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628B1 -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628B1
KR101167628B1 KR1020110051428A KR20110051428A KR101167628B1 KR 101167628 B1 KR101167628 B1 KR 101167628B1 KR 1020110051428 A KR1020110051428 A KR 1020110051428A KR 20110051428 A KR20110051428 A KR 20110051428A KR 101167628 B1 KR101167628 B1 KR 10116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black ginseng
weight
par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이상화
이미라
성창근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오투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오투바이오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가 혼합된 생약을 추출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약 조성물은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cetylcholinesterase),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butyrylcholinesterase)의 억제활성이 높고, 상기 조성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공간인지능력이 우수하여, 치매 치료 및 예방 효과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Description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black ginseng for treating or preven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본 발명은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가 혼합된 생약을 추출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癡)는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령인구 약 8.2~10.8%에서 나타날 정도로 흔하며,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대표적인 노년기 질환으로 후천적으로 지적능력을 상실하고 인지장애, 행동 및 성격의 점진적 황폐화라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퇴행성질환이다. 특히,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는 가장 많이 발생하는 치매의 한 형태로 대뇌 피질(cortex)이나 해마(hippocampus)에 생기는 뇌위축과 노인반(senile plaque), 신경섬유다발(neurofibrillary tangles), 신경세포의 과립공포변성(granulovacuolar degeneration), 히라노체(Hirano body) 등의 조직학적 특징이 나타난다. 베타 아밀로이드(β-amyloid)는 노인반의 주요 구성성분으로 알츠하이머가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고,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발생시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인한 신경세포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매가 40-65세 사이에 발병하는 경우는 조기발병(early-onset) 또는 가족형 알츠하이머(familial AD), 65세 이상에서 발병되는 경우는 만기발병(late-onset) 또는 산발성 알츠하이머(sporadic AD)로 분류된다. 노화로 인한 신경퇴행성으로 발병하여 진행과정이 느린 경우를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라고 한다.
치매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으로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감소에 근거한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제(cholinesterase inhibitor)와 N-메틸-디-아스파테이트 수용체 길항제(NMDA, N-methyl- D-aspartate receptor antagonist) 등의 약물요법이 있고, 행동 심리증상 치료를 위한 항우울제, 진정제 등의 향정신성 약물요법과 심리, 인지, 행동, 작업, 재활치료의 비약물요법이 활용되고 있다.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는 체내 부교감 신경의 활성을 매개하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s) 중의 하나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을 콜린과 아세테이트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서, 소포체 막에서 형성된 후,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는 콜린 신경과 그 주위, 특히 근신경 접합부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고, 혈장, 간 및 다른 조직에서도 발견되는 중요한 효소이다.
일반적으로 아세틸콜린은 신경 세포의 축색 말단 막에서 시냅틱 크레프트(synaptic cleft)라고 불리는 틈으로 분비되어 시냅스 후 뉴우런 세포막의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활동 전위를 전달시키는 물질이다. 이 물질은 작용 부위에서 신경의 흥분을 전달한 후,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에 의해 콜린과 아세테이트로 분해된 후 세포 내로 흡수되어 재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의 활발한 연구 결과, 많은 신체적, 정신적 질환들이 아세틸콜린의 합성과 분해 기작과 관련하여 발생하며, 비정상적인 아세틸콜린의 농도 감소와 깊은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치매 환자의 뇌에는 전뇌 기저에 있는 마이네르트핵(basal nucleus of Meynert) 신경 세포가 대부분 사멸하여 이 신경 세포가 지배하는 시냅스와 대뇌 피질과의 연결이 퇴화되어 있고, 이들 신경 세포의 사멸로 인해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산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뇌에서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높게 유지시키면 환자의 기억력이 크게 회복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 임상 분야에서는 치매 치료제로서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항-콜린에스터레이즈의 사용이 선호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제로는 타크린(tacrine)이나 아리셉트(ARICEPT)와 같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경우 어느 정도 약효는 인정되고 있으나, 장기간 고용량 투여시, 근육통, 위장 장애로 인한 메스꺼움, 구토, 설사 및 식욕 부진과 함께, 간 독성 등의 부작용이 커서 치료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아세틸콜린의 수치 감소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콜린 등의 아세틸콜린 전구체를 투여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대체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들 물질은 뇌혈관 관문을 통과하지 못하고 효력이 단시간에 끝나는 단점을 갖는다. 그러므로 현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간 장애, 복통이나 설사 등의 위장 장애, 근육통이 유발되는 등의 부작용이 따름에도 불구하고, 타크린과 같은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제를 사용하여 아세틸콜린의 가수분해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요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butyrylcholinesterase)는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와 그 기능 및 유전자 형태가 유사한 단백질로서, 부티릴콜린(butyrylcholine)을 가수분해하면서도, 아세틸콜린도 가수분해할 수 있어, 치매의 병태생리학 및 증상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reig NH, Lahiri DK, Sambamurti K, Int. Psychogeriatr. 2002, 14, 77-91).
