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200B1 -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200B1
KR101206200B1 KR1020100008675A KR20100008675A KR101206200B1 KR 101206200 B1 KR101206200 B1 KR 101206200B1 KR 1020100008675 A KR1020100008675 A KR 1020100008675A KR 20100008675 A KR20100008675 A KR 20100008675A KR 101206200 B1 KR101206200 B1 KR 10120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capsule formulation
weight
formula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933A (ko
Inventor
서유미
김지영
김용진
안은정
남개원
한지연
조준철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08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2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층 코팅기술을 이용하여 인지질 배합물로 구성된 다층 라멜라상을 미백 유효 성분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형성시키고, 형성된 라멜라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미백 유효 성분들을 라멜라상이 효과적으로 고정화시킴으로써 열과 산소에 의한 분자구조 변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미백 캡슐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도 물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미백 캡슐 제제 내의 스웰링(swelling)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미백 캡슐 제제 내 미백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Whitening capsules for the stabilization of active whitening ingredients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층 코팅기술을 이용하여 인지질 배합물로 구성된 다층 라멜라상을 미백 유효 성분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형성시키고, 형성된 라멜라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미백 유효 성분들을 라멜라상이 효과적으로 고정화시킴으로써 열과 산소에 의한 분자구조 변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미백 캡슐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도 물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미백 캡슐 제제 내의 스웰링(swelling)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미백 캡슐 제제 내 미백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의 양에 따라 결정되며 이중 멜라닌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다. 멜라닌은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며 주변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낸다. 멜라닌의 과잉 생산은 여성들의 피부고민 중 하나인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며 더 나아가 피부암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생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닌 합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는 티로시나제이다. 티로시나제에 의해 티로신이 도파로 되고, 이 도파를 도파퀴논으로 만든다. 이 두 반응의 다음단계 과정들은 비효소적인 반응에 의해서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티로시나제 단독으로도 멜라닌 생성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피부 세포내의 신호 전달물질의 발현에 따른 멜라닌 형성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이 제시되고 있다. 즉, 피부가 자외선을 비롯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염증을 유발하는 인터루킨-알파가 케라티노사이트로부터 발현되고, 이 인터루킨-알파가 케라티노사이트 엔도셀린 발현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멜라노사이트의 형성을 증가시키고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켜 멜라노좀에서 티로신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된다. 현재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과 같은 다양한 미백 화장료 원료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미백원료는 물리,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이를 안정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한가지 방법이 캡슐내에 안정화하여 외부의 공기나 물로부터 차단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백원료는 외부의 산소나 열, 빛에 매우 민감하여 그 구조가 변성되어 그 활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공기와 수분 등 외부자극에 의하여 쉽게 변색, 변취가 발생하고 역가가 감소하여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응용에 제한을 받는 유효성분들을 안정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이지만 효과적인 접근은 인지질 에멀젼을 이용하는 것이다. 인지질 에멀젼은 유용성물질과 수용성물질을 동시에 포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에멀젼 시스템의 예는 다수의 국내외 특허에서 찾아 볼 수 있다 (EP 1372601, USP 20040096419, JP 1995-309754, USP 6162444, 대한민국 특허 제 1995-0031033호, USP 6015575, EP 0815071, 대한민국 특허 제 1993-0211990호). 인지질 에멀젼은 인산 지방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 에스테를,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에톡실화 지방 에테르 또는 에톡실화 지방 에스테르, 수크로즈 에스테르 혹은 수크로즈 에테르를 이용하여 제조한다 (USP 5753241, EP 1010416A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9-57227호, EP 1016453A, EP 1010413A 참조). 주로 이들은 경피흡수 촉진제로 알려져 있는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혹은 지방산등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지질 에멀젼은 상기와 같은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오일, 계면활성제, 물, 등 다수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화장품 제형에서 상평형을 잃어버려 구조를 유지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을 지니고 있어, 실질적으로 화장품 제형에 도입하기에는 자체의 안정성이 실질적으로 검증되지 못한 상황이다.
