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903B1 -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903B1
KR102110903B1 KR1020180150068A KR20180150068A KR102110903B1 KR 102110903 B1 KR102110903 B1 KR 102110903B1 KR 1020180150068 A KR1020180150068 A KR 1020180150068A KR 20180150068 A KR20180150068 A KR 20180150068A KR 102110903 B1 KR102110903 B1 KR 10211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sium
flower extract
composition
thist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조은애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엉겅퀴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며 흑화를 유도하여 백반증(vitiligo), 백모(gray hair) 또는 저색소증(hypochromatism)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omoting melanin synthesis comprising flower extract of Cirsium genus}
본 발명은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며 흑화를 유도하여 백반증(vitiligo), 백모(gray hair) 또는 저색소증(hypochromatism)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피부의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생성되는 멜라닌(melanin)은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을 말한다. 상기 멜라닌은 농도와 분포에 따라서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기도 하고, 자외선으로부터 인체의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
멜라닌이 과도하게 생성되면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그러나 반대로 멜라닌의 생성이 과도하게 억제되면 백반증의 피부병변이 나타나기도 하고 모근의 멜라닌 세포의 수와 기능이 감소하여 백모가 발생하기도 하며 저색소증이 발생해 피부암의 위험인자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미백 관련 연구만큼이나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흑화를 유도하는 연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들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은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사회활동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백반증 및 저색소증의 경우 외과적 시술을 이용하여 치료하거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감추는 경우가 많고 백모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염색하여 일시적으로 백발을 감추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이들의 근본적인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촉진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9359호는 철쭉 추출물, 싸리 추출물, 굴참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각각의 추출물은 여러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의 준비와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엉겅퀴꽃은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에서 자라며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여러 곳에서 분포하고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어린 새싹은 나물 또는 즙을 짜서 식용으로 사용하고, 잎은 염료용으로도 사용한다. 뿌리는 만성피로와 염증 및 진통 작용이 뛰어나서 많이 사용한다. 잎과 가시 또는 꽃의 색 등 특징에 따라서 엉겅퀴 종은 다양하며, 한국에 자생하는 엉겅퀴로 특산물로 잘 알려져 있는 종으로는 바늘엉겅퀴, 고려엉겅퀴 등이 있다. 바늘 엉겅퀴는 제주도 한라산 중턱에서 자라고,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특징이 있고, 고려 엉겅퀴는 분홍색에 가까운 자주색 꽃이 피며 긴 타원형의 잎이 특징이고 곤드레라고도 한다. 고려 엉겅퀴는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여 구황식물로 예로부터 많이 사용되었다. 그 밖에 엉겅퀴의 종은 도깨비엉겅퀴, 동래엉겅퀴, 물엉겅퀴, 버들잎엉겅퀴, 서양가시엉겅퀴, 점봉산엉겅퀴, 정영엉겅퀴, 제주엉겅퀴, 카나다엉겅퀴, 큰엉겅퀴, 흰잎엉겅퀴 등이 있다.
보통 엉겅퀴꽃이 필 때 뿌리를 제외하고 엉겅퀴 전초를 베어낸 후 그늘에 말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 엉겅퀴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은 실리마린(Silymarin) 성분은 씨뿐만 아니라 뿌리 부분에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처럼, 식물 부위에 따라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활성물질의 종류와 양이 다르게 존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부위를 세분화하여 각각의 효능을 특화하는 것이 최근 천연물 연구의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체 자극이 적고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연구하던 중, 엉겅퀴 꽃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흑화를 유도하고,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꽃 추출물은 색소 세포인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고, 생성된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로 멜라닌의 합성을 증가시켜 색소 재침착(repigmentation)을 일으킨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엉겅퀴는 Cirsium arvense, Cirsium chanroenicum, Cirsium chinesnse, Cirsium lineare, Cirsium nipponicum, Cirsium pendulum, Cirsium rhinoceros, Cirsium schantarense, Cirsium setidens, Cirsium toraiense, Cirsium vlassovianum, Cirsium vulgare Cirsium zen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이 있으며,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엉겅퀴 꽃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엉겅퀴 꽃을 음건하여 마쇄한 후 건조된 시료의 중량의 0.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약 20 내지 70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시간 동안 교반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엉겅퀴 꽃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엉겅퀴 꽃 추출물을 0.00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멜라닌 세포의 파괴 또는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반증(vitiligo)은 자가 면역 기능의 이상으로 멜라닌 세포가 파괴되어 인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백색 반점들이 피부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후천적탈색소성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백모(gray hair)는 모근의 멜라닌 세포의 수와 기능이 감소하면서 모발이 하얗게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저색소증(hypochromatism)은 습진, 아토피피부염, 염증성 피부염 등과 같은 피부질환들로 인하여 국소적으로 멜라닌 세포에 기능적 장애가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병변 부위의 피부가 흰색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피부 또는 모낭에 존재하는 비활동성 멜라닌 세포 또는 색소 모세포를 자극하여 분화, 증식 및 이동을 촉진시키고 멜라닌을 생성하게 하여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여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엉겅퀴 꽃 추출물을 0.00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여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엉겅퀴 꽃 추출물을 0.0001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300 ㎎/kg(체중)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에 의하여 개체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고, 생성된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로 멜라닌 합성이 증가하여 색소 재침착(repigmentation)을 일으킴으로써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을 완화, 호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은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개체의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을 개선하는 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체에 투여하는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로 인하여 개체의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개선될 수 있는 상태 또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멜라닌 세포의 파괴 또는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a) 발전의 억제, (b) 경감, (c) 제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추출물로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체 멜라닌 세포(Human melanocyte)에서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 촉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엉겅퀴 13종의 부위별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엉겅퀴 13종의 부위별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엉겅퀴 13종에 대해서 표 1에서 나타내었다. 엉겅퀴 13종은 꽃, 지상부 잎/줄기, 뿌리 부위별로 채취하였다. 꽃의 경우 종자부분과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채취된 부위를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분쇄하여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엉겅퀴 13종의 분말 1kg을 각각 70% 에탄올 용매에 담근 후 48시간 초음파 추출한 다음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그 후 감압 농축하여 엉겅퀴 13종에 대한 부위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시료
1 Cirsium arvense C_a
2 Cirsium chanroenicum C_cr
3 Cirsium chinesnse C_c
4 Cirsium lineare C_l
5 Cirsium nipponicum C_n
6 Cirsium pendulum C_p
7 Cirsium rhinoceros C_r
8 Cirsium schantarense C_sc
9 Cirsium setidens C_s
10 Cirsium toraiense C_t
11 Cirsium vlassovianum C_vv
12 Cirsium vulgare C_v
13 Cirsium zenii C_z
실시예 2: 인체 멜라닌 세포에서 엉겅퀴 13종의 부위별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13종의 부위별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멜라닌 세포(Human melanocyte)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 멜라닌 세포를 HMGS(Human Melanocytes Growth Supplement)가 함유된 M254 배지를 이용하여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당 1.5x105 개로 접종한 후,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각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로 교체한 후, 5일간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 ppm, 5 ppm 으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e)로 세척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10,000 내지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시킨 후에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인체 멜라닌 세포(Human melanocyte)에서 엉겅퀴 13종의 부위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 촉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시료 처리 농도
(μg/mL)
멜라닌 생성 촉진율 (%)
줄기/잎 뿌리
control (-) - 100.0 ± 3.8 100 ± 1.8 100 ± 3.2
Cirsium arvense 1 171.5 ± 2.9 101.1 ± 2.1 103.2 ± 2.8
5 203.1 ± 1.8 98.2 ± 1.4 100.7 ± 2.6
Cirsium chanroenicum 1 166.8 ± 0.7 100.7 ± 1.3 103.1 ± 1.9
5 187.2 ± 2.2 99.8 ± 1.8 100.6 ± 1.2
Cirsium chinesnse 1 162.1 ± 1.5 103.1 ± 2.1 99.8 ± 1.1
5 184.1 ± 2.2 102.7 ± 3.3 102.4 ± 2.9
Cirsium lineare 1 148.2 ± 1.8 108.3 ± 2.4 107.1 ± 3.1
5 168.0 ± 2.0 101.1 ± 2.0 105.2 ± 1.5
Cirsium nipponicum 1 132.6 ± 1.8 98.8 ± 1.9 104.1 ± 1.9
5 155.5 ± 2.4 99.1 ± 1.5 100.2 ± 2.2
Cirsium pendulum 1 122.0 ± 0.0 103.4 ± 3.4 99.7 ± 1.7
5 135.3 ± 1.5 103.0 ± 2.4 98.2 ± 4.2
Cirsium rhinoceros 1 147.0 ± 0.9 102 ± 1.7 106.2 ± 3.4
5 168.3 ± 0.7 99.4 ± 3.1 103.4 ± 3.1
Cirsium schantarense 1 120.6 ± 1.1 99.7 ± 2.4 101.4 ± 2.4
5 146.8 ± 3.3 97.1 ± 2.8 103.2 ± 1.6
Cirsium setidens 1 150.2 ± 1.1 95. 7 ± 2.2 98.8 ± 2.7
5 184.2 ± 3.3 96.3 ± 1.6 99.1 ± 1.6
Cirsium toraiense 1 128.4 ± 3.3 102.1 ± 1.8 97.6 ± 1.1
5 152.7 ± 1.1 101.7 ± 2.4 102.3 ± 2.7
Cirsium vlassovianum 1 122.0 ± 3.1 98.9 ± 1.7 95.2 ± 1.6
5 143.4 ± 1.1 98.1 ± 1.3 98.7 ± 1.4
Cirsium vulgare 1 168.3 ± 3.8 105.6 ± 2.3 101.2 ± 2.4
5 190.2 ± 1.1 106.1 ± 1.6 103.8 ± 2.9
Cirsium zenii 1 140.9 ± 3.3 103.5 ± 1.8 100.9 ± 1.5
5 165.2 ± 3.3 99.2 ± 2.2 98.6 ± 1.3
상기 표 2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엉겅퀴 부위별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시험 결과 엉겅퀴 2종에 대한 꽃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 촉진율이 높았고, 5 ㎍/mL 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생성을 2배 이상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꽃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부위 추출물에서는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 : 엉겅퀴 13종의 꽃 추출물에 대한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13종의 꽃 추출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 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엉겅퀴 13종의 꽃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를 함유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킨 후, 밀납, 유동파라핀, 유상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혀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엉겅퀴 꽃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상기 엉겅퀴 꽃 추출물의 함량을 0.1%, 0.5% 및 1%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각각 9.91%, 9.51% 및 9.01%로 줄여가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영양크림을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엉겅퀴 꽃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9141662-pat00001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스쿠알렌
[대조군]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arvense 0.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chanroenicum 0.1%
