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944B1 -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944B1
KR100511944B1 KR1020050033634A KR20050033634A KR100511944B1 KR 100511944 B1 KR100511944 B1 KR 100511944B1 KR 1020050033634 A KR1020050033634 A KR 1020050033634A KR 20050033634 A KR20050033634 A KR 20050033634A KR 100511944 B1 KR100511944 B1 KR 10051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posomes
lecithin
liposome
asiatic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훈
이종성
정광선
홍성택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리포좀의 안정성과 경피흡수율이 현저히 향상되어 우수한 주름개선 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siaticoside}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인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시아티코사이드는 육각형 고리가 5개 결합된 아시아틱 산 (asiatic acid)에 당이 붙어 있는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아시아티코사이드는 Centella asiatica에서 추출된 천연물로서 화상 및 창상으로 인한 손상을 보호하거나 치유속도를 향상시키므로 예부터 피부질환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Shim et al, 1996. 6, 2937-2940, Bioorg. Med. Chem. Lett.). 1990년도에 연구된 아시아티코사이드 화합물의 약리기전은 피부세포에서 콜라겐을 비롯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생성을 변화시키는 것이 포함된다고 알려져 있다. 실질적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과 세포증식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 분해효소인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활성을 억제하는 함으로써 주름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아시아티코사이드의 주름개선 효능을 이용하고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16723호에서는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시아티코사이드는 뛰어난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반면, 아시아티코사이드 자체가 친수성기인 당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투과율이 현저히 낮은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인간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인체에서 가장 큰 기관이다.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표피는 그 두께가 평균 0.1mm 정도로, 주로 각질형성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표피 아래로부터, 기저층, 유극층, 과랍층, 각질층으로 구분된다. 표피를 구성하는 각질형성세포는 기저층으로부터 발생되어, 케라틴 섬유가 발달되는 유극층, 세포내에 과립이 형성되는 과립층을 거쳐, 피부의 최외각에서 상기 케라틴 섬유와 과립이 단단히 결합된 상태의 죽은 세포로 구성되는 각질층을 형성하게 된다. 10-20층 정도의 편평한 각질세포로 구성되는 각질층은 약 10u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데, 피부질환치료 목적의 약품이나 미용 목적의 화장료 등의 적용 시 가장 큰 장벽(barrier)로 작용한다. 이러한 각질층의 장벽기능 때문에 유효성분의 경피흡수성은 매우 중요한 검토사항 중 하나가 되고 있다.
유효 활성물의 경피투과도를 개선시키고자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2000-0040042호에서는 비수 용매에 세라마이드, 비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알코올, 콜레스테롤 및 오일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가열하여 용해하고, 여기에 유효성분으로서 아스코르빈산 등을 첨가하여 용해하여 고속으로 유화한 후 냉각하여 액정 젤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경피흡수를 촉진하고자 한 시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08598호에서는 레시틴, 에탄올, 에스테르 오일, 프로필렌글리콜, 콜레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세라마이드, 식물성 오일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리포좀내에 매실추출물, 당근추출물 등의 활성 물질을 봉입시킴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화시킨 후 이를 부직포에 흡수시켜 제조함으로써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키고자 한 시도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도들은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거나, 유효성분의 함유량에 제한이 있거나 또는 리포좀이 쉽게 깨지거나 경피흡수 향상 효과가 부족하거나 하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자는 주름개선 성분으로서의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화장료에 함유시킴에 있어서,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유상성분을 아시아티코사이드 포함하는 수상성분과 수중유 (oil-in-water) 방식으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단순 혼합하는 것에 의해 800 내지 2000nm의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갖는 안정성과 경피흡수율이 크게 향상된 다중층 리포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중층 리포좀-포함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다중층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아시아티코사이드가 다중층 리포좀에 포집되고, 다중층 리포좀이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내지 15.0중량%, 콜레스테롤이 0.1 내지 10.0중량%, 세라마이드가 0.01 내지 0.05중량%, 레시틴이 0.1 내지 10.0중량% 함유되며, 입자 크기가 800 내지 2000nm인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리포좀은 다중층 리포좀으로서, 지질 이중막이 (물층-지질이중막층)-(물층-지질이중막층)과 같이 반복되는 원형의 다수의 동심원 막으로 된 리포좀이다. 이러한 다중층 리포좀 내부에 주름개선 유효 성분이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시아티코사이드는 주름개선과 관련한 효능을 갖는 물질이지만 당을 포함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피부투과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유효성분을 다중층 리포좀에 포집시켜 경피 투과 속도를 증진시켰다.
