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213B1 -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213B1
KR101356213B1 KR1020100117543A KR20100117543A KR101356213B1 KR 101356213 B1 KR101356213 B1 KR 101356213B1 KR 1020100117543 A KR1020100117543 A KR 1020100117543A KR 20100117543 A KR20100117543 A KR 20100117543A KR 101356213 B1 KR101356213 B1 KR 101356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akenin
allergic
preventing
formul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038A (ko
Inventor
김택중
김용재
유정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2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의 분비를 저농도에서 억제하고,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는 노다케닌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llergy comprising nodakenin}
본 발명은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의 분비를 저농도에서 억제하고,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는 노다케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비만세포 및 혈중 호염구는 여러 가지 알레르기 질환 즉,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음식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틱 쇼크(anaphylactic shock) 등을 유발하는 체내 세포로 알려져 있다. 이들 세포는 세포표면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체인 IgE에 대한 수용체(FcεRI)를 가지고 있고, 그것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항원 혹은 알레르겐으로 불림)에 의해 자극을 받아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알레르기를 유발시키는 물질을 세포 바깥으로 분비한다.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나, 현재 대부분의 알레르기 치료는 그 원인을 없애기보다는 증상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알레르겐에 의해 비만세포 등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의 수용체에 대한 길항약들이 주를 이루고 이러한 약물들이 거대한 시장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환자에게 투여 후 단기간 내에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일정기간 지난 후 혹은 반복 투여 시 환자들의 증상을 호전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항히스타민제 등의 부작용이 없는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외에 다른 치료 방법으로 알레르기 환자가 앓고 있는 알레르기에 대한 알레르겐을 규명한 후 이를 소량씩 수년간 투여하여 그 알레르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치료기간이 우선 수년이 걸리고, 아나필락틱 쇼크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기타 DNA 백신을 사용하는 방법, IgE가 비만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는 치료법, 그리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인 IL-4에 대한 항체 치료법 등의 치료적 접근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아직 완전히 그 치료 효과가 규명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성 피부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등 인간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치명적인 다양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로부터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를 차단함으로써 그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발굴하여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76863128-pat00001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다케닌은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인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억제하고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며, 종래의 증상회복 위주의 치료와는 달리 비만세포에서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의 분비를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다양한 부작용을 제거할 수 있어 의약품,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RBL-2H3)에 대한 노다케닌의 농도 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 대한 노다케닌의 농도 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노다케닌을 처리한 후 비만세포에서 배양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포독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다케닌을 처리한 후 비만세포내에서 알레르기 유발 유전자의 억제를 나타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76863128-pat00002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명 "노다케닌(nodakenin)"으로,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에서 분리하거나, 합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참당귀에서 노다케닌을 분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 세절하여 건조 중량(kg)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배의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 1단계; 상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이를 용매극성에 따라 핵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CH2Cl2)등의 비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메탄으로 그리고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등의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n-부탄올(n-butanol)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각 극성용매 분획물, 비극성용매 분획물을 얻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수득한 각 분획물들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세파덱스 LH-20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hromatography) 및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등의 다양한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참당귀의 극성용매 분획물과 비극성 분획물로부터 각각 유효성분 후보물질을 분리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n-부탄올 분획물로부터 본 발명의 노다케닌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노다케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노다케닌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형태는 단독, 또는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노다케닌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의 분비를 저농도에서 억제하고,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우수한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증상 회복 위주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제와 달리, 비만세포에서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를 근원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의 노다케닌은 비만세포를 매개로 하여 발생되는 질환,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또는 아나필락틱 쇼크(anaphylactic shock)등의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에리오딕티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이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웨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국소 적용할 수 있는 연고제, 액제, 패취제, 드레싱제, 스프레이제 등과 같은 피부외용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다케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 보조 식품"이란, 화학식 1의 노다케닌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 보조 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노다케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노다케닌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화학식 1의 노다케닌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다케닌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2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 보조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노다케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노다케닌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6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노다케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노다케닌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 예를 들어, 기초제품 화장료(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비누), 바디제품 화장료(바디 로션, 바디 오일, 바디 젤, 비누), 색조제품 화장료(파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제품 화장료(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젤)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경피 투여형 제형, 예를 들어, 연고제, 액제, 드레싱제, 패취제 또는 스프레이제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건조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0 중량% 함량으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노다케닌의 비만세포에 대한 알레르기 유발물질 분비 억제능 측정
노다케닌이 체내에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로부터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RBL-2H3 세포는 글루타민과, 항생제와 10% 우혈청이 보충된 최소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분비실험을 하기 위한 세포는 트립신에 의해 수거한 후, 24-웰 배양기에 웰당 200,000개의 세포를 200 ng/mL DNP-특이성 IgE와 같이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는 PIPES 완충액(25 mM PIPES, pH 7.2,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1 mM CaCl2, 5.6 mM glucose, 및 0.1% BSA)으로 세척한 다음, 항원을 첨가하기 전에 30분 동안 전배양하였다. 전 배양 후 항원을 최종 농도 25 ng/mL로 첨가하여 자극을 유도하였다.
알레르기 유도물질의 분비 정도는 배지 중에 분비된 탈과립의 표식자인 헥소사미니다제(hexosaminidase)의 활성을 p-니트로페닐아세틸-β-D-글루코사미나이드(p-nitrophenylacetyl-β-D-glucosaminide)로부터 유리된 p-니트로페놀(p-nitrophenol)의 양으로 결정하였다.
도 1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 RBL-2H3에 대한 노다케닌의 농도 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노다케닌이 비만세포의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분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알레르기 동물 모델에서 노다케닌의 항알레르기 효과 측정
전신성 알레르기 반응성 아나필락틱 쇼크 동물 모델은 항원 [Albumin, dinitrophenyl]을 마우스에 200 ㎍을 피하 주사하여 얻었다. 항원 투여 30분 전에 노다케닌을 투여하여 아나필락틱 쇼크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다케닌이 시험관 실험에서뿐만 아니라 질병동물 모델에서도 알레르기 질환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세포독성 측정
노다케닌의 독성 측정은 EzCytox 키트[Ez3000, Daeillab]를 이용하였다. 즉, 정상 RBL-2H3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5×104 cells/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이를 37 ℃,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의 노다케닌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정상 RBL-2H3 세포를 대상으로 EzCytox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노다케닌이 첨가된 RBL-2H3 세포에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다케닌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볼 때 에리오딕티올을 첨가한 첨가군에서는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한 노다케닌은 RBL-2H3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비만세포에 대한 알레르기 유발 유전자 억제 효과 측정
노다케닌이 비만세포내 알레르기 유발 유전자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RBL-2H3 세포는 글루타민과, 항생제와 10% 우혈청이 보충된 최소 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는 트립신에 의해 수거한 후, 24-웰 배양기에 웰당 200,000개의 세포를 200 ng/mL DNP-특이성 IgE와 같이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세포는 PIPES 완충액(25 mM PIPES, pH 7.2, 119 mM NaCl, 5 mM KCl, 0.4 mM MgCl2, 1 mM CaCl2, 5.6 mM 글루코스, 및 0.1% BSA)으로 세척한 다음, 노다케닌을 농도별로 항원을 첨가하기 전에 30분 동안 전배양하였다. 전 배양 후 항원을 최종 농도 25 ng/mL로 첨가하여 자극을 유도하였다.
Trizol 시약을 이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다. 총 RNA는 1 ㎍으로 정량하여 PreMix RT/PCR kit (Bioneer,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도 4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비만세포에 대한 노다케닌의 농도 의존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노다케닌이 비만세포내 알레르기 관련 유전자의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독성 시험
노다케닌에 대한 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노다케닌 1 ∼ 20 ㎎을 24 마리의 생쥐에게 복강 내 투여하여 행동 관찰 후 24시간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 ㎎을 투여한 6 마리 중 3 마리가 생존하고 나머지 3 마리는 희생당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20 ㎎ 미만의 용량을 투여한 생쥐의 경우는 모두 생존하였으며, 행동 관찰상 약물을 투여하지 않았던 생쥐와 비교하여 통계학상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생쥐에서 노다케닌의 대략적인 반수가 생존할 독성 용량(TD50)은 20 mg(1 mg/g)으로 판단된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0 ㎎
옥수수 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94 ㎎
Na 2 HPO 4 ·12H 2 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2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당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6> 연고제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5 g
세틸팔미테이트 20 g
세탄올 40 g
스테아릴알코올 40 g
미리스탄이소프로필 80 g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20 g
폴리솔베이트 60 g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1 g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1 g
인산 및 정제수 적량
통상의 연고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으로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 g
물 적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제예 8> 에센스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0.0 mg
글리세린 3.0 mg
EDTA 0.05 mg
벤조페논-9 0.04 mg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mg
트리에탄올아민 0.18 mg
옥시도테세스-25 0.6 mg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mg
방부제 0.01 mg
향료 0.01 m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에센스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와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9> 비누의 제조
노다케닌 분말 15 중량%
해양 심층수 35 중량%
왁스 15 중량%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5 중량%
인산 알루미늄 1 중량%
인산 제2철 1 중량%
소르비톨 26 중량%
토코페롤 2 중량%
상기 조성으로 통상의 비누 제조방법에 따라 비누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76863128-pat00003

