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411B1 -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 Google Patents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411B1
KR101377411B1 KR1020120089049A KR20120089049A KR101377411B1 KR 101377411 B1 KR101377411 B1 KR 101377411B1 KR 1020120089049 A KR1020120089049 A KR 1020120089049A KR 20120089049 A KR20120089049 A KR 20120089049A KR 101377411 B1 KR101377411 B1 KR 101377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gray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462A (ko
Inventor
남정환
정진철
홍수영
김수정
진용익
유동림
권오근
이경태
안소영
김현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89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4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Extracts from Smilacina japonica A. Gray, or Arabis glabra Bernh Having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이란 외부 세균의 침입에 의하여 형성되는 농양의 병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염증반응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으로 인한 손상을 수복 재생하기 위한 생체 방어 반응과정으로,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과 같은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질환의 주요 병리현상(과민성 질환, 만성염증)이 되며, 수혈, 약물투여, 장기이식 등 치료과정에서도 장해요인이 된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염증성 인자로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있다. NO는 NO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에 의해 L-알지닌(L-arginine)으로부터 중간 대사물인 히드록시알지닌(hydroxyarginine)을 거쳐 NO와 시트룰린(citrulline)이 만들어 진다. NO는 생물학적 활성을 지닌 것으로, 생체 내에서 혈관계에 작용하여 혈관확장, 혈소판 부착 및 응집, 신경전달, 소화기관 운동 등에 매개물질로 관여한다. 또한, NO는 여러 가지 대사 조절 작용 및 생리 작용(신경전달, 혈액응고, 혈압조절, 암세포에 대한 면역 등)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염증세포 뿐만 아니라 비 면역세포에서도 생성되어 미생물 감염에 대한 방어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NO는 대기 상태에서 가스의 형태로 존재하며, 자유 라디칼 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유독할 뿐만 아니라 반감기가 6∼10초로 매우 불안정하여, 안정화된 최종 산물인 NO3와 NO2로 신속히 변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nyder, S. H., et al., Scientific American, May, pp 28-35, 1992].
한편, NO 생성에 관여하는 NO 합성효소(NOS)는 칼슘(Ca2+)이나 칼모듈린(camodulin) 의존성 여부에 따라 크게 cNOS(constitutive NOS)와 iNOS(inducible NOS)로 구분된다. cNOS는 칼슘이나 칼모듈린 의존성이고 주로 뇌, 상피세포, 호중구, 위장 점막 세포에 존재하며, iNOS는 칼슘이나 칼모듈린 비의존성으로 iNOS는 대식세포, 간세포, 암세포 등에 존재하며, IL-1β, IFN-γ, TNF-α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류와 내독소인 세균성 LPS(lipopolysaccharide) 등에 의해 유도된다[Dinerman, J. L., et al., Circ. Res., 73, pp 217-222, 1993]. 이러한 자극에 의하여 사이클로옥시게나제-2 (COX-2)도 함께 활성화되어 염증매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PGs)이 생성되기 때문에 iNOS 발현과 COX-2의 발현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생성된 NO는 COX-2 발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Robert C., et al., J. Immunol., 165, pp 1582-1587, 2000; Daniela S.,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0, pp 7240-7244, 1993]. 따라서, iNOS에 의한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확보하고 이를 의약품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에는 동맥경화 외에 위염, 대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암 또는 퇴행성 질환 등이 포함된다 [Gobert A. P. et al., J. Immunol. 168(12), pp 6002-6006, 2002; Dijkstra G. et al., Scand. J. Gastroent erol. 37(5), pp 546-554, 2002; Sakac V. and Sakac M. Med. Pregl. 53, pp 463-474, 2000; Albrecht E. W. et al., Am. J. Transplant, 29(5), 448-453, 2002; Ramachandran A. et al ., Free Radical Biol. Med. 33(11), pp 1465-1474, 2002; Sartor L. et al., Biochemical Pharmacol. 64, pp 229-237, 2002; Sadowska-Krowicka H. et al., Proc. Soc. Exp. biol. Med. 217(3), pp 351-357, 1998, Lo A-H. et al., Carcinogenesis, 23(6), pp 983-991, 2002].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417243호에는 분죽(이명, 솜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분죽(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은 벼과(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목본으로,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var. japonica, 지장나물의 이명)와는 분명하게 구분되는 식물이다.
