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53A -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53A
KR20170003153A KR1020150093443A KR20150093443A KR20170003153A KR 20170003153 A KR20170003153 A KR 20170003153A KR 1020150093443 A KR1020150093443 A KR 1020150093443A KR 20150093443 A KR20150093443 A KR 20150093443A KR 20170003153 A KR20170003153 A KR 20170003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fractions
treatment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렬
김동섭
황대연
임수복
Original Assignee
이충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렬 filed Critical 이충렬
Priority to KR102015009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153A/ko
Publication of KR20170003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5Asparagus, e.g. garden asparagus or asparagus fe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테로이달 사포닌, 올리고당, 식물성 스테롤류, 세레토닌, 아스파라긴산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암, 종기치료, 콜레스테롤 감소, 노화예방, 변비,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고 만성질환의 치료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천문동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respiratory organ disease comprising the fraction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as an active ingredien}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테로이달 사포닌, 올리고당, 식물성 스테롤류, 세레토닌, 아스파라긴산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암, 종기치료, 콜레스테롤 감소, 노화예방, 변비,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고 만성질환의 치료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천문동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산업의 발달로 대기오염, 알레르기원(동물의 털, 꽃가루 등), 흡연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기관지 질환에 빈번하게 노출되며, 감기, 후두염, 급성 후두개염, 세기관지염, 폐렴, 천식, 편도선염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은 선진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로 성인보다는 어린아이에게서 많이 발생된다는 보고가 있다(Sears, 1997).
매년 5세 이하의 1,500만명의 어린이 중 약 400만명이 급성 호흡기질환 (acute resparatory disease)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 사망자 중 90% 이상이 개발도상국가에서 일어난다. 또한,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특히 대기 환경 오염이 심각한 지역에서 발생빈도가 높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외부로부터 유입 물질들에 대한 호흡기의 점막 상피 세포의 면역반응에 의한 염증에 기인한다.
따라서, 감염 또는 알러지 유발 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의 점막 상피 세포에서 면역반응에 의한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주로 사용되는 치료제는 항생제 또는 스테로이드제로 감염 또는 알러지 유발 물질에 의한 호흡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기침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흔한 호흡기 질환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가능한 치료방법은 인체가 스스로 회복되도록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만으로 한정되어 있고 많은 경우 회복은 매우 느리다. 호주에서는 기침 시럽의 판매액이 연간 2천만 달러가 넘는다. 기침 시럽의 전세계 시장규모는 연간 10억 달러를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몇달 또는 심지어 수년간 지속되는 지속성 기침은 때때로 기관지 천식, 잠재적 반사(occult reflex), 또는 바이러스 감염 후 세균 감염에 기여하기도 하고 흡연은 기도가 과민감성/과반응성이 되도록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인체가 호흡계의 질병을 초래할 수 있는 공기 중의 많은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은 후 인체가 회복되도록 도울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한국 토종 약초인 천문동은 우리나라의 경남, 경북이나, 제주도, 전남, 전북 따뜻한 지역등지에 자생하는 덩굴성 다년초로서 땅 속의 뿌리줄기는 짧고 덩이 모양으로 비대하며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1~2m 정도로 덩굴져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잔가지는 가는 잎 모양으로 1~3개씩 모여서 나며 윤채가 있으며 활처럼 휜다. 잎은 짧은 가시처럼 되어 흩어져서 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모여 담황색으로 핀다. 꽃잎은 6개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3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구형의 장과는 흰색으로 익으며 안에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천문동은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만성질환의 치료효능을 갖고 있어 새로운 질병치료효능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천문동을 이용하여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스테로이달 사포닌, 올리고당, 식물성 스테롤류, 세레토닌, 아스파라긴산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암, 종기치료, 콜레스테롤 감소, 노화예방, 변비,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고 만성질환의 치료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천문동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Anti-microbial activity of ehtyl acetate extract.