뇌 속의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의 양은 나이에 따라 증가하는데 반하여,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의 양은 반대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의 촉매 활성은 노화되는 뇌에서 아세틸콜린의 가수분해에 있어서 더욱 두드러진 역할을 할 것이며, 이는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의 저해가 나이든 사람들에서 콜린성 신경전달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는 치매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조성물을 제공한다.
흑삼의 원료인 인삼(人蔘, ginseng, Panax ginseng)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의 숲속에서 자라며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인삼의 뿌리는 그 형태가 사람 형상이므로 인삼이라 한다. 뿌리의 형태는 나이에 따라 차이가 있고 수확은 4~6년근 때에 한다. 수확된 상태 그대로의 인삼을 수삼이라고 하며 수삼을 건조한 것을 백삼이라고 한다. 수삼을 증숙하여 붉은색을 띄는 것을 홍삼(red ginseng)이라 하며 상기 홍삼을 수회에 걸쳐 증숙 및 건조하게 되면 검은색을 띄는 흑삼(black ginseng)이 된다. 이러한 홍삼 및 흑삼은 증숙 및 건조 과정을 통해 약리 성분이 변화되어 수삼과 비교하여 건강에 유익한 활성성분이 증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과 흑삼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은 사포닌 속에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Rb1, Rb2, Rc, Rd, Re, Rg1, Rg2, Rg3, Ro 등으로 알려져 있다. 흑삼은 신개발 제품으로서 최근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정식 식품으로 등재되어 있지는 않으나,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되어 있어 파우치나 농축액으로 가공되어 홍삼가공식품류로 분류될 수 있다. 흑삼이 면역력 증강, 항암 및 성기능 개선 등에서 효과가 있음은 이미 소비자들의 경험을 통해 확인되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Rg3 성분도 항암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건강개선기능이 있음이 밝혀져있다.
당귀(當歸)는 만주, 일본과 우리나라 남부, 중부, 북부의 산계곡 습기가 있는 토양에서 자생하며 약용식물로 재배하고 있으며,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 et Z.) Kitagawa) 및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가 알려져 있다. 당귀는 본초학적으로 성미는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달고 맵다. 보혈, 구어혈, 조경, 진정 작용이 있고, 신체허약, 관절통, 두통, 현훈, 복통, 월경불순, 변비, 타박상 등에 사용한다. 당귀의 물 추출물은 혈압 강하, 이뇨, 대뇌 진정, 연수 흥분, 진정 진경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의 에탄올 추출물은 자궁의 운동을 활발하게 하고, 뿌리의 정유 수용액은 관절염에 대한 진통 및 소염 작용 등 약리효과가 있다. 또한 당귀는 단백질 합성과 자궁조직의 신생을 돕고,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하는 등 물질대사를 활성화시키며, 골수를 재생시켜 조혈작용에 도움을 준다.
작약(芍藥, Paeoniae lactiflora var. trichocarpa BUNGE.)은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목단 속(paeonia)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는 약용으로 식물 전체는 식용으로 사용한다. 산지는 중국, 일본, 한국 등으로 각지에서 재배된다. 채집시기는 8 내지 10월이고 맛은 쓰고 약성은 평범하며 독이 없다. 종래 알려진 작약의 약효성분은 패오니플로린으로 확인되고 있다. 위, 장의 평활근 및 자궁평활근에 대해 수축억제효과, 관동맥 확장 효과 및 혈관질환에 대해 죽상경화증 방지, 혈압강하 및 혈류 개선의 효과가 있다.
