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187B1 -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187B1
KR101648187B1 KR1020160019344A KR20160019344A KR101648187B1 KR 101648187 B1 KR101648187 B1 KR 101648187B1 KR 1020160019344 A KR1020160019344 A KR 1020160019344A KR 20160019344 A KR20160019344 A KR 20160019344A KR 101648187 B1 KR101648187 B1 KR 101648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60019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곰보버섯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the Omijosaeyak manufactured for improved atopy skin and skin barrier, skin moisturizing effect by Omiyaksung theory and Morchela esculenta (L.) pers fermented solution}
본 발명은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을 곰보버섯으로 발효시켜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피부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하는 기관으로서, 인체 내의 물, 전해질 등의 생체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며,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물질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으로 구분된다. 표피층은 각질세포와 멜라닌 세포로 구성되는데, 피부 최외각의 각질세포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물리적, 화학적 혹은 물질의 투과에 대한 1차 방어막으로 작용한다. 또한 피부 외부로 수분 손실을 막음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세포간지질을 라멜라층으로 형성하여 자체 수분을 보유함으로써 유연성의 유지 또한 요구된다.
각질층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각질층 내에 존재하는 각질세포간 지질의 구조와 기능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각질세포간 지질은 라멜라 구조로 명명되는 여러 층의 지질막 형태를 나타내며, 특히 세라마이드 성분이 각질세포간 지질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를 활용한 다양한 보습제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그간 아토피 피부염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에는 면역학적 이상, 특히 Th2 면역 반응이 관여하는 염증에 기인한다는 의견이 우세하였으나, 최근에는 아토피 피부염을 표피 투과 및 항균 장벽 기능의 손상에 의한 일차적인 피부 장벽의 이상에 의한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즉,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는 유전적인 이상 및 피부 장벽을 구성하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이상으로 표피의 수분 함유량 감소 및 피부 장벽이 기능 이상이 유발된다. 이로 인해 항원의 피부 침투가 증가하게 되고, 면역반응이 증가하며, 세정제의 사용 등에 의한 피부 pH 변화 등의 다양한 악화 요인이 피부 장벽의 악화를 심화시키게 된다.
한편, 오미약성(五味藥性) 이론이란, 생약의 맛으로 약제를 분류한다는 이론으로 약성의 맛(五味)은 각각의 관련 장기에 작용하여 효능을 부여한다는 이론이다. 오미는 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鹹)의 다섯 가지 맛으로 인체의 미각 기관을 통한 일련의 특정 화학 성분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으로 오랜 임상 경험을 통하여 약물 효능을 반영하여 왔다. 한약에는 여러 화학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약제의 맛(味)은 화학 성분으로 결정되어 성분이 다르면 맛(味)도 달라진다. 한 가지 약물에는 대개 몇 가지의 성분이 있기 때문에 그 맛(味) 또한 1종이 아니라 일기일맛(一氣一味)도 있고 이맛(二味) 및 삼맛(三味)도 있어서 우세한 것 위주로 결정되는데 이는 주요 성분에 의거한 것이다.
한편, 오미 중 산미(酸味)는 간장(肝臟)과 관련이 있으며 유기산을 함유하여 수렴고삽(收斂固), 지사(止瀉), 삽정(澁精), 축뇨(縮尿), 지혈(止血) 등의 작용이 있으며 약재로 오미자, 백급, 백작약, 선학초 등이 해당한다.