본 발명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천문동 추출물은 천문동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천문동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줄기, 뿌리, 잎, 잔가지 등 천문동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천문동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천문동을 자연 건조 또는 강제 건조 등 임의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잘게 자르거나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물,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 용매;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 상기 비극성 용매와 극성 용매의 혼합 용매; 알칼리수 등의 용매 또는 콩기름, 참기름 등의 식물유 등을 사용하여 냉침,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온침 등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 침출 처리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한 침출물을 얻는다. 침출 처리는 냉침과 페르콜레이션의 경우 10 ~ 100 시간 정도, 온침의 경우에는 사용하는 용매 등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이하나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0.5 ~ 24시간 정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함수 알코올에 침출한 틴크나 요동 엑기스 또한 엑기스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문동은 한국 토종 약초로서, 우리나라의 경남, 경북이나, 제주도, 전남, 전북 따뜻한 지역등지에 자생하는 덩굴성 다년초로 땅 속의 뿌리줄기는 짧고 덩이 모양으로 비대하며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1~2m 정도로 덩굴져서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잔가지는 가는 잎 모양으로 1~3개씩 모여서 나며 윤채가 있으며 활처럼 휜다. 잎은 짧은 가시처럼 되어 흩어져서 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모여 담황색으로 핀다. 꽃잎은 6개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3개의 수술과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구형의 장과는 흰색으로 익으며 안에 1개의 종자가 들어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제조과정은 하기와 같다.
우선, 천문동의 뿌리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뒤, 동결건조하고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분말화된 천문동 뿌리에 적당한 양의 용매를 첨가하여 완전히 침지되도록 한다.
이 때,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증류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천문동 뿌리 건중량의 5 ~ 20배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15배이다. 추출 방법은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 150℃의 온도에서 30 ~ 60분간 추출기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한다.
제조된 상기 추출액은 여과,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과지로 여과 후 얻은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한다.
다음으로, 상기에서 얻은 천문동 뿌리 수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 바람직하게는 앰버라이트 XAD-4 젤(amberlite XAD-4gel)로 충진된 컬럼을 통과시켜 적당한 용매로 용출시켜 천문동 뿌리 추출물의 분획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용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메탄올의 혼합용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 및 메탄올이 100:0, 80:20, 60:40, 40:60, 20:80 또는 0:100으로 혼합된 혼합용매이다. 각각의 분획물들은 여과,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천문동은 스테로이달 사포닌, 올리고당, 식물성 스테롤류, 세레토닌, 아스파라긴산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항암, 종기치료, 콜레스테롤 감소, 노화예방, 변비, 신경쇠약 등에 효과가 있고 만성질환의 치료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천문동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천문동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동결건조하였을 때의 양으로 1~ 100 ㎎/㎏, 바람직하게는 10 ㎎/㎏로, 하루 1회 ~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천문동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뿌리 추출물 제조
재배된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의 뿌리를 동결건조(FD5510S-FD5520S, Ilshinbiobase co., Dongducheon, korea)하여 분쇄기(MF-3100S, Hanil Electric Co., Seoul,Korea)로 분말화하고, 분말화 된 천문동 75g을 500ml 증류수를 넣고 추출기를 이용하여 120℃에서 45분간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 후 얻은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뿌리 추출물의 호흡기 질환관련 생리활성효과
ⅰ) 사용균주 및 배지
추출물의 항균력 실험에 사용된 균주는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서 분양 받았으며 표 1에 나타내었다.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된 배지는 모두 Dicfco(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세균의 배양 및 항균력 측정에 Tripticase Soy Broth(agar)와 Meller Hinton broth(agar)를 각각 사용하였다.
