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115B1 -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115B1
KR101318115B1 KR1020110111726A KR20110111726A KR101318115B1 KR 101318115 B1 KR101318115 B1 KR 101318115B1 KR 1020110111726 A KR1020110111726 A KR 1020110111726A KR 20110111726 A KR20110111726 A KR 20110111726A KR 101318115 B1 KR101318115 B1 KR 10131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ml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997A (ko
Inventor
주영아
김한곤
문성준
박주연
안애진
지홍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1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삼 추출물, 세라마이드, 포화 레시틴,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스테아릭산,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물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멀티라멜라 소포를 이용함으로써 분자량이 큰 홍삼 추출물의 생체 이용률을 높여, 적은 양으로도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이에 따른 항노화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ULTILAMELLA VESICLES CONTAINING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라마이드와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를 이용한 홍삼 추출물의 멀티라멜라 소포(multilamella vesicles)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된다.
최근 기능성 화장품이 대두되면서 캡슐레이션(capsulation)에 대한 가치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캡슐레이션은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등재된 것들이 산소, 물, 공기, 빛, 열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안정화가 요구됨에 따라 주목받게 되었다. 한편, 이들 원료들이 피부에 침투되어 좋은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달 시스템(delivery system)도 요구되는데, 이들 전달 시스템은 Microsphere (MIS), Microcapsules(MIC), 그리고 Liposome(LIP) 등으로 구분되며, 화장품 뿐만 아니라 화학, 생명과학, 생화학, 의학, 약학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MIS는 입자 사이즈가 20 ㎚ 내지 2000 ㎛로 1 개 또는 여러 개의 고분자 물질로 구성된다. MIS로서는 다공질(porous) 실리카를 예를 들 수 있는데, 화장품에서는 다공질 실리카의 미세공에 미용성분을 넣은 후 실리콘으로 코팅해서 기능성 파우더로 응용되고 있다. MIC는 광범위하게는 MIS와 유사하지만, 미용성분인 코어(core) 물질과 담체, 보호 성분 또는 부형제로 이루어진 폴리머 매트릭스 (polymer matrix) 또는 쉘(shell)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화장품 중에 소위 말하는 알알이 에센스를 보면, 내부 물질은 활성이 있는 미용성분을 O/W 또는 W/O 에멀젼 상태로 하여 젤라틴이나 소듐 카라기난 등의 외부 물질로 둘러싼 것이다.
한편, LIP는 폐쇄 소포체(phospholipid)로 사이즈는 50∼10000 ㎚이고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되며(unilamellar 또는 multilamellar), 멤브레인 사이 또는 안에 수상 또는 유상의 미용성분을 넣을 수 있다. LIP을 분류하면 SUV(small unilamella vesicles), LUV(large unilamella vesicles), GUV(giant unilamella vesicles), MLV(multilamella vesicles) 등이 있으며, 이중층(bilayer)이 5개 이상이면 MLV라 한다.
지질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하는 화합물로, 계란 노른자에서부터 인간 신경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되며, 특히 식물, 동물, 그리고 미생물 막의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지질은 용해도에 근거하여 정의되는데, 물에서는 거의 녹지 않고 비극성 유기 용매인 클로로포름과 아세톤에 용해된다. 지방과 기름은 그 용해성으로만 볼 때 전형적인 지질이지만, 이것이 그들의 화학적인 성질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화학적으로 보면 지질은 주로 비극성기를 많이 가진 구조적인 유사성을 갖는 화합물들의 총칭으로, 화학적 성질에 따라 두 가지 중요한 그룹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 그룹은 긴 비극성 꼬리와 극성 머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린 사슬 화합물로써 지방산(fatty acid),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glycerol), 스핑고지질(sphingolipid), 당지질(glycolipid), 포스포아실글리세롤(phosphoacyl-glycerol)이 이에 속한다. 두 번째 중요한 그룹은 고리 구조가 합쳐진 화합물인 스테로이드(steroid)로서, 이 그룹의 대표적인 것이 콜레스테롤이다.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은 글리세롤을 함유하지는 않지만 긴 사슬의 아미노 알코올인 스핑고신(sphingosine)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러한 명칭을 부여받았다. 스핑고지질은 동식물 양쪽에서 모두 발견된다. 이 부류 중 가장 간단한 화합물은 세라마이드(ceramide)로, 스핑고신의 아미노기에 한 개의 지방산이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다.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에서는 스핑고신의 일차 알코올기가 인산에 에스터화 되어있으며 인산은 다시 콜린과 같은 또 다른 아미노알코올과 에스터 결합을 가진다. 즉, 스핑고미엘린과 다른 인지질 사이에 구조적 유사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피부의 구성 성분을 보면 인지질(phospholipids), 콜레스테롤(cholesterol), 콜레스테롤 황산염(cholesterol sulphate),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s), 글리코실 세라마이드(glycosyl ceramides), 세라마이드(ceramides)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세라마이드는 피부 보습과 노화에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 또는 파이토스핑고신에 지방산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스핑고지질의 일종이다. 세라마이드는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간 지질 중 약 40% 이상을 차지하며,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필수적인 성분이다.