현재까지 어떠한 문헌에서도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로부터 분리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개시한 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로부터 분리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염증유도물질인 리포폴리사커라이드(LPS)로 활성화한 대식세포에 대한 NO의 생성 억제능과 프로스타글란딘 E2의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이들 식물로부터 분리된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염증성 대사산물의 생성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염증성 대사산물의 생성 억제능이 우수한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을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의 '염증성 질환'이라 함은 외부의 물리·화학적 자극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 외부 감염원의 감염에 대한 국부적 또는 전신적 생체 방어 반응으로 특정되는 어떠한 상태로서 정의될 있다. 이러한 반응은 각종 염증 매개 인자와 면역세포와 관련된 효소(예컨대 iNOS, COX-2 등) 활성화, 염증 매개 물질의 분비(예컨대, NO, TNF-α, IL-6, IL-1β, PGE2의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파괴 등의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며, 홍반, 통증, 부종, 발열, 신체의 특정 기능의 저하 또는 상실 등의 증상에 의해 외적으로 나타난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만성, 궤양성, 알레르기성 또는 괴사성을 띨 수 있으므로, 어떠한 질환이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의 정의에 포함되는 한 그것이 급성이든지, 만성이든지, 궤양성이든지, 알레르기성이든지 또는 괴사성이든지를 불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증성 질환에는 천식, 알레르기성 및 비-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및 급성 비염, 만성 및 급성 위염 또는 장염, 궤양성 위염, 급성 및 만성 신장염, 급성 및 만성 간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섬유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염증성 통증, 편두퐁, 두통, 허리 통증, 섬유 근육통, 근막 질환, 바이러스 감염(예컨대, C형 감염), 박테리아 감염, 곰팡이 감염, 화상, 외과적 또는 치과적 수술에 의한 상처, 프로스타글라딘 E 과다 증후군, 아테롬성 동맥 경화증, 통풍, 관절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호지킨병, 췌장염, 결막염, 홍채염, 공막염, 포도막염, 피부염, 습진, 아토피성 염증, 여드름, 다발성 경화증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다.
도 1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로부터 분리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NO 효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또는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로부터 분리한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PGE2 저해 효능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로서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풀솜대는 이 식물에서 나는 향기가 절에서 사용하는 향과 비슷하다하여 지역에 따라서는 '지장나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풀솜대는 그 크기가 20∼50 ㎝이고, 뿌리줄기는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비스듬히 자라며,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많아진다. 잎은 길이가 6∼15 ㎝이고, 폭 2∼5 ㎝로서 줄기를 따라 두 줄로 나 있으며, 긴 타원형으로 끝이 좁아진다. 꽃은 백색으로 원줄기 끝에 작은 꽃들이 뭉쳐 하나의 꽃을 이루며 핀다. 열매는 9월경에 달리며 둥글고 적색이다. 잎이 지상부로 올라오면 얼핏 보기에는 둥글레와 많이 닮은 것처럼 보이지만 잎의 크기와 줄기를 보면 확연히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어린순은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는데 맛이 달며, 말려서 묵나물로도 먹는다. 한방에서는 풀솜대가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피를 활성화시키며 생리를 순조롭게 하는 효능이 있다.