상기한 다중층 리포좀은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수중유 (oil-in-water) 방식으로 혼합 및 교반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유상성분은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포함한다. 상기한 유상 성분의 배합에 의해 안정하며 경피 흡수가 뛰어난 다중층 리포좀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다중층 리포좀의 내부에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다.
다중층 리포좀은 단일막 리포좀에 비해 여러 층의 막이 층상으로 쌓여 있어서 체적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봉입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이 단일막 리포좀에 비하여 100배 이상에서 1000배에 이른다. 또한, 단일막에 비해 유상성분이 최외곽층을 제외하고는 곧바로 외부 수층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내부층에 속한 유상부나 수상부의 물질은 단일막에 비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나 빛에 의한 영향, 금속이온 및 여러 가지 외부환경에 대한 영향을 덜 받는다. 따라서, 다중층 리포좀은 불안정한 물질의 포집에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 0.1 내지 15.0중량%의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10.0중량%의 콜레스테롤, 0.01 내지 0.05중량%의 세라마이드, 0.1 내지 10.0중량%의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중량%의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5.0중량%의 콜레스테롤, 0.01 내지 0.03중량%의 세라마이드, 0.1 내지 5.0중량%의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 0.1 내지 6.0 중량%의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0.1 내지 3.0중량%의 콜레스테롤, 0.01 내지 0.03 중량%의 세라마이드, 0.1 내지 4.0 중량%의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의 제조에 사용된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안전성이 높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유성 원료로서 상어의 간유나 사람의 피지 등에 함유되어 있다.
콜레스테롤은 동물성 스테롤의 한 종류로서 피부침투성이 좋고 자극도 적어서 유연제, 유화제, 유화 안정제 등으로 사용되며, 소포(vesicle)을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세라마이드는 스핑고리피드의 일종으로 스핑고신과 리놀레인산과 같은 다양한 지방산으로부터 제조된다. 장쇄 염기인 스핑고신의 아미노기에 지방산이 아미드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1차적으로 장벽기능을 하며 동시에 수분과 결합하는 기능, 면역조절의 기능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 제조시 동물 및 식물 기원의 모든 세라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레시틴은 인지질의 일종으로서 글리세롤의 한쪽에 인산 및 콜린 등의 친수성 성분이 결합되고 다른 쪽에는 소수성의 아실기가 결합된 구조를 하고 있어 그 특성상 수상부나 유상부 모두에 함유가 가능하다. 레시틴은 탄소수 12 내지 24의 지방산 사슬을 갖고 포스파티딜콜린 함량이 20%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의 제조시 유도체 형태의 레시틴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예시로서 레시틴 분자내의 불포화 이중결합을 포화시킨 수소첨가 레시틴(hydorgenated lecithin), 인지질의 지방산 사슬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제조된 리소레시틴, 레시틴에 하이드록시기를 도입한 하이드록실레이티드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레시틴 및 그 유도체는 동물 또는 식물 유래의 것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의 제조시, 상기한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원의 레시틴 또는 이의 유도체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점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의 안정도를 개선할 수 있다. 방부제는 합성 또는 천연 유래의 방부제 모두 사용가능하며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부제는 0.01%에서 20% 이내로 첨가될 수 있다. 항산화제는 BHT, 에르솔베이트, 토코페롤, 아스탁산친, 식물성 플라보노이드 등과 그 유도체 및 다양한 식물유래의 항산화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안정화제는 리포좀의 성상을 안정화 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포좀 제조 후에 첨가되어 질 수 있으며, 폴리올 계열, 당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 계열로는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플로필렌 글리콜, 다이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카비톨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류로는 트레할로스, 설탕, 만니톨, 솔비톨, 키토산 등을 포함하여, 단당류, 올리고당류, 고분자 전분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제조된 리포좀의 수분산 안정도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점증제는 천연유래의 다양한 점증제를 포함하여 아크릴아마이드 류 및 합성 고분자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카시아검, 잔탄검, 젤란검, 로커스트빈검, 전분 등의 천연고분자와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유도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 등의 합성고분자와 이들의 공중합체 및 가교된 형태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흡수가 필요한 다양한 적용에 이용 가능하다.