인체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는 극성 정도에 따라서 6종류로 구분된다. 세라마이드는 피부를 보호하는 피부 보호막이라고 불리우는 각질층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 중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함과 동시에 수분과 결합되어 피부의 수분을 함유하는 기능이 우수하여 피부가 최적의 대사기능을 수행하는 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새롭게 성장하는 피부 세포에는 세라마이드의 함량이 적고 주로 당이 연결되어 있는 당 스핑고지질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새로운 피부 세포가 외각층으로 이동하면서 각질층에 이르게 되면 당이 떨어진 중성 세라마이드가 증가하여 각질층의 소수성 장벽을 형성하게 된다. 각질 세포간 지질은 각질층의 분화 과정에서 라멜라 바디(lamella body)라고 하는 층판소체에 의해 분비되는데, 층판소체는 주로 인지질(phospholipid), 당 스핑고지질 (glycosphingolipids),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질이 풍부하고, 이외에 여러 가지 효소(lipid hydrolase, glycosidase, protease, acid phosphatase 등)를 가지고 있다.
층판소체에 존재하는 효소는 층판소체가 함유하고 있는 인지질, 당 스핑고지질 등의 극성 지질을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등의 비극성 지질로 분해함으로써, 각질층이 수분과 전해질의 투과를 방지하도록 하는 각질세포간 다층지질막을 형성하여 장벽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주요 지질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중 콜레스테롤과 유리 지방산의 합성은 장벽의 손상 후 즉각적으로 일어나지만 세라마이드의 합성은 이와 달리 늦게 일어난다. 이들 세 가지 지질 성분의 적절한 조성이 장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만성적 피부 손상의 경우는 지질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특히 세라마이드의 경우는 심각하다.
폴리글리세릴-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원료는 100% 천연 식물계의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식물유 유래의 글리세린을 탈수 축합에 의해서 폴리글리세린으로 만든 뒤, 똑같이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을 에스테르결합시켜 얻을 수 있다.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와 지방산의 종류 및 에스테르화 정도에 따라 다양한 폴리글리세린 계면활성제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글리세린을 평균 10개 축약 중합한 폴리글리세린에 지방산을 에스테르 결합한 모델 구조식이다. 폴리글리세린의 중합도는 평균이므로 10개를 사이에 두고 분포를 이루고 있으며, 지방산의 에스테르화 정도(몇 가지의 지방산이 결합하고 있는지)도 평균으로, 결합하는 장소(수산기=OH와 결합)도 여러 가지가 된다. 따라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많은 종류의 구조식을 가진 에스테르의 혼합물로서, 친수기로 사용하는 폴리글리세린의 평균 중합도, 친유기로 사용하는 지방산의 종류, 결합하는 지방산의 수(에스테르화 정도)에 따라, 친수성으로부터 친유성까지 폭 넓은 HLB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인삼은 땅에서 캐낸 수삼에서부터 가공 방법에 따라 백삼과 홍삼 등으로 다양하게 나뉜다. 홍삼은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수증기로 찐 다음 건조시킨 담적홍갈색의 인삼을 일컫는다. 증삼과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서 수분 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가공하는데, 제조 과정 중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짙은 갈색의 색상을 띠게 되며 단단한 형태로 길게는 20년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중국 사람들은 홍삼이 오래될수록 효능이 높다고 믿어 오래된 홍삼일수록 값이 더 나가고, 실제로 홍삼은 오래될수록 특유의 향이 짙어진다.