황기(黃琦, Astragalus membranaceus)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일본?만주?중국 북동부?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약초로서 재배하며 한방에서는 가을에 채취하여 노두(蘆頭)와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빛에 말린 것을 한약재의 황기라 하며, 강장?지한(止汗)?이뇨(利尿)?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어 신체허약?피로권태?기혈허탈(氣血虛脫)?탈항(脫肛)?자궁탈?내장하수?식은땀?말초신경 등에 처방한다.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이 원산지이고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의 생것을 생지황,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 쪄서 말린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숙지황은 보혈제로 쓰이고 생리불순?허약 체질?어린이의 발육 부진?치매?조루증?발기부전에 사용한다. 숙지황 중 특히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리기를 9번 되풀이하여 만든 것은 구지황이라 하여 그 약효를 으뜸으로 친다.
천궁(Cnidii Rhizoma)은 토천궁(Ligusticum chuanxiong Hort.) 또는 일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의 뿌리줄기를 이용하는 약용자원식물로서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니딜라이드(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부틸이데네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 센큐노라이드(senkyunolide) 등의 정유성분(Chem. Pharm. Bull. 1984, 32, 3770-3773; Korean J. Phamacogn. 1990, 21, 69-73), 페루릭산(ferulic acid), 클로제닉산(chlorogenic acid) 등의 페놀성 물질(Yakugaku zasshi 1989, 109, 402-406) 등이 알려져 있다. 천궁은 진경작용,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혈관확장작용, 항균작용, 항진균작용(Korean Society Tabacco Sci. 1994, 16, 20-25) 등의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두통, 불임, 월경불순, 강장, 냉증, 빈혈 등의 질환에 사용하고 있다(생약학연구회 현대 생약학, 1994, Pp. 338-340, 학창사).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특이한 냄새가 나며 단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본 발명자는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조성물을 이용하여 치매 치료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인지능력을 저해하는 콜린에스터레이즈(cholinesterase)인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cetylcholinesterase),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butyrylcholinesterase)의 억제활성이 높고, 상기 생약조성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수동회피실험(passive avoidance test)에서의 공간인지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를 비롯한 기억력 향상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6-23885호(백작약 및 감초를 함유하는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2004-23197호(당귀, 숙지황, 천궁 및 적작약을 함유하는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916303호(당귀 및 백작약을 함유하는 조성물), 일본공개특허 제1994-56684호(황기를 함유하는 조성물), 일본공개특허 제2001-39887호(천궁 및 작약을 함유하는 조성물), 한국공개특허 제2011-5144호(인삼 및 당귀를 함유하는 조성물) 등이 있다. 또한, 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당귀, 천궁, 숙지황, 백작약, 원지 및 석창포를 함유하는 팔물총명탕(八物聰明湯)이 허혈에 의한 기억과 학습능력 손실을 억제한다는 보고(윤영주, 2006,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본 발명의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감초를 모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과는 기술적 구성 및 약리효과가 전혀 다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가 혼합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및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조성물을 제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약 추출물은 흑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당귀 70~130 중량부, 작약 70~130 중량부, 황기 70~130 중량부, 숙지황 70~130 중량부, 천궁 20~60 중량부 및 감초 5~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흑삼은 4~6년근 백삼을 포도주스(시중에서 판매하는 40~100% 원액 포도주스)에 0~20℃에서 12~48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침지된 백삼을 포도주스에서 꺼내 110~130℃에서 10~60분간 증숙하고 50~80℃에서 12~48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2~5번 반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포도주스는 백삼 100 중량부 기준으로 100~10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되는 포도주스의 중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1공정) 4~6년근 백삼을, 백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포도주스 100~1000 중량부에 0~10℃에서 12~48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2공정) 상기 1공정의 침지된 백삼을 포도주스에서 꺼내 110~130℃에서 10~60분간 증숙하는 단계;
(3공정) 상기 2공정의 증숙된 백삼을 50~80℃에서 12~48시간 건조하는 단계;
(4공정) 상기 2공정 및 3공정의 증숙과 건조단계를 1~4번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5공정) 상기 4공정에서 제조된 흑삼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각각 건조하여 잘게 세절하는 단계;
(6공정) 상기 5공정에서 세절된 흑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당귀 70~130 중량부, 작약 70~130 중량부, 황기 70~130 중량부, 숙지황 70~130 중량부, 천궁 20~60 중량부 및 감초 5~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생약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7공정) 상기 6공정의 생약 혼합물에, 상기 생약 혼합물 중량의 2~20배의 추출용매를 넣고 20~90℃에서 1~10시간 동안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의 고형분을 제거한 추출원액을 이용하여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원액은 여과 및 농축할 수 있으며, 분무건조,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이용하여 분말화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그 선택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벤젠, n-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을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흑삼을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즈, 