고미(苦味)는 심장(心臟)과 관련이 있으며 알칼로이드(alkaloids)와 고미질(苦味質)을 함유하여 강설(降泄), 사하(瀉下), 조습(燥濕), 견음(堅陰) 등의 작용이 있다. 행인, 치자, 황련, 황백, 건하엽, 창출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감미(甘味)는 비장(脾臟)과 관련이 있으며 당류와 기타 활성 성분을 함유하여 보익(補益), 화중(和中), 조화제약(調和諸藥), 완해독성(緩解毒性), 완급지통(緩急止痛) 등의 작용이 있다. 황기, 감초, 모향, 맥문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신미(辛味)는 폐장(肺臟)과 관련이 있으며 정유를 함유하여 발산표사(發散表邪)의 작용이 있다. 표사(表邪)는 대개 인체의 기표(肌表)를 침범한 육음(六淫)의 사기(邪氣)를 말한다. 신미는 이를 제거함으로서 발산표사(發散表邪) 작용을 나타낸다. 마황, 계지, 형개, 박하, 목향, 영릉향, 고본, 감송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함미(鹹味)는 신장(腎臟)과 관련이 있으며 Na, K, Ca, Mg, I 등의 무기물질과 기타 활성물질을 함유하여 사하(瀉下)와 연견산결(軟堅散結)하는 작용이 있다. 망초, 모려, 자하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동의보감에 의하면 조세약은 풍조로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약으로, 위령선, 영릉향, 모향, 건하엽, 고본, 곽향, 백지, 감송향(감송)을 물에 끓여 졸여 제조할 수 있다.
위령선은 여러 가지 풍을 없애며 오장의 작용을 잘하게 한다고 하였고, 영릉향은 풍한사를 없애고 기의 순환을 촉진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고 하였으며, 고본은 풍사로 몸이 고달픈 것을 치료하고 새살과 피부를 잘 돋아나게 하며, 얼굴에 윤택이 나게 하고 여드름을 없애는데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감송은 기의 순환을 촉진하고 통증을 멎게 하며 비위를 튼튼하게 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모향은 만성 위장병, 폐결핵, 열성 질병에 효과가 있으며, 건하엽은 만성 장염, 토혈, 비출혈, 장출혈, 혈림, 자궁 출혈 등에 효과가 있으며, 곽향은 감기, 식욕부진, 소화 장애,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에 효과가 있으며, 백지는 풍한두통, 치통, 축농증, 유종, 옹종, 창양, 대하증, 장출혈, 치루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 (L) pers .)은 3~5월에 수풀이나 정원, 도로변, 특히 전나무, 가문비나무 근처에 발생하는 균근성균이며, 한국, 일본 등 범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자실체의 갓 부분에 자낭포자와 측사(側絲)가 들어 있다. 몸은 갓과 자루로 되어 있으며 높이 6~12 cm이다. 갓은 연한 노란색이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바구니눈 모양의 홈이 있고 무른 육질이다. 자루는 길이는 4~5.5 cm, 나비는 3~2.6 cm로 거의 원기둥 모양이고 흰색 또는 연한 노란빛을 띤 흰색이며 속은 비어 있다. 자낭은 갓의 밑부분에 있는 홈의 안쪽에 형성되고 그 속에 8개씩 무색 타원형의 포자가 만들어진다. 포자의 표면은 편평하고 밋밋하며 포자무늬는 흰색이다. 곰보버섯은 식용 가능하나, 독성분이 있으므로 삶은 물은 버리고 요리하여야 한다.
한편, 아직까지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오미조세약을 피부에 적용을 시도한 적은 알려진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2551호 (등록일자: 2011.01.26)에는, 고본, 녹두, 배지, 조각자 및 천화분의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3041호 (등록일자: 2006.09.29)에는, 메밀, 유근피, 감초, 어성초, 당귀, 차조기의 추출물을 숙성, 여과 및 농축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오미조세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형태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은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 조성되어, 한의학적 효능을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다. 오미약성(五味藥性)이란 생약의 맛으로 약제를 분류한다는 이론으로 약성의 맛(五味)은 각각의 관련 장기에 작용하여 효능을 부여한다는 이론이다. 아직까지 상기와 같이 오미약성 이론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없으며, 특히 이러한 조성물의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해 알려진 바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영릉향 10~20중량%, 고본 10~20중량%, 감송 10~20중량%, 모향 10~20중량%, 하엽 10~20중량% 및 백작약 20~30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조성물은 더욱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a`) 초임계 추출법; 및 (a``)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8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장벽기능 개선용 또는 피부 보습용인 것이 좋다.
