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478A -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478A
KR20090115478A KR1020080041365A KR20080041365A KR20090115478A KR 20090115478 A KR20090115478 A KR 20090115478A KR 1020080041365 A KR1020080041365 A KR 1020080041365A KR 20080041365 A KR20080041365 A KR 20080041365A KR 20090115478 A KR20090115478 A KR 20090115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tem cell
lecithin
nanosome
cell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자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 클라인 뜨락
이정자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클라인 뜨락, 이정자, 김진희 filed Critical (주) 클라인 뜨락
Priority to KR102008004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478A/ko
Publication of KR2009011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시틴, 레시틴 유사유화제로서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 또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중의 어느 하나, 오일 및 수성성분을 함유하는 나노좀에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이 크게 증가되어 조성물의 유통기간을 늘여 제품의 단가 및 사용기간을 증가시키는 등 줄기세포 산물의 전달 제형으로서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나노좀, 줄기세포 배양산물, 성장인자,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tem cell cultured products Stablilized in Nanosome as Active Ingredient}
본원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1차적인 기능은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체온조절, 호흡 및 배설작용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기능들이 점차 약화되고 피부의 노화가 진행된다. 특히, 피부 장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질층의 지질조성과 함량이 변화하면서 그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어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하게 되면 피부가 거조해 지고 기미, 주근깨, 색소 침착 및 다양한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과 같은 자극을 받게 되면 피부는 주름생성, 탄력손실 및 각화 등과 같은 피부의 노화가 더욱 가속화 된 다.
인체의 피부는 표피와 진피로 나뉘어져 있으며, 표피의 가장 아래에 있는 기저층에서 새로이 형성된 각질 형성세포는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약 14일 이후에 각질로 변하게 되고, 다시 14일 정도 뒤에는 완전히 노화되어 허물이나 때가 벗겨지게 된다. 기저층과 연결되어 있는 진피는 표피에 수분을 공급하고,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탄력 감소, 피부 주름 등의 피부노화현상은 콜라겐의 파괴, 콜라겐 합성의 감소, 엘라스틴의 소실등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피부 표피에서도 일어나지만 이보다는 진피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피부의 주름생성원인 및 개선 방법에 대한 피부 생리학적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화장료에 있어서 피부주름방지를 위해 자외선 차단제, 항산화제, 세포활성촉진제 등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콜라겐 합성에 따른 피부 주름개선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의 발전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 생체내에 존재하는 성장인자와 같은 소량의 신호물질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생체의 노화이론이 재정립되고 있는 중이다. 또한 이 신호물질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생체내에서 감소하게 되는데 바로 이 성장인자의 감소가 우리의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성장인자들은 각 조직의 기저에 존재하고 있는 줄기세포에서 다량 생산되고 있다.
줄기세포는 다-분화능을 지닌 세포로서 인 비트로(in vitro) 뿐 아니라 인 비보(in vivo) 조건에서 뼈, 연골, 인대, 지방, 심근, 근육 등의 세포로의 분화 능력을 지니고 있는 다분화능 세포이다. 이러한 다분화능 세포인 줄기세포는 각 조직 세포로의 분화기전 연구에 있어 좋은 모델로 이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다양한 세포 치료법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세포 치료 대상 세포로서의 응용적 측면에서 볼 때, 중간엽 줄기세포는 세포의 채취가 상대적으로 쉽고 안전하며 자가 이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배아줄기세포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장점들로 인하여 줄기세포를 이용한 심근경색, 골절, 연골 손상, 뇌졸중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줄기세포는 배아줄기 세포와는 달리 생체외에서 배양 시 활용할 수 있는 줄기세포는 그 수명이 매우 짧고 분화능 또한 짧은 기간 동안 만 보유된다. 이러한 줄기세포의 제한된 수명은 해당세포의 활용에 있어 큰 제약이 되고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의 줄기세포의 이용은 그 대사물로서의 성장인자를 이용하는 것이다. 성장인자들은 세포의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자극하는 작용을 하는 단백질이다. 성장인자들의 기능은 매우 다양하여 여러 가지 세포에 분열을 자극하는 작용을 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경우에는 특이한 세포형에만 작용하기도 한다. 성장인자는 세포 증식의 자극을 위해서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세포 분화, 이주, 증식과정을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이적 수용체에 성장인자가 결합하게 되면 신호 전달 사슬을 활성화하여 세 포의 외부로부터 내부의 핵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신호 전달이 계속되면 다량의 다른 전달자와 같이 작용하여 최종적으로 새로운 단백질이 합성된다. 