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1471B1 -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1471B1
KR102271471B1 KR1020190139337A KR20190139337A KR102271471B1 KR 102271471 B1 KR102271471 B1 KR 102271471B1 KR 1020190139337 A KR1020190139337 A KR 1020190139337A KR 20190139337 A KR20190139337 A KR 20190139337A KR 102271471 B1 KR102271471 B1 KR 10227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lergic
composition
preventing
daugh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3575A (ko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147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4Decongestants or antiallerg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LERGY COMPRISING ASIATIC TEARTHUMB}
본 발명은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세포 표면에는 항원에 대한 IgE 항체에 대한 고친화성 수용체인 FcεRI가 발현되고 있어 이 수용체에 항체 · 항원 교차 결합을 형성하거나 다른 자극제에 의해 활성화되면 비만세포의 과립 속에 저장되어 있던 히스타민(histamine), 세로토닌(serotonin), 헤파린(heparin) 등의 성분이 방출된다. 동시에 종양괴사인자 (tumornecrosis factor-α, TNF-α),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플라스타글란딘 D2 (prostaglandin D2, PGD2), 로이코트리엔 C4 (leukotriene C4, LTC4)등과 같은 지질성 매개체(lipid mediator) 및 세포의 유주를 유도하는 단백질인 케모카인(chemokine) 등을 합성하여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비만세포는 아나필락시스 반응(anaphylaxis reaction)을 포함하는 각종 알레르기 질환에 관여하는 주된 세포이다.
한편, 세포는 열(heat)과 같은 스트레스 조건에 노출되면 열쇼크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켜 이에 대응하게 되는데, 비만세포의 경우에는 열 쇼크 (heat shock)에 세포 외에 방출되는 열쇼크 단백질70 (heat shock protein70, HSP70)이 비만세포 표면에 발현되어 있는 톨유사 수용체 4(Toll Like Receptor 4, TRL4)에 결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6을 생산하여 세포 외로 방출함이 보고되어 있다.
현재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제로 면역억제효과가 있는 스테로이드제 (steroid)나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제는 항염증작용이나 면역억제작용이 있지만 부작용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또한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 표면의 히스타민 수용체에 결합하여 히스타민 유리는 억제하지만, 각종 알레르기 · 염증 매개체 생성에 효과가 없어 사용에 제한적 일 수밖에 없다. 이에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이나 로이코트리엔 등과 같은 화학매게체 (chemical mediator)방출을 억제하는 약물도 개발되어 있으며, 크로모그리크산(인탈(Intal))이나 트라닐라스트(리쟈벤(Rizaben))등은 천식이나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약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합성 제품들은 완전한 치료를 기대할 수 없으며 장기간 사용시 그 효과가 떨어지고 전신성 부작용이 심하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나, 현재 대부분의 알레르기 치료는 그 원인을 없애기보다는 증상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알레르겐에 의해 비만세포 등에서 분비된 히스타민이나 류코트리엔 등의 수용체에 대한 길항약들이 주를 이루고 이러한 약물들이 거대한 시장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환자에게 투여 후 단기간 내에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일정기간 지난 후 혹은 반복 투여 시 환자들의 증상을 호전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 외에 다른 치료 방법으로 알레르기 환자가 앓고 있는 알레르기에 대한 알레르겐을 규명한 후 이를 소량씩 수년간 투여하여 그 알레르기를 점차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치료기간이 우선 수년이 걸리고, 아나필락틱 쇼크 등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기타 DNA 백신을 사용하는 방법, IgE가 비만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하는 치료법, 그리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인 IL-4에 대한 항체 치료법 등의 치료적 접근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들은 비용이 많이 들거나 아직 완전히 그 치료 효과가 규명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에는 면역학적 이상, 특히 Th2 면역 반응이 관여하는 염증에 기인한다는 의견이 우세하였으나, 최근에는 아토피 피부염을 표피 투과 및 항균 장벽 기능의 손상에 의한 일차적인 피부 장벽의 이상에 의한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즉,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는 유전적인 이상 및 피부 장벽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이상으로 표피의 수분 함유량 감소 및 피부 장벽이 기능 이상이 유발된다. 이로 인해 항원의 피부 침투가 증가하게 되고, 면역반응이 증가하며, 세정제의 사용 등에 의한 피부 pH 변화 등의 다양한 악화 요인이 피부 장벽의 악화를 심화시키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소양증, 피부 건조증, 습진 등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 원인으로 인하여 피부의 가장 바깥에 위치한 피부 보호벽인 각질층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건조한 기후에서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다양한 원인이 복합하게 뒤엉켜 발생하고 완화와 재발을 반복한다. 