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041B1 -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041B1
KR100633041B1 KR1020050006042A KR20050006042A KR100633041B1 KR 100633041 B1 KR100633041 B1 KR 100633041B1 KR 1020050006042 A KR1020050006042 A KR 1020050006042A KR 20050006042 A KR20050006042 A KR 20050006042A KR 100633041 B1 KR100633041 B1 KR 100633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smetics
atopic dermatitis
herb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320A (ko
Inventor
최향자
Original Assignee
최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향자 filed Critical 최향자
Priority to KR102005000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0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63B22/06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with means to cause the buoy to surface in response to a transmitted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2/021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 B63B22/025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and comprising a restoring force in the mooring connection provided by means of weight, float or sp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022/028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submerged, e.g. fitting into ship-borne counterpart with or without rotatable turret, or being releasably connected to moored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사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메밀 40∼60 중량%, 유근피 5∼15 중량%, 감초 3∼9 중량%, 어성초 1∼5 중량%, 당귀 1∼5 중량%, 차조기 2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통상의 화장품과 혼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시킬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치료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메밀, 유근피, 당귀, 어성초, 감초, 차조기, 한방, 화장료, 화장품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Cosmetics for recover of atopy dermatitis using medicinal herbs and cosmetics contained i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사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밀, 유근피, 감초, 어성초, 당귀, 차조기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가 우수한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먼저, 아토피(atopy)는 먼저 그리스어로 '알 수 없는, 괴상한' 이라는 뜻으로, 증상으로는 소양증, 색소침착, 보습능력이 떨어지고, 화학적으로 민감함(꽃가루, 먼지 등), 스트레스(온도, 습도, 정신적질환)가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다음과 같은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론이 공지되어 있다.
1. 활성산소원인론(일본 니와유끼박사)
산업화 오존층파괴로 인해 과다 자외선조사가 발생하여 생성된 즉, 공기중에 과다한 활성산소원인이라는 설(說).
2. LGS증후군(장투수증후군)
신체속의 장기의 취약성에 의한 증후군으로 장기의 흡수에 문제가 원인이 있다고 하는 설(미국의 의사들이 밝혀놓은 원리).
3. 사람이 많이 사용하는 물을 사용하기 적당하도록 할때 불가피하게 소독제로 사용하는 염소가 원인이라는 설(일본 요시요카박사).
4. 대량생산을 위해 집중적으로 투여한 비료, 농약등 환경적인 문제로 인한다는 설
5. 변화된 식생활 즉, 인스턴트음식이나 서양화 되어가고 있는 식생활
한편, 지금까지 발생된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해서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주로 스테로이드제제를 도포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그로인해 부작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중, 스테로이드라는 물질은 우리 몸에서 원래 만들어진 필수적인 호르몬이고, 이물질은 염증을 치료하는 기능을 하는데 많은 양을 투여하면 염증이 바로 억제되지만 많은 양이 외부에서 공급되는 관계로 우리 몸에서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부작용의 예로는 모세혈관확장증으로 그 영향으로 피부가 붉어지고, 또한 피부가 얇아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던 동의보감을 토대로 전통생약을 주제로 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생약성분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품을 개발하였으며, 최종 6종의 약재를 선정하고 이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입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밀, 유근피, 감초, 어성초, 당귀, 차조기의 한약재 혼합물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화장품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밀 40∼60 중량%, 유근피 5∼15 중량%, 감초 3∼9 중량%, 어성초 1∼5 중량%, 당귀 1∼5 중량%, 차조기 2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1∼50 중량%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세안용 화장품, 팩, 베이비 파우더 및 영양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통상의 화장품 50∼99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을 제공한다.
