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360B1 -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360B1
KR102371360B1 KR1020200005376A KR20200005376A KR102371360B1 KR 102371360 B1 KR102371360 B1 KR 102371360B1 KR 1020200005376 A KR1020200005376 A KR 1020200005376A KR 20200005376 A KR20200005376 A KR 20200005376A KR 102371360 B1 KR102371360 B1 KR 102371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smetic composition
honey
mixed extract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986A (ko
Inventor
정의수
이종섭
박민희
이은모
차영권
조항의
조윤희
김지선
송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0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1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과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를 원적외선추출법(F-IRE)으로 처리한 혼합추출물로 피부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whitening and moisturizing effect containing honey, schisandra fruit, Lycium chinese and green tea far-infrared mixe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꿀과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를 건조하여 동량으로 혼합한 후 원적외선추출을 통해 얻은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 및 미백 효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 외부 유해 환경 성분 등 다양한 인자들로 인해 피부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어지면서 갈라지게 된다. 수분이 손실되면 각질이 탈락되면서 외부에 노출되기 용이하게 되어 자극에 대한 염증 및 피부질환이 유발된다. 건조한 피부는 면역기능이 약화되어 가려움증 및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러지가 유발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피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습제가 화장품에서 사용되는데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보습성분으로 폴리올류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있으며, 밀폐성분으로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이나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올은 피부에 도포 시 고유의 점성과 물성으로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밀폐 성분들의 경우 유화 제형에서 유화 계면 막의 구조를 교란하여 안정도를 저해하는 난점이 있고 투명한 젤 상의 제품을 제조하는데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들은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수분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료들의 특정 조성에서만 가능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들이 있다
현대인들은 환경오염, 스트레스 등 다양한 인자로 인해 체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산화 물질로 질병의 오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산화 물질 종 하나인 자유 라디칼 혹은 활성 산소종은 홀수전자를 갖는 원자나 원자단으로, 짝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하고 에너지가 높으며, 따라서 반응성이 크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자유라디칼로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및 하이드록시라디칼(OH-) 등과 같은 라디칼, 과산화수소(H2O2)와 같은 비(非)라디칼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생체 내 지질 과산화를 유도하며, 세포를 비롯하여 피부 등 모든 조직에 상처를 준다. 그리고 DNA를 공격하여 유전자 변형 등을 초래,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한편, 자유 라디칼은 색소 생성 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 색소를 생성,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된다. 멜라닌은 활성산소에 의해 비정상적인 염증 물질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에서 발현되며, 발현된 염증유발 물질은 멜라닌 생성세포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활성화시켜 멜라노좀(Melanosome) 내 멜라닌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티로시나제(Tyrosinase) 및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효소와 이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멜라닌 합성에서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백 화장료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원료는 알부틴, 코직산, 니아신아마이드, 하이드로퀴논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원료들은 효능 및 안정성에서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동·식물부터 미생물에 이르기까지 천연유래 생리활성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방어 기능을 유지 향상시킴으로써 피부자극을 완화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피부 미백과 보습 두 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는 신규 원료 개발이 필요해짐에 따라 연구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에서 유래한 원료들을 사용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개발이 필수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036호(2018.01.31.공고),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꿀과 오미자, 구기자,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분량을 증진 및 표피층의 수분 손실을 억제하며, 피부자극, 알러지 및 트러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피부 미백과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꿀과,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를 건조하여 동량으로 혼합한 후 원적외선 추출을 통해 얻은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화장료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1 ~ 20.0 중량% 함유된다.
상기 원적외선은 2 ~ 20㎛ 파장으로 80 ~ 130℃에서 30 ~ 180분간 처리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20㎛ 파장으로 90 ~ 120℃에서 60 ~ 120분간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60 ~ 90℃의 온도로 2 ~ 12시간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및 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용, 피부노화방지용, 피부주름 개선 및 피부탄력 개선용, 피부 미백용,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용, 피부자극 완화용 또는 피부 보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시트마스크,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및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및 우수한 피부 보습력과 피부장벽강화를 통해 수분유지효과를 제공하고 있으며, 피부알러지, 트러블, 독성 등의 부작용이 없어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한 세포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시예 1 내지 6의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시예 1 내지 6의 멜라닌 합성 저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피부보습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수분손실율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를 건조 중량 기준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원적외선추출법(F-IRE)으로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전체 중량 대비 0.001 ~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원적외선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3.0 ~ 1,000㎛의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 가열 또는 비가열적 방법으로 가시광선보다 강하고 빠르게 전달되는 방사에너지에 의해 물질의 중심까지 고르게 열을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열분해 의한 영양성분과 생물학적활성이 증가되기도 하며,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페놀이나 플라보노이드 등의 활성 증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꿀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건강 식품 중 하나로 포도당, 과당 단백질이 풍부하다. 꿀은 피부 상처 또는 화상이 심한 환자에게도 매우 효과적인 상처 치료제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마누카꿀은 의약품의 원료로서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에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화장품과 비누 등에 보습력 향상을 위하여 벌꿀을 첨가하고 있다.