유효성분 안정화를 위한 또 다른 응용으로서 유효성분과 외부자극 요인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캡슐화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422760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0019384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0073433호 참조). 유효성분들을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재료로는 고분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캡슐화 방법 또한 계면축중합, 스프레이 드라이, 코아세르베이션, 용매증발 등이 사용되고 있다 (Arshady, R.; Ed. In Microspheres Microcapsules & Liposomes, Citus Books, London, 1999.; El-Nokaly, M. A.; Piatt, D. M.; Charpentier B. M.; Ed. In Polymeric Delivery System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ACS Symposium Series 520,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3.; Park, K. N.; Mrsny, R. J.; Ed. In Controlled Drug Delivery, Designing Technologies for the Future, ACS Book Department,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2000.; Loftsson, T; Frioriksdottir, H. Int. J. Pharm. (1990) 62, 243.; Loftsson T.; Olafsdottir, B. j.; Baldvinsdottir, J. Int. J. Pharm. (1992) 79, 107.; Rainsford, K. D. Drug Invest. (1990) 2, 3.; Backkenfeld, T.; Muller, B. W.; Kolter, K. Int. J. Pharm. (1991) 74, 85.; Backkenfeld, T; Muller, B. W.; Wiese, M.; Seydel, K. Pharm. Res. (1990) 7, 484.; Bettinetti, G. P.; Mura, P.; Liguori, A.; Bramanti, G. Farmaco. (1989) 44, 196.; Loftsson, T; Bodor, N. Acta Pharm. Nord. (1989) 1, 185. 참조). 이런 방법들을 이용하여 캡슐화를 할 때 주로 유용성물질은 소수성고분자에 포집시키고, 수용성물질은 친수성고분자에 포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유효성분들이 수용성 또는 소수성 상으로의 확산 현상이 발생하여 포집율 자체를 높이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독특하게 1998년 Remunan-Lopez등은 키토산을 이용하여 유용성과 수용성물질을 동시에 캡슐화할 수 있는 다핵 마이크로입자를 제안하였다 (Eur. J. Pharma. Biopharma. (1998) 45, 49). 이 방법은 w/o/w-용매 증발법을 변형한 것으로, 내부 수용액 상은 매우 점도가 있고 함유될 유효물질은 키토산의 농축용액안에 완전히 녹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산되어야 하며, 유기상은 고분자 희박용액이고 유기용매와 고분자는 키토산에 대해 활성이 없어야 한다는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할 때만 입자제조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층 라멜라 구조가 지니는 우수한 고정화능을 미백 캡슐 제제 내에서 발현시킴으로써 그 결과 제제 내로 물이나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미백 유효 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나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미백 유효 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미백 캡슐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를 함유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핵제; 상기 핵제 상에 존재하며 세라마이드, 인지질 및 미백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지질 라멜라층; 및 상기 지질 라멜라층 상의 고분자층;을 포함하는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함유하여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갖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는 형성된 라멜라 구조 내부에 존재하는 미백 유효 성분들을 라멜라상이 효과적으로 고정화시킴으로써 열과 산소에 의한 분자구조 변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도 물과 계면활성제에 의한 미백 캡슐 제제 내의 스웰링(swelling)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미백 캡슐 제제 내 미백 유효 성분의 활성을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밝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색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핵제; 상기 핵제 상에 존재하며 세라마이드, 인지질 및 미백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지질 라멜라층; 및 상기 지질 라멜라층 상의 고분자층;을 포함하는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핵제는 비활성이면서, 외부 자극에 대하여 쉽게 와해가 가능한 콜로이드류로서, 설탕, 소금, 히아루론산, 알진산, 콘드로이친설페이트, 키토산, 키틴, 폴리라이신, 콜라겐, 젤라틴, 스테아린산, 세틸알코올 및 스테아릴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이러한 핵제는 미백 캡슐 제제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핵제의 양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핵제 표면에 지질 라멜라층, 고분자층 등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응집 현상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팅율을 높일 수 있어, 최종 결과물인 미백 캡슐 제제의 구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핵제 상에는 지질 라멜라(lamellar)층이 위치한다. 이러한 지질 라멜라층은 세라마이드, 인지질 및 미백 유효 성분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라마이드, 인지질과 미백 유효 성분 외에 지방산, 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 알코올, 분자고정제(molecular anchoring agen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질 라멜라층에 포함되는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와 유사 세라마이드를 모두 포괄한다.