그러므로 성장인자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전달, 기능 제어에 있어서 중요한 신호 전달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물질을 찾고자 예의 노력하던 중 줄기세포의 배양산물이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어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키기 위하여, 나노좀에 포접하여 화장료에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노화방지 효과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아토피 개선 효과도 탁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또한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시틴, 레시틴 유사유화제로서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 또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중의 어느 하나, 오일 및 수성성분을 함유하는 나노좀에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피부에 적용시 안전성이 크게 증가되어 조성물의 유통기간을 늘여 제품의 단가 및 사용기간을 증가시키는 등 줄기세포 산물의 전달 제형으로서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피부주름 개선용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얻을 수 있는 배양액 및 배양한 줄기세포를 파쇄하여 얻을 수 있는 모든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를 제외한 성체로부터 얻어지는 줄기세포를 의미하며, 예로서 골수, 재대혈 및 말초혈액을 포함하는 혈액 및 조직의 기저에서 기원되는 줄기세포를 모두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의 유효 성분은 주로 세포의 성장을 조절하는 펩타이드와 단백질로서, 예를 들면 PDGF(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Basic FGF(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KGF(각질세포 성장인자), TGF-β1(형질변환성장인자), HGF(간세포 성장인자), VEGF(혈관내피 성장인자), 콜라겐, 파이브로넥틴, SOD(항산화 효소)등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각종 성장인자를 함유하고 있어 1. 피부 구성세포인 섬유아 세포 이동 촉진, 활성화 효과, 피부 재생 및 항노화 효과, 콜라겐 합성 증가,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효과, 멜라닌 합성 억제, 모발 성장 및 축소된 모낭 복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유효성분인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안정화시키고 경피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나노좀에 포접하여 화장료에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나노좀은 레시틴 또는 레시틴 유사유화제, 오일(유성성분), 수성성분을 함유하여 구성되며, 상기 나노좀에 줄기세포 배양산물이 포접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줄기세포 배양산물의 함량은 나노좀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0) 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나노좀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0) 중량% 함유된다. 상기 배양산물을 포접한 나노좀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가 극히 미약하며, 5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나노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평균 소적 크기가 50 내지 500 nm이며(피부 경피 통과하기에는 너무 큰 것 같습니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 nm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nm인 나노화된 리포좀을 의미한다. 상기 나노좀의 평균 소적 크기가 5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 침투 및 제형 안정성이 매우 미약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용어 "리포좀"은 수용성 머리와 불용성의 꼬리를 가진 양친매성 분자로 구성된 입자의 상호 자발적인 결합 및 정렬된 콜로이드 입자로, 내부 에는 친수성의 공간이 있으며 외부로는 닫힌 이중의 지질막을 가지고 있는 미세 소포체(일종의 주머니)로서 세포막과 유사한 이중막 구조를 가진다. 나노좀은 중앙의 친수성공간에 수용성 분자(DNA 포함)나 혹은 약물을 내포시키며, 외부의 지질 이중막에는 지용성 약물을 붙이거나, 혹은 양전하 및 음전하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다. 나노좀의 가장 큰 특성은 다양성과 신축성으로 구조 변경이 용이하며, 구조와 성분을 달리 함으로서 전혀 새로운 물성과 기능 및 용도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 나노좀은 생체 적합성과 분해성,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어 수없이 많은 물질, 화장료 및 약물의 전달물질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좀의 "평균 소적 크기"는 입자 크기의 부피 분포 내의 부피 평균 직경(이하, VMD) 입자 크기를 지칭한다. 상기 VMD는 각각의 입자직경에 상기 크기의 모든 입자들의 부피를 곱하고 합하여 산출된다. 이어서 상기를 모든 입자의 전체 부피로 나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레시틴 유사유화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난황 및 대두에 다량으로 포함된 천연계면활성제인 레시틴과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화학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레시틴 유사유화제는 하기의 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시트릭애씨드와 라틱애씨드의 에스테르 결합에 다시 두 개의 글리세롤을 양쪽에 에스테르 결합시키고 다시 결합된 두 개의 글리세린기 OH에 각각 코코넛애씨드를 에스테르 결합시킨 것이며, 이때 R은 탄소수 12~16개인 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있다. 하기 구조의 화학물은 포스파티딜콜린이 결합된 레시틴과는 달리 시트릭애씨드 락테이트 글리세롤 코코넛오일의 에스테르 결합으로 연결된 특징을 지닌 것으로, 구체적인 예로서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 등이 있으며, 이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레시틴 유사유화제는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자연계에서 추출할 수도 있고, 상품화 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레시틴 유사유화제의 구조>
Figure 112008031856577-PAT00001
* 상기 구조식에서 R1 및 R2는 C12-C16의 포화지방산이다.
