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440B1 -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440B1
KR101315440B1 KR1020100102278A KR20100102278A KR101315440B1 KR 101315440 B1 KR101315440 B1 KR 101315440B1 KR 1020100102278 A KR1020100102278 A KR 1020100102278A KR 20100102278 A KR20100102278 A KR 20100102278A KR 101315440 B1 KR101315440 B1 KR 101315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anoemulsion
wild ginseng
present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822A (ko
Inventor
최순기
최권철
이순영
유효경
지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담화장품
Priority to KR1020100102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4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로 불포화 레시친 0.5 내지 5 중량%,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솔베이트 80 0.5 내지 5 중량%,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리포좀 안정화제 0.01 내지 0.5 중량% 및 물 3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경피 흡수율이 높아 산삼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투명성 및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NANOEMULSION CONTAINING WILD GINSENG EXTRACT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로 불포화 레시친 0.5 내지 5 중량%,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솔베이트 80 0.5 내지 5 중량%,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리포좀 안정화제 0.01 내지 0.5 중량% 및 물 3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삼(蔘)의 기원은 지금으로부터 삼 천만년 전 지질시대이며, 학명은 Panax ginseng C.A Meyer로 그리스어로 "만병통치약" 이라는 뜻이다. 삼은 예로부터 신의 영약(靈藥)으로 전해져 내려오며, 해동기략(海東記略)에 기술된 불로초(不老草)는 우리나라의 고려 삼을 뜻하는 것으로 한국 삼의 효능은 세계 최고이다. 산삼은 예로부터 신비한 영약으로 취급되어 전설 속에 등장할 만큼 희귀식물이다. 이 희귀성과 약효의 신비성으로 전설적인 약용식물로 불린다. 산이 거칠고 골짜기가 깊은 곳에서 자생하는 산삼은 가장 귀하고 가치가 있는 약초로, 특히 천연산삼은 더욱 발견되는 것이 희박해 지고 있으며, 소수의 심마니들에 의해서 발견되는 신비의 영약으로 알려져 있다.
산삼은 천종, 지종, 인종, 장뇌 삼의 4가지로 분류한다. 천종, 지종, 인종은 야생 삼으로 조류가 종자를 먹은 뒤 산 속에 배설하여 자생한 것을 말한다. 장뇌산삼은 “산삼의 종자를 야생에서 인공적으로 재배한 것”이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삼으로 분류하여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장뇌산삼의 모양은 일반 인삼과 달리 뇌두가 길고, 몸통이 가늘고 길게 생긴 것이 특징이며, 6년간 야생, 주로 산에서 자라기 때문에 삼의 성분이 축적되어 인삼보다 그 효력이 뛰어나다.
산삼의 주요성분은 배당체(glycosides)성분인 사포닌(saponin)을 비롯하여, 질소함유 화합물로서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 알칼로이드, 지용성 성분으로 지방산, 정유, 폴리아세틸렌, 페놀화합물, 파이토스테롤(phytosterol), 테르페노이드(terpenoid), 당류로서 단당류와 올리고당, 다당류, 펙틴질 그리고 비타민 류와 무기질, 알카로이드 성분 등 매우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포닌 성분은 식물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성분이다(약 750여 종 식물). 사포닌이란 수용액에서 비누처럼 미세한 거품을 내는 것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사포닌 성분은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므로 쉽게 거품을 내고 용혈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인삼 사포닌은 약성이 온화하고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용혈작용이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인삼 사포닌 성분은 타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화학구조가 전혀 다르다. 그래서 인삼 사포닌은 타 식물계 사포닌과 구별하기 위해서 인삼(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부른다.