천연 세라마이드는 예를 들어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유사 세라마이드는 천연의 세라마이드의 피부 보호작용, 수분 보유능력 등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합성 물질로서,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 내지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9-C2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1 또는 2이고; R 및 R’는 C9-C2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3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같거나 다르며, 1 내지 3의 정수이고; k 및 l은 같거나 다르며, 1 또는 2이며; j는 0 또는 1이며; R 및 R’는 같거나 다르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C31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A1, A2 및 A3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고, 단 A1, A2 및 A3가 동시에 수소인 경우는 제외된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4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알칼리토금속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5
(상기 식에서, R 및 R’는 같거나 다르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0-C3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5는 -CH2CH2OA이고 A는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6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알칼리토금속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7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같거나 다르며, 1 내지 4의 정수이고; R 및 R’는 같거나 다르며,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C31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A1 및 A2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8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염기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09
(상기 식에서, m 및 n은 같거나 다르며, 1 내지 3의 정수이고; k 및 l은 같거나 다르며, 1 또는 2이며; j는 0 또는 1이며; A1, A2 및 A3는 같거나 다르며, 수소 또는 하기 구조의 치환기 중의 어느 하나이며: 
Figure 112010006527678-pat00010
[상기 식에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염기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R은 하기 구조를 갖는 치환기이다:
Figure 112010006527678-pat00011
[상기 식에서, B는 토코페롤의 5-, 7- 또는 8- 위치의 메틸기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D는 -CH(CH3)-CH2- 또는 -C(CH3)=CH-이다.]).
상술한 화학식 1 내지 6의 화합물들은 세라마이드 PC104, PC102, PC107 등으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지질 라멜라층에 포함되는 인지질은 세라마이드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하여 세라마이드의 겔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지질은 식물, 대두, 달걀 등에서 추출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이를 보다 정제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탄소수 12 내지 24개의 지방산 사슬을 갖는 종이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소시톨, 포스파티딘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인지질은 대두에서 추출한 것으로서,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10-99 중량%에 해당하는 불포화 레시틴을 20-99 중량% 함유하는 포화 레시틴과 불포화 레시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에 포집이 가능한 미백 유효 성분은 적절한 용융성을 갖고 캡슐 형태로 표면 코팅이 가능한 다양한 물질이며, 엘라직산, 동릉초 추출물, 호이초추출물, 포도추출물, 산뽕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다.
상기 엘라직산(Ellagic acid)은 자연계의 식물에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탄닌의 가수분해 산물로 잘 알려진 대표적인 폴리페놀류로서, 엘라직산이 포함된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암을 예방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엘라직산은 항변이시험에서 활성을 나타내며, 화학물질로 유도한 설치류의 폐, 간, 피부 및 식도의 발암 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마우스의 피부를 TPA를 이용하여 종양을 유발 억제하는 작용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Cell Biochem Suppl., 1995; 22: 169-80).
상기 동릉초(Rabdosia Rubescens)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에서는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왔고, 중국 한남의과대학 암연구소에 의하면 동릉초(冬凌草)로 암세포 DNA와 RNA의 합성이 억제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상기 호이초(Saxifraga stolonifera)는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범의귀의 지상부로서, 알칼로이드 (alkaloid), 질산나트륨, 아르부틴(arbu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작용으로는 풍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피를 맑게 하고 독을 풀어 주는 효능이 있으며, 풍진과 습진, 중이염, 단독, 기침, 가래,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폐렴, 치질을 치료한다.
상기 포도(Vitis vinifera)는 갈매나무목 포도과 낙엽성 덩굴식물로서, 열매에는 포도당 외에 타르타르산, 이노시톨, 펜토산, 타닌, 류신 등이 있으며, 비타민 B1, 비타민 C도 소량 들어 있다.