항균활성 대상 균주
strain
Gram 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KCCM 40881)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CM 35494)
Gram 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KCCM 11234)
Pseudomonas aeruginosa (KCCM 11328)
ⅱ) 추출 용매별 항균활성
천문동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사를 위하여 well diffusion methods법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각 균주들은 TSB 배지에 2회 계대배양 하였으며 UV-spetrophotometer(Optizen POP, Mecasys co., Daejeon, Ltd, Korea)를 이용하여 O.D.650=0.4 농도로 일정하게 조정한 후 항균실험에 사용하였다. 일정한 농도로 조정 한 균을 MHA 배지에 (0.8% agar) 1% 접종 후 균일하게 섞은 후 petri dish에 20ml 분주하였다. 실온에서 응고시킨 후 pateuur pipette을 이용하여 직경 6mm well을 만들어 각각의 추출물 70μl를 주입하였고 negative control로는 각각의 추출용매를 주입하였다. 37℃ 배양기에서 일정 시간 배양 후 well 주위의 생장저해환 직경(mm)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방법으로 항균활성 검사를 실시해 본 결과 열수 추출물와 에테르 분획물에서는 6.5mm정도의 희미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부탄올 분획물에서는 활성을 찾아 볼수가 없었다. 가장 활성이 강한 추출물로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였는데, 에틸아세이트 용매 자체의 약한 항균작용이 있어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DMSO(dimethyl sulfoxide)를 이용해 추출물을 녹여, 단계 희석하여 각 농도를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Staphylococcus aureus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epidermidis 는 100mg/ml 농도에서 약8mm의 생장저해환을 나타내었고 Pseudomonas aeruginosa는 25mg/ml에서 9mm 생장저해환을 나타냄으로서 4개의 의 실험균주 중 Pseudomonas aeruginosa 에 대해 가장 항균활성이 뛰어났다(표 2, 도 1).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ylacetate fraction

Microorganism
inhibition zone of plate(mm)
concentration(mg/mL)
25 50 75 100
P. aeruginosa 9 9.1 9.1
S. aureus - - 7.8 8.1
E. coli - 7.2 7.3 8
S. epidermidis - - 7 8
-: Not Dectected
<도 1> 참조.
ⅲ) 항산화 및 기능성 활성 탐색
부위별에 따른 천문동 덩이뿌리 M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덩이뿌리를 전체(whole root), 근피(root bark), 속(flesh)으로 나누어 항산화능 측정중의 한 방법인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50% 에탄올에 부위별로 용해시킨 추출물 100μL와 60μM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100μL를 96well plate에 넣은 후 혼합하여 차광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시킨 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DPPH 소거효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천문동 덩이뿌리의 부위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 (5 μg/mL)와 BHA (25 μg/mL)를 사용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은 근피 82.11%, 전체 18.38%, 속 부분 8.58%, ascorbic acid 84.31%, BHA 84.80%로, 부위별에 따른 라디칼 소거능은 껍질이 가장 높았으며 속 부분이 가장 낮았다. 부위별 중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았던 껍질 부분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 BHA 각각의 농도에서 소거능을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그와 유사한 소거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리활성물질의 항산화능은 위에서 측정한 DPPH이외에도 hydroxyl radical 소거능, nitrite 소거능, 총항산화능(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과 같은 다양한 측정방법이 존재한다. 이러한 다양한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이유는 생리활성물질에 따라서 산화를 막는 메카니즘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차이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천문동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이외에 nitrite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총항산화능(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nitrite) 소거능은 발암성 물질인 nitrosoamine 생성의 전구체로 작용하는 아질산염의 소거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아질산 나트륨 (1 mM NaNO2) 용액 1 mL에 시료 2 mL을 섞고 0.1 N HCl을 사용하여 반응 용액의 pH를 1.2로 조정하였다. 반응용액의 부피를 10 mL로 조정(D.W 첨가)한 다음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test tube에 1 mL씩 취한 다음 2% 초산용액(acetic acid) 5mL 을 첨가하고 사용 직전에 조제한 Griess(30% acetic acid로 조제한 1% sulfanilic acid 와 1% naphthylamine을 1:1비율로 혼합한 것) 시약 0.4 mL을 가하여 잘 혼합한 후 15분간 방치하고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량을 구하였다. 대조군은 Griess 시약 대신에 증류수 0.4 mL을 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천문동 덩이뿌리의 부위별에 따른 nitrite 소거능은 표 3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 (50 μg/mL)와 BHA (150 μg/mL)를 사용하였다. 천문동 부위별 nitrite 소거능은 근피 65.51%, 전체 42.74%, 속 35.76%, ascorbic acid 73.85%, BHA 70.32%로, 부위별에 따른 라디칼 소거능은 앞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와 같이 근피가 가장 높았고 속 부분이 가장 낮았다. 천문동 부위별 중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높았던 근피 부분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 BHA 각각의 농도에서 소거능을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그와 유사한 소거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tioxidant activity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 LOUREIRO ) MERRILL. root 80% methanol extract
Sampl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Nitrate scavenging
acitivity (%)
Root bark1 ) 82.11±0.85b 65.51±0.59c
Whole1 ) 18.38±0.74c 42.74±0.20d
Flesh1 ) 8.58±0.42d 35.76±0.34e
BHA 84.80±0.422)a 70.32±1.104)b
Ascorbic acid 84.31±0.523)a 73.85±0.205)a
Values are mean ± S.D.