또한 상기 나노좀에 보조유화제로 폴리솔베이트(Polysorbate), 소르비탄올리 에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솔베이트는 예를 들어 트윈-80, 트윈-60, 트인-40 및 트윈-20이고, 소르비탄 올리에이트는, Span 8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는 Arlacel 83이다.
본 발명의 나노좀에 사용된 "오일"은 줄기세포 배양산물의 포접에 가장 우수한 오일을 사용하였으며,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스쿠알렌,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캐스트롤(hydrogenated castrol), 파라핀 오일 및 사이클로 파라핀 등이 있으며,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줄기세포 배양산물 이외에 생체성분의 활성을 유지시켜주는 다양한 성분들, 예컨대 보존제, 삼투제, pH 조절제, 완충제, 안정제, 수산화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계면활성제, 리포솜, 이스콤 보조제, 증량제, 카복시폴리메틸렌 등 및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따르면,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접한 나노좀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개선 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화장방법을 수행하면, 아토피 개선, 피부의 노화 방지, 주름개선 효과 및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줄기세포 배양 및 배양산물 추출
다양한 활성을 주는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화장품에 적용시 경피 흡수의 어려 움에 직면하게 되는데, 피부각질층은 친유적이기 때문에 수용성분의 침투를 막기 때문에 고가의 줄기세포 배양산물의 효율적인 경피 흡수를 위하여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2. 줄기세포 배양 산물을 함유하는 나노좀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나노좀을 제조하였다.
나노좀의 제조 (함량: 중량%)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레시틴 0.1 1 10 20 - - - - - - - - - -
글리세릴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리놀레이트/ 올레이트 - - - - 0.1 1 4 10 20 - - - -
글리세릴 코코에이트 /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 - - - - - - - - 0.1 1 4 10 20
B 미네랄 오일 3 3 3 3 3 3 3 3 3 3 3 3 3 3
트윈 60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C 줄기세포 배양산물 1 1 1 1 1 1 1 1 1 1 1 1 1 1
A상과 B상을 각각 80℃까지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하고 B상을 A상에 혼입한 후 호모믹서(TK-homomixer, 마크-2-F)를 이용하여 3500rpm으로 혼합물을 유화시켰다. 유화된 혼합액은 40℃까지 천천히 냉각시킨 후 40℃가 되면 C상의 항원을 혼입한 다음, A, B, 및 C상이 혼합된 혼합액을 상기와 동일한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500rpm으로 교반한 후 미세균질기(Niro. Soavi, 이탈리아)를 이용하여 1000Bar의 압력으로 각각 3회씩 통과시켰다.
상기 레시틴 유사유화제인 A 상의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 및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는 독일의 사솔(Sasol)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줄기세포는 NB피부과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실험예 3. 나노좀 입자의 입도 분포
본 발명의 면역증강제 조성물의 나노좀 입자의 입도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2의 실시예 1 내지 14를 10%-Microplasma Hyopnemoniae OD410=0.1 완충용액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후 나노좀 입자의 입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나노좀 입자의 입도는 제타사이저 엔에스(Zetasizer Ns) 장비를 이용하여 빛 산란방식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과 도 2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 및 2 의 그래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시틴유사유화제로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예 12의 면역증강제의 나노좀 입자의 입도분포(도 1)는, 레시틴을 포함하는 실시예 2 조성물의 나노좀 입도분포(도 2)에 비해 그 균일도가 훨씬 우수하였다.