상기 산뽕나무(Morus bombycis)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 소교목에 속하고,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및 사할린 섬 등지에 분포하며, 통상적으로 7 내지 8 미터의 높이까지 자라고,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며, 작은 가지는 잔털이 나거나 없고 점차 검은빛을 띤 갈색이 된다.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이며, 통상적으로 길이는 8 내지 15cm이고 너비는 4 내지 8cm이다. 꽃은 암수 다른 구루에서 피거나 웅성화로서 5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에서 아래로 처지고, 암꽃이삭은 녹색 타원형이며 꽃자루에 잔털이 나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는 집합과로서 6월에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으며, 육질로 되는 화피가 합쳐져서 1개의 열매처럼 된다. 산뽕나무는 한의학에서는 청열(淸熱)시키고, 이수(利水)시키는 효능이 강하며, 특히 심장 쪽의 열을 많이 없애준다고 하고, 잎, 줄기, 열매 등이 모두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 황금(黃芩)은 꿀풀과(Labiatae/Lamiaceae)에 속하는 초본 식물로서, 주로 뿌리를 약용한다. 이 약재의 성상은 원주상-반관상 또는 평판상으로 이루고 길이 5-25cm, 지름 5-30mm정도 되며, 바깥면은 황갈색을 띠고 조잡하고 뚜렷한 세로의 주름이 있으며 군데군데 곁뿌리의 자국 및 갈색의 주피 파편이 남아 있다. 묵은 뿌리에서는 목부가 썩어서 흑갈색으로 되고 때때로 속이 비어있으며,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한방에서 황금의 대표적인 효능은 사화해독(瀉火解毒, 화기(火氣)를 풀어 주면서 해독하는 것)과 청열조습(淸熱燥濕,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림), 지혈 등이 있다.
상기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은 노화에 의해 손실되고 변성되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 피부 진피층과 표피층의 경계부위를 강화시키는 펩타이드 유도체로서,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원하는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원하는 구조를 가지는 펩타이드 성분을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유효 성분들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질 라멜라층에 포함되는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8 내지 30개의 불포화 또는 포화 지방산이 사용될 수 있고, 알코올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8 내지 30개의 불포화 또는 포화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질 라멜라층에 포함되는 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올리일 카보네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지질 라멜라층에 포함되는 분자고정제(molecular anchoring agent)는 지질 구조체와 피부위의 단백질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지질 구조체가 피부위에 오랜 시간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분자고정제는 소수기로서 탄소수 12 내지 20개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가지며 친수기로서 숙신이미딜 에스테르를 갖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올레일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n-숙신일-N-하이드록시숙신이미딜 에스테르](n은 10 내지 80의 정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질 라멜라층은 상기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지방산, 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 알코올 및 분자고정제를 각각 1~50 중량부, 1~50 중량부, 1~50 중량부 및 1~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질 라멜라층은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0.5중량% 미만이면 유효성분의 고정화 능력이 없으며, 99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질 라멜라층 상에는 고분자층이 위치한다. 고분자층은 지질 라멜라층 외부를 둘러싸 지질 라멜라층을 보호하는 것으로, 다층 라멜라 과립의 구조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분자층은 용매, 예를 들어 물이나 극성을 갖는 유기 용매 등에 쉽게 용해되지 않고, 지질 라멜라층 표면에 고르게 코팅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천연 고분자일 수도 있고, 합성 고분자일 수도 있으며, 또한 천연 고분자와 합성 고분자의 혼합형일 수도 있다.
고분자층을 구성하는 천연 고분자는 예를 들어 히아루론산, 알진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친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토산, 키틴, 폴리라이신, 콜라겐 및 피브린 등이 있다.
또한, 고분자층을 구성하는 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PEG-PLA-PEG),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틱코글리콜산)-폴리에틸렌글리콜(PEG-PLGA-PEG),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폴리에틸렌-비스-(폴리락트산-아크릴레이트) 및 인(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코-아크릴산) 등이 있다.
또한, 고분자층을 구성하는 천연고분자와 합성고분자의 혼합형으로는 예를 들어 인(폴리에틸렌글리콜-코-펩타이드), 알지네이트-g-(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 인(폴리(락틱코글리콜산)-코-세린), 콜라겐-아크릴레이트 및 알지네이트 등이 있다. 또한, 생분해성 소수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고분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폴리-L-락트산, 폴리-D,L-글리콜산,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폴리오르터에스테르 및 이들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고분자로는 폴리스티렌, 폴리 p- 또는 m-메틸스티렌, 폴리 p- 또는 m-에틸스티렌, 폴리 p- 또는 m-클로로스티렌, 폴리 p- 또는 m-클로로메틸스티렌, 폴리 스티렌설폰산, 폴리 p- 또는 m- 또는 t-부톡시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부티레이트,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알릴부틸에테르, 폴리알릴글리시딜에테르,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말레산과 같은 불포화카복실산, 폴리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층은 미백 캡슐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분자층의 양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미백 캡슐 제제의 안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최종 결과물인 미백 캡슐 제제를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적용시 이물감이 나타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는 다양한 코팅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유동층 코팅기를 사용하는 유동층 코팅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의 제조방법으로서,
핵제를 유동층 코팅기에 넣고 와류시키는 단계;
상기 와류된 핵제의 표면에 세라마이드, 인지질 및 미백 유효 성분을 혼합한 용액을 분무 코팅하여 지질 라멜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질 라멜라층의 표면에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분무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백 캡슐 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단계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핵제를 유동층 코팅기에 넣고 와류시킨다.