인삼 가공법의 역사는 확실하지 않지만 중국 당나라 시대 이전에는 주로 생삼 및 물로 씻어 햇볕에 말린 피부 백삼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명나라 풍조장이 저술한 『금낭비록(錦囊秘錄)』에 "인삼채(人蔘採) 있으면 비탕(沸湯)에 넣어..』라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삶은 후 건조시키는 방법을 의미한다. 1123년 고려 인종 때, 송나라의 국신사를 수행해 개성지역을 방문한 서긍(徐兢)은 귀국 후 당시 고려의 생활상을 기록한 『고려도경(高麗圖經)』에 홍삼의 증제법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생삼은 빛이 희고 허(虛)하여 약에 넣으면 그 맛이 온전하나 여름을 지나면 좋이 먹으므로 쪄서 익혀 오래 둘 수 있는 숙삼(熟蔘)만 못하다." 여기에서 숙삼이란 찐 인삼을 말하는 것으로 지금의 홍삼과 다를 수 있지만 홍삼의 전신으로 홍삼 제조법의 기원으로 보인다. 이로 볼 때, 오늘날 홍삼의 전신 형태인 다양한 인삼 제조법이 고려 시대부터 있었고, 중국에서는 청나라 초기에 유행했던 듯하다. 수삼을 껍질째 증기로 쪄서 말린 것을 홍삼이라 하며, 외형 및 속의 상태에 따라 등급을 나누는데, 천삼(天蔘), 지삼(地蔘), 양삼(良蔘)으로 구분된다.
홍삼의 주요성분은 배당체(glycosides) 성분인 사포닌(saponin)을 비롯하여,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 알칼로이드, 지용성 성분으로 지방산, 정유, 폴리아세틸렌, 페놀 화합물, 파이토스테롤, 테르페노이드, 당류로서 단당류와 올리고당, 다당류, 펙틴질, 그리고 비타민류와 무기질, 알카로이드 성분 등 매우 다양한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포닌은 식물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성분으로, 약 750여 종의 식물에서 발견된다. 사포닌(saponin)이란 명칭은 수용액에서 비누처럼 미세한 거품을 내는 데서 붙여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포닌 성분은 물의 표면장력을 낮추므로 쉽게 거품을 내고 용혈작용을 나타내지만, 인삼 사포닌은 약성이 온화하고 독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용혈작용이 거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인삼 사포닌 성분은 타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는 화학구조가 전혀 다르고, 이에 따라 다른 식물계 사포닌과 구별하기 위해서 인삼(ginseng) 배당체(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부른다.
홍삼 추출물은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항노화, 피부 주름 및 윤기 개선 등의 효과가 있어,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홍삼 추출물은 수용성 물질이고 유효 성분의 분자량이 커서 피부에 흡수되기 어렵다. 따라서, 홍삼 추출물이 피부에 침투되어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 특허출원 공개 제10-2005-0025454호에는 홍삼 농축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즉, 홍삼 농축액을 그대로 화장료에 적용할 경우, 홍삼 농축액 고유의 냄새 및 계면활성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홍삼 사포닌에 의한 제형의 교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홍삼 농축액을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또는 알릴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에 흡착시킨 뒤 보습제로서 코팅한 포집체를 만들어 화장료에 투입하고 있다. 또한, 국내 특허출원 공개 제10-2005-0029253호에서는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 (이를 “레드 복합체”라고 지칭)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피부 보습을 증진시킨다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멀티라멜라 소포를 이용한 기술로서, 국내 특허출원 공개 제10-2003-0055951호에서는 청주를 마이크로소포로 캡슐화시킴으로써 장기 보존성이 증가되고, 청주 자체의 피부 자극성을 완화시켜 저자극성이며, 피부의 자연보호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도와주며, 피부 수분 보유능,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에 촉촉함 및 부드러움을 증강시키고, 세정력 또한 우수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유사 기술로 국내 특허출원 공개 제10-2003-0021709호에서는 불안정한 유용성 물질인 레티놀을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에스테르로 만든 소포에 1차 안정화시킨 후, 이를 다시 레시틴과 세라마이드로 만들어진 멀티라멜라 리포좀인 스핑고좀 안에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라멜라 액정 유화베이스에 첨가함으로써 공기와 수분으로부터 산화되기 쉬운 레티놀을 3중으로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급한 홍삼 추출물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홍삼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 입자 크기를 조절하여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고, 이에 따라 피부 보습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우수하여 항노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MLV: multilamella vesicles)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MLV)는 홍삼 추출물 5 내지 30중량%, 세라마이드 0.5 내지 5중량%, 포화 레시틴 0.5 내지 5중량%,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0.5 내지 5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중량%, 스테아릭산 1 내지 10중량%,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5 내지 15중량% 및 물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한다.