실험예 4. 나노좀 입자의 에너지 여과 투과 전자 현미경(EF-TEM)사진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면역증강제 조성물의 나노좀 입자의 다중층 형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실시예 12의 조성물의 나노좀의 계면을 에너지 여과 투과 전자현미경(EF-TEM, Carl Zeiss)을 이용하여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 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시틴유사유화제인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제조된 본 발명의 면역증강제 조성물의 나노좀 입자의 계면이 이중층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양이 원형이 아닌 것은 입자의 강도가 유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함유한 나노좀의 안정성 시험
실험예 2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14의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조성물의 침전상태, 색상, 변취 정도를 4℃, 25℃, 42℃ 및 24시간 주기로 하여 4℃ 내지 50℃로 순환하는 온도순환의 조건에서 8주 동안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함유한 나노좀의 안정성 시험
안정성 침전상태 변취 색상
(온도) 25℃ 42℃ 온도순환 4℃ 42℃ 42℃
실시예 1 안정 안정 침전 침전 산패됨 변색(노란색)
실시예 2 안정 안정 침전 침전 산패됨 변색(노란색)
실시예 3 안정 안정 침전 침전 산패됨 변색(노란색)
실시예 4 안정 안정 침전 침전 산패됨 변색(노란색)
실시예 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6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7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8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9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1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11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12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13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실시예 14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백색)
표 2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시틴으로 제조된 나노좀(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4℃, 42℃ 및 24시간 주기로 하여 4℃ 내지 50℃로 순환하는 온도순환 조건에서 침전과 합일이 발생하나 레시틴 유사유화제인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면역증강제 조성물의 경우에는 침전이나 변색 또는 변취 없이 안정하였다.
상기 실험예들을 근거로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된 실시예 12의 나노좀을 사용하여 여러 가용화제형과 유화제형의 화장료 조성을 하기에 제시하였다. 제형예는 그 조성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스킨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1.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1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화장수
하기의 표 4와 같이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1.0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겔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1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5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0.01
유니사이드-유 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크림
하기의 표 6과 같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10.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0
0.01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7과 같이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1.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0.01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하기의 표 8과 같이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2.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0.02
유니사이드-유 13 0.01
그린 #3 0.001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하기의 표 9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나노좀 2.0
폴리비닐알콜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미량
유니사이드-유13 0.02
그린 #3 0.003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6.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한 나노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아토피 개선 효과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한 나노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Haniffin과 Rajika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진단기준에 적합한 24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시험방법은 모든 환자는 하루 2회(아침, 저녁)의 제품사용을 기본으로 하며 가급적 흐르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 후 물기를 제거하고 5분 이내 이 보습제를 전신에 바르도록 하며 스테로이드 연고제나 전신적 치료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6-1.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육안평가, 임상적 특징 및 임상병력 조사
0주, 2주, 4주에 하기의 6개 증상에 대하여 각각 11곳의 증상 부위별로 증상의 정도를 0에서 3점까지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평가를 하였다. 또한, 각각의 증상부위별로 표면 영역의 %를 표기하였다.
<6개 증상 기준>
가. 홍반
나. 삼출 또는 가피
다. 부종 또는 구진
라. 건조
마. 태선화
바. 소파흔
* 6개 증상의 평가는 각각 기준의 평가를 하기 위하여 선택된 가장 심하게 손상된 영역을 가지고 0에서 3까지 평가한다.
<11곳 증상부위>
1. 발
2. 무릎
3. 다리
4. 손
5. 팔
6. 얼굴
7. 목
8. 두피
9. 엉덩이
10. 배 및 가슴 회음부
11. 등
<증상의 정도(중증도)>
0 점 : 증상없음 : none
1 점 : 증상이 미약함 (경증) : mild
2 점 : 증상이 심함 (중등도) : severe
3 점 : 증상이 매우 심함 (중증) : extremely severe
이때, 초기 시험시작 시 발병기간을 확인하고, 동반질환(천식, 비염등) 유무를 확인하였다.
6-2. 피험자에 의한 자가 평가
0주, 2주, 4주에 임상평가 전 3일간의 불면증, 소양증의 정도를 각각 0에서 3점까지 피험자 스스로 (단, 유아인 경우 보호자가) 평가한다. 제품사용에 따른 사용감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증상의 정도(중증도)>
0 점 : 증상없음 : none
1 점 : 증상이 미약함 (경증) : mild
2 점 : 증상이 심함 (중등도) : severe
3 점 : 증상이 매우 심함 (중증) : extremely severe
6-3. 기기적 측정
0주, 2주, 4주 방문 시마다 시험제품 도포부위 중 증세가 심한 곳을 택하여 TEWL, 피부 수분 함량 정도, pH를 측정하였다.