이어, 와류된 핵제의 표면을 세라마이드와 인지질을 함유하는 지질 라멜라 배합물의 용액으로 실온 감압 조건하에서 1차적으로 분무 코팅한 후 건조하여, 핵제 표면에 유사각질 지질 라멜라층을 형성한다. 이때, 다른 임의성분들을 함께 용액에 첨가하여 분무 코팅할 수 있으며, 세라마이드와 인지질을 각각 별도의 용액으로 만들어 순차적으로 분무 코팅할 수도 있다. 이 때, 미백유효성분을 인지질 용액 또는 세라마이드 용액에 용해시켜 혼합한다. 별도의 세라마이드 용액과 인지질 용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임의성분들을 어느 용액에든지 나누어 첨가할 수 있다.
지질 라멜라 배합물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는 휘발성을 지니며, 지질 성분들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용매는 선택되는 지질 성분들을 용해시킬 수 있는 모든 화학물질로서, 구체적으로는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등과 같은 선형 알칸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선형 또는 가지형 알코올류;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테칸올 등과 같은 탄소수 4 내지 10개의 알코올류; n-헥실 아세테이트, 2-에틸헥실 아세테이트, 메틸 올리에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디부틸 아디페이트(adipate), 2-부틸 카바메이트 등과 같은 탄소수 7개 이상의 알킬 에스테르; 메틸이소부틸케톤, 이소부틸케톤 등과 같은 지방족 케톤; 벤젠, 톨루엔, o- 또는 p-크실렌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과 같은 염소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끓는점이 낮아 쉽게 증발하여 코팅을 용이하게 진행시키는 메탄올, 에탄올,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또는 아세톤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매의 사용량은 지질 라멜라 배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99 중량부일 수 있다. 용매의 양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있으며, 분무 코팅시 분사 시간이 길지 않아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 핵제 상의 지질 라멜라층의 표면을 고분자의 용액으로 실온 감압 조건 하에서 2차적으로 분무 코팅한 후 건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고분자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는 휘발성을 지니며 선택되는 고분자에 대하여 유사한 용해도 파라미터를 지니는 모든 화학물질로서, 구체적인 예는 앞서 기술한 지질 라멜라 배합물에 대한 용매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고분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99 중량부일 수 있다. 용매의 양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경우, 고분자의 겔화를 방지하며, 분무 코팅시 분사 시간이 길지 않아 공정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는 제제 내로 물이나 계면활성제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따라서 미백 캡슐 제제 내 미백 유효 성분의 활성이 저하됨이 없어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캡슐 제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충족시킬 경우 보다 우수한 제형 안정성, 사용감에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 안정도가 우수한 수중유 에멀젼, 가용화젤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사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미백 캡슐 제제의 제조
유사 세라마이드인 세라마이드 PC104(마크로케어, 한국)를 사용하였으며, 미백 캡슐 제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제조과정은 비활성 핵제를 유동층실에서 와류시키는 단계, 용매에 용해시킨 세라마이드, 인지질 등을 상기 핵제에 분무시키며 핵제를 코팅시키는 단계 및 용매에 용해시킨 고분자를 상기 핵제/인지질 비드에 분무시켜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먼저, 평균 200㎛ 크기의 설탕 핵제 500g을 유동층 코팅기(Glatt社, 독일)에 넣고 와류시켰다. 이어서, 유사 세라마이드인 Ceramide PC-104(마크로케어사) 800g와 인지질 배합물 1000g을 methylene chloride 5kg에 완전 용해시키고 유효성분 혼합물과 함께 실온 감압조건에서 분무 코팅시켰다. 분무 속도는 10ml/min이었다. 이어서, 셀룰로오즈 50g을 물 95g에 녹인 후 동일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조중인 입자 표면에 분무 코팅시켰다. 이 경우에도 분무 속도는 10ml/min이었다. 모든 공정은 실온에서 진행되었다. 최종 회수된 미백 캡슐 제제는 채로 걸러 미세 잔여물을 제거하고 알루미늄 팩에 밀폐 보관하였다. 이 때 미백 유효 성분으로 엘라직산, 동릉초 추출물,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동릉초추출물, 산뽕나무 추출물, 호이초추출물, 포도추출물, 또는 황금추출물을 각각 1%씩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겔 캡슐의 제조
2.5g의 한천 및 7.5g의 카라기난을 교반기를 사용하여 물 460g과 잘 섞고, 90~95℃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다음, 25g의 부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교반 용해하였다. 이 때 5g의 엘라직산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일정 두께로 펴서 냉각하고, 미세노즐을 통해 30-50psi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0.85~1.18mm 정도의 크기의 비드를 얻은 다음, 얻은 비드를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여 고분자겔 비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미백 캡슐 제제의 구조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백 캡슐 제제의 형상을 광학현미경, 편광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백 캡슐 제제는 100~10,000㎛의 평균 직경을 갖는 둥근 원형이었다.
