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53B1 -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53B1
KR101956553B1 KR1020170034355A KR20170034355A KR101956553B1 KR 101956553 B1 KR101956553 B1 KR 101956553B1 KR 1020170034355 A KR1020170034355 A KR 1020170034355A KR 20170034355 A KR20170034355 A KR 20170034355A KR 101956553 B1 KR101956553 B1 KR 101956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kin
cosmetic composition
ginseng
ferment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279A (ko
Inventor
이재근
권경철
김철중
이예지
유창연
최선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34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경피 흡수율이 높아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효율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으며,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은 물론 주름개선 등의 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nanoemulsion containing fermented product of tissue cultured ginseng adventitious root extract with increased anti-oxidant activity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체액의 손실을 막고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으로 크게 표피와 진피로 나누어지며 진피는 피하지방과 밀착되어 있다. 인체가 갖고 있는 약 70%의 수분은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 생리 활성 물질 등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피의 각질층은 약 40%의 단백질, 40%의 수분 그리고 10~20%의 지질을 함유하며, 이들 각질층의 표면은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얇은 천연 보호막으로 감싸져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예방한다.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천연보습인자(NMF, Natural Moisturizing Factor)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자외선 노출 등과 같은 환경의 변화 혹은 세안, 면도, 화장 습관, 냉/난방에 의한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른 피부 환경 변화와 더불어 사회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화장품 업계는 미백, 주름, 항산화, 항노화 등의 기능성 화장품의 신소재 개발과 더불어 실질적으로 피부에 적용 시 경피 흡수율을 높이는 기술이 중요한 과제이다. 피부라는 매우 뛰어난 장벽에 의해 유효성분이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를 촉진시켜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화장품 업계의 주요 화두이다.
에멀젼(emulsion)이란 미세한 액체 방울의 연속상이 액체 매질에 분산되어 있는 계로,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나노에멀젼은 입자 크기가 20~200nm인 액체 분산계로 일반 에멀젼과 달리 입자들 사이의 응집 현상이나 합일 현상이 없어 낮은 점도 조건에서도 장기간 안정한 특징이 있으며, 피부 흡수성이 뛰어나 피부에 잘 작용하므로 약물전달체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로 항산화 또는 항균 물질의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여 안정성이나 피부 흡수력 증가 및 유효성분의 활성화에 대해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산삼(Panax ginseng C.A Meyer)은 고려인삼의 시조로서 오가과(Araliaceae),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천연산삼은 더욱 발견되는 것이 희박해 지고 있으며, 소수의 심마니들에 의해서 발견되는 신비의 양약으로 알려져있다. 산삼은 천종, 지종, 인종, 장뇌삼의 4가지로 분류되는데 천종, 지종, 인종은 야생 삼으로 조류가 종자를 먹은 뒤 산 속에 배설하여 자생한 것을 말한다. 장뇌산삼은 산삼의 종자를 야생에서 인위적으로 재배한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첨단 생명공학기술을 응용하여 산삼을 실험실에서 조직배양시키는 기술이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생물배양기(bioreactor)를 이용하여 병충해, 계절변화, 토지조성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재배가 어려운 약용식물의 조직이나 세포를 연중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유용성분의 표준화가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산삼배양근은 야생산삼의 조직 일부를 떼어내어 무균상태로 기내도입하여 식물의 전형성능(totipotency)에 의해 형성되는 부정근(adventitious root)을 말한다. 산삼배양근 발효물에는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5, Rk1, Rh2, Rg3 등 인삼에는 거의 들어있지 않은 사포닌을 비롯하여 Rb1, Rb2, Rh1, Rg1, Rg2 등 미량으로 존재하는 사포닌과 폴리페놀 화합물, 폴리아세틸렌, 알칼로이드, 미네랄(Ge, Se, Mn, V, Ti 등) 등 다양한 영양성분들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팩의 어원은 package로 '포장하다', '감싼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마스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내려오는 가장 오래된 화장품으로 '얼굴에 작용물질을 덮어 놓았다가 떼어내는 것'을 말하며 기초화장품으로 분류되어 피부정돈과 보호의 목적을 갖는 제품을 말한다. 오랜 역사를 지닌 팩은 과거와 현재 모두 아름다운 피부를 갖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으로서, 과거 팩의 시초는 자연을 통해 얻어진 재료를 이용하여 사용해 왔다. 현대에는 가공을 거쳐 우수한 효능을 보강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이를 편하고 쉽게 구해 사용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팩들은 기존 팩과 비교하여 주로 보습과 유연기능을 주목적으로 사용하던 기능의 팩보다 더욱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것들이 상용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다양한 팩 종류에서 부직포 침적성상의 마스크팩은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매일 사용이 가능하여 적절한 성분들을 첨가하면 많은 공을 들이지 않고도 피부에 보습을 줄 수 있음으로 간편함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큰 인기가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315440호에는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케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513902호에는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되고, 라디칼 소거능이 향상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이 함유된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마스크팩에 이용할 에센스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에센스의 피부 효능을 