아토피 소인에 의한 알레르기 질환으로 알레르기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질환과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데, 전 인구의 0.5~1%, 어린이의 경우 5~10%가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통받고 있다. 환자의 50%는 두 돌 이내에 치유되나 25%는 청소년기까지 이어지며, 나머지 25%는 성인이 되어도 아토피 피부염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주로 유전적인 요인이 많고 면역계 결핍과 관련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그 외에 건조한 피부, 정상인에 비해 쉽게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특성,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증상은 심한 가려움증, 피부 건조, 발진, 진물, 부스럼딱지,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이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극심한 가려움증은 정신적으로도 피해를 일으키며 정상적인 생활을 어렵게 한다.
아토피 체질은 근본적으로 치료하기 매우 어려우므로 아토피 피부염은 완치를 목표로 하기 보다는 유발 인자를 피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조절해 나가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염 증산 완화제로는 보습제, 소양증(가려움증)을 감소시켜주는 항히스타민제, 항염증, 혈관수축, 면역 억제 작용을 통해 치료 효과를 보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등이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처방은 이러한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과 같은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테로이드 계열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line) 등의 약물은 당뇨병, 고혈압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쿠싱 증후군, 안과질환(백내장, 녹내장), 신장, 간 독성이 생기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특히, 스테로이드제(부신피질호르몬제)는 크게 소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이 있으며 효과가 우수하지만, 장기간 바르면 피부약화, 전신 호르몬 증상, 중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지만, 임시방편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장기간 복용시에는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알레르기성 질환에 효과가 있으면서도 항히스타민제 등의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개념의 알레르기 치료제 개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356213 B1
본 발명의 목적은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을 포함한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알레르기성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Ait.) 추출물,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Sieb.) 추출물,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tze.) 추출물, 꽝꽝나무 (Ilex crenat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며느리배꼽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며느리배꼽은 며느리배꼽의 전초, 잎, 줄기, 지상부, 뿌리, 근경, 지하부, 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을 포함한다.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a)은 원산지가 아시아지역인 마디풀과의 한 종류이다. 며느리배꼽은 전통적으로 해독제, 해열제, 이뇨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기침이나 백일해 등 호흡기 질환에도 사용되어 왔다.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주요 성분으로는 퀘르세틴(quercetin), 카페산(caff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퀘르세틴(quercetin)는 식물성 항산화제로 파이토케미컬 중에서도 플라보노이드 계열에 속한다. 퀘르세틴은 적절한 세포 기능에 필요한 효소와 막 단백질의 두 가지 유형인 키나아제와 포스파타제라고 불리는 세포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외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면역 체계의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며느리배꼽 추출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에 의해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어 알레르기성 질환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염증 반응에 있어서, LPS(lipopolysaccharide)는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세포벽으로부터 유래된 세포내 독소로 TLR4(toll-like receptor 4)와의 결합함으로써 전사인자인 NF-κB를 활성화시키며, iNOS 및 COX-2의 발현을 유도하여 NO,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PGE₂등 여러 염증 조절 물질을 분비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며느리배꼽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염증성(IL-1β, IL-6, TNF-α), PGE₂, COX-2 및 iNO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항염증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GE₂는 염증 매개 물질 중 하나로 phospholipase A2의 효소작용에 의해 합성이 이루어지는데 막 인지질(membrane phospholipid)로부터 아라키돈 산(arachidonic acid)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시작된다.