밤꿀, 아카시아 꿀 등 총 4가지 꿀의 tyrosinase 활성 저해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모든 꿀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꿀은 보습 성분으로 화장품 제형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유의 보습과 피부 진정 기능으로 선제품 등 다양한 제형에 사용된다.
상기 녹차는 차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마실 거리를 만든 재료를 말하여 고산에서 재배가 될수록 품질이 뛰어나다. 차 잎의 가공방법에 따라 녹차, 오룡, 철관음, 황차, 홍차, 보이차, 말차, 화차 등으로 나뉜다. 찻 잎의 모양에 따라서는 작설차(차의 잎 모양이 참새의 혀를 닮아서)와 응조차 (차의 잎 모양이 매의 손톱과 닮아서)로 나뉜다.
녹차는 발효 과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덖거나(덖음차) 쪄서(증차) 만든다. 녹차의 경우 잎의 채취시기나 찻잎의 크기에 따라 우전(첫물차. 5월 초순사이), 세작(두물차. 5월 말-6월), 중작(세물차. 7월-8월), 대작(끝물차. 8월 하순) 등으로 나뉜다. 차 잎을 바로 따서 제조하기 때문에 성분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우롱차, 홍차에 비해 비타민 C의 함량이 높다.
녹차의 항산화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 중 하나로 어성초, 자소엽, 녹차 식물 혼합물의 항산화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 혼합 처리 시 80% 이상의 항산화능이 있었으며, 미백 효과의 경우 자소엽과 녹차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미백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혼합물과 비슷하게 티로시나아게 활성 저해 효과를 가져왔다. 녹차는 미백, 항산화 기능이 있는 동시에 보습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명의 패널들을 대상으로 녹차 추출물이 6%함유된 제형을 30일간 도포 시 피부 거칠기와 보습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기자는 가지과의 구기자잎속의 목본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대만, 일본, 유럽 등지에 자생하거나 재배되고 있는 생약재이다. 구기자는 열매, 잎, 뿌리를 부위별로 이용하며, 상기 구기자열매, 잎, 뿌리 등에는 베타인(betaine), 루틴(rutin), 쿠코아민 A(kukoamine A), 베타시토스테롤(-sitosterol)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도 비타민 A, B1, B2, C 칼슘, 인, 철, 아연, 니코티닉산(nicotinic acid) 등 영양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효능의 경우 피부의 색소 조절 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 지질 조성 변화 및 collagen 합성 저하를 회복시키며, collagen 생합성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구기자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며 물과 에탄올 등의 추출용매를 이용한 구기자 추출물의 경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collagen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의 활성저해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
구기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melanin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250, 500, 750 μg/mL 농도에서 α -MSH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 대비 각각 98.36, 82.34, 81.86 %로 미백 효능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효능은 다른 실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황 등은 당귀와 구기자 에탄올 추출물의 피부 미백 작용을 확인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오미자는 5가지 맛(신맛, 짠맛, 매운맛, 쓴맛, 단맛)을 가지고 있다고 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수 천년 전부터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신경을 이완하고 머리를 맑게 해주는 음료로 애용되었다. 오미자에는 비타민 C. 칼슘, 철 등 미네랄이 풍부하며 식물성 에스트로젠인 리그난 류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각종 항산화 효능이 밝혀져 있다.