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크림, 팩, 젤, 패치 등의 기초 화장료와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져 등의 세정료,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의약품 및 의약외품 등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4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b) 수상 성분을 4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용해된 성분들을 수중유 (oil-in-water) 혼합하고 10000 내지 15000rpm(revolutions per minute) 의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은, 이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내지20중량%의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성분 혼합물과 0.01-3.0중량%의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상성분 혼합물을 각각 별도의 용해조에서 용해시킨 다음, 용해된 유상성분 혼합물을 수상성분 혼합물에 투입하여,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10000 내지 15000rpm에서 교반한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 제조에 사용되는 유상 성분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이들은 리포좀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내지 15량%를 차지한다.
수상 성분은 물 이외에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올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상성분에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용해시킨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의 제조시, 유상 성분 및 수상 성분은 각각의 용해조에서 호모 믹서 또는 패들 믹서로 혼합 및 용해시킨다. 유상 성분은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며, 알코올에 용해시킬 경우 약 55℃ 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쉽게 용해되며 완전 용해가 가능하다.
상기 별도의 용해조에서 제조된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수상 성분의 혼합물에 투입하여, 10000rpm 내지 15000rpm의 속도로 40내지 60분 동안 교반한다. 상기한 교반 유화는 프로펠라 믹서, 디스퍼, 호모 믹서, 호모게나이져, 콜로이드분쇄기, 초음파유화기 등의 당업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다양한 분산 유화기를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중층 리포좀은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800내지 2000nm이고, 점도는 1cps내지 3000cps인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별도의 용해조에서 제조된 유상 성분의 혼합물과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의 혼합물을 일반적인 호모 믹서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형성된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36개월 후에도 입자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고압호모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다중층 리포좀, 유기용매를 사용한 박막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리포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61458호에 의해 제조한 리포좀 보다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표 2). 또한,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 경피 흡수 효과(표 3) 및 주름개선 효과(표 5)가 고압호모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다중층 리포좀, 유기용매를 사용한 박막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리포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461458호에 의해 제조한 리포좀 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 사람을 상대로 한 자극시험에서도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우수한 인체 안전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이 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일반 호모 믹서를 이용한 다중층 리포좀의 제조
본 발명에 의한 다중층 리포좀제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모기를 이용하여 제조가 가능하고, 다음의 순서대로 제조하였다.
1) 정제수를 온도 45℃ 정도로 올린 후 아시아티코사이드를 넣어 호모 믹서로 혼합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2) 하기 표 1에 제시된 유상성분을 별도의 용해조에 투입하여 55℃ 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3) 상기 2)의 유상성분을 상기 1)항의 용해조에 투입하여 40분 동안 10000rpm의 교반속도의 호모 믹서로 혼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4) 45℃로 3)항의 교반액을 냉각시킨 후, 리포좀의 보존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항산화제(식물성 폴리페놀)와 점증제(산탄검) 및 방부제(내츄로틱스) 등을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 제조에 사용된 성분의 비율은 하기와 같다.