메틸 셀룰로오즈, 미정질 셀룰로오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흑삼을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흑삼을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삼을 함유하는 생약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치매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을 포함한 낙농제품, 스프, 이온음료 등을 포함한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를 포함한 영양 공급용 제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혼합하여 추출한 생약 조성물로서,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cetylcholinesterase),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butyrylcholinesterase)의 억제활성이 높고, 상기 조성물을 섭취한 마우스의 공간인지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치매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삼을 함유한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흑삼의 제조>
4년근 백삼 1kg을 포도주스(시중에서 판매하는 100% 원액 포도주스) 2kg에 4℃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120℃에서 30분간 증숙한 후 6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포도주스를 이용하지 않은 흑삼의 제조>
1-1. 포도주스 침지과정의 생략 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흑삼을 제조하되 백삼을 포도주스에 침지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증숙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1-2. 포도주스 침지과정의 생략 ②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흑삼을 제조하되 백삼을 포도주스가 아닌 물에 침지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삼을 비롯하여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감초를 각각 잘게 세절하였다. 이 후, 세절된 상기 생약을 하기 표 3과 같이 혼합한 후, 증류수 30ℓ를 가하고 90℃에서 5시간 동안 2회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였다. 표 1의 혼합 조건은 흑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흑삼 100 중량부, 당귀 70~130 중량부, 작약 70~130 중량부, 황기 70~130 중량부, 숙지황 70~130 중량부, 천궁 20~60 중량부 및 감초 5~30 중량부가 포함되는 조건이다.
조건 생약 조성물 (g)
실시예 1의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감초
실시예 2-1 100 93 93 93 93 40 17
실시예 2-2 100 70 103 106 93 40 17
실시예 2-3 100 130 93 83 83 30 10
실시예 2-4 100 106 70 103 106 34 10
실시예 2-5 100 93 130 83 83 30 10
실시예 2-6 100 93 93 70 116 40 17
실시예 2-7 100 93 83 130 83 30 10
실시예 2-8 100 106 93 103 70 40 17
실시예 2-9 100 83 83 83 130 40 10
실시예 2-10 100 93 93 93 113 20 17
실시예 2-11 100 93 93 93 73 60 17
실시예 2-12 100 93 93 93 93 52 5
실시예 2-13 100 93 93 93 93 27 30
< 비교예 2. 생약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흑삼이 함유된 생약추출물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생약추출물을 제조하되, 실시예 1의 흑삼 대신 비교예 1의 흑삼 및 백삼, 홍삼을 혼합하였다. 상기 백삼은 흑삼을 제조한 백삼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홍삼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통상적인 홍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조건 생약 조성물 (g)
흑삼 백삼 홍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감초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2-1 100 0 0 0 193 103 106 93 40 17
비교예 2-2 0 100 0 0 193 103 106 93 40 17
비교예 2-3 0 0 100 0 93 93 93 93 40 17
비교예 2-4 0 0 0 100 93 93 93 93 40 17
< 실시예 3.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의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활성 확인>
콜린에스터레이즈의 억제효과는 Ellman의 방법(Ellman GL, Courtney KD, Andres V Jr, Feather-Stone RM. Biochem Pharmacol 1961, 7, 88-95)을 변형하여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와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의 기질인 아세틸콜린과 부티릴콜린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0.1M 인산나트륨버퍼(sodium phosphate buffer, pH 8.0) 380㎕, 2mM DTNB(5,5’-dithiobis[2-nitrobenzoic acid]) 40㎕, 460㎕의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또는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 용액(각각 0.22U/㎖)을 넣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각 효소의 기질인 3.75mM BTCC(butyrylthiocholine chloride)와 3.75mM ATCI(acetylthiocholine iodide)를 각각 10㎕씩 넣고, 410nm에서 2분간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콜린에스터레이즈 억제활성은 아래 계산식을 이용해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A0-A1)/A0] × 100 (%)
A0 : 대조군 흡광도 변화, A1 : 시료첨가시 흡광도 변화
표 5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보다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와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의 억제활성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추출물 조건 억제율(%)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4mg/㎖ 부티릴콜린에스터레이즈 4mg/㎖
실시예 2-1 85.6 95.3
실시예 2-2 82.5 91.4
실시예 2-3 93.4 98.5
실시예 2-4 92.3 97.3
실시예 2-5 82.5 96.2
실시예 2-6 87.4 94.6
실시예 2-7 88.5 92.4
실시예 2-8 91.9 98.5
실시예 2-9 85.8 93.4
실시예 2-10 84.8 92.7
실시예 2-11 82.7 93.8
실시예 2-12 85.4 94.6
실시예 2-13 84.5 93.5
비교예 2-1 24.5 23.4
비교예 2-2 25.6 24.5
비교예 2-3 34.7 35.6
비교예 2-4 44.2 45.4
< 실시예 4.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의 수동회피 실험>
수동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은 길로틴 문을 중심으로 밝은 방과 어두운 방으로 구획이 나누어진 장치를(Jungdo Bio & Plant Co. Ltd, Seoul, Korea)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각각의 구획은 20×20×20cm로,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그리드(grid) 막대로 구성되었다.