한편, 영릉향은, 영향풀, 훈초, 향초, 또는 영향초라고도 불리는 전초로서, 앵초과(Primulaceae)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을 말한다. 이는 외관상 지상부와 뿌리인 지하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상부는 크게 줄기와 잎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 중 줄기는 약 40~70 cm 정도까지 자라며, 잎은 겹잎으로 약 4~6 cm 정도로 어긋나고 뽀족한 선단과 긴 엽병을 가진다. 이러한 영릉향은 강한 향기가 있어 해충기피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풍한사를 없애고 기의 순환을 촉진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알려져 감기와 두통치료제로도 사용되어 왔고, 염증 제거에 효과가 있어 지루성 두피염, 치통, 설사 또는 유정 등의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고본은, 고본 및 동속 식물의 근경 및 근으로서 여기에는 정유가 포함되어 있고, 그 주요성분은 3-부틸 프탈라이드(3-butyl phthalide), 큰딜라이드(cndilide)이며 뿌리는 정유가 1.5% 함유되어 있으며, 이의 약리작용으로는 발표산한(發表散寒), 거풍지통(祛風止痛)의 효능이 있다.
감송은, 마타리과 식물인 감송향(Nardostachys chinensis Batal .)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몇몇 아시아 국가들에서 강장제, 자극제 및 항경련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간질, 병적 흥분, 심계 항진 및 경련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되어 왔다.
모향은, 벼과 식물인 모향(Hierochloe odorata Beauv .)의 전초를 말린 것으로,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민간에서 모향을 만성 위장병, 폐결핵, 열성 질병에 쓴다.
하엽은, 연꽃의 잎으로, 그 성분은 잎에 로에메린(roemerine), 누시페린(nuciferine), 노누시페린(nornuciferine), 아메파빈(armepavine), n-노누시페린(n-nornuciferine), 프로누시페린(pronuciferine), d-n-메틸코클라우린(d-n-methylcoclaurine), 리리오데닌(liriodenine), 아논아인(anonaine),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네럼보사이드(nelumboside), 주석산, 구연산, 사과산, 수산, 호박산, 글루콘(glucon)산, 탄닌(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코피 등 출혈증,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작약은, 모란과(Paeoniaceae)의 다년생초인 작약(Paeonia albiflora P.Paeonia lactiflora P.) 및 산작약(Paeonia obovata M.)의 뿌리이다. 백작약은 희고, 보혈제, 진정제, 부인과·외과(外科)의 약재로 쓰인다. 성분으로는 파이오이플로린(paeoniflorin), 파이오놀(paeonol), 파이오닌(paeonine), 탄닌(tannin), 벤조산(benzoic acid), 안식향산, 정유, 수지, 당 등을 함유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2형태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 (L.) pers)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인 오미조세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미조세약은, 오미약성(五味藥性)과 조세약을 이용하여 조성된 혼합물을 곰보버섯으로 발효시켜 제조된다. 오미약성(五味藥性)이란 생약의 맛으로 약제를 분류한다는 이론이고, 조세약이란 풍조로 몸이 가려운 것을 치료하는 약으로, 위령선, 영릉향, 모향, 건하엽, 고본, 곽향, 백지, 감송향을 물에 끓여 졸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미약성과 조세약을 이용하여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을 조성하였고, 이와 같이 조성된 혼합물을 곰보버섯으로 발효시킴으로써 오미조세약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오미조세약은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하는데, 아직까지 오미조세약의 이러한 효과에 대해서 알려진 바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 영릉향 10~20중량%, 고본 10~20중량%, 감송 10~20중량%, 모향 10~20중량%, 하엽 10~20중량% 및 백작약 20~30중량%로 조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배지에 첨가하여 곰보버섯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은 더욱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배양액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a`) 초임계 추출법; 및 (a``)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0~8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 초임계 유체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또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은 일 예로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초임계 유체로 사용함으로써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공용매는 일 예로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통해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시료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쉽게 제거할 수 있고,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수용성 용매 속에서 초음파가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물질을 파괴시킬 수 있다. 초음파를 가하게 되면, 발생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가 커져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된다. 또한,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 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된 시료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일 예로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를 사용할 수 있고, 동결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1형태의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 제2형태의 오미조세약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3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고,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 않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일 예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함유된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비누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곰보버섯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 피부 장벽기능 개선 효과, 피부 보습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영릉향 15 g, 고본 15 g, 감송 15 g, 모향 15 g, 건하엽 15 g 및 백작약 25 g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물에 70% 에탄올 5 L를 첨가한 후, 냉각콘덴서가 부착된 추출기에서, 80℃의 온도로 3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30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한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다시 한번 여과하였다. 그 후, 냉각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로 6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여 13 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하기에서는 이와 같이 추출된 추출물을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이라고 지칭하였다.