상기 아라키돈 산(Arachidonic acid)은 효소작용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G2가 되고 다시 불안정한 대사산물인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H2가 된다.
이 두 과정은 시클로옥시제나아제(cyclooxygenase, COX)에 의해 촉진되며, COX는 두 종류 이상의 아이소엔자임(isoenzyme)이 존재하는데 이들 중 COX-1은 지속적으로 발현하여 혈소판 응집, 위 점막 보호, 신기능 조절 등의 생리적 기능을 담당하고 COX-2는 염증 등의 자극에 의해 발현된다.
COX에 의해 생성된 PGH₂는 불안정한 중간 대사산물로 세포의 종류나 자극에 따라 다양한 프로스타노이드 신타아제(prostanoid synthase 들에 의해 PGE₂, PGD₂, PGI₂, PGF₂, thromboxane A2 (TXA₂) 등으로 대사된다.
또한, PGH₂에서 PGE₂로의 대사에 관여하는 PGE synthase (PGES)는 현재까지 cytosolic PGES (cPGES), microsomal PGES-1 (mPGES-1), mPGES-2 등 세 종류의 아이소폼(isoform)이 알려져 있는데 이 중 mPGES-1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 LPS)와 같은 염증성 자극이나 IL-1β,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산화질소(NO)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며 COX-2와 기능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PGE₂의 생성에 관여한다.
즉, PGE₂의 생성은 COX-2와 기능적으로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함에 따라, COX-2 및 iNOS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산화질소(NO) 및 COX-2의 발현을 저해함에 따라,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항원물질을 알레르기 항원이라 하며 알레르기 항원이 호흡기를 통하거나 소화기, 혹은 피부를 통하여 우리 몸에 들어오게 되면 알레르기 항원에 특이한 IgE 항체가 생성되어 알레르기 유발세포 표면에 부착되고, 이때 알레르기 항원이 다시 신체에 들어오면 알레르기 유발세포 표면의 IgE 항체와 결합하고 자극 받은 알레르기 유발세포는 히스타민을 포함한 여러 가지 매개물을 내보낸 후 호산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염증 세포가 몰려들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매개물질은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es), 류코트리엔류(leukotriens), 혈소판활성화인자(PAF) 등의 포스포리파아제 A2(phospholipase A2),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및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에 의하여 전구체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된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알레르기성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것이다.
알레르기성 질환(allergische Krankheit)은 넓은 뜻으로는 I형, II형, III형 및 IV형의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서 발증하는 질환 모두를 가리킨다. 그러나 보통 알레르기성 질환이라고 하면 좁은 뜻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고 I형의 알레르기반응에 의해서 발증하는 것을 가리킨다.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소양증, 피부 건조증, 습진 등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 원인으로 인하여 피부의 가장 바깥에 위치한 피부 보호벽인 각질층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건조한 기후에서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을 개선을 위한 보습제의 사용과 피부장벽 기능의 회복력 증가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알레르기성 비염(allergic rhinitis)은 연속적인 재채기, 계속 흘러내리는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코 점막의 질환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항원)이 코 점막에 노출된 후 자극 부위로 비반세포, 호산구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IgE 항체를 매개로 하는 염증세포가 몰려들어 이들이 분비하는 다양한 매개물질에 의하여 염증반응이 발생한다.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발작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의 네 가지 주요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특징적인 증상 외에도 눈 주위 가려움, 눈 충혈, 두통, 후각 감퇴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합병증으로 결막염, 중이염, 부비동염, 인후두염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allergic conjunctivitis)은 특정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발생한 결막(흰자위)의 염증 질환이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은 매우 다양하고 많다. 봄, 가을철의 꽃가루, 공기 중 (미세)먼지, 동물의 비듬, 집먼지 진드기, 곰팡이, 풀, 음식물, 비누, 화장품 등이 대표적인 원인물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알레르기 유발물질들이 눈의 결막에 접촉하여 비만세포, 호산구 또는 호염기구 등의 면역세포를 통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게 되면, 히스타민과 같은 여러 염증유발물질이 분비되어 결막의 염증 반응을 유발하게 된다.