분석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유량 및 유분함유량을 증가시키고 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은 경피 흡수율이 높아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효율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통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 주름개선 등의 노화방지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고압균질화기 사용 전·후의 입자 크기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의 피부 적용 후의 수분함유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3은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의 피부 적용 후의 유분함유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의 피부 적용 후의 수분손실량을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은 조직배양한 산삼배양근의 에탄올 추출물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us pentosaceus)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 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나노에멀젼은 구체적으로, 0.5~5 중량%의 산삼배양근추출물의 발효물; 1~7 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0.1~2 중량%의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10~30 중량%의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 0.1~2 중량%의 콜레스테롤(cholesterol); 3~15 중량%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및 55~80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중량%의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3 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5 중량%의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20 중량%의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5 중량%의 콜레스테롤; 7 중량%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68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은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에 의한 효과가 미약해질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산삼의 사포닌 성분에 의하여 나노에멀젼 형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나노에멀젼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7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막 성분의 과다로 인하여 에멀젼 내에 포접되는 성분의 양이 적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의 효과가 불충분해진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계면활성 성질을 가진 물질로, 유화보조 및/또는 가용화제의 역할을 한다.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는 글리시리직애씨드(Glycyrrhizic acid)의 디포타슘으로, 유해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피부톤을 맑게 해줄 뿐만 아니라,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유사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피지조절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나노에멀젼의 제조는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특정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0.1~3 중량%의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0.01~1 중량%의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01~1 중량%의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0.01~1 중량%의 잔탄검(Xanthan Gum); 1~10 중량%의 이소펜틸디올(isopentyldiol); 1~5 중량%의 글리세린(Glycerin); 0.01~2 중량%의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1~1 중량%의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1~1 중량%의 클로페네신(chlorphenesin); 0.01~0.5 중량%의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0.5~3 중량%의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0.01~0.3 중량%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0.01~0.3 중량%의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1~5 중량%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1~5 중량%의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0.1~2 중량%의 올리브오일(Olive Oil); 0.05~3 중량%의 디메치콘(Dimethicone); 0.05~3 중량%의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0.05~0.5 중량%의 향료 및 70~90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1 중량%의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0.05 중량%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5 중량%의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5 중량%의 잔탄검; 5 중량%의 이소펜틸디올; 2 중량%의 글리세린; 0.02 중량%의 디소듐이디티에이; 0.3 중량%의 페녹시에탄올; 0.3 중량%의 클로페네신; 0.1 중량%의 세테아릴알코올; 1 중량%의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0.1 중량%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1 중량%의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3 중량%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 중량%의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 중량%의 올리브오일; 1.2 중량%의 디메치콘; 1.2 중량%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1 중량%의 향료 및 80.43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분,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1. 식물재료
실험에 사용된 식물재료는 강원도 양구군에서 채취한 35년근 야생토종산삼을 수세한 후 기내 도입하였다. 증류수 1ℓ, SH(Schenk-Hildebrandt) 배지 2.3mg, 자당 30mg, IBA(indolebutyric acid) 2mg의 조성 배지에 식물용 한천 10g/ℓ를 첨가하여 만들어진 고체배지에 수세한 산삼을 얇게 잘라 넣어 부정근을 유도하였다. 이후 유도된 부정근을 250㎖ 삼각플라스크에 0.3~0.5cm의 크기로 잘라 넣어 중탕배양으로 증식시키고 18ℓ 생물반응기에 접종하여 7주간 대량증식한 후 재료로 사용하였다.
2. 공시균주
균주는 농업유전자정보센터(KACC)에 기탁한 그람 양성균인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us pentosaceus) HLJG0702(KACC 81017BP)를 이용하였다.