[제형예 1] 가용화 제형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투명 겔 형태의 가용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제형의 점도는 약 3,500cps이다. 한편, 점도는 Brookfield (LVDVII+)를 이용하여 30℃에서 12rpm으로 측정하였다. 이 때, 첨가한 캡슐 제제의 함량은 모두 1.5중량%로 고정하였다.
제형예 1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고, 비교 제형예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백 유효성분인 엘라직산, 동릉초추출물, 호이초 추출물, 포도추출물, 산뽕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의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하고, 비교 제형예 2는 상기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겔 캡슐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엘라직산은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글리세린 7 7 7
부틸렌글리콜 5 5 5
폴리소르베이트 20 0.3 0.3 0.3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백 캡슐 제제 1.5 - -
비교예 1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겔 캡슐 - - 1.5
엘라직산 - 0.015 -
동릉초추출물 - 0.015 -
호이초추출물 - 0.015 -
황금추출물 - 0.015 -
포도추출물 - 0.015 -
산뽕나무추출물 - 0.015 -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 0.015 -
에탄올 3 3 3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5 0.5 0.5
방부제 정량 정량 정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이어서 제조된 시료를 25℃와 40℃ 오븐에서 각각 보관한 후, 일정기간 뒤 시료를 취하여 액상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유효성분들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도입된 미백 유효 성분 보관온도
(℃)
초기 농도 유지율 (%)
2주 후
(실험치)
4주 후
(실험치)
8주 후
(실험치)
비교제형예 1의 엘라직산 25 100 91.0 88.5
40 100 87.8 81.0
비교 제형예 2의 엘라직산 25 100 95.1 92.3
40 100 89.6 85.9
제형예 1의 동릉초추출물 25 100 100 99.4
40 100 98.2 94.1
제형예 1의 엘라직산 25 100 99.4 96.4
40 100 94.3 91.2
제형예 1의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25 100 100 100
40 100 99.5 98.7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가용화 제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 내에 존재하는 미백 유효 성분들은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겔 캡슐 제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제형예 2] 유화 제형
유화 제형에서의 안정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하기 표 3의 조성을 갖는 로션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유상과 수상은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 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다. 로션의 점도는 약 3,000cps 이었고, 유화 제형에서 캡슐 제제를 모두 1.5중량%로 도입하였다.
제형예 2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고, 비교 제형예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미백 유효성분인 엘라직산, 동릉초추출물, 호이초추출물, 포도추출물, 산뽕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의 혼합물을 단독으로 함유하도록 하였으며, 비교 제형예 4는 상기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겔 캡슐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엘라직산은 시그마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성분 제형예 2
(중량%)
비교 제형예 3
(중량%)
비교 제형예 4
(중량%)
스테아린산 2 2 2
세틸알코올 2 2 2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 2 2
액상파라핀 2 2 2
사이클로메치콘 3 3 3
방부제, 항산화제 적량 적량 적량
글리세린 3 3 3
부틸렌글리콜 8 8 8
트리에틸아민 1 1 1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미백 캡슐 제제 1.5 - -
비교예 1의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한 고분자겔 캡슐 - - 1.5
엘라직산 - 0.015 -
동릉초추출물 - 0.015 -
호이초추출물 - 0.015 -
포도추출물 - 0.015 -
산뽕나무추출물 - 0.015 -
황금추출물 - 0.015 -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 0.015 -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15 0.15 0.1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이어서 제조된 시료를 25℃와 40℃ 오븐에서 각각 보관한 후, 일정기간 뒤 시료를 취하여 액상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잔여 유효성분들의 양을 측정하였다.