한편, 풀솜대는 지역에 따라 솜대로 불리워지기도 하지만, 벼과(화본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목본인 솜대(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와는 식물분류상 명백히 다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또다른 식물로서 장대나물(Arabis glabra Bernh)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은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약 70 ㎝ 정도이고, 밑부분의 잎은 뿌리에서 생긴 잎과 더불어 털이 있으나 윗부분의 잎은 털이 없고, 줄기에서 난 잎은 긴 타원형이다. 꽃은 백색으로 십자화 모양이며 원줄기 끝에서 달린다. 열매는 견과로서 줄 모양으로 길이가 4∼6 ㎝이다. 어린순은 살짝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로서 풀솜대와 장대나물은 재배한 것, 채취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풀솜대와 장대나물은 식물 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잎, 줄기 또는 뿌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풀솜대와 장대나물은 생육단계 중 모든 시기가 사용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어린순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풀솜대 추출물, 장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추출물 제조를 위하여, 추출 용매로는 물, C1∼C3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식물의 건조 중량에 대비하여 2∼20 중량배로 함이 바람직하고, 5∼10 중량배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초임계 추출, 아임계 추출, 고온 추출, 고압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한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한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당 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온하며 환류 추출 또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추출될 수 있다. 추출 시 온도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 시간은 1일 내지 7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 내지 7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한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을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로부터의 분획 과정은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하여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고, 수득한 분획물은 감압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감압 농축은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상온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LPS 유도를 통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마크로파아지(macrophage)를 염증 모델로 이용하였다.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에서 분리 추출한 총 10개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대상으로 MTT 검색을 실시하여 세포독성을 IC80 으로 나타내고 독성이 없는 유효 농도 범위를 설정하여 각각의 추출물의 유효 농도 범위 내에 4가지 농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염증유도물질인 리포폴리사커라이드(LPS)를 처리하여 염증지표인 NO의 생성을 유도하고 각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처리하여 NO 생성 저해효과를 확인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대사산물인 프로스타글란딘 E2(PGE2)를 생성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세포독성이 낮고 NO의 생성 억제능이 탁월하여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풀솜대와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치료를 위한 약제,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약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법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고, 전신 투여 또는 국소 투여가 가능하나, 전신 투여가 더 바람직하며, 정맥 내 투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제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 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식품, 음료 등의 건강기능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은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으로서의 함량은 그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며, 그 밖의 음료 제조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및 합성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벌개미취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이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증수 또는 다중 에멀전,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상에서의 오일분산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다소 유체일 수 있으며, 백색 또는 유색크림, 연고, 밀크로션, 유액(serum), 에센스, 페이스트 또는 무스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에멀젼 비누, 폼 클렌징, 팩, 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는 피부용 케어 제품,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공지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인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20 중량% 범위이다. 그 성질에 따라 이러한 보조제는 지방상, 수성상, 지질 소포체 및/또는 나노 입자에 도입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은 4월 중순(어린순)과 8월 중순(성체)에 강원도 평창 등지에서 채집하였다. 동결건조된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을 세절한 시료 200 g에 1 L의 에탄올을 가하고 3시간 동안 가온 환류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 남은 잔사에 다시 2 L의 에탄올을 가하고 3시간 동안 가온 환류 추출하는 방법을 추가로 2회 반복하여 총 추출액 6 L를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 6 L를 35 ℃에서 감압 농축하여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각각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을 증류수 0.5 L에 현탁한 후 n-헥산으로 분획하여 n-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n-헥산으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을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클로로포름으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고 남은 물층을 n-부탄올로 분획하여 n-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각각의 분획물은 35 ℃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실시예 2. 세포독성시험
본 발명의 추출물 및 분획물 각각에 대하여 항염증 효능을 검색하기에 앞서, 독성이 없는 최적 용량을 설정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MTT 분석을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주를 10% FBS 및 페니실린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100 U/mL)이 포함된 DMEM 배지(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37 ℃, 5% CO₂조건으로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mL의 밀도로 세포를 300 μL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여러 농도로 배지에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시료처리하고 24시간이 지난 후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동안 차광된 곳에서 배양하여 MTT 포르마잔 (Formazan)을 형성시켰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00 μL를 사용하여 형성된 MTT 포르마잔을 녹였다. 10분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IC80


풀솜대
에탄올 추출물 >100
n-부탄올 분획물 >10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클로로포름 분획물 >100
n-헥산 분획물 >50


장대나물
에탄올 추출물 >12.5
n-부탄올 분획물 >10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클로로포름 분획물 >100
헥산 분획물 >50
생존율이 80%가 넘는 농도가 최적 용량이라고 판단하여 세포독성을 IC80 으로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장대나물의 에탄올 추출물이 12.5 μg/mL의 농도 이상에서 그리고 풀솜대의 헥산 분획물과 장대나물의 헥산 분획물이 각각 50 μg/mL 농도 이상에서 IC80 값을 가졌으며, 나머지 시료들은 모두 100 μg/mL의 높은 농도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3. 항염증 활성 측정 (NO 검색)
MTT 분석 결과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LPS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의 배양액 중에 생성된 NO의 양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NIL을 사용하였다.