또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MLV)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케어 조성물, 바디 케어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 조성물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홍삼 추출물은 수용성 물질이고 분자량이 커서 피부에 흡수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홍삼 추출물이 피부에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멀티라멜라 소포(MLV)는 나노리포좀으로, 리포좀은 지질이중막으로 형성되는 폐쇄된 소포이고, 그 소포 공간 내에 수상으로서 홍삼 추출물을 포함한다. 리포좀은 이중층(double layer)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언급한 SUV, LUV, GUV 및 이러한 이중층 5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MLV 등의 구조가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위에 언급한 스킨 리피드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스테아릭산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라멜라 소포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을 스킨 리피드와 유사한 구조로 만든 멀티라멜라 소포 내에 함유시킨 것으로, 계면활성제로 세라마이드와 포화 레시틴, 보조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용매로 물, 글리세린, 스테아릭산 및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여 형성한 멀티라멜라 소포에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멀티라멜라 소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홍삼 추출물을 5∼30중량%, 계면활성제로 세라마이드 0.5∼5중량%와 포화레시틴 0.5∼5중량%, 보조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0.5∼5중량%, 그리고 용매로 물 30∼70중량%, 글리세린 1∼10중량%, 스테아릭산 1∼10중량% 및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5∼15중량%를 사용하여, 고압 미세 유화기로 1000바에서 연속 3회 통과시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홍삼 추출물의 멀티라멜라 소포(MLV)는 물에서의 용해성과 유효성분의 빠른 침투성과 제제의 안정성을 개선시킨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양으로 첨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MLS)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2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품 제형에서 안정도가 떨어지고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케어 조성물, 바디 케어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 조성물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통상의 화장료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멀티라멜라 소포를 이용함으로써 분자량이 큰 홍삼 추출물의 생체 이용률을 높여, 적은 양으로도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이에 따른 항노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의 입자분포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의 동결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 MLV )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한 홍삼 추출물은 케이티엔지의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이 홍삼 추출물은 지표성분으로 진세노사이드 Rg1+Rb1 5.00 ㎎/g 이상, 그리고 수분 함량 34.0%±1.0%를 기준으로 한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MLV)의 제조를 위한 구성 성분의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성분명 MLV 중 함량(중량%)
세라마이드 5.00
포화 레시틴 5.00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5.00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15.00
스테아릭산 3.00
글리세린 10.00
홍삼 추출물 20.00
정제수를 가하여 100으로 조정
상기 성분들을 용기에 넣고 80 ℃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 분 동안 혼합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1,000 바로 연속 3회 통과시킨 후 냉각, 탈포시켜 멀티라멜라 소포(MLV)를 얻었다.
비교예 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일반 에멀젼
세라마이드 5.00중량%
포화 레시틴 5.00중량%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15.00중량%
스테아릭산 3.00중량%
폴리글리세린-3 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3.00중량%
글리세린 10.00중량%
홍삼 추출물 20.00중량%
정제수를 가하여 100중량%로 맞춤.
상기 성분들을 용기에 넣고 80 ℃의 온도에서 용해시킨 다음,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5 분 동안 혼합 후 냉각, 탈포시켜 일반 에멀젼을 얻었다.
시험예 1: 멀티라멜라 소포( MLV )의 입자 분포( Photal , ELS -Z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멀티라멜라 소포(MLV)의 입자 분포를 Photal, ELS-Z를 이용해서 측정한 결과, 평균 입자 크기는 112 ㎚임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의 입자분포표이다.