또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밀 40∼60 중량%, 유근피 5∼15 중량%, 감초 3∼9 중량%, 어성초 1∼5 중량%, 당귀 1∼5 중량%, 차조기 20∼30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원료에 용매를 넣고 가열추출하여 여과하고, 상기 추출 여액을 5∼17℃에서 6∼8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다시 여과한 다음, 상기 여과액을 60∼70℃에서 응축하여 농축된 추출물을 수득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메밀, 유근피, 감초, 어성초, 당귀, 차조기의 한약재 혼합물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제조한 화장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아토피성 피부염증상뿐 아니라, 그 발병 형태가 유사한 지루성 피부염, 탈모증상을 완화 또는 개선할 수 있으며, 종래 공지된 기능성 물질을 더 첨가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재는 이미 한국 본초도감과 같은 한의서나 한약관련서적에 수록되어 잘 알려져 있는데, 이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먼저, 메밀은 성질이 시원하므로 피부의 열을 흡수하며 그성질이 평하고 맛 이 달고 독이 없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메밀을 삶을 때 삶은 물에서 상당량 나오는 루틴은 플라보노이드일종인 폴리페놀류로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면서 탄수화물 73%, 단백질 12∼14%, 비타민B 및 필수아미노산 등 풍부한 영양성분을 피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유근피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느릅나무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이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의 산기슭에 야생하며, 성분은 점액질, 농마, 탄닌 등이 있고, 맛은 달고 평질은 평하다. 대변을 무르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열을 내리게 하는 효능을 가진다.
또한, 감초는 독에 대한 중화 및 해독작용을 가지고, 에디슨병, 유행성 간염, 기관지천식, 피부염(두드러기, 습진, 여드름, 주근깨 등), 학질, 동상, 손발이 튼 곳을 완화시켜 주는 효능을 갖는다.
그리고, 어성초는 식물분류학에 따르면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학명은 houttunynia cordata이라고 하며, 한국백과사전에는 약모일로 부르기도 하는데, 미용과 체중조절, 체내독소제거에 탁월한 작용을 하고, 설파민의 46,000배가 넘은 항염작용을 하고, 각종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고, 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은행잎을 능가하는 플로브노이드가 혈액정화작용을 하고, 어성초속의 이소쿠에르치런과 쿠에르치트런, 플러스알파의 물질은 상승해서 모세혈관의 혈액운반작용을 촉진시키므로 혈액의 신진대사가 활발하게 하며, 뛰어난 해독작용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당귀는 맛이 달고 메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미나리과에 속하 는 당귀는 뿌리를 말려서 사용하는 데, 테쿠르신, 노다케네틴, 노다케닌 등의 쿠마린성분을 함유한 정유를 가지고 있으며, 옹, 창(종기)등 화농성 염증치료의 상비역으로 사용하고, 혈허나 혈조생풍의 증상인 피부질환에 유효하고 천천히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발병인 부르셀라증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차조기는 꿀풀과에 속하는 차조기의 옹근풀을 말린 것을 사용하는 데, 페릴라알데히드과 리모넨피넨 등을 함유한 정유와 치아닌과 파라쿠마르산에스테르의 성분을 함유한 잎의 보라색 색소를 가지고 있으며, 땀을 내며 풍한을 없애며 비위의 기를 잘 통하게 하여 피부핏줄을 확장시키고 한선의 분비를 항진시키는 효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청궁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궁궁이의 뿌리, 줄기를 말린 것을 사용하는 데, 정유 0.5∼0.8%가 들어있는 데, 정유의 주성분인 크니리음락톤은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여 심포, 간, 담, 삼초경에 작용하고, 중추신경계작용과 항균작용, 진정, 진통, 강장효과, 두통이나 빈혈에 사용, 혈관의 콜레스테롤제거 효과, 대장균 및 피부자균에 대한 억제작용의 효과를 갖는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약재들 각각에 있어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알려진 바가 없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약재들의 약효에 착안하여, 메밀 40∼60 중량%, 유근피 5∼15 중량%, 감초 3∼9 중량%, 어성초 1∼5 중량%, 당귀 1∼5 중량%, 차조기 2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밀 50중량%, 유근피 10 중량%, 감초 7 중량%, 어성초 3 중량%, 당귀 3 중량%, 차조기 27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상기 메밀을 40 중량% 미만으로 화장품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중에 하나인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피부의 발열 개선으로 인한 염증완화 및 피부내 수분 및 보습인자 등의 손실로 인한 피부 건조를 방지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 또는 개선해 주는 메밀의 효과가 미미하고, 6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초과 함량에 비하여 효과가 미미하고 다른 한약재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유근피를 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부의 열을 내려주고, 보습을 해주는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초과 함량에 비하여 효과가 미미하고 다른 한약재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차조기는 20 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피부의 독성을 중화 또는 완화시켜주고,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초과 함량에 비하여 효과가 미미하고 다른 한약재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없다.