오미자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미백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Yan등의 연구에서도 오미자 파우더를 이용하여 미백 효능을 테스트한 결과 B16 melanoma 세포 억제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백 효과와 보습 두 가지 효능을 가지는 원물들을 찾아 연구한 결과, 꿀, 오미자, 구기자, 녹차를 원적외선으로 조사하여 추출한 혼합추출물에서 피부미백 및 보습효과는 물론 활성산소 제거 및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시너지효과를 지님을 발견함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피부 미백 및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글루코오스(Glucose)와 프락토오스(Fructose),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 유기산, 효소와 같은 천연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는 꿀, 오미자, 구기자, 녹차에 원적외선을 조사 후 추출한 혼합추출물로 기존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은 꿀과 건조된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를 건조중량 대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원적외선으로 조사한 후 추출한 혼합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2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미백 및 보습에 대한 효과가 적절히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여 사용하여도 그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미백 및 보습 효과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에 근거한 조합으로,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피부미백 및 보습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장기적인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또는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 업계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효능은 개인의 피부상태와 컨디션, 외부 환경 조건, 취향 또는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횟수와 양을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효능은 개인의 피부상태와 컨디션,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알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수준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 꿀추출물 제조
꿀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 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 실시예 2 > 오미자추출물
건조된 오미자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 실시예 3 > 구기자추출물
건조된 구기자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 실시예 4 > 녹차추출물
건조된 녹차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 실시예 5 > 혼합추출물
실시예 1 내지 4의 원물을 중량대비 1 : 1 : 1 : 1로 혼합한 100g에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고, 60 ~ 90℃ 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 실시예 6 > 원적외선 처리 혼합추출물
실시예 1 내지 4의 원물을 중량대비 1 : 1 : 1 : 1로 혼합한 100g에 원적외선 2 ~ 20㎛ 파장의 원적외선을 90 ~ 120℃의 온도로 60 ~ 120분간 처리한 후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 1kg을 첨가하여, 60 ~ 90℃ 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여과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 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각각 꿀추출물, 오미자추출물, 구기자추출물, 녹차추출물,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혼합추출물, 원적외선 처리된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혼합추출물을 하기 표1과 같이 제조하였다.
성분명 시료명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제조예6 비교예1 비교예2





A
꿀추출물 1
오미자추출물 1
구기자 추출물 1
녹차추출물 1
혼합추출물(꿀, 오미자, 구기자, 녹차) 1
원적외선 처리 혼합추출물(꿀, 오미자, 구기자, 녹차) 1
글리세린 0.2 0.2 0.2 0.2 0.2 0.2 0.2
부틸렌글라이콜 0.2 0.2 0.2 0.2 0.2 0.2 0.2
헥산다이올 0.08 0.08 0.08 0.08 0.08 0.08 0.08 0.08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B
메틸글루코오스세스퀴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8 0.8 0.8 0.8 0.8 0.8 0.8 0.8
폴리솔베이트60 1.5 1.5 1.5 1.5 1.5 1.5 1.5 1.5
세틸알코올 1.5 1.5 1.5 1.5 1.5 1.5 1.5 1.5
비즈왁스 0.5 0.5 0.5 0.5 0.5 0.5 0.5 0.5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5.0 5.0 5.0 5.0 5.0 5.0 5.0 5.0
시어버터 0.7 0.7 0.7 0.7 0.7 0.7 0.7 0.7
다이메티콘 2.0 2.0 2.0 2.0 2.0 2.0 2.0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3 0.3 0.3 0.3 0.3 0.3 0.3 0.3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 시험예 1 > 세포생존율 시험 : MTT assay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시료에 대하여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포 증식 및 독성 확인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배양하고 있는 세포 3T3(fibroblast cell line)을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5,000 세포/웰로 분주(分株)하여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하고, 시료를 농도 별 각각 0.01, 0.05, 0.1, 0.5(%, W/V))로 투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티아졸릴 블루(Thiazolyl Blue)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하였다.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하고 5분간 교반한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주입량만큼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 %로 하고 시료 투입 실험군의세포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증식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04645117-pat00001
시료명 시료처리농도(㎍/㎖)
0 50 100 200 500 1,000
실시예1 100 101.7 103.6 105.9 109.8 111.2
실시예2 100 100.3 101.7 101.8 102.3 103.7
실시예3 100 101.5 102.5 103.8 106.6 108.1
실시예4 100 101.6 102.8 104.2 107.3 110.5
실시예5 100 102.2 105.3 108.7 114.6 116.2
실시예6 100 104.6 108.6 115.5 123.9 127.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6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6을 통하여 원적외선 조사가 세포증진에 우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2 >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