다중층 리포좀의 조성비
<비교예 1> 고압호모기를 이용한 나노크기의 리포좀 제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2113호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시험을 위하여 상기 특허에서 제시된 유효성분인 알부틴 대신에 본 발명에서 지표물질로 사용하기 위한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유기용매를 사용한 박막(thin film) 법에 의한 리포좀 제조
미국 특허 제4761288호의 실시예 1에 제시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시험을 위하여 상기 특허에서 제시된 유효성분인 미녹시딜(Minoxidil) 대신에 본 발명에서 지표물질로 사용하기 위한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일반 호모 믹서를 이용한 다중층 리포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61458호의 실시예 1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다만 첨가제로서 아데노신 대신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첨가하였다.
<실시예 2> 리포좀의 크기 결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리포좀에 대하여 입자측정기(Particle size analyser, Model 370 Nicomp사, 미국)를 이용하여 각 시료 별로 3회씩 유화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고 그 결과의 평균치와 600X 배율의 현미경 하에서 관찰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한 표 1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1과 같이 고압호모기를 사용하여 리포좀을 만들 경우, 그 크기가 고압호모기를 사용치 않은 경우보다 크기가 일정하고 작다. 이 경우 고압호모기의 통과 압력과 통과 온도, 통과 횟수 등에 의하여 크기가 영향을 받는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엷은 이중막을 만든 후에 수화시켜 다중층 리포좀을 만드는 경우(비교예 2)에는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여 1.5μm에서 1.7μm에 이르는 광범위한 크기의 리포좀이 만들어진다. 이 경우에는 크기가 너무 불규칙하기 때문에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리포좀 입자가 큰 리포좀 입자의 장력 하에 놓이게 되어 접근하다가 최종적으로는 융합되며, 이런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리포좀이 성장하게 되며 풍선과 같이 한계점을 지나게 되면 터지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상이 불안정하고 깨어진 리포좀 때문에 포접되었던 오일류가 수층으로 노출되어 결국 에멀젼의 가장 상층으로 올라와 분리되어 오일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예 2는 제조방법이 비교적 쉬운 리포좀 제조법이나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반면, 비교예 3과 실시예 1에서는 입자의 분포가 모두 200에서 1500nm 정도로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평균크기는 800에서 900nm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리포좀의 안정도
실시예 1과 비교예 1, 2, 3 에서 얻어진 입자의 크기를 상대습도 70% +/- 5, 온도 25°C도로 조절되는 항온기 내에 보관하여 안정도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리포좀 입자의 크기는 모두 nm이다.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제시된 120nm 정도의 나노사이즈 크기의 리포좀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며 6개월 동안의 그 크기에 변화가 거의 없지만, 36개월후에 그 크기가 약 10배 정도 커졌다. 비교 예 3의 다중층 리포좀은 리포좀이 그 크기가 2년까지는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었지만 3년 경과시 2배로 입자 크기가 증가되었다.  비교 예 2의 유기용매를 이용한 다중층 리포좀은 2년까지는 그 크기가 4000에서 8000nm정도로 유지되었다. 하지만, 3년경과시 입자크기가 2배정도로 증가하였다. 비교예1,2,3과는 달리 실시예 1은 3년 경과시에도 리포좀의 크기가 800nm정도로 유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실시예 1에서 가장 뛰어난 안정화 정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경피흡수 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2 및 3를 사용하여 경피 흡수 정도를 시험하였다. 