[ 실시예 2~19: 오미약성 이론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추출 용매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단위:g)
실시예 2 정제수 7.6
실시예 3 10% 에탄올 8.9
실시예 4 20% 에탄올 10.2
실시예 5 30% 에탄올 12.5
실시예 6 40% 에탄올 12.3
실시예 7 50% 에탄올 14.8
실시예 8 60% 에탄올 14.4
실시예 9 80% 에탄올 10.7
실시예 10 90% 에탄올 10.9
실시예 11 100% 에탄올 10.1
실시예 12 메탄올 9.9
실시예 13 n-프로판올 6.5
실시예 14 이소프로판올 7.8
실시예 15 2-부탄올 7.6
실시예 16 아세톤 6.4
실시예 17 클로로포름 6.0
실시예 18 에틸아세테이트 6.2
실시예 19 1,3-부틸렌글리콜 7.1
[ 실시예 20: 오미조세약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건하엽 및 백작약의 혼합 추출물을 약 10%가 되게 정제수에 희석한 후, 곰보버섯 배양용 배지에 30 g/L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첨가 후, 곰보버섯 균주(Morchella esculenta (L.) pers) 5일 배양액을 2.5% (v/v)의 양으로 첨가했다.
이후, 배양 온도 26℃, pH 6 및 호기적 조건에서 10일간 배양하고, 배양을 완료하였다. 배양 완료 후, 멸균하고 300메쉬(mesh)로 여과하여 균체를 제거함으로써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하기에서는 상기에서 수득한 여과액을 '오미조세약-배양액'이라 지칭하였다.
[ 실시예 21: 오미조세약의 제조]
상기 실시예 20에서 제조된 '오미조세약-배양액'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하기에서는 상기 수득된 추출물을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이라 지칭하였다.
[ 비교실시예 1: 곰보버섯 배양액의 제조]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 (L.) pers) 균주는 신선한 자실체로부터 직접 분리하였으며, 곰보버섯 균사체를 효모-맥아즙 한천배지(효모 추출물 3 g, 맥아즙 3 g, 포도당 10 g, 펩톤 5 g, 한천 20 g, 증류수 1 ℓ)가 든 시험관에 사면배양하여 4℃에 보관하고 1개월 마다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사면배지에서 자란 균사체를 무균적으로 균질화하고, 이를 포도당 3%, 효모 추출물 1.0%를 함유한 단순 복합 배지로 하며 pH 5.5로 조정한 액체배지에 5% (v/v)되게 접종한 후, 발효조 내에서 온도 27℃, 회전수 150 rpm, 통기량 1.5 vvm의 조건으로 10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완료 후, 균사체를 원심분리를 통해 제거한 배양 여액을 종이필터 (watman no.4)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하기에서는 상기 여과액을 '일반 곰보버섯 균사체 배양액'이라고 지칭하였다.
[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상기 실시예 20에서 제조된 오미조세약-배양액,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 상기 비교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을 각각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며, 그 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우선 하기 표 2의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하였고, (나)상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서서히 냉각하여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오미조세약-배양액,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20, 21, 비교실시예 1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비교제형예 2로 하였다.