그러나 산삼 추출물은 분자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생체, 특히 피부를 통하여 흡수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산삼 추출물이 효율적으로 피부에 침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산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생체 내로 전달하여 생체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나노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로 불포화 레시친 0.5 내지 5 중량%,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솔베이트 80 0.5 내지 5 중량%,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리포좀 안정화제 0.01 내지 0.5 중량% 및 물 3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personal care)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산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로 불포화 레시친 0.5 내지 5 중량%,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솔베이트 80 0.5 내지 5 중량%,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리포좀 안정화제 0.01 내지 0.5 중량% 및 물 3 내지 70 중량%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유효성분으로 산삼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산삼 추출물은 산삼을 추출함으로써 제조된다. 산삼은 그 대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자연산 산삼 이외에 산삼 배양근도 사용이 될 수 있으나 효능상 자연산 산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삼의 추출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산삼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C1 -4 알코올, n-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산삼 추출물은 나노에멀젼에 5 내지 30 중량%가 포함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산삼 추출물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산삼 추출물에 의한 효과가 미약해질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산삼의 사포닌 성분에 의하여 리포좀이 분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계면활성제로 불포화 레시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 레시친은 레시친은 다양한 포스포리피드의 혼합물로, 포스포리피드의 조성은 그 기원(origin)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나노에멀젼의 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 레시친은 나노에멀젼에 0.5 내지 5 중량%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레시친이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나노에멀젼의 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막 성분의 과다로 인하여 에멀젼 내에 포접되는 성분의 양이 적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의 효과가 불충분해 진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상품명 Tween 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은 나노에멀젼을 보다 안정하게 유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은 나노에멀젼에 0.5 내지 5 중량%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폴리소르베이트 80가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화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를 0.5 내지 5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는 나노에멀젼의 막을 형성하는데 불포화 레시친으로 이루어지는 막을 더 촘촘히 쌓음으로써 더 작은 크기의 나노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가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나노에멀젼의 형성을 돕는 것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막 성분의 과다로 인하여 에멀젼 내에 포접되는 성분의 양이 적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의 효과가 불충분해 진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보습 효과의 부여 및 투명한 나노에멀젼의 형성을 위하여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은 나노에멀젼에 각각 1 내지 10 중량%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 각각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나노에멀젼이 불투명하여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나노에멀젼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리포좀 안정화제를 0.01 내지 0.5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 산(ascorbic acid), 폴리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가장 바람직하게는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이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 안정화제가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리포좀을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미비하여 질 수 있고, 0.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에멀젼의 제조는 당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나노에멀젼은 그 입자 직경의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50㎚이다. 나노에멀젼의 입자 직경의 크기가 약 10 내지 100㎚이면 피부로의 침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나노에멀젼은 나노리포좀으로 리포좀은 지질이중막으로 형성되는 폐쇄된 소포이고, 그 소포 공간 내에 수상(water phase)의 산삼추출물을 포함한다. 리포좀은 이중막(double layer)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SUV(small unilamellar Vesicle), LUV(Large unilamellar Vesicle), GUV(giant unilamellar Vesicle) 및 이러한 이중막이 5개 이상 이루어지는 멀티라멜라 소포체(MLV, multilamellar vesicle) 등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personal care)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스킨 케어 조성물, 바디 케어 조성물, 헤어 케어 조성물 등을 의미하고, 그 구체적인 예로는 바디 로션, 샴푸, 린스, 크림, 로션, 에센스, 스킨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이 나노에멀젼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나노에멀젼이 제공하는 효과가 미비해질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더라도 나노에멀젼이 제공하는 효과가 그 첨가되는 것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워 경제상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빠르게 인체에 흡수되어 높은 생체이용률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저장 안정성 및 투명성을 갖는다.
도 1은 나노에멀젼의 입자 직경의 크기를 Photal ELS-Z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A: 실시예 1의 나노에멀젼, B: 비교예의 나노에멀젼).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을 동결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확대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산삼 추출물의 제조
대한민국 25년산 산삼 2kg을 100% 에탄올 25ℓ에 3주 정도 침지시켰다. 그 추출물을 일차적으로 여과지를 이용하여 거른 후, 응축기에 넣고 에탄올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농축시켰다. 농축된 산삼 추출물을 물에 녹이고 나서 원심분리(20,000 rpm, 30분)한 다음 상층만을 취하여 산삼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
산삼 추출물 및 각 성분을 다음의 표 1의 조성으로 용기에 도입하여 80℃의 온도에서 용해시키고 나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microfluidizer)에서 1,000 bar로 연속 5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나노에멀젼을 얻었다.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1
실시예 2: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스킨의 제조
다음의 표 2의 조성으로 나노에멀젼을 이용하여 스킨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2
실시예 3: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로션의 제조
다음의 표 3의 조성으로 나노에멀젼을 이용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3
실시예 4: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바디 로션의 제조
다음의 표 4의 조성으로 나노에멀젼을 이용하여 바디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4
실시예 5: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크림의 제조
다음의 표 5의 조성으로 나노에멀젼을 이용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5
실시예 6: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에센스의 제조
다음의 표 6의 조성으로 나노에멀젼을 이용하여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6
실험예 1: 나노에멀젼의 입자 분포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 실시예 1의 평균 입자 직경 크기가 약 25 ㎚인 반면에 비교예의 경우 약 210 ㎚이여서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의 크기가 훨씬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나노에멀젼 입자 촬영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자를 촬영하였다.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기에 동결 전자현미경(JEM 1010, JEOL사, 일본)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도 2). 도 2로부터 나노에멀젼이 균일한 크기로 잘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산삼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경피 흡수촉진 효과 실험
8주 정도의 암컷 무모 기니아피그(strain IAF/HA-hrBR)를 이용하였다. 기니아피그의 복부 피부를 절취한후 Franz-type diffusion cell(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Franz-type diffusion cell의 Receptor용기(5㎖)에 50mM 인산염 완충액(pH 7.4, 0.1M Nacl)을 넣어준 후, diffusion cell을 32℃, 600 rpm으로 혼합, 분산시켜 주었으며,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나노에멀젼 50㎕를 donor용기에 넣어 주었다. 예정한 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는 0.64cm2가 되게 하였다. 유효성분의 흡수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kimwipes 또는 10㎖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고, 팁-타입 균질기(homogenizer)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산삼 추출물(사포닌의 양)을 4㎖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0.45㎛ 나일론 멤브레인(nylon membrane)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다음 조건으로 HPLC법으로 함량을 측정한 후에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 컬럼: C18(4.6 × 200mm, 5㎛)
- 이동상: 메탄올 : 헥산 = 2 : 1
- 유속: 0.8㎖/min
- 검출기: UV 275nm
Figure 112010067662428-pat00007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나노에멀젼은 그 입자 직경의 크기가 약 10 내지 50nm로 피부 장벽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 각질세포간 지질 사이보다 그 크기가 작아 경피 흡수량이 커서 효율적으로 산삼 추출물을 피부 내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6)

  1. 산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계면활성제로 불포화 레시친 0.5 내지 5 중량%,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소르베이트 80 0.5 내지 5 중량%, 폴리글리세린-10 올레이트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리포좀 안정화제 0.01 내지 0.5 중량% 및 물 3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에멀젼의 입자 직경의 크기가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안정화제가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브 산, 폴리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안정화제가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에멀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스킨 케어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나노에멀젼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킨 케어용 조성물.