a- e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test (P<0.05).
1)The tested concentration was 1 mg/ml
2)The tested concentration was 25 μg/ml
3)The tested conentration was 5 μg/ml
4)The tested conentration was 150 μg/ml
5)The tested conentration was 50 μg/ml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은 PBS에 용해시킨 추출물 175μL와 10mM FeSO4-EDTA 25μL, 10mM deoxyribose 그리고 10mM H2O2를 순서대로 혼합시킨 후 37℃에서 4시간 반응하였다. 2.8% trichloroacetic acid 250L, 1% tribarbituric acid 250L를 가하여 100에 끓여 반응 정지시켰다. 이 혼합액을 96 well plate에 넣은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천문동 덩이뿌리의 부위별에 따른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으로는 Trolox (500 μg/mL)를 사용하였다. OH 소거능은 근피 46.92%, 전체 38.53%, 속 34.73%, Trolox 55.32%로 부위별에 따른 OH 소거능은 DPPH 라디칼 소거능, nitrite 소거능의 결과와 같이 근피가 가장 높았고 속 부분이 가장 낮았다. 천문동 부위별 중 OH 소기능이 가장 높았던 근피 부분은 대조군인 trolox의 농도에서의 소거능을 비교했을 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천문동 부위별 소거능 중에서 가장 유사한 소거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항산화능(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의 측정은 7mM ABTS(2,2'-azo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ate))와 2.45mM 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ABTS radical cation (ABTS·+)를 만들어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 734nm에서 흡광도가 0.70 ± 0.02가 되도록 5mM PBS (pH 7.4)로 조정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20μL의 시료와 Trolox(표준물질)에 ABTS·+ 용액 1mL를 첨가하여 734 nm에서 6분간 흡광도를 측정하고 시료의 총 항산화능은 Trolox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구하였다. 천문동 덩이뿌리의 부위별에 따른 ABTS 양이온 소거능을 Trolox 표준곡선과 비교한 결과와 각 추출물의 농도가 1 mg/mL일 때 ABTS 양이온 소거능을 표 5에 나타냈으며,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와 BHA를 사용하였다. ABTS 양이온 소거능은 근피 99.89%, 전체 부위 76.70%, 속 68.17%, ascorbic acid 99.73%, BHA 99.01%로 부위별에 따른 ABTS 양이온 소거능은 앞의 DPPH 라디칼 소거능, nitrite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결과와 같이 근피가 가장 높았으며 속 부분이 가장 낮았다. 천문동 부위별 중 총항산화능이 가장 높았던 근피 부분은 대조군인 Ascorb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총항산화능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BHA보다는 총항산화능이 더 높았고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EIRO) MERRILL. root 80% methanol extract
Sampl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Root bark1) 46.92±0.81b
Whole1) 38.53±0.45c
Flesh1) 34.73±1.06d
Trolox2) 55.32±0.45a
Values are mean ± S.D.
a- d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test (P<0.05).
