 후 루미넥스(luminex)기기를 이용하여 사이토카인의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여주듯이 IL-6(3A) 및 TNF-α(3B)의 양이 실시예 1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염증 유발 동물 모델에서의 항염증 활성 확인>
실험예 3-1 동물 모델에서의 PGE 2 생성 확인
상기 실험예 1-3의 심장 천자법을 이용하여 채혈한 혈액을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2-2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PGE2의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여주듯이, PGE2의 혈청 내 발현량이 실시예 1의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2 동물 모델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확인
상기 실험예 1-3의 심장 천자법을 이용하여 채혈한 혈액을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2-3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혈청 내 IL-6, TNF-α 및 IL-1β의 발현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여주듯이, 혈청 내 IL-6(5A), TNF-α(5B) 및 IL-1β(5C)의 발현량이 실시예 1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나 TNF-α(5B) 및 IL-1β(5C)의 경우에는 실시예 1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실험예 1-1에서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5×105개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새로운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이 함유되어 있는 DMEM(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으로 교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항염증 조성물을 각각 1, 10, 100㎍/㎖이 되도록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 10㎕의 WST 용액을 첨가한 후 세포 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450㎚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여주듯이, 실시예 1의 처리에 의한 세포 생존률이 감소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200g을 락토즈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성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 제제예 2. 건강식품의 제조>
제제예 2-1.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200㎎,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 1 0.13㎎, 비타민 B 2 0.15㎎, 비타민 B 6 0.5㎎, 비타민 B 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및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건강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 1.28㎎,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및 물 200㎖의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당귀 10~20중량%, 산수유 10~20중량%, 녹용 5~15중량%, 홍삼 5~15중량%, 숙지황 5~15중량%, 침향 1~3중량% 및 벌꿀 30~50중량%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망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3. 제1항의 항염증 조성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망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
  4. 제1항의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망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및 신장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0100188A 2016-08-05 2016-08-05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751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88A KR101751398B1 (ko) 2016-08-05 2016-08-05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188A KR101751398B1 (ko) 2016-08-05 2016-08-05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398B1 true KR101751398B1 (ko) 2017-06-27

Family

ID=5951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188A KR101751398B1 (ko) 2016-08-05 2016-08-05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3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66B1 (ko) * 2018-12-26 2019-02-28 정종문 침향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1661A (ko) * 2018-02-23 2019-09-02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135652A (ko) * 2018-05-29 2019-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접골공진단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38831B1 (ko) * 2020-07-21 2021-04-09 박종광 오매육을 포함하는 공진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0938B1 (ko) * 2020-08-06 2021-04-15 김미경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7388A (ko) 2022-02-24 2023-09-01 익수제약 주식회사 침향 및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분말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225B1 (ko) 2009-03-18 2010-12-07 황성연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225B1 (ko) 2009-03-18 2010-12-07 황성연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황성연 외 3명, 가감공진단(加減拱辰丹) (WSY-1075)의 접촉성 피부염 유발 모델동물에 대한 개선효과,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1(1) 131-141*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661A (ko) * 2018-02-23 2019-09-02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93667B1 (ko) * 2018-02-23 2020-03-27 대한바이오팜 주식회사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미백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190135652A (ko) * 2018-05-29 2019-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접골공진단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14378B1 (ko) * 2018-05-29 2020-05-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접골공진단을 포함하는 골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53366B1 (ko) * 2018-12-26 2019-02-28 정종문 침향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85840B1 (en) 2018-12-26 2019-11-26 Jong Moon Jung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health food comprising aloeswood for promoting memory and perceptivity
KR102238831B1 (ko) * 2020-07-21 2021-04-09 박종광 오매육을 포함하는 공진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0938B1 (ko) * 2020-08-06 2021-04-15 김미경 환성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7388A (ko) 2022-02-24 2023-09-01 익수제약 주식회사 침향 및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약 추출분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135576B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2017010970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14284B1 (ko) 땃두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60163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67173B1 (ko) 뽕나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8703B1 (ko) 오미자와 발아녹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0102B1 (ko) 해동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449272B1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82338B1 (ko) 두충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475985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0968B1 (ko)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물 추출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