3. 산삼배양근추출 발효물
산삼배양근을 120℃에서 열처리한 후 열풍건조하여 70% 주정 10배(v/w)에 추출하였다. 이후 농축하여 완전하게 주정성분을 제거하고 정제수에 현탁하여 5~10 브릭스(brix)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페디오코커스 팬토사세우스(Pediococus pentosaceus) HLJG0702 배양액을 상기 현탁액의 5~10%로 접종한 후 발효하였다. 발효 종료 후, 실활(deactivation)하고 5㎛로 여과하여 고형분 60%로 농축하였다.
4. 총 페놀 함량 측정
총 페놀의 함량은 Taga 등(1984)에 의해 실시된 Folin-Ciocalteau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간단하게, 시료 13㎕(10㎎/㎖)에 25㎕의 Folin-Ciocalteau 용액을 가하여 5분간 상온에서 안정화시킨 후, 20%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200㎕를 가하고 30℃에 3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준물질인 갈릭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GAE(gallic acid equivalents)로 나타내었다.
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시료 100㎕(10mg/㎖)에 80% 에탄올 900㎕를 혼합하여 희석한 후 시료 500㎕에 10% 알루미늄 니트레이트(aluminium nitrate) 100㎕, 1M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 100㎕, 80% 에탄올 4,300㎕를 차례로 가하고 4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특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물질은 퀘세틴(quercetin)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QE(quercetin equivalents)로 나타내었다.
6.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검정은 7mM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와 2.45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방치 후, 라디칼을 형성시키고,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2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이 되게 PBS(phosphate saline, pH 7.4)로 희석한 후, 희석용액 990㎕에 시료 10㎕를 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소거 활성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7.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시료 100㎕에 0.2 mM DPPH 100㎕를 혼합하여 상온, 암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소거 활성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8. 에센스의 방부시험
방부시험에 사용한 미생물은 국제화장품협회(CTFA)의 기준에 의거하여 화장품 사용시 오염될 수 있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의 세균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진균을 이용하였다. 시험 제품 1㎖(g)당 세균 106-7 cfu/㎖ 또는 진균 105-6 cfu/㎖을 접종하고, 접종 직 후, 1일 후, 3일 후 및 7일 후에 제품 내 접종 균의 수를 계산하여, 미생물 증감을 확인하였다.
9. 에센스의 피부 효능 평가
하기 제조예 1 또는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의 피부 적용에 따른 수분함유량, 유분함유량, 수분손실량 등을 3주간 조사하였다.
9-1. 수분함유량 시험
3명의 시험자를 대상으로 에센스를 사용한 볼(실시예)과 바르지 않은 반대편 볼(비교예) 부위의 피부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9-2. 유분함유량 시험
3명의 시험자를 대상으로 에센스를 사용한 볼(실시예)과 바르지 않은 반대편 볼(비교예) 부위의 피부 유분함유량을 측정하였다.
9-3. 수분손실량 시험
3명의 시험자를 대상으로 에센스를 사용한 볼(실시예)과 바르지 않은 반대편 볼(비교예) 부위의 피부 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나노에멀젼 제조
수상비커에 약 1,000ml 증류수에 45g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을 교반하여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이 물을 충분히 머금을 수 있도록 한 후, 300g의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rrhizate)를 추가로 넣어주고, 열판에 올려 75~80℃까지 가온하면서 교반한다.
유상비커에 7.5g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과 7.5g의 콜레스테롤 USP 및 105g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넣어주고, 열판에 올려 80℃까지 가온하면서 교반한다. 상기 수상비커의 혼합물과 유상비커의 혼합물이 80℃에서 모두 녹은 것을 확인한 후, 80℃의 조건하에서 상기 수상비커의 혼합물을 2,0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15.0g과 상기 유상비커의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상기 수상비커의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면서 유화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제조된 유화혼합물을 교반하면서 20℃로 천천히 냉각시킨 후, 고압균질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1,000bar의 조건으로 연속 7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비교하였다.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배합비
성분 배합비 (단위 : 중량%)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1.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3.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2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
콜레스테롤 USP 0.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7.0
증류수 68.0
합계 100.0