경피흡수는 털을 제거한 기니아 피그(Jackson Laboratories) 피부를 대상으로 프란츠 투과셀 (PermeGear, Inc.)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직전, 털을 제거한 기니아 피그의 복부 부분의 피부를 채취하여, 평방 1㎠의 면적으로 절단한 후, 이를 투과경의 직경이 0.9㎝인 투과셀에 장착하고,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피부의 한쪽면(donor 용기)은 상기한 비교예 2, 3 및 실시예 1의 리포좀을 0.5㎖ 넣어주었다. 반대쪽 면(receptor 용기)은 정제수와 에탄올이 4:1 중량비로 혼합된 용매와 접촉하도록 하였으며, 시험시 온도는 실제피부 온도인 32℃를 유지하였다. 시험 시작 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용매의 일부를 채취한 후, 피부를 통과한 아시아티코사이드의 양을 측정하여, 도포 농도 당 피부흡수량(㎍/㎠/중량%)으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아시아티코사이드의 정량 분석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방법과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조건은 각각 다음과 같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주입기 : 스플릿 비율 1:50
검출기 : FID(Flame Ionization Detector)
컬 럼 : 30m DBWAX 0.25mm LD
컬럼 압력 : 10psi
주입기 온도 : 250℃
검출기 온도 : 250℃
오븐 온도 프로그램
시작 : 200℃
가열 속도 : 4℃/분, 250℃ 까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기기: Dionex P530 pump, ASI-100 automated sample injector
컬럼 : Phenomenex Luna 5u (C18(2)), 150x 4.6 mm
이동상 : 10 mM KH2PO4 : water = 92:8 (0-6.5 min) -40:60 (7.5-12 min) - 92:8 (12.5-15 min) gradient system
유속 : 0.6 ml/min
검출기 : UV/Vis Detector UVD 340S 260 nm
주입 부피:10 ul
가동시간: 25 min
상기한 표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2의 다중층 리포좀은 일반 저속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3과 비슷하게 시간 의존적으로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피부내로 흡수시켜 통과시켰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층 리포좀은 비교예 2와 3에 비하여 높은 투과 속도와 투과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인체 안전성 시험
사람을 상대로 한 자극시험으로서 첩포 시험(patch test)을 수행하여 자극유무를 판단하여 자극이 있으면 어느 정도이며 다른 진정성분으로 완화 가능한지를 점검하였다. 시험은 임상 전문기관인 더마프로㈜에서 수행하였으며, 최소 30명의 인원이 시험에 참가하고, 결과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부적격한 경우는 탈락시켰다. 첩포 부위는 사람의 상등부(정중선의 부분은 제외) 또는 전완부와 같은 인체사용 시험을 평가하기에 적정한 부위를 폐쇄 첩포하였다. 원칙적으로, 첩포 48시간 후에 팻취를 제거하고 제거에 의한 일과성의 홍반의 소실을 기다린 후 관측하여 판정하였으며, 판정은 피부과 전문의 5년이상 동종업계의 전문 종사자의 책임 하에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첩포시험은 하기의 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람의 정상피부(등 또는 전박부)에 핀 챔버(Finn Chamber, 직경 5mm)를 사용하여 첩포 시험을 수행하였다. 핀 챔버에 시료를 소량 넣은 뒤 피부에 스캔포 테이프(Scanpor tape)를 사용하여 붙였다. 첩포를 붙이고 이틀간 붙여 둔 후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 첩포 부위의 피부상태를 판독하였다. 이틀 후 동일부위를 다시 한번 판독하였다. 판독기준은 다음과 같은 국제 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가 추천한 첩포 시험 결과의 판독기준을 이용하였다.  피험자들이 첩포 시험 3일 전부터 판독이 완료될 때까지(총 1주일) 일체의 항히스타민제의 복용을 금지하였다.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첩포 시험을 판독하여 IR 반응(자극반응) 및 알레르기성 반응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인체 안전성 시험 결과, 본 발명의 다중층 리포좀은 72시간 경과 후에도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우수한 안전성이 있음이 입증되었다(표 4).