1)The tested concentration was 1 mg/ml
2)The tested concentration was 500 μg/ml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EIRO) MERRILL. root 80% methanol extract
Sample1 ) TEAC mM
Trolox equivalnet (%)
Root bark 8.53±0.00 (99.89±0.06)a
Whole 7.53±0.01 (76.70±0.37)c
Flesh 7.17±0.01 (68.17±0.13)d
BHA 8.49±0.00 (99.01±0.04)b
Ascorbic acid 8.52±0.01 (99.73±0.33)a
Values are mean ± S.D.
a- d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Duncan's multiple test (P<0.05).
1)The tested concentration was 1 mg/ml.
본 발명에 따른 천문동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음료 제조
재배된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의 뿌리를 동결건조(FD5510S-FD5520S, Ilshinbiobase co., Dongducheon, korea)하여 분쇄기(MF-3100S, Hanil Electric Co., Seoul,Korea)로 분말화하고, 분말화 된 천문동 75g을 500ml 증류수를 넣고 추출기를 이용하여 120℃에서 45분간 추출한 후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 후 얻은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분말화한다.
이 때, 분말화된 천문동 뿌리 추출물은 약용 파우치로 그대로 복용이 가능하다.
분말화된 천문동 뿌리 추출물 5 중량부 대비 물 100 중량부에 완전히 침지시키고, 150분간 추출기로 가열하여 열수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열수추출물에서 고체 잔사를 여과기로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고형분 함량이 0.1 ~ 10% 내외가 되도록 희석하여 천문동 음료를 제조한다.

Claims (4)

  1.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용 조성물.
  2.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문동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50중량% 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150093443A 2015-06-30 2015-06-30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3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443A KR20170003153A (ko) 2015-06-30 2015-06-30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443A KR20170003153A (ko) 2015-06-30 2015-06-30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53A true KR20170003153A (ko) 2017-01-09

Family

ID=5781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443A KR20170003153A (ko) 2015-06-30 2015-06-30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47A (ko) * 2019-07-31 2021-02-10 (주)화인내츄럴 호흡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도라지 당절편의 제조방법 및 당침액복합조성물
WO2021177553A1 (ko) * 2020-03-05 2021-09-10 남종현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효과가 있는 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147A (ko) * 2019-07-31 2021-02-10 (주)화인내츄럴 호흡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도라지 당절편의 제조방법 및 당침액복합조성물
WO2021177553A1 (ko) * 2020-03-05 2021-09-10 남종현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효과가 있는 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JP2022545288A (ja) * 2020-03-05 2022-10-26 ジョン ヒョン ナム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uenwald Novel botanical ingredients for beverages
Kumar et al. Systematic pharmacognost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review on an ethno medicinal plant, Basella alba L
Al-Snafi A review on Fagopyrum esculentum: A potential medicinal plant
JP2003192605A (ja) リパーゼ阻害剤
KR101734896B1 (ko) 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막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R101988102B1 (ko) 백삼 및 짚신나물, 단삼, 미역취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조성물
US7399491B2 (en) Health promoting functional foods fortified with herbs
KR101879685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213054B1 (ko) 국화 및 주증대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07809B1 (ko) 히비스커스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용 약학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JP5035494B2 (ja) 抗アレルギー組成物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ara et al. ETHNO-MEDICINAL POTENTIALS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Aloe vera: A REVIEW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RO132471A2 (ro) Produs natural fitoterapeutic, pentru afecţiuni ale vezicii urinare şi ale tractului reno-urinar, şi procedeu de obţinere a acestuia
Dong Development and quality evaluation of bioactive rich drink powder based on sea buckthorn
RATHOUR et al. Review on Syzygium cumini Linn: A promising ethnopharmacological plant.
KR20220122330A (ko) 석류, 마 및 둥굴레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0813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