이외 나머지 상기 3종의 약재는 특별히 사용 용량에 제한이 없지만, 감초는 3∼9 중량%, 어성초와 당귀는 1∼5 중량%의 범위내에서 사용하여 상술한 효과가 유지되도록 하는 데, 이는 사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성분이 효과가 나타내는 충분한 양을 사용할 수 없고 전체 조성물에서 다른 약재의 첨가량과 균형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조성물에서 상기 6종 약재의 배합비율로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완화 효과가 최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성분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화장품의 화장료로 사용하는 것은 어느 한의서나 한약관련서적에 전혀 알려진 바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한약재의 혼합물에 알콜(에탄올, 메탄올 또는 이들을 물로 희석한 알콜)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알콜추출법과 중탕기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추출하는 중탕추출법 등에 의거하여 추출물을 얻는데, 바람직하게는 중탕추출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을 건조 중량비기준으로 1∼50 중량%의 양으로 하여 통상의 화장품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화장품에 사용하는 보존제는 사람의 피부에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김치유산균 등의 천연 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통상의 화장품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아토피 피부염의 환부에 바를 수 있는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세안용 화장품, 팩, 베이비 파우더 및 영양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장품 제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장료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친다.
[제 1 공정] 추출/여과 공정
메밀, 유근피, 감초, 어성초, 당귀, 차조기를 상술한 적정 비율에 따라 혼합한 혼합원료에 용매를 가하고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다음, 여과하는 공정.
이때, 상기 혼합원료와 용매는 중량기준에서 1:5∼1:1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용매가 5배 미만이 되면 가열추출 시 용매 휘발로 인하여 유효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시간이 부족하고, 10배를 초과하면 추출여액이 지나치게 많기 때문에 추후 응축과정에서 처리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제 2 공정] 숙성
상기 공정에서 수득한 추출여액을 5∼17℃에서 6∼8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다시 여과하는 공정.
이때, 상기 5∼17℃ 내의 온도범위는 추출된 유효성분간의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안전한 온도이다.
또한, 6∼8일간 숙성하는 것은 추출여액에서 불필요한 미세한 노폐물이 자연적으로 응집하면서 침전되는 기간으로, 6일 미만으로 숙성하였을 경우에는 노폐물이 충분히 침전되지 않고, 8일을 초과한 경우에는 초과기간만큼 효과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제 3 공정] 응축
상기 숙성된 여과액을 60∼70℃에서 응축하여 농축된 추출물(본 발명의 화장료)을 수득하는 공정.
이때, 60∼70℃ 내의 온도범위에서 응축하는 것은 농축된 추출물의 산화를 억제하면서 응축하는 시간을 단축하게 하는 적합한 온도이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 및 처방예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건조된 메밀 150g, 유근피 20g, 감초 20g, 어성초10g, 당귀, 10g, 차조기 80g의 혼합원료에 물 3kg넣고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 5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g의 양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그런 다음, 5∼17℃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후 2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70℃에서 응축하여 추출물 100g을 얻었다.
[처방예]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함유한 한방엑기스를 제조하고 이를 “자향”이라 명명하였으며, 이때, 통상의 에센스 화장품와 상기 추출 혼합물에 대한 구성성분 및 성분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토피용 에센스
성분명 함량(중량%)
신이화 5.00
Derma glucan 2.00
Octylene hlycol 0.50
아로마향 0.05
김치유산균 50.00
본 발명(실시예) 42.45
[실험예] 패널 테스트
본 실시예는 상기 처방예의 에센스에 대한 피부 도포 시,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패널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때, 패널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인 20∼30대의 성인 남녀 30명의 지원자를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비교예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A사의 아토피 에센스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험방법은 동일인의 환부가 있는 양팔 또는 양다리에서 한쪽은 본 발명의 처방예를, 다른 한쪽은 비교예를 매일 저녁 세정 후 두달간 바르게 한 다음,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정도를 항목에 따른 설문 조사에 의해 측정하여 수치화 하였다.