원료 제형예 1
(중량%)
제형예 2
(중량%)
제형예 3
(중량%)
비교제형예 1
(중량%)
비교제형예 2
(중량%)
스테아릴 알콜 8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2
스테아린산 콜레스테롤 2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알콜에스테르 3 3 3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 아스테르 2 2 2 2 2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실시예 1)
1 - - - -
오미조세약-배양액
(실시예 20)
- 1 - - -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
(실시예 21)
- - 1 - -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
(비교실시예 1)
- - - 1 -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정제수 to 100
[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 2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개선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25~30세의 아토피 환자로서, 2년 이상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 30명에 대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동일인에게 왼쪽 손등의 피부를 3군데로 구분하여 1 부위에는 제형예 1을, 2 부위에는 제형예 2를, 3 부위에는 제형예 3을 도포하였고, 오른쪽 손등 피부를 2군데로 구분하여 1 부위에는 비교제형예 1을, 2 부위에는 비교제형예 2를 도포하였다. 각 화장료의 도포는 매일 저녁 세정 후, 피부에 1일 1회 60일간 도포하고 아토피성 피부염 상태 개선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화장료 조성물 사용 60일 후, 아토피성 피부염 상태 개선 정도를 매우 좋다, 좋다, 그저 그렇다로 구분하여 설문조사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매우 좋다 좋다 그저 그렇다
제형예 1 46.7% (14명) 30% (9명) 23.3% (7명)
제형예 2 86.7% (26명) 13.3% (4명) 0% (0명)
제형예 3 83.3% (25명) 16.7% (5명) 0% (0명)
비교제형예 1 20.0% (6명) 46.7% (14명) 33.3% (10명)
비교제형예 2 10.0% (3명) 33.3% (10명) 56.7% (17명)
측정 결과, '오미조세약-배양액'이 함유된 제형예 2와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3이 '매우 좋다'가 많아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고, 그 다음으로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1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이 함유된 비교제형예 1은 '좋다'가 가장 많았으나 '매우 좋다'가 낮아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가 어느 정도 있으며, 비교제형예 2는 '그저 그렇다'가 17명으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오미조세약'을 각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우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수분 흡습성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형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람의 건조 표피세포를 실시예 1의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실시예 20의 오미조세약-배양액, 실시예 21의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 비교실시예 1의 일반 곰보버섯 배약액 및 정제수에 각각 포화 흡수시키고 흡수된 물의 양을 측정한 후, 48시간 건조 후의 질량변화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측정된 질량의 변화로부터 피부 세포 단위 질량당 흡수된 물의 양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표피세포에 흡습되는 물의 양을 비교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제 사람의 피부에 있어서도 그 보습효과를 예상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람의 표피세포를 건조시켜 단위질량당 함유된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만든 후, 각각의 표피세포 시료의 무게와 함유된 물의 양을 카이저 방법(Kaiser metho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물의 함량이 측정된 표피세포를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오미조세약-배양액,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 및 정제수에 각각 24시간 담지하여 포화 흡수시켜준 뒤, 세포 내에 물이 포화흡수된 표피세포를 꺼내서 무게를 달고, 일부를 채취하여 카이저 수분 측정기로 함유되어 있는 단위질량당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후, 다시 48시간 감압건조시키고, 무게를 달고난 후, 일부를 채취하여 카이저 방법에 의해 수분량을 측정하여 함유되어 있는 단위질량당 수분의 양을 측정하였다 (수분 mg/표피세포 질량 g). 그 값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수분함량(수분 mg/표피세포 질량 g)
초기 건조상태 포화상태 재건조 후
정제수 400 780 400
실시예 1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400 800 500
실시예 20
(오미조세약-배양액)
400 820 650
실시예 21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
400 810 630
비교실시예 1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
400 780 580
측정 결과, '오미조세약-배양액' 및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로 포화 흡습시킨 표피세포가 재건조 과정에 있어 가장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이 높은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 '오미조세약'을 각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실험예 3: 피부 장벽 기능 회복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제형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기능 회복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사람의 상박에 테이핑 스트리핑 방법(Taping stripping Method)을 이용하여 피부의 장벽을 손상시킨 후, 표피 수분 손실량(TEWL,transdermal water loss)을 servomed사(스웨덴) 증발계 EPI(evaporimeter EP1)로 측정하여 4.0g/㎡/h에 도달하면,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 2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5 ㎠ 면적에 도포한 후, 표피 수분 손실량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경과 후에 측정하여 감소되는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공지의 지질혼합물(ceramide : cholesterol : fatty acid의 2 : 1 : 1 혼합물)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결과는 초기 손상된 장벽 상태에서의 표피 수분 손실량을 기준(100%)으로 하여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 료 0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제형예 1 85 66 47 43 38