알레르기성 천식(asthma)은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의 증상이 반복적, 잘작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천식 역시 일종의 염증반응으로 일어나는 질환이다. 대표적인 천식 증상은 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등이다. 알레르기 원인 물질에 노출된 이 후 일시적으로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며, 계절에 따른 증상 변화, 아토피 질환의 가족력 등이 있다면 천식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조성물은 돈나무(Pittosporum tobira Ait.) 추출물,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Sieb.) 추출물,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tze.) 추출물, 꽝꽝나무 (Ilex crenata)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돈나무 (Pittosporum tobira Ait.)는 돈나무과(Pittosporaceae)의 상록성 관목으로 우리 나라 남부 다도해 지방의 산야나 바닷가에서 자란다. 수고 2~3m로 자라고 가지에는 털이 없으며 길이 4~10cm, 나비 2~3cm의 잎은 번쩍이는 진한 녹색을 띄며 긴 도란형으로 호생한다. 5~6월에 백색의 취산화서로 개화하는 꽃은 양성화이며 진한 향기가 있다.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삭과로서 10월경에 성숙한다. 뿌리껍질에서 은은한 향기가 돌며 잎과 꽃이 아름다워 남부지방의 관상식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 돈나무의 잎 및 줄기, 껍질은 칠리향(七里香)이라 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관절통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Sieb.)는 녹나무과(Lauraceae)의 상록성 교목으로 우리나라 남부 다도해 지역에 주로 자란다. 수고 15m에 이르도록 높게 자라며 성숙한 줄기의 수피는 흑색을 띄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은 없다. 잎은 호생하고 길이 6~15cm, 나비 2~5cm의 좁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뒷면이 분백색을 나타낸다. 6월경에 연한 황색의 취산화서로 개화하는데 양성화이다. 타원형의 열매는 지름이 12mm 정도이며, 12월경에 자흑색으로 성숙한다.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tze.)는 차나무과(Theaceae)의 상록성 관목으로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서 경제작물로 재배하고 있다.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으로 길이 2~15cm, 나비 2~5cm 정도이며 윗면은 짙은 녹색이나 뒷면은 담록색을 띄고 우상의 망상맥이 있다. 꽃은 10~11월에 백색으로 1~3개가 액생 한다. 차나무의 어린잎은 다 엽(茶葉)이라 하며 흔히 차로 음용하며 이뇨 및 해독작용이 있다. 차나무 뿌리는 다수근(茶樹根)이라 하고 열매는 다자(茶子)라 하며 생약으로 주로 이용된다.
꽝꽝나무 (Ilex crenata)는 우리나라 전라북도의 변산반도 이남에 자생하며, 강릉, 원주, 태안, 예산, 대전 이남에서도 식재가 가능하다. 현재 알려진 꽝꽝나무의 변종은 40분류군에 이르며, 상록성의 작은 잎과 조밀하면서도 섬세한 잔가지를 가지고 있다.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가지와 잎은 무성하며, 높이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새운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양쪽이 뽀족하며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1.5~3cm, 폭은 16~20mm이고, 앞면은 윤이 나고 짙은 녹색이다.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며느리배꼽 추출물에 더하여, 돈나무 추출물, 생달나무 추출물, 차나무 추출물, 꽝꽝나무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사용하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보다 우수하게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며느리배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돈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생달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차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꽝꽝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성분 간의 복합 작용으로 인해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범위 내에서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기호도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의하면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레르기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새포 독성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산화 질소(NO) 생성 억제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PGE2 생성 억제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TNF-α 생성 억제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IL-1β 생성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 처리에 따른 사이토카인의 발현 감소에 대한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이 피부 가려움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PGD2 생성 억제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1: 추출물의 제조]
1.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제조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며느리배꼽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며느리배꼽을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각각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하여 며느리배꼽 추출물(PE)을 제조하였다.