이의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센스는 피부의 보습력, 보습 유지, 가려움증, 피부 트러블, 각질피부 개선효과 및 염증완화효과에서 비교예보다 우수한 점수를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항목 처방예(본 발명) 비교예
보습력 4.1 3.8
보습 유지 4.3 3.5
가려움증 4.2 3.8
피부 트러블 4.3 4.1
각질 피부 개선 효과 4.5 4.0
염증 완화 효과 3.7 3.2
종합적인 기호도 4.18 3.73
* 배점: 5- 매우 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 좋지 않다. 1- 매우 좋지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사용한 화장품은 피부의 건조함을 방지하고 피부 트러블을 낮춰주며 염증 및 각질 개선 등,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화장품은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던 동의보감을 토대로 전통생약을 주제로 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생약성분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품을 개발하였으며, 최종 6종의 약재를 선정하고 이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치료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메밀, 유근피, 감초, 어성초, 당귀, 차조기의 한약재 혼합물로부터 추출, 분리 및 정제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치료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화장품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을 제공하여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치료도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a) 메밀 40∼60 중량%, 유근피 5∼15 중량%, 감초 3∼9 중량%, 어성초 1∼5 중량%, 당귀 1∼5 중량%, 차조기 20∼30 중량%로 이루어지는 혼합원료와 물, 에탄올, 메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용매를 1:5∼1:10의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추출하여 여과하고, 상기 추출 여액을 5∼17℃에서 6∼8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키고 다시 여과한 다음, 상기 여과액을 60∼70℃에서 응축하여 농축시킨화장료 조성물 1∼50 중량%; 및
    (b)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세안용 화장품, 팩, 베이비 파우더 및 영양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통상의 화장품 50∼99 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4. 삭제
KR1020050006042A 2005-01-22 2005-01-22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KR100633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042A KR100633041B1 (ko) 2005-01-22 2005-01-22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042A KR100633041B1 (ko) 2005-01-22 2005-01-22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20A KR20060085320A (ko) 2006-07-26
KR100633041B1 true KR100633041B1 (ko) 2006-10-12

Family

ID=3717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042A KR100633041B1 (ko) 2005-01-22 2005-01-22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0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81B1 (ko) * 2006-10-13 2008-03-13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갖는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27654A (ja) * 2008-03-24 2009-10-08 Republic Of Korea Manage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改善用組成物
KR101648187B1 (ko) 2016-02-18 2016-08-16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0354B1 (ko) 2021-09-11 2022-07-13 (주) 보종 순환 활성 로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701B1 (ko) * 2010-11-17 2013-08-26 주식회사 에이치플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101356213B1 (ko) * 2010-11-24 2014-01-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084B1 (ko) * 2013-10-17 2014-07-14 김정현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캡슐화한 아토피 피부질환 치료성분이 함유된 마이크로겔 제조방법
KR102257807B1 (ko) * 2020-03-26 2021-05-28 오한선 천연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50006042 - 642317
1020050006042 - 642319
1020050006042 - 642320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81B1 (ko) * 2006-10-13 2008-03-13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아토피 피부염 개선능을 갖는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227654A (ja) * 2008-03-24 2009-10-08 Republic Of Korea Manage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アトピー性皮膚炎改善用組成物
KR101648187B1 (ko) 2016-02-18 2016-08-16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0354B1 (ko) 2021-09-11 2022-07-13 (주) 보종 순환 활성 로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320A (ko) 200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3041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Alamgir et al. Herbal drugs: their collection, preservation, and preparation; evaluation, quality control, and standardization of herbal drugs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20070095588A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170141497A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20100121003A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597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62726A (zh) 一款调理肌肤淡化黑色素的药皂
CN103041042B (zh) 一种藏药组合物及其在防脱生发产品中的应用
CN113018238A (zh) 一种抑菌消炎清爽益肤的祛痘凝胶及其制备方法
KR101585922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184483A (zh) 高渗透力活血通络的山茶按摩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292017B1 (ko) 두피질환용 한방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샴푸의 제조방법
CN109939193A (zh) 一种治疗皮肤湿疹的组合物,制剂及制备方法和应用
KR100891986B1 (ko) 생약 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6930A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258B1 (ko) 식물 추출물 및 천연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CN102872240A (zh) 放松活络复方精油
KR20200087606A (ko) 기억력, 학습력 향상 및 스트레스 완화용 총명탕 조성물
CN114344219A (zh) 一种用于皮肤红肿痒痛的芳香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9031A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9646359B (zh) 一种具有清洁净化和美容养颜功效的玫瑰木耳泥膜膏及其制备方法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