  2. 제1항에 있어서,
    알레르기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천식, 또는 아나필락틱 쇼크(anaphylactic shock)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정제, 환제, 산제, 갑셀제, 액제, 현탁제, 과립제, 시럽제, 주사제, 또는 외용제인 약학적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화학식 1]
    Figure 112010076863128-pat00004

  6. 제5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또는 식품첨가제인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인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보조 식품.
  8.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76863128-pat00005
KR1020100117543A 2010-11-24 2010-11-24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43A KR101356213B1 (ko) 2010-11-24 2010-11-24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43A KR101356213B1 (ko) 2010-11-24 2010-11-24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38A KR20120056038A (ko) 2012-06-01
KR101356213B1 true KR101356213B1 (ko) 2014-01-24

Family

ID=4660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543A KR101356213B1 (ko) 2010-11-24 2010-11-24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575A (ko) 2019-11-04 2021-05-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320A (ko) * 2005-01-22 2006-07-26 최향자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KR20080099570A (ko) * 2007-05-10 2008-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320A (ko) * 2005-01-22 2006-07-26 최향자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KR20080099570A (ko) * 2007-05-10 2008-11-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JOURNAL OF LIFE SCIENCE) *
논문2(ENVIRONMENTAL TOXICOLOGY AND PHARMACOLOGY)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575A (ko) 2019-11-04 2021-05-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1471B1 (ko) 2019-11-04 2021-06-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38A (ko) 201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094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356213B1 (ko)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0220B1 (ko) 가는장구채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이용한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6B1 (ko) 티아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24724A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2076939B1 (ko)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579500B1 (ko) 율무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161707B1 (ko) 에리오딕티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1593A (ko) 심비디움(cymbidium) 추출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50019678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76938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2782B1 (ko) 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160869B1 (ko) 헵타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1328126B1 (ko) 신규한 옥사디아졸 유도체 및 이의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적 용도
KR20170114740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21181A (ko)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치료용 조성물
KR20240054614A (ko) 털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9590B1 (ko) 진세노사이드 C-Mx1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조성물
KR20240023274A (ko) 아피게닌-7-오-글루크로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