도입된 미백 유효 성분 보관온도
(℃)
초기 농도 유지율 (%)
2주 후 4주 후 8주 후
비교 제형예 3의 엘라직산 25 100 92.4 89.3
40 100 88.8 83.9
비교 제형예 4의 엘라직산 25 100 95.6 93.0
40 100 89.1 86.5
제형예 2의 동릉초추출물 25 100 99.1 97
40 100 98.3 96.6
제형예 2의 엘라직산 25 100 96.2 95.9
40 100 95.7 95.0
제형예 2의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 25 100 99.5 98.8
40 100 98.6 97.4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유화 제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 내에 존재하는 유효성분들은 가용화 제형과 마찬가지로 모두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 내에 존재하는 미백 유효 성분들은 화장품 제형 내에서 우수한 안정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물, 공기, 오일, 계면활성제, 기타 화장품용 첨가제 등의 자극요인에 의하여 급격한 안정도 저하의 문제로 화장품 제형에서 사용이 제한되었던 미백 유효 성분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발명의 캡슐 제제 시스템은 미백 유효 수용성 물질, 펩타이드류에 대하여 복수 포집 및 안정화가 가능하여 다양한 화장품 제형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험예 2] 피부 밝기
건강한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을 사용하여 피부밝기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대상자의 얼굴에 색소침착부위와 비색소침착부위를 선정하여 표시를 하고, 하루에 2회씩 총 4주동안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전, 사용 4주 시점에 피부밝기를 측정하는 스펙트로포토메터(spectrophotometer, chromameter, CM-2600d,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얼굴의 밝기를 측정하였다. 측정 환경은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대상자가 항온항습이 유지되는 대기실(온도 22±2℃, 상대습도 40±2%)에서 처음 방문하여 세안 후, 피부 안정화를 위하여 15분 이상 대기하도록 하였다. 외용제를 사용하기 전, 사용 4주 후의 피부밝기 결과, 비색소침착부위와 색소침착부위의 피부밝기 수치가 모두 개선되는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외용제 사용 4주 후의 피부밝기 결과, 비교 제형예 1에 비해 제형예 1이 비색소침착부위와 색소침착부위의 피부밝기 수치가 더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좀더 자세하게는 색소침착 부위에서 사용 전 대비 4주 후에 각각 3.1%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으며, 비색소 침착 부위에서는 4주후에 각각 1.6%의 유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paired T-test, p<0.05). 외용제를 사용하기 전 색소침착부위와 비색소침착부위와의 피부 밝기 차이가 3.22이었으나, 사용 4주 후에 각각 2.40로 점점 두 부위의 밝기 차이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paired T-test, p<0.05). 또한, 미백 캡슐 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 제형예 1에 비해 더 우수한 개선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색소침착부위와 비색소침착부위의 밝기 차이를 줄임으로써 피부가 보다 균일한 색을 나타내고 밝아지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붉은기, 노란기 개선, 멜라닌 지수 개선
건강한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를 사용 후, 대상자의 얼굴에 붉은기, 노란기, 멜라닌 지수를 측정하였다. 각 수치의 측정을 위하여, Facial stage(Moritex, Japan)을 이용하여, 얼굴 전면을 광학, 자외선 촬영하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분석을 실시, 붉은기, 노란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멜라닌 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Mexameter (MX18, C+K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붉은기 수치의 경우, 사용전 대비 4주 후에 각각 7.5%, 12.6%의 개선을 보였으며(paired T-test, p<0.05), 노란기의 경우, 사용전 대비 4주 후에 각각 4.3%, 7.2%의 개선을 보였다(paired T-test, p<0.05). Mexa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멜라닌의 경우, 사용전 대비 4주 후에 각각 3.2%, 9.3%의 개선을 나타내었다(paired T-test, p<0.05). 또한, 미백 캡슐 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 제형예 1에 비해 더 우수한 개선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붉은기, 노란기 및 멜라닌 수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결 개선
건강한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예 1및 비교 제형예1을 사용한 후의 피부결의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결의 측정은 Primos high-resolution(Primos compact, SFM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눈가 및 뺨 부위의 피부결을 3차원 이미지측정을 실시하고 피부결의 거칠기를 평가함으로써 피부결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제형예 1을 4주 동안 사용한 결과, 대상자의 얼굴의 피부결이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피부표면의 거칠기인 피부결이 사용전 대비 4주 후에 각각 1.7%, 4.2%의 개선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내었다(paired T-test, p<0.05). 또한, 미백 캡슐 제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 제형예 1에 비해 더 우수한 개선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백 캡슐 제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보다 우수한 피부결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핵제; 상기 핵제 상에 존재하며 세라마이드, 인지질 및 미백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지질 라멜라층; 및 상기 지질 라멜라층 상의 고분자층;을 포함하며,
    상기 핵제는 설탕이고,