시험예 2: 나노에멀젼의 입자 사진(동결 전자현미경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멀티라멜라 소포(MLV)는 입자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므로, 동결 전자현미경(Photo Graphing Freeze-Fractu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찍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의 동결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MLV가 잘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시험예 1: 홍삼 추출물 MLV 경피 흡수 촉진 효과
8주 정도의 암컷 무모 기니아피그(strain IAF/HA-hrBR)를 이용하였다. 기니아피그의 복부 피부를 절취한 후 프란쯔-타입 확산 셀(Franz-type diffusion cell, 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프란쯔-타입 확산 셀의 수용체(receptor) 용기(5 ㎖)에 50 mM 인산염 완충액(pH 7.4, 0.1M Nacl)을 넣고, 확산 셀(diffusion cell)을 32 ℃, 600 rpm으로 혼합, 분산시킨 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홍삼 추출물를 함유하는 MLV와 일반 에멀젼 50 ㎕를 공여체(donor) 용기에 넣어 주었다. 미리 예정한 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시켜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는 0.64 ㎠가 되게 하였다. 유효성분의 흡수 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킴와프스 또는 10 ㎖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고, 팁-타입 균등기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홍삼 추출물(사포닌의 양)을 4 ㎖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0.45 ㎛ 나일론 멤브레인 (nylon membrane)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다음 조건으로 HPLC 법에 따라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HPLC 조건 -
A) 컬럼: C18(4.6×200 ㎜, 5 ㎛)
B) 이동상: 메탄올:헥산=2:1
C) 유속: 0.8 ㎖/min
D) 검출기: UV 275 ㎚
경피흡수량(㎍) 경피흡수 증가율
MLV 4.00 10배
일반 에멀젼 0.40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MLV는 입자 사진에서 보듯이 MLV가 매우 잘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포간 지질 사이가 100∼200 ㎚이고 MLV의 입자 크기는 112 ㎚로, 위 경피 흡수 촉진 효과 실험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추출물 MLV는 일반 에멀젼에 비해 피부에 매우 빠르게 침투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 기대된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홍삼 추출물 함유 화장료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경피 흡수율이 좋은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 MLV을 사용하고, 비교예 2에서는 비교예 1의 홍삼 추출물 함유 일반 에멀젼을 사용한다.
구 분 원료 실시예 2 비교예 2
수상성분 1 정제수 잔량 잔량
글리세린 5.0 5.0
부틸렌글리콜 3.0 3.0
알기닌 적량 적량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적량 적량
유상성분 사이클로판타실록산 2.5 2.5
사이클로헥사실록산 2.5 2.5
디-C12-13알킬말레이트 3.0 3.0
디메티콘 3.0 3.0
식물성 오일 2.0 2.0
쉐어버터 2.0 2.0
스테아릴알코올 1.0 1.0
스테아레스-2 적량 적량
스테아레스-20 적량 적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망고버터 3.0 3.0
수상성분 2 실시예 1의 홍삼 추출물 함유 MLV 2.0 -
비교예 1의 홍삼 추출물 함유 일반 에멀젼 - 2.0
페녹시에탄올 적량 적량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상성분 1을 모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고, 상기 유상성분을 모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수상성분 1의 혼합물에 유상성분의 혼합물을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수상성분 2를 투입한 후, 혼합 및 여과하여 저장하였다.
효과시험예 2: 홍삼 추출물 MLV 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보습 효과
15 인의 건강한 여성 피검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2와 비교예 2의 크림을 도포하였으며, 시료 도포전, 도포 2 시간 후, 도포 4 시간 후, 그리고 도포 8 시간 후에 각각 corne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corneometer를 이용한 기기 분석 측정값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시예 2는 비교에 2에 비해 시료 도포 2 시간, 4 시간 후, 및 8 시간 후에 각각 5%, 12%, 및 16% 높은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비교예 2에 비해 보습 효과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효과시험예 3: 홍삼 추출물 MLV 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온도 24∼26 ℃, 상대습도 75%의 조건에서 20 인의 건강한 여성 피험자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화장료를 1 일 2 회씩 얼굴 좌우 측면에 나누어 4 주간 사용한 후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낸다.