<측정기기>
TEWL (TEWAMETER)
피부 수분 함량 정도(CORNEOMETER)
pH(pH meter)
분석 결과, 각각의 6개 증상에 대한 중증도 지수, 11곳의 증상부위의 중증도 지수, 피험자 자가평가에 의한 중증도 지수의 변화를 임상시험 전과 후의 변화에 대한 개선율로 구한다. 또한 기기평가는 임상시험 전과 후의 변화에 대한 개선율로 구한다.
실험예 7.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한 나노좀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의 인체적용시험은 시험기간을 총 8주로 하여 진행하였다. 본 인체적용시험은 2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시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품 사용 전 0주(baseline)에서는 피험자는 세정 후 항온항습실(온도 23ㅁ2℃ 와 상대습도 45ㅁ5%)에서 30분간 대기한 뒤 자신의 피부상태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한 후 눈가주름에 대한 피부과 전문에 의한 Global photodamage score에 따른, 주름 촬영용 고정장비세트 및 조명세트와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OLYMPUS E-1, JAPAN)에 의한 사진제작 및 얼굴 눈가 주름 시험부위에 대한 replica를 제작하고 Visiometer (Skin-Visiometer SV 600,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주름 replica에 대한 image analysis를 시행함으로써 피부주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제형 사용 4주 후, 6주 차, 8주 차에도 0주차와 같은 방법 측정하였다.
7-1. 설문 평가
평가시(제품 사용 4주후, 6주후, 8주후) 마다 제형 사용에 따른 피부과 전문의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제품의 효능과 이상반응 유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 분석 방법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결과는 제품 사용 전후간의 유의성 여부를 가설평균차 5% (p<0.05)에 맞추어 paired t-test로 확인하고, 시험제품의 사용감 및 피부 개선에 대한 평가는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였다. 이때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MS EXCEL 2003 software를 이용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레시틴으로 제조된 면역증강제의 나노좀 입자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제조된 면역증강제의 나노좀 입자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로 제조된 면역증강제의 나노좀 입자의 전이 전자현미경(TEM)사진이다. 입자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2)

  1.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노화방지용인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피부주름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아토피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좀은 레시틴 또는 하기 구조식 1로 정의되는 레시틴 유사유화제, 오일성분 및 수성성분을 함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구조식 1>
    Figure 112008031856577-PAT00002
    상기 구조식 1에서 R1 및 R2는 C12-16의 포화지방산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유사유화제는 글리세릴 코코에이트/시트레이트/락테이트 또는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레이트/올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 유사유화제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집한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성분은 미네랄 오일, 스쿠알렌, 하이드로게네이티드 폴리데센(hydrogenate polydecene) 및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캐스트롤(hydrogenated castr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집한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 배양산물은 나노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좀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방법.
KR1020080041365A 2008-05-02 2008-05-02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15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65A KR20090115478A (ko) 2008-05-02 2008-05-02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65A KR20090115478A (ko) 2008-05-02 2008-05-02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478A true KR20090115478A (ko) 2009-11-05

Family

ID=4155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365A KR20090115478A (ko) 2008-05-02 2008-05-02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4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73B1 (ko) * 2010-06-23 2011-07-08 주식회사 에프씨비투웰브 인체유래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포접시킨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873B1 (ko) * 2010-06-23 2011-07-08 주식회사 에프씨비투웰브 인체유래 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포접시킨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91241B (zh) 一种靶向线粒体皮肤抗衰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657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208B1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7769B1 (ko) 임모르뗄꽃 및 로얄젤리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6639B1 (ko)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조성물
JP2022511023A (ja) シスツス・モンスペリエンシス(Cistus monspeliensis)の抽出物の新規な化粧品的及び皮膚科学的使用
JP2020528874A (ja) 皮膚及び/又は粘膜を水和させるためのネフェリウム・ラパセウム(nephelium lappaceum)の果皮の抽出物の使用
WO2023109289A1 (zh) 包含植物果油和植物籽油的组合物及其应用
US2014010600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7214A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3012197A2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142010B1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7020A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544159B1 (ko)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와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및 이를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82355B1 (ko)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115478A (ko) 줄기세포 배양산물을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나노좀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3326B1 (ko)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락토코쿠스발효물, 효모폴리펩타이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포도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506615A (ja) 天然又は再構築表皮を改善するためのセラミド前駆物質を含有する組成物と得られた皮膚等価物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KR102632205B1 (ko) 경피 흡수율이 우수한 플랙스 미셀 구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119790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моложения кож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