제조예 2.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의 제조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나노에멀젼이 함유된 에센스를 하기 표 2의 배합비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수상에 정제수와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이소펜틸디올 그리고 수용성 폴리머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와 잔탄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페녹시에탄올, 클로페네신을 분산시킨 후, 75℃에서 충분히 교반시켰다. 유상에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올리브오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디메치콘, 비이온성 유화제인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고급 알코올인 세테아릴알코올을 75℃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수상과 유상을 75℃로 유지한 후 수상에 유상을 투입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500rpm으로 10분간 1차 유화하였다. 유화 후 50℃까지 냉각한 후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과 향료를 넣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500rpm으로 3분간 2차 유화하였다. 유화 후 제조된 에멀젼 조성물을 28℃까지 냉각시켰다.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 배합비
성분 배합비(단위 : 중량%)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5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잔탄검 0.05
정제수 80.43
이소펜틸디올 5
글리세린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페녹시에탄올 0.3
클로페네신 0.3
세테아릴알코올 0.1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1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
올리브오일 1
디메치콘 1.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2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1
향료 0.1
실시예 1. 산삼배양근 처리 조건별 생리활성 분석
산삼배양근, 열처리 산삼배양근,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산삼배양근 및 열처리 산삼배양근이 각각 110.35±1.87mg GAE/g 및 86.82±2.48mg GAE/g으로 열처리에 의해 페놀 함량이 감소하였고, 발효하였을 때 180.20±2.21mg GAE/g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표 3).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는 일반 산삼배양근이 73.57±1.55mg QE/g으로, 열처리 산삼배양근 및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인 52.02±0.80mg QE/g 및 44.12±2.74mg QE/g 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산삼배양근 < 열처리 산삼배양근 <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순서로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삼배양근 처리조건별 생리활성 비교
산삼배양근 열처리 산삼배양근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총 페놀 함량
(mg GAE/g)1)
110.35±1.87 86.82±2.48 180.20±2.21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 QE/g)2)
73.57±1.55 52.02±0.80 44.12±2.74
ABTS 라디칼 소거활성
RC50 (㎍/㎖)3)
383.68±9.53 180.76±5.06 120.76±5.06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1.000㎍/㎖)
47.70±0.80 73.90±0.40 79.91±1.54
1) GAE : gallic acid equivalents
2) QE : quercetin equivalents
3) RC50 : 30분 후의 50% ABTS 라디칼 환원값
실시예 2.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입자 크기 분석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직경 및 비표면적을 레이저 광산란(laser light scattering)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하기 위해, 용매로 사용된 증류수를 기준광으로 하여 입자 측정 후,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1g을 취해 증류수 100㎖에 분산시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은 입자크기가 평균 236nm로 확인되어, 피부 침투가 용이한 사이즈의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실시예 3.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 방부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에센스에 세균과 진균을 접종하여 미생물 증감을 분석한 결과, 미생물 접종 7일 후에는 모든 세균 및 진균에 대해 감소율이 100%로 확인되어, 본 발명의 에센스의 방부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4 및 표 5).
에센스 방부시험 - 세균
세균* 접종 직후 접종 1일 후 접종 4일 후 접종 7일 후
측정횟수 균수
(cfu/㎖)
감소율 (%) 균수
(cfu/㎖)
감소율 (%) 균수
(cfu/㎖)
감소율 (%) 균수
(cfu/㎖)
감소율 (%)
1 19000000 17.39 0 100 0 100 0 100
2 18000000 21.74 0 100 0 100 0 100
3 18000000 21.74 0 100 0 100 0 100
1)* : 상기된 세 가지 세균류를 혼합하여 3회 반복 측정
에센스 방부시험 - 진균
진균 접종 직후 접종 1일 후 접종 4일 후 접종 7일 후
측정횟수 균수
(cfu/㎖)
감소율 (%) 균수
(cfu/㎖)
감소율 (%) 균수
(cfu/㎖)
감소율 (%) 균수
(cfu/㎖)
감소율 (%)
1 1100000 0 72000 93.45 2000 99.82 0 100
2 800000 27.27 73000 93.36 1400 99.87 0 100
3 1100000 0 67000 93.91 600 99.95 10 100
실시예 4.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이 포함된 에센스의 피부 효능 평가
4-1. 수분함유량 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에센스의 피부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에센스를 피부에 적용하고 수분함유량을 3주간 측정한 결과, 에센스를 사용한 볼의 수분함유량 평균은 61.08±10.44 ㎍/cm2, 사용하지 않은 반대편 볼의 수분함유량 평균은 50.18±9.71 ㎍/cm2로 확인되어(표 6), 에센스를 사용한 볼의 수분함유량이 사용하지 않은 볼의 수분함유량에 비해 유의차 있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에센스 효능 - 수분함유량
피험자 Capacitance(A.U.)