2.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PE)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돈나무 추출물(J2), 생달나무 추출물(J3), 차나무 추출물(J4) 및 꽝꽝나무 추출물(J5)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PE), 돈나무 추출물(TE), 생달나무 추출물(CE), 차나무 추출물(SE) 및 꽝꽝나무 추출물(IE)은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내로 혼합하여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AX1 AX2 AX3 AX4 AX5
PE 100 100 100 100 100
TE - 30 40 60 80
CE - 30 40 60 80
SE - 30 40 60 80
IE - 30 40 60 80
(단위: 중량부)
[실험예1: 항염증 효과]
세포배양 및 시료
세포주는 RBL-2H3 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mast cells)를 한국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은 후 10% feta bovine serum (FBS, Hyclone, South Logan, UT, USA)과 1% antibiotics(100 U/㎖ penicillin G, 100 ㎍/㎖ streptomycin, Hyclone)을 첨가한 DMEM 배지로 37℃, 5% CO2 가습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독성 평가
식약처에서 제시하는 동물대체시험법이자 식약처에서 제시하는 시험기준인 MTT assay를 이용하여 MTT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포배양용 Dish에 배양된 RBL-2H3 세포를 Trypsin으로 분리시킨 후 새 배지에 혼합하여 Counting Chamber와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주를 계수한 다음 각각 96 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주 RBL-2H3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며느리배꼽 추출물(PE)을 농도 별(un, con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 2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배지 제거 후 MTT 용액을 1 μg/ml의 농도로 넣고 37℃에서 4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 μl를 분주하여 형성된 반응물을 용해시키고, 30분간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세포에 대한 생존율은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의 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세포생존율(%) = [(시표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도 1은 RBL-2H3 세포에서 며느리배꼽 추출물(PE)의 세포 독성 확인한 결과로, 세포생존율 측정결과 농도가 높아졌으나, 생존률에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염증 반응에 대한 각 농도별 며느리배꼽(PE)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첫 단계로, 세포 배양액 중의 NO를 정량하고 비교하였다. NO 소거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RBL-2H3 세포를 96 well plate에 2x104 cells/ml로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 시간 배양한 다음, 며느리배꼽 추출물(PE)를 농도별(un, con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 250 μg/ml)로 처리하였다.
생성된 NO 양은 그리스(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형태로 측정하기위해 그리스(Griess) 시약 A는 distilled water (DW) 35 ml, 100% acetic acid 15 ml, sulfanilamide 0.5 g을 혼합시켜 만들었으며, 그리스(Griess) 시약 B는 DW 20 ml, 100% acetic acid 30 ml과 N-(1-Naphthyl) ethylenediamine 0.05 g을 넣어 준비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μl와 그리스(Griess) 시약 100μl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는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형태이며, 생성된 NO의 양은 Sodium nitrite (NaNO2)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며느리배꼽 추출물(PE)는 농도가 높을수록 NO 생성 억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PGE 2 의 생성 억제 활성 실험
Prostaglandin E2 (PGE2), Interleukin (IL)-1β,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며느리배꼽 추출물(PE)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와 같은 조건으로 세포를 배양한 후, 상층액을 수집하여 PGE2, IL-1β, TNF-α (Enzo LifeScience)의 함량을 ELISA kit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도3, 도4 및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며느리배꼽 추출물(PE)는 유의성 있게 PGE2, TNF-α 및 IL-1β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iNOS, COX-2, TNF-α, IL-1β의 발현 변화 확인 단백질(protein) 수준에서 면역 조절관련 전사인자들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위와 같은 조건으로 세포를 배양한 후 웨스턴 블롯 분석을 실시하였다.
준비된 세포들을 250mM NaCl, 25mM Tris-HCL (pH 7.5), 10m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1% Nonidet P-40, 0.1mM phenyl-methysulfonylfuoride와 protease inhibitor 등을 함유한 완충액(lysis buffer)을 사용하여 단백질(protein)을 용해시켰다. 분리된 단백질의 농도는 단백질 정량 시약 (Bio-Rad, Herculs, CA, USA)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동량의 단백질들을 10% sodium dodecy sulfate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nitrocellulose membrane (Schleicher % Schuell, Keene, NH, USA)으로 전이시켰다. 각각 분리막(membrane)은 비특이적인 단백질들을 브로킹(blocking)하기 위해 5% skim milk를 1 시간 처리하였다.