RAW 246.7 마크로파지 세포주는 10% FBS 페니실린 (100 μg/mL)과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을 포함하는 DMEM 배지 (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에 넣고 온도 37℃, 5% CO2 배양기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mL의 밀도로 300 μL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 또는 분획물 시료를 50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1시간 후에 LPS 1 μg/mL를 처리하여 18시간 후 배지 내에 방출된 NO의 양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100 μL씩 처리하고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서 측정하였다.
각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NO 방출 억제능은 IC50 값으로 첨부도면 도 1과 하기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시료 IC50 (μg/mL)


풀솜대
에탄올 추출물 >100
n-부탄올 분획물 >10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클로로포름 분획물 53.3
n-헥산 분획물 >50


장대나물
에탄올 추출물 >20
n-부탄올 분획물 >100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00
클로로포름 분획물 83.9
헥산 분획물 21.0
양성대조군(NIL) 10
풀솜대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장대나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장대나물의 헥산 분획물은 IC50가 각각 53.3, 83.9, 21.0 μg/mL으로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잘 저해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NIL에 비해서도 각별하게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항염증 활성 측정 (PGE2 검색)
상기 실시예 3의 NO 검색에서 활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풀솜대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장대나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장대나물의 헥산 분획물에 대하여, LPS에 유도되는 또 다른 염증성 대사산물인 PGE2의 생성 저해효능을 하기의 방법으로 검색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NS398을 사용하였다.
즉, RAW 246.7 마크로파지 세포주는 10% FBS 페니실린 (100 μg/mL)과 스트렙토마이신 (100 μg/mL)을 포함하는 DMEM 배지 (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에 넣고 온도 37℃, 5% CO2 배양기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1x105 cells/mL의 밀도로 300 μL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추출물 또는 분획물 시료를 50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각 세포군과 대조군의 세포배양액을 취해 PGE2 양을 정량하였다.
각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PGE2양은 IC50 값으로 첨부도면 도 2와 하기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시 료 IC50 (μg/mL)
풀솜대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32.5
장대나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18.0
장대나물의 헥산 분획물 45.4
양성대조군(NS398) 4
풀솜대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장대나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장대나물의 헥산 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PGE2 저해 효과를 보였다.
[제제예]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하기 제제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1 : 정제(직접 가압)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 크로스포비돈 USNF 0.8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2 : 정제(습식 조립)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 3 : 분말과 캡슐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었다. 혼합물을 적당한 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제 4 :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서 100 mg을 함유시키고, 그 밖에도 만니톨 180 mg, Na2HPO4·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하기 제제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5: 화장용 크림
활성성분 0.0012 mg에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 mg,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 mg, 스쿠알렌 6 mg,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 mg, 스핑고당지질 1 mg, 1,3-부틸렌글리콜 7 mg을 적당량의 정제수에서 혼합하여 화장용 크림을 제조하였다.