1) 실험방법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실험은 해당물질의 멜라닌 활성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DOPA chrome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야기(Yagi)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96-웰플레이트 내 0.1M 인산완충액(phosphate buffer pH6.5) 120㎕에 1.5mM L-티로신(L-Tyrosine) 용액 40㎕를 첨가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였으며, 반응용액에 시료용액 10㎕을 넣은 후 5분간 반응시킨 후, 머쉬룸 티로시나제(mushroom tyrosinase)(100 unit/㎖) 10㎕을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 반응을 진행하였다. 10분 경과 후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크롬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90㎚에서 측정하였으며, 시험결과에 대한 비교대상으로 비타민 C(Ascorbic acid)를 양성대조구로 동일 농도로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04645117-pat00002
시료명 시료처리농도(㎍/㎖)
50 100 200 500 1,000
실시예1 16.3 22.6 36.3 44.8 53.7
실시예2 15.0 19.4 34.7 42.6 51.7
실시예3 15.5 20.9 35.1 43.5 51.9
실시예4 16.1 21.3 35.8 44.3 52.5
실시예5 22.7 28.5 44.6 50.9 57.4
실시예6 35.7 55.9 66.5 69.2 72.1
Ascorbic acid 41.4 58.6 66.8 68.9 70.2
실시예 1 내지 6 모두 저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5와 같이 원물을 혼합하였을 시 실시예 1 내지 4보다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6과 같이 혼합된 원물에 원적외선을 조사할 경우 표 3과 같이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물의 혼합과 원적외선 조사처리 조건이 효능을 극대화 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tyrosinase 효소 활성저해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 멜라닌 합성저해
1) 실험방법
B16F10 마우스 멜라노마 세포를 6-웰플레이트에 3.5×105 세포/웰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시킨 후, 각 웰에 α-MSH(melanocyte stimulatinghormone)와 농도별로 제조한 실시예의 시료를 처리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인산완충액(phoshate buffer saline, PBS)으로 2회 세척하여 배지를 제거하고 부착된 세포는 E-P 튜브로 옮긴 후 원심 분리하여 배양세포 펠렛(pellet)을 얻었다. 침전된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형상을 촬영하고, DMSO가 첨가된 1N NaOH용액을 60℃에서 1시간 동안 멜라닌을 용해시킨 후 96-웰플레이트에 200㎕씩 분주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합성저해율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004645117-pat00003
시료명 시료처리농도(㎍/㎖)
50 100 200 500 1,000
실시예1 4.1 5.4 8.5 12.9 16.8
실시예2 3.2 4.0 5.7 7.8 10.9
실시예3 3.5 4.3 6.8 10.7 14.5
실시예4 3.6 4.6 7.0 11.0 15.3
실시예5 6.8 10.5 14.8 16.7 20.6
실시예6 10.3 16.4 24.1 31.5 38.5
Arbutin 11.6 20.1 29.2 36.8 41.7
실시예 1 내지 6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 저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예 6은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시 양성대조군인 arbutin과 가장 흡사한 저해율을 보임에 따라 우수한 미백효과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6과 같이 혼합된 원물에 원적외선을 조사할 경우 멜라닌 합성을 저해시키는 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멜라닌 합성 저해율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4 > 피부보습개선효과
1) 실험방법
상기 표 1의 제조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를 피시험자(20세-50세의 남성 및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일 2회씩 4주간 안면 양쪽의 얼굴 및 전반부에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여 도포하기 전, 2주 경과 후, 그리고 4주경과 후의 피부보습개선상태를 피부수분측정기 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는 기기에서 부여하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 AU)로 표현되며, 측정 값이 높을수록 피부표면에 수분량이 높음을 의미한다. 피부보습개선에 관한 실험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시료명 피부보습 효과(AU)
도포 전 2주 후 4주 후
비교예1 54.7 56.3 58.5
비교예2 54.5 54.9 55.7
제조예1 54.7 59.3 64.6
제조예2 55.1 60.7 66.8
제조예3 54.8 58.7 65.1
제조예4 54.9 59.9 66.3
제조예5 55.4 61.6 71.6
제조예6 54.8 72.5 83.4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예 1 내지 6에서 비교예 1 내지 2보다 보습력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조예 5와 제조예 1 내지 4를 비교한 결과 원물을 혼합하였을 시 피부보습개선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조예 6과 같이 혼합된 원물에 원적외선을 조사할 경우 보습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 경피수분손실량 평가
1) 실험방법
표 1의 제조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피시험자(20세-50세의 남성 및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위를 측정부위로 설정하여 가로, 세로 2×2 cm2의 크기로 시험부위를 표시한 후 측정하였다. 시험부위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잘 문지르고,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도포하기 전 0시간의 수분 보유량을 기준으로 도포 후 30분, 도포 후 4일, 8일 후의 수분손실률(%)을 측정하여 단기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측정시 probe를 수직으로 접촉하여 60초 동안 수평을 유지하면서 3회 연속적으로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항온항습실에서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수분의 손실이 많음을 의미한다. 경피수분손실량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2) 실험결과
시료명 수분손실률(%)
도포 후 30분 도포 후 1일 도포 후 4일 도포 후 8일
비교예1 34.76 33.48 32.71 32.03
비교예2 38.33 40.02 39.47 38.96
제조예1 29.65 27.66 25.47 21.68
제조예2 31.74 29.11 26.26 23.35
제조예3 31.21 28.39 25.92 22.51
제조예4 30.94 28.09 25.54 22.24
제조예5 27.73 24.52 22.49 20.59