해당하는 항체들과 enhanced chemiluminescence (ECL, Amersham Corp. Arlington Heights, IL, USA) 용액을 처리한 다음 X-ray film으로 감광시켜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1차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 Inc. (Santa Cruz, CA, USA) 및 Cell signaling (Beverly, MA,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2차 항체는 Amersham Life Science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며느리배꼽 추출물(PE) 처리에 의해 RBL-2H3 세포에서 NO의 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감소는 imducible NOS (iNOS)의 발현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RBL-2H3 세포에서 며느리배꼽 추출물(PE)는 NO, PGE2, IL-1β, TNF-α의 생성 감소로 인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것이다.
[실험예2: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 시험]
아토피성 피부염 유도 및 시료 투여
아토피성 피부염 동물모델 실험에서는 상기 항염증 및 피부 보습 효과 실험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AX3 내지 AX4을 시료로 사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한 동물 모델에 시료를 경구투여 한 후, 피부 가려움 정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등 부위를 제모한 Nc/Mga 마우스에 1% DNCB(Dinitrochlorobenzene)를 도포하여 1차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도하고, 일주일 뒤 1% DNCB와 AD 연고 100 mg을 제모한 부위에 도포하여 2차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도하였다.
피부 가려움 증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아토피 피부염의 대표적인 임상증상인 피부 가려움 증상 변화를 평가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유도하기 전과 후, AX3 내지 AX4의 시료를 투여한 후의 가려움 증상을 비교 관찰하기 위해 2주에 1회 암조건에서 1시간 동안 동물의 행동을 촬영하였으며, 이를 관찰하여 긁는 횟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AX3 내지 AX4의 시료 모두 2주차 및 4주차 피부 가려움 증상을 뚜렷하게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인 AX3 내지 AX4은 3주차와 4주차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유발군(Vehicle)에 비해 뚜렷하게 유의적으로 아토피 관련 임상 증상을 완화시킴을 알 수 있으며, 그 효과는 투여량을 고려할 때 양성대조군(CJLP-133)(주식회사 노바렉스, 한국)보다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3: 항알레르기 효과]
상기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X1 내지 AX5를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저해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스타글란딘 D2 (PGD2)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PGD2 EIA kit (Cayman, PGD2-MOX EIA kit, product no. 512011)를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및 시료
쥐 골수 유래의 비만세포(BMMC,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를 BALB/C 마우스로부터 골수에서 분리하여, 10% FBS, 100 U/ml penicillin, 100ng/ml streptomycine을 포함한 RPMI-1640 배지와 IL-3(쥐의 비장세포에 pokeweed mitogen으로 자극하여 얻은 상층액을 final 20%되도록 넣은 배양액)로 약 3주 정도 배양하여 90%이 상의 균질한 BMMC를 얻었다.
상기의 BMMC 배양 3주 후 세포농도 2X105cells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며느리배꼽 추출물(PE)을 농도별(un, con 50 μg/ml, 100 μg/ml, 150 μg/ml, 200 μg/ml, 250 μg/ml)로 30분간 전 처리한 다음, 세포 자극 8시간 후의 상층액의 PGD2를 PGD2 분석 키트(Cayman 사)를 이용하여 EIA(Enzyme linked immune assay)로 측정하였다. 이때 COX-1(시클로옥시게나제-1)에 의해서 생성되는 PGD2의 생성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BMMC에 아스피린(aspirin) 10ng/ml을 1시간 전에 미리 전 처리한 후 사용하였다. 세정완충용액(washing buffer)으로 4회 세정하고 기질용액 (substrate solution)을 200μl씩 처리하여 5-20분간 반응시킨 후, 50μl의 반응정지 용액 (stop solution)을 처리한 후에 450 nm에서 흡광도를 ELx800(BIO-TEK, Instrument, Inc, USA)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실험결과,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며느리배꼽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PGD2의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4: 복합 추출물의 효과]
상기와 같이 며느리배꼽 추출물(PE, AX1)에 대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 시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복합 추출물 AX2 내지 AX5에 대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 시험을 진행하였고, 상대적인 평가를 위해, 며느리배꼽 추출물(PE, AX1)의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정도를 지수 5로 놓고, 다른 복합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 정도를 지수로 기재하였다.