시험 제품 피부 탄력 효과
실시예 2 0.45
비교예 2 0.30
위 표 4의 결과에서 보듯이, 홍삼 추출물 함유 MLV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화장료가 일반 에멀젼을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비해 피부 탄력 증진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시험 결과에서 보듯이, 홍삼추출물 멀티라멜라 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와 피부 탄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항노화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홍삼 추출물 5 내지 30 중량%, 세라마이드 0.5 내지 5 중량%, 포화 레시틴 0.5 내지 5 중량%, 폴리글리세린-1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0.5 내지 5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스테아릭산 1 내지 10 중량%,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5 내지 15 중량% 및 물을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을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MLV: multilamella vesicle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이 스킨 케어 조성물, 바디 케어 조성물 또는 헤어 케어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11726A 2011-10-31 2011-10-3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26A KR101318115B1 (ko) 2011-10-31 2011-10-3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726A KR101318115B1 (ko) 2011-10-31 2011-10-3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997A KR20130046997A (ko) 2013-05-08
KR101318115B1 true KR101318115B1 (ko) 2013-10-15

Family

ID=486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726A KR101318115B1 (ko) 2011-10-31 2011-10-31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10B1 (ko) * 2015-06-26 2016-09-12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72B1 (ko) * 2016-01-29 2017-10-10 정관영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57B1 (ko) * 2013-11-20 2020-03-24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투명도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9420B1 (ko) * 2013-11-29 2020-03-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SG11201707136PA (en) * 2015-03-02 2017-10-30 Amorepacific Corp Multilamella nanoliposome which contains skin lipid componen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598793B1 (ko) * 2015-09-23 2023-11-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75129B1 (ko) * 2016-03-22 2022-12-07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유래의 엑소좀 유사 베지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851388B1 (ko) * 2017-08-25 2018-06-07 주식회사 세화 피앤씨 진세노사이드의 경피흡수 촉진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1880540B1 (ko) * 2017-11-30 2018-07-20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커큐미노이드가 액정형 다중라멜라베지클에 봉입된 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8185B1 (ko) * 2017-12-27 2023-07-20 주식회사 코스모코스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2839B1 (ko) * 2019-09-30 2020-06-15 주식회사 다른코스메틱스 레티날 함유 멀티라멜라 소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993B1 (ko) * 2021-01-29 2021-05-25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유한책임회사 포도과피 추출물, 까마귀쪽나무열매 추출물 및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616A1 (en) 2001-09-07 2003-06-26 Lee Seung Ji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triple- encapsulated retinol
KR20040111227A (ko) * 2004-11-03 2004-12-31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비타민과 아마란쓰오일 함유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50102016A (ko) * 2004-04-20 2005-10-25 박효석 불포화레시틴을 함유하는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8616A1 (en) 2001-09-07 2003-06-26 Lee Seung Ji Cosmetic material containing triple- encapsulated retinol
KR20050102016A (ko) * 2004-04-20 2005-10-25 박효석 불포화레시틴을 함유하는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040111227A (ko) * 2004-11-03 2004-12-31 주식회사 에이블씨엔씨 비타민과 아마란쓰오일 함유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상호. 안전성이 향상된 감초기반 홍삼리포좀의 항노화 항염 효능연구. 아주대학교대학원 응용생명공학화장품과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1.1. pp.1~42. *
정상호. 안전성이 향상된 감초기반 홍삼리포좀의 항노화 항염 효능연구. 아주대학교대학원 응용생명공학화장품과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1.1. pp.1~4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710B1 (ko) * 2015-06-26 2016-09-12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활성물질이 증진된 인삼 꽃 복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80772B1 (ko) * 2016-01-29 2017-10-10 정관영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을 함유한 세라마이드 안정화 화장료 조성물 및 다중층 나노겔 에멀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997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115B1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US20090098171A1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emulsion comprising a continuous aqueous phase and a dispersed fatty phase,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KR20080065726A (ko) 한방 생약 추출물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 포함하는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621B1 (ko)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5440B1 (ko) 산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
CN111450003A (zh) 含黄金香柳提取物的抗初老亮颜营养物及其制备方法和精华液、黄金香柳提取物的提取方法
KR101840045B1 (ko) 옥사졸리딘-2-온 화합물을 캡슐화한 리포좀
KR101337214B1 (ko)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포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4451A (ko) 레온토포딕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307408B1 (ko) 청색을 띠는 천연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봉입된 다중층 리포좀 베지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59075A (ko)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KR101176530B1 (ko)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Gyamera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posomes containing green tea and Roselle extracts to be used in cosmetics
TR202008828A2 (tr) Kozmeti̇k formüllerde kullanmak üzere li̇pozomal teknoloji̇ i̇le enkapsüle edi̇lmi̇ş yabani̇ i̇ğde (hippophae rhamnoides) ekstresi̇ni̇n elde edi̇lme yöntemi̇
KR101206200B1 (ko)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57664A (ko) 세라마이드를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리포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보호용 조성물
KR100385457B1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500758B1 (ko) 5종의 세라마이드를 포함한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7747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3B1 (ko)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