제조예6 24.71 18.44 15.32 12.67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8일간 제조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경피수분손실량을 비교한 결과 제조예 6에서 시간이 경과되면서 수분손실에 대한 개선이 가장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제조예 1 내지 4의 개별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인 제조예 5를 비교하여도 원물을 혼합하였을 시 더 우수한 수분손실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제조예 6과 같이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혼합추출할 경우 단순 혼합추출물보다 그 효과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형예 1 > 본 발명에 따른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 장수의 제조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표 7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2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6, 7, 9번을 투입하되, 1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 제형예 2 > 본 발명에 따른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 함유하는 영양로션의 제조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표 8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 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0, 11, 13,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 15번을 투입하고 35℃에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 제형예 3 > 본 발명에 따른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의 제조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표 9와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
1.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2.0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왁스 1.0
9 유동파라핀 4.0
10 스쿠알란 4.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1
16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12, 13, 14, 16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0, 11을 80 ~ 85℃사이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15를 투입 교반하여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 제형예 4 > 본 발명에 따른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의 제조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표 10과 같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6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
1.0
2 시토 스테롤 1.7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 오일 15.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7, 8 및 14를 혼합하되, 1번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4)

  1.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를 건조 중량 기준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원적외선 2 ~ 20㎛ 파장의 원적외선을 90 ~ 120℃의 온도로 60 ~ 120분간 처리하고, 70%의 에틸알코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60 ~ 90℃조건에서 2 ~ 12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50℃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추출물을 전체 중량 대비 0.001 ~ 2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시트마스크, 수용성 리퀴드, 로션, 크림, 젤, 팩, 에 센스, 수중유(O/W), 유중수(W/O)형 및 실리콘중수(W/Si)형의 파우더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05376A 2020-01-15 2020-01-15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1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76A KR102371360B1 (ko) 2020-01-15 2020-01-15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76A KR102371360B1 (ko) 2020-01-15 2020-01-15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86A KR20210091986A (ko) 2021-07-23
KR102371360B1 true KR102371360B1 (ko) 2022-03-07

Family

ID=7715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376A KR102371360B1 (ko) 2020-01-15 2020-01-15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140B1 (ko) * 2024-01-19 2024-05-08 주식회사 에바스코스메틱 원적외선 방사 발효를 이용한 체취 제거 개선효과를 갖는 감압농축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압농축발효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05B1 (ko) 2016-05-10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3721A (ja) 2010-03-31 2013-06-17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メラニン色素生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20040772A (ko) * 2010-10-20 2012-04-30 김희래 천연물을 함유하는 미스트의 제조 방법
KR101906143B1 (ko) * 2016-11-25 2018-12-06 주식회사코리아코스팩 원적외선 추출공법에 의해 피부 효능이 증진된 황금누에고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0844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얼라셀바이오 한방 미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05B1 (ko) 2016-05-10 2017-03-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86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231B1 (ko)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1654099B2 (en) Producing a topical solution composition
EP3854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entella asiatica adventitious root extract as effe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reduction
US8557795B2 (en) Composition containing Chamaecyparis obtusa polysaccharides to be externally applied to the skin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20070083302A (ko) 에모딘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1360B1 (ko)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0350083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3901B1 (ko)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조직배양한 금선련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419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KR101687293B1 (ko)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품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6704B1 (ko)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220151361A (ko) &#39;dkmex&#39;를 함유한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0903B1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0702176B1 (ko) 저 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07614B1 (ko) 제비꽃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6553B1 (ko)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산삼배양근추출발효물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