<실시예 6> 주름개선효과 시험
실시예 1, 비교예 2 내지 3 및 실시예 1제조시 아시아티코사이드 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4에 대한 주름 개선효과를 임상 시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피부탄력 변화의 측정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부탄력의 측정은 온도 24 내지 26℃, 습도 38 내지 4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건강한 여성 30명 (25 내지 35세)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1종류, 비교예 1과 비교예 2 로션을 각각 피검자의 얼굴에 1일 2회씩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 Cutometer SEM 474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판정기준은 피부탄력이 없는 경우를 0, 많은 경우를 5로 하여 상대적인 값을 비교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2와 3에 비해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는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실시예1의 리포좀의 안정성과 피부 투과율이 비교예 2및 3에 비해 우수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하는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형성된 리포좀이 안정하고 경피 투과율이 높으며 인체 독성이 없이 적용할 수 있어, 주름 개선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아시아티코사이드가 다중층 리포좀에 포집되고, 다중층 리포좀이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내지 15.0중량%, 콜레스테롤이 0.1 내지 10.0중량%, 세라마이드가 0.01 내지 0.05중량%, 레시틴이 0.1 내지 10.0중량% 함유되며, 입자 크기가 800 내지 2000nm인 다중층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내지 6.0중량%, 콜레스테롤이 0.1 내지 3.0중량%, 세라마이드가 0.01 내지 0.03중량%, 레시틴이 0.1 내지 4.0중량% 함유되는 조성물.
  3. (a)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포함하는 유상 성분을 4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b) 아시아티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수상 성분을 45℃ 내지 55℃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에서 용해된 성분들을 수중유 (oil-in-water) 혼합하고 10000 내지 15000rpm(revolutions per minute) 의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아시아티코사이드가 포집된 다중층 리포좀을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가 0.1 내지 15.0중량%, 콜레스테롤이0.1 내지 10.0중량%, 세라마이드가0.01 내지 0.05중량%, 레시틴이0.1 내지 10.0중량%인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교반속도가 10,000 내지 12,000 rpm 인 방법.
KR1020050033634A 2005-04-22 2005-04-22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051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634A KR100511944B1 (ko) 2005-04-22 2005-04-22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634A KR100511944B1 (ko) 2005-04-22 2005-04-22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1944B1 true KR100511944B1 (ko) 2005-09-02

Family

ID=37304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634A KR100511944B1 (ko) 2005-04-22 2005-04-22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9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04B1 (ko) * 2005-12-28 2008-03-05 (주)스피어테크 리포좀화 시킨 나노용매를 함유하는 경피흡수 점착시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30021979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KR20230021981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KR20230021978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KR20230021977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404B1 (ko) * 2005-12-28 2008-03-05 (주)스피어테크 리포좀화 시킨 나노용매를 함유하는 경피흡수 점착시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230021979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KR20230021981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KR20230021978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KR20230021977A (ko) 2021-08-06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난용성 효능성분의 안정도가 개선된 다중유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8915B2 (ja) 多重層リポソ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3073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osmeceutical ingredients containing epi-dermal delivery mechanisms
KR100921959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단일막 나노 리포좀을 포함하는다중-유화 베시클
DE10226990A1 (de) Topisch applizierbare Mikro-Emulsionen mit binärer Phasen- und Wirkstoffdifferenzierbarkeit,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zur Versorgung der Haut mit bioverfügbarem Sauerstoff
CN108498382A (zh) 一种保湿共输送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30134532A (ko) 피부 자극 완화 및 피부 장벽 회복을 위한 다중층 액정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chafer et al. Natural ingredients of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s as permeation enhancers of active substances through the stratum corneum
KR100511944B1 (ko) 아시아티코사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159335A (zh) 一种燕窝酸保湿修复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一种化妆品
EP2763686A1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JP2011079820A (ja) オキサゾリジン−2−オン化合物をカプセル化するリポソーム
KR100461458B1 (ko) 다중층 리포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679631A (zh) 一种含有透明质酸的氨甲环酸脂质体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50078137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87583B1 (ko) 다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화장료
WO2020121017A1 (en) Cream synthesis from platelet mediators with herbal penetration enhancers to increase the skin&#39;s collagen
KR100501309B1 (ko) 알부틴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90645B1 (ko)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831627B1 (ko) 수용성 생리활성 성분을 포집한 역상 다중층 베시클
CN117919112A (zh) 阴离子亲水聚合物修饰的稳定性提高的补骨脂酚脂质体
KR20240057003A (ko) 피부투과촉진 복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겔 화장료 조성물
CN114099410A (zh) 一种具有协同增益抗衰功效脂质体的面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115478A (ko)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