복합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PE, AX1 AX2 AX3 AX4 AX5
NO 생성 억제 5 6 9 7 5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5 6 8 6 4
PGE2의 생성 억제 5 5 8 7 5
PGD2의 생성이 억제 5 6 7 8 5
(단위: 지수)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한 NO 생성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PGE2의 생성 억제 및 PGD2의 생성 억제에 대해, 며느리배꼽 추출물(PE, AX1)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 결과, AX2 내지 4에서 동등 이상의 우수한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5: 관능성 평가]
상기 AX1 내지 AX5에 대해 관능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AX1 내지 AX5를 차로 제조한 이후, 성인남녀 20명에게 제공한 이후, 맛 및 향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였다.
평가 점수는 각 항목 당 1 내지 10점으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평균 점수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은 것이다.
PE, AX1 AX2 AX3 AX4 AX5
4.5 5.5 6 6 4.5
4 4.5 5 6 5
종합기호도(평균) 4 5 5.5 6 5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AX1에서는 며느리배꼽 고유의 맛과 향으로 인해 기호도가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AX2 및 AX5의 다른 천연 추출물들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기호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AX3 내지 AX4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맛과 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호도가 높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며느리배꼽(Persicaria perfoliate) 추출물을 포함하고,
    돈나무(Pittosporum tobira Ait.) 추출물,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Sieb.) 추출물, 차나무(Camellia sinensis O. Ktze.) 추출물 및 꽝꽝나무 (Ilex crenata) 추출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며느리배꼽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돈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생달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차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꽝꽝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알레르기성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환인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6. 제 1항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 1항에 따른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피부 외용제.
KR1020190139337A 2019-11-04 2019-11-04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37A KR102271471B1 (ko) 2019-11-04 2019-11-04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337A KR102271471B1 (ko) 2019-11-04 2019-11-04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75A KR20210053575A (ko) 2021-05-12
KR102271471B1 true KR102271471B1 (ko) 2021-06-30

Family

ID=7591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337A KR102271471B1 (ko) 2019-11-04 2019-11-04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268A (ko) * 2022-02-04 2023-08-1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13B1 (ko) 2010-11-24 2014-01-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7248A1 (en) 2014-12-19 2016-06-23 L'oreal Process for dyeing keratin fibres using pre-hydrolysed and decontaminated henn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497A (ko) * 2013-12-26 2015-07-06 최시영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지는 고마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8976B1 (ko) * 2017-09-28 2020-07-01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며느리배꼽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및 항알러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13B1 (ko) 2010-11-24 2014-01-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노다케닌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7248A1 (en) 2014-12-19 2016-06-23 L'oreal Process for dyeing keratin fibres using pre-hydrolysed and decontaminated hen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575A (ko) 202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3139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Actinidia,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1747139B1 (ko) 쥐꼬리망초 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10130670B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 or synephrine or salt thereof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85124A (ko) 개비자나무 추출물 또는 이에 함유된 호모해링토닌 화합물을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조성물
KR102271471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181935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rom carapa guianensis
JP5730550B2 (ja) Cgrp応答性促進剤
KR101270736B1 (ko)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30024305A (ko) 죽엽 추출물 또는 트리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 및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21523952A (ja) イノトジオール化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アレルギー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KR20090111445A (ko)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403795B1 (ko) 헴프씨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성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97607B1 (ko) 며느리배꼽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50095012A (ko)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54381A (ko) 쥐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측두엽 뇌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7106621B (zh) 包含大花马齿苋提取物或其馏分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或治疗神经炎症或者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KR20200039377A (ko) 왕초피나무 유래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2420B1 (ko) 황기 및 형개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5869B1 (ko) 항천식 활성을 가지는 신선초 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