수분함유량 (㎍/cm2)
1 비교예 49.99 ± 9.15
실시예 57.44 ± 11.14
2 비교예 50.80 ± 12.04
실시예 63.48 ± 10.84
3 비교예 49.76 ± 7.93
실시예 62.31 ± 9.35
평균 비교예 50.18 ± 9.71
실시예 61.08 ± 10.44
4-2. 유분함유량 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에센스의 피부 적용에 따른 유분함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3주간 측정한 결과, 에센스를 사용한 볼의 유분함유량의 평균은 21.42±20.18 ㎍/cm2, 사용하지 않은 반대편 볼의 유분함유량 평균은 13.89±11.80 ㎍/cm2로 확인되었다(표 7 및 도 3).
에센스 효능 - 유분함유량
피험자 유분함유량 (㎍/cm2)
1 비교예 14.88 ± 9.39
실시예 25.04 ± 27.48
2 비교예 15.96 ± 13.06
실시예 23.04 ± 15.56
3 비교예 10.84 ± 12.94
실시예 16.18 ± 17.49
평균 비교예 13.89 ± 11.80
실시예 21.42 ± 20.18
4-3. 수분손실량 시험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에센스의 피부 적용에 따른 피부의 수분손실량을 확인하기 위해 3주간 측정한 결과, 에센스를 사용한 볼의 수분손실량 평균은 12.21±3.040 g/hm2, 사용하지 않은 반대편 볼의 수분손실량 평균은 18.04±5.37 g/hm2인 것을 확인하였다(표 8). 에센스를 사용한 볼의 수분손실량이 사용하지 않은 볼의 수분손실량에 비해 유의차 있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에센스의 수분손실량
피험자 수분손실량(TEWL) (g/hm2)
1 비교예 17.56 ± 4.43
실시예 12.54 ± 3.29
2 비교예 17.85 ± 5.17
실시예 11.65 ± 2.88
3 비교예 18.71 ± 6.52
실시예 12.45 ± 2.95
평균 비교예 18.04 ± 5.37
실시예 12.21 ± 3.04

Claims (5)

  1. 총 페놀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나노에멀젼은 1 중량%의 산삼배양근추출물의 발효물; 3 중량%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틴; 0.5 중량%의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20 중량%의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5 중량%의 콜레스테롤; 7 중량%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및 68 중량%의 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삼배양근추출물의 발효물은 조직배양한 산삼배양근의 에탄올 추출물을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하며,
    상기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1 중량%의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 함유 나노에멀젼; 0.05 중량%의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5 중량%의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5 중량%의 잔탄검; 5 중량%의 이소펜틸디올; 2 중량%의 글리세린; 0.02 중량%의 디소듐이디티에이; 0.3 중량%의 페녹시에탄올; 0.3 중량%의 클로페네신; 0.1 중량%의 세테아릴알코올; 1 중량%의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0.1 중량%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1 중량%의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3 중량%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3 중량%의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 중량%의 올리브오일; 1.2 중량%의 디메치콘; 1.2 중량%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1 중량%의 향료 및 79.98 중량%의 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 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34355A 2017-03-20 2017-03-20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6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355A KR101956553B1 (ko) 2017-03-20 2017-03-20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355A KR101956553B1 (ko) 2017-03-20 2017-03-20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79A KR20180106279A (ko) 2018-10-01
KR101956553B1 true KR101956553B1 (ko) 2019-03-11

Family

ID=6387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355A KR101956553B1 (ko) 2017-03-20 2017-03-20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40B1 (ko) * 2010-10-20 2013-10-07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166B1 (ko) * 2003-09-03 2005-12-29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나노 에멀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192161B1 (ko) * 2010-06-21 2012-10-17 (주)에이씨티 다공성 폴리머 비드와 나노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9385B1 (ko) * 2015-04-13 2017-07-19 강현송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발효 산삼배양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40B1 (ko) * 2010-10-20 2013-10-07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민석 외, 한국공업화학회, 11권 1호, 학술대회 발표논문 (2007.05.11.-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79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WO2004016236A1 (ja) 化粧料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080160114A1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20210017590A (ko)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8391A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4932B1 (ko) 아세로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리포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74556B1 (ko) 둥근마, 신선초, 오크라 및 토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2253B1 (ko) 방부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602542B1 (ko) 대마와 피부유래 유산균의 발효 기술에 의한 스포츠용 화장품 개발
KR101761125B1 (ko) 허니부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878941B1 (ko) 산삼배양근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6553B1 (ko)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201598A (ja) 抗酸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2371360B1 (ko)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5402B1 (ko) 산자나무 오일을 함유하는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20B1 (ko) 프로방스장미꽃잎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