제제 6: 화장용 로션
활성성분 0.0015 mg,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 mg,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 mg, 시트르산나트륨 0.1 mg, 시트르산 0.05 mg, 감초 엑기스 0.2 mg, 1,3-부틸렌글리콜 3 mg을 적당량의 정제수에서 혼합하여 화장용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제 7: 화장용 스킨
활성성분 0.0018 mg,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 mg, 크산탄검 (2% 수용액) 2 mg, 1,3-부틸렌글리콜 6 mg, 진한 글리세린 4 mg,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 mg을 적당량의 정제수에서 혼합하여 화장용 스킨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다. 하기 제제 8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 8. 과립상 건강식품
활성성분 1000 ㎎,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과립상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9. 건강음료
활성성분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을 혼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용량을 900 ㎖로 조절하였다.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 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 10. 밀가루 식품
활성성분 0.5 내지 5 g을 밀가루 100 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11. 유제품
활성성분 5 내지 10 g을 우유 100 g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 12. 선식
현미 30 g, 보리 20 g, 찹쌀 10 g, 율무 15 g을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 시켜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은콩 7 g, 검정깨 7 g, 들깨 7 g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한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시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및 종실류와 본 발명의 활성성분 3 g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대사산물인 NO(Nitric oxide)의 생성과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생성에 있어 저해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풀솜대 또는 장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약제, 건강기능식품,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다.

Claims (7)

  1.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풀솜대(Smilacina japonica A. Gray)를 C1∼C4의 알코올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n-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n-헥산 분획물 또는 클로로포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89049A 2012-08-14 2012-08-14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377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49A KR101377411B1 (ko) 2012-08-14 2012-08-14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049A KR101377411B1 (ko) 2012-08-14 2012-08-14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462A KR20140023462A (ko) 2014-02-27
KR101377411B1 true KR101377411B1 (ko) 2014-03-25

Family

ID=5026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049A KR101377411B1 (ko) 2012-08-14 2012-08-14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4134A (zh) * 2015-07-22 2015-10-21 刘青云 一种用于治疗慢阻肺的药物
CN105396110A (zh) * 2015-12-22 2016-03-16 青岛海之源智能技术有限公司 防治罗非鱼鳃霉病的散剂及其制备方法
CN105381312A (zh) * 2015-12-22 2016-03-09 青岛海之源智能技术有限公司 防治罗非鱼鳃霉病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412670A (zh) * 2015-12-22 2016-03-23 青岛海之源智能技术有限公司 防治罗非鱼鳃霉病的免疫增强剂及其制备方法
CN107789528A (zh) * 2017-11-30 2018-03-13 云南露源野生真菌研究所(有限合伙) 一种治疗慢性肾炎的中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10776482B (zh) * 2018-07-30 2022-09-30 上海中医药大学 一种具有抑制巨噬细胞释放no活性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2398A (zh) 2009-07-23 2011-02-02 吉林农业大学 鹿药中新化合物呋甾皂苷的分离鉴定及其抗肿瘤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62398A (zh) 2009-07-23 2011-02-02 吉林农业大学 鹿药中新化合物呋甾皂苷的分离鉴定及其抗肿瘤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H. Nam.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rabis glabra Extracts", The 2012 ASHS Annual Conference: Poster Board #074 (2012.08.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462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411B1 (ko)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4987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4249B1 (ko) 사상자 추출물 및 카퍼트리펩타이드-1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8736A (ko) 부처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101213054B1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069844B1 (ko) 바디나물(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5877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987677B1 (ko) 연리초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797843B1 (ko) 섬오가피나무 줄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균용 조성물
KR20140083493A (ko) 참모자반 추출물 또는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661423B1 (ko) 오리방풀 유래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용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600557B1 (ko) 나한송 추출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430350B1 (ko) 데카이스니아 인시그니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060198B1 (ko) 조뱅이(소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부종 또는 다양한 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항염증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20230150439A (ko) 복방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건강 기능 식품 및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11769A (ko) 송로버섯 균사체, 산뽕나무, 배초향, 장딸기 및 대추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