    상기 미백 유효 성분은 엘라직산, 동릉초 추출물, 호이초추출물, 포도추출물, 산뽕나무추출물, 황금추출물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1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미백 캡슐 제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가 천연 세라마이드 또는 유사 세라마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캡슐 제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소시톨 및 포스파티딘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캡슐 제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라멜라층이 지방산, 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 알코올, 분자고정제(molecular anchoring agent)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함유하며, 상기 콜레스테롤 유도체는 콜레스테릴 클로라이드,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올리일 카보네이트,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캡슐 제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콜레스테롤 또는 이의 유도체, 알코올 및 분자고정제를 세라마이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50 중량부, 1~50 중량부, 1~50 중량부 및 1~5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캡슐 제제.
  8. 제1항, 제3항, 제4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미백 캡슐 제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캡슐 제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99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08675A 2010-01-29 2010-01-29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6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75A KR101206200B1 (ko) 2010-01-29 2010-01-29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75A KR101206200B1 (ko) 2010-01-29 2010-01-29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33A KR20110088933A (ko) 2011-08-04
KR101206200B1 true KR101206200B1 (ko) 2012-11-28

Family

ID=4492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75A KR101206200B1 (ko) 2010-01-29 2010-01-29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646A (ko) 2015-02-27 2016-09-07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성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685B1 (ko) * 2011-11-16 2019-01-11 (주)아모레퍼시픽 글리코실 세라마이드 유사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2098B1 (ko) * 2021-06-14 2024-02-01 그린코스 주식회사 세라마이드 담지력을 가진 베지클과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을 포함하는 자극이 낮고 피부 장벽 회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3510B1 (ko) 2023-05-20 2023-12-13 주식회사 다우진유전자연구소 펩타이드 및 천연 추출물 활성을 갖는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646A (ko) 2015-02-27 2016-09-07 (주)아모레퍼시픽 미백성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방법
US10816541B2 (en) 2015-02-27 2020-10-27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for predicting side effect of whitening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33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478B1 (ko) 피부, 점막, 모발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KR20190080549A (ko) 미백용 용해성 마이크로니들 및 그 제조방법
ES2230497T3 (es) Ppreparacion cosmetica que contiene vitamina a.
KR100781604B1 (ko) 다가 알코올을 이용한 난용성 활성 성분 함유 중공형 다중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7A (ko)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멀티라멜라 소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6200B1 (ko) 미백 유효 성분을 안정화한 미백 캡슐 제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919B1 (ko) 식물 세포 내에 안정화된 활성 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2479A (ko) 피부침투가 용이한 펩타이드를 함유한 나노리포좀 입자의 제조방법
KR20140101570A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1516063B1 (ko)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7863A (ko) 옥사졸리딘-2-온 화합물을 캡슐화한 리포좀
US20170100326A1 (en) Lightening active agent containing plant extracts, uses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3052199B1 (fr) Utilisation d&#39;une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39;hemerocalle pour ameliorer la fermete de la peau
EP1043016A1 (en) A plant extract based on glycerides,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is extract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511944B1 (ko)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527580B1 (ko) 다층 라멜라 과립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TWI552769B (zh) 佛手瓜果實細胞原液、其萃取方法、包含其之護膚除皺組合物及其用途
KR100681703B1 (ko)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장뇌삼, 치마버섯 및 황백의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윤택 증진용화장료 조성물
KR101633539B1 (ko) 아젤릭산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3835A (ko)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7732A (ko)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Rani et al. Phytosomes: potential carriers for herbal drugs
KR101208120B1 (ko) 비타민 복합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11B1 (ko) 생약 추출물 함포 펙틴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