수동회피 실험을 실시하기 60분 전에 8주령(20-25g)의 ICR 마우스에 타크린(THA, 10 mg/kg)과 본 발명의 생약추출물 300mg/kg을 경구투여하였고, 투여 30분 후에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스코폴라민(scopolamine, SCOP, 2mg/kg)을 복강투여하였다. 30분 후, 상기 마우스들을 조명을 비춘 밝은 쪽 방에 놓고 10초간 탐색시킨 후 길로틴문 (guillotin door)을 열어 어두운 방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Gemini Avoidance System, San Diego, USA). 이때 길로틴문이 열린 후 60초 이내에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지 않는 마우스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길로틴문이 열린 후 마우스가 어두운 방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학습 시험(acquisition trial)이라고 정의하였고, 상기 학습 시험의 머무름 시간(latency time)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한편, 마우스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을 닫고, 0.5mA의 전기 자극을 3초 동안 그리드 바닥을 통해 흐르게 하여 마우스가 이를 기억하도록 하였다.
전기충격이 가해진 24시간 후, 마우스를 밝은 방에서 10초간 탐색하게 한 후 길로틴문을 열고 어두운 방으로 마우스의 4개의 발이 다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지연시간, retention trial) 표 6에 나타내었다. 밝은 방에서 머무르는 시간은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어두운 방으로 가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표 6을 참고하면, 스코폴라민 투여군의 학습시간 및 지연시간에 대한 머무름 시간(latency time)이 무처리군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생약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하여 학습시간 및 지연시간에 대한 머무름 시간이 증가하였고, 타크린을 투여한 군보다 높은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생약추출물의 섭취로 인해 타크린이나 비교예의 생약추출물에 비해서 마우스의 기억력 손상정도가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시료 학습시간의 머무름 시간 지연시간의 머무름 시간
무처리군 25 254
스코폴라민 12 21
타크린 + 스코폴라민 20 85
실시예 2-1의 추출물 + 스코폴라민 25 250
실시예 2-3 + 스코폴라민 27 243
실시예 2-5 + 스코폴라민 25 247
실시예 2-9 + 스코폴라민 23 248
실시예 2-11 + 스코폴라민 22 252
비교예 2-1 + 스코폴라민 18 123
비교예 2-2 + 스코폴라민 19 134
비교예 2-3 + 스코폴라민 20 145
비교예 2-4 + 스코폴라민 19 156
< 실시예 5.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의 DPPH 라디컬 소거능 확인>
자유라디컬 소거능 활성은 Blois의 방법(Blois MS. Nature 1958, 181, 1199-1202)에 따라 측정하였다. 0.4mM DPPH 용액 0.8㎖에,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생약추출물을 10mg/㎖의 농도로 증류수에 녹인 액상 0.2㎖을 넣고, 10분간 방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아래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DPPH scavenging activity (%)=[(A0A1)/A0]×100
A0 : 대조군의 흡광도, A1 : 시료의 흡광도
표 9의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보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이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총페놀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신경세포 사멸 억제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추출물 조건 생약 추출물 4mg/㎖의 DPPH 소거 활성 (%)
실시예 2-1 75.7
실시예 2-3 79.6
실시예 2-5 77.5
실시예 2-9 75.4
실시예 2-11 72.3
비교예 2-1 13.2
비교예 2-2 14.4
비교예 2-3 22.3
비교예 2-4 36.3
< 실시예 6. 독성실험>
6-1. 급성독성
본 발명의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단기간에 과량을 섭취하였을 시 급성적(24시간 이내)으로 동물체내에 미치는 독성을 조사하고, 치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마우스인 ICR 마우스 계통 20마리를 대조군은 10마리, 실험군은 10마리씩 배정하였다. 대조군에는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은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2.0g/㎏(일반적인 동물실험에서 사용되는 양의 50배 정도)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치사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2.0g/㎏ 농도의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모두 생존하였다.