KR1020100102278A 2010-10-20 2010-10-20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131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278A KR101315440B1 (ko) 2010-10-20 2010-10-20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278A KR101315440B1 (ko) 2010-10-20 2010-10-20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822A KR20120040822A (ko) 2012-04-30
KR101315440B1 true KR101315440B1 (ko) 2013-10-07

Family

ID=4614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278A KR101315440B1 (ko) 2010-10-20 2010-10-20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4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41B1 (ko) * 2016-03-29 2018-07-16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산삼배양근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279A (ko) * 2017-03-20 2018-10-01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3283A (ko) 2018-02-01 2019-08-0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38064A (ko)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후박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US11779539B2 (en) 2018-04-17 2023-10-10 Astin Co., Ltd. Non-surfactant type oil-water dispersion composition, non-surfactant type water-oil disper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oth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649B1 (ko) 2017-05-11 2019-03-25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경피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2007736B1 (ko) * 2018-01-22 2019-08-07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오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개인 미용 또는 위생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3B1 (ko) 2005-08-17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109789A (ko) * 2008-04-16 2009-10-21 장수산삼 영농조합법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037366A (ko) * 2008-10-01 2010-04-09 (주)아모레퍼시픽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한 리포좀을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588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3B1 (ko) 2005-08-17 2007-02-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109789A (ko) * 2008-04-16 2009-10-21 장수산삼 영농조합법인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037366A (ko) * 2008-10-01 2010-04-09 (주)아모레퍼시픽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과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한 리포좀을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41B1 (ko) * 2016-03-29 2018-07-16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산삼배양근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6279A (ko) * 2017-03-20 2018-10-01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6553B1 (ko) * 2017-03-20 2019-03-11 주식회사 화진바이오코스메틱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93283A (ko) 2018-02-01 2019-08-09 청운대학교산학협력단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US11779539B2 (en) 2018-04-17 2023-10-10 Astin Co., Ltd. Non-surfactant type oil-water dispersion composition, non-surfactant type water-oil dispersio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oth compositions
KR20200038064A (ko)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삼정트레이딩 후박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822A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440B1 (ko)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1318115B1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885993B (zh) 包含山参培养根提取物的类脂质体组合物及含有其的用于个人美容或个人护理的组合物
US201701819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smeceutical ingredients containing epi-dermal delivery mechanisms
WO2001037799A1 (fr) Extrait d'ajuga turkestanica et ses applications cosmetiques
JP6151686B2 (ja) 植物細胞内において安定化した活性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107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의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321962B2 (ja) オレアノール酸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01815573A (zh) 乳化物或分散物的制造方法,以及含有利用该制造方法得到的乳化物或分散物的食品、皮肤外用剂和医药品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20140066362A (ko) 홍삼 유래 피토스테롤 기반의 약물 운반체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KR101838384B1 (ko) 홍국 함유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2081180B1 (ko) 수크로오스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7214B1 (ko)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663154B1 (en) Mahonia aquifolium extract, extraction proces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253702B1 (ko)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674014B1 (ko)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3B1 (ko)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102272302B1 (ko)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1740136B1 (ko) 혈행 개선용 홍삼 함유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827611B1 (ko) 피코시아닌을 포함하는 유중수 마이크로 또는 나노에멀젼
KR102510260B1 (ko) 영여자 추출물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6077B1 (ko) 지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사르사사포게닌을 안정화한 삼중 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볼륨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8078B1 (ko) 리조레시친 및 글리세로포스포콜린을 이용한 리포좀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KR102551901B1 (ko) 퀘세틴,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나노 리포좀 베지클과 액정 드롭렛에 이중 봉입하여 안정성이 향상되고 다기능의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