제형예 2 85 63 35 21 21
제형예 3 85 64 39 26 23
비교제형예 1 85 68 57 45 40
비교제형예 2 85 70 60 50 41
지질혼합물 85 65 40 25 22
확인 결과, '오미조세약-배양액'이 함유된 제형예 2와 '오미조세약-배양액의 추출물'이 함유된 제형예 3이 8시간이 지난 후에도 표피 수분 손실 변화량이 21, 23 밖에 되지 않아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4시간 경과 후에는 '오미약성 이론을 이용한 추출물'이 '일반 곰보버섯 배양액'이 함유된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보다 우수한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영릉향 10~20중량%, 고본 10~20중량%, 감송 10~20중량%, 모향 10~20중량%, 하엽 10~20중량% 및 백작약 20~30중량%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a`) 초임계 추출법; 및
    (a``)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영릉향 10~20중량%, 고본 10~20중량%, 감송 10~20중량%, 모향 10~20중량%, 하엽 10~20중량% 및 백작약 20~30중량%를 혼합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 (L.) pers)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영릉향 10~20중량%, 고본 10~20중량%, 감송 10~20중량%, 모향 10~20중량%, 하엽 10~20중량% 및 백작약 20~30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 또는 배양액의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a`) 초임계 추출법; 및
    (a``) 초음파 추출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2. 영릉향, 고본, 감송, 모향, 하엽 및 백작약으로 조성된 혼합물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에 곰보버섯(Morchella esculenta (L.) pers) 균주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19344A 2016-02-18 2016-02-18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44A KR101648187B1 (ko) 2016-02-18 2016-02-18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44A KR101648187B1 (ko) 2016-02-18 2016-02-18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187B1 true KR101648187B1 (ko) 2016-08-16

Family

ID=5685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344A KR101648187B1 (ko) 2016-02-18 2016-02-18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479A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감송향, 고본, 배초향, 띠뿌리, 영릉향 및 연꽃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041B1 (ko) 2005-01-22 2006-10-12 최향자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KR20070055373A (ko) * 2005-11-24 2007-05-3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012551B1 (ko) 2004-11-12 2011-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2231A (ko) * 2010-04-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551B1 (ko) 2004-11-12 2011-02-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633041B1 (ko) 2005-01-22 2006-10-12 최향자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한방 화장품
KR20070055373A (ko) * 2005-11-24 2007-05-30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10112231A (ko) * 2010-04-06 2011-10-12 (주)아모레퍼시픽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전통지식포탈(2007.12.06.[2016.04.11. 검색], 인터넷 URL <http://www.koreantk.com/ktkp2014/prescription/prescription-view.view?preCd=P0002895>) *
한국전통지식포탈(2007.12.06.[2016.04.11. 검색], 인터넷 URL <http://www.koreantk.com/ktkp2014/prescription/prescription-view.view?preCd=P000289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9479A (ko) 2022-10-27 2024-05-07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감송향, 고본, 배초향, 띠뿌리, 영릉향 및 연꽃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590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발효 식물성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1303295B1 (ko) 겨우살이 발효추출물, 모근 발효추출물 및 콩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증식 촉진 또는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0762965B1 (ko)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141497A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3655A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90B1 (ko) 배초향을 함유하는 피지관리 및 모공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87B1 (ko)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73698B1 (ko) 오미자 추출물과 대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670776B1 (ko) 명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7146A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185B1 (ko) 사자발약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5988A (ko) 천연물 추출물을 담지하는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5741B1 (ko) 카퍼, 올리브나무, 당귤 및 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