6-2. 실험군 및 대조군의 장기 및 조직 독성 실험
C57BL/6J 생쥐를 대상으로 동물의 각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과 용매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동물들로부터 8주 후 혈액을 채취하여 GPT(glutamate-pyruvate transferase) 및 BUN(Blood Urea Nitrogen)의 혈액 내 농도를 Select E(Vital Scientific NV, Netherland)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간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GPT와 신장독성과 관계있는 것으로 알려진 BUN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동물로부터 간과 신장을 절취하여 통상적인 조직절편 제작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으로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특이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 사용예 1. 약학적 제제예 >
1-1. 정제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 2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1-2. 주사액제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 2g을 증류수에 용해시켜서 100㎖를 만들었다. 이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 사용예 2. 식품 제조예 >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0.2~10 중량%로 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0.1~5.0 중량%로 하여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3. 스프 및 육즙( gravies )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0.1~1.0 중량%로 하여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2-4. 유제품( dairy products )의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을 0.1~1.0 중량%로 하여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 사용예 3. 음료 제조예 >
3-1. 야채쥬스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3-2. 과일쥬스 제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흑삼을 함유한 생약추출물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4~6년근 백삼을 40~100% 농도의 포도주스에 0~20℃에서 12~48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침지된 백삼을 포도주스에서 꺼내 110~130℃에서 10~60분간 증숙하고 50~80℃에서 12~48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2~5번 반복하여 제조된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흑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흑삼에, 당귀 70~130 중량부, 작약 70~130 중량부, 황기 70~130 중량부, 숙지황 70~130 중량부, 천궁 20~60 중량부 및 감초 5~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4~6년근 백삼을 40~100% 농도의 포도주스에 0~20℃에서 12~48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침지된 백삼을 포도주스에서 꺼내 110~130℃에서 10~60분간 증숙하고 50~80℃에서 12~48시간 건조하는 과정을 2~5번 반복하여 제조된 흑삼, 당귀, 작약, 황기, 숙지황, 천궁 및 감초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10051428A 2011-05-30 2011-05-30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KR10116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428A KR101167628B1 (ko) 2011-05-30 2011-05-30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428A KR101167628B1 (ko) 2011-05-30 2011-05-30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628B1 true KR101167628B1 (ko) 2012-07-23

Family

ID=4671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428A KR101167628B1 (ko) 2011-05-30 2011-05-30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38B1 (ko) * 2017-08-22 2018-11-02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흑삼 꽃봉오리 및 흑삼 지근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8410A (ko) 2017-09-29 2019-04-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738B1 (ko) * 2017-08-22 2018-11-02 농업회사법인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흑삼 꽃봉오리 및 흑삼 지근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038410A (ko) 2017-09-29 2019-04-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컴파운드 k 및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N103533948A (zh) 神经疾病的治疗及记忆力减退改善用生药组合物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30003520A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JP2011525527A (ja) 軟骨再生、痛症の抑制及び浮腫抑制用生薬組成物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CN102497874B (zh) 用于预防或治疗肾炎的含有药草提取物的药物组合物
KR20030055127A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101420135B1 (ko) 학습 장애, 기억력 장애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두충 추출물
KR100830553B1 (ko) 독활 및 승마 혼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0973625A (zh) 基于火麻仁的护肝醒酒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87554B1 (ko) 새싹보리의 풋내와 누에가루 및 꾸지뽕의 불쾌취를 제거한 항산화 또는 혈당강하 활성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누에가루 및 꾸지뽕잎 혼합차 제조방법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0646595B1 (ko)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823673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수면유도 조성물
KR102403190B1 (ko) 혼합 생약재를 포함하는 소화불량 개선용 한약 조성물
KR20190044862A (ko) 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960415A (zh) 一种减肥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