[시험군 4]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5]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6]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chinesnse 0.1%
[시험군 7]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8]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9]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lineare 0.1%
[시험군 10]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1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1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nipponicum 0.1%
[시험군 1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14]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15]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pendulum 0.1%
[시험군 16]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17]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18]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rhinoceros 0.1%
[시험군 19]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20]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2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schantarense 0.1%
[시험군 2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2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24]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setidens 0.1%
[시험군 25]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26]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27]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toraiense 0.1%
[시험군 28]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29]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30]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vlassovianum 0.1%
[시험군 3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3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3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vulgare 0.1%
[시험군 34]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35]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36]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Cirsium zenii 0.1%
[시험군 37]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0.5%
[시험군 38]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1%
[시험군 39]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1 내지 39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상기 시험결과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꽃 추출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제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하기의 표 4와 같이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꽃 추출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 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5와 같이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꽃 추출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하기의 표 6과 같이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꽃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7과 같이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꽃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하기의 표 8과 같이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꽃 추출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함량(g)
엉겅퀴 꽃 추출물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엉겅퀴 꽃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엉겅퀴 꽃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엉겅퀴 속 식물로서 시르시움 아르벤스(Cirsium arvense) 꽃 추출물 및 시르시움 불가레(Cirsium vulgare) 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따른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180150068A 2018-11-28 2018-11-28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11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68A KR102110903B1 (ko) 2018-11-28 2018-11-28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68A KR102110903B1 (ko) 2018-11-28 2018-11-28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03B1 true KR102110903B1 (ko) 2020-05-19

Family

ID=7091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68A KR102110903B1 (ko) 2018-11-28 2018-11-28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22A (ko) * 2005-08-18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80102939A (ko) * 2007-11-09 2008-11-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리빈 또는 이소실리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6755A (ko) * 2017-03-21 2018-10-0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22A (ko) * 2005-08-18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80102939A (ko) * 2007-11-09 2008-11-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리빈 또는 이소실리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7002537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106755A (ko) * 2017-03-21 2018-10-0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Physiol Pharmacol, Vol.18, pp.307-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US202202879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67283B1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0903B1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0825835B1 (ko) 길초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04535B1 (ko) 피라칸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손상 방지용 조성물
KR101222673B1 (ko) 한련초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카카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또는 두피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42931B1 (ko) 붉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230115787A (ko) 인삼 유래 조사포닌의 피부 투과성이 개선된 피부손상 방지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6330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KR101637935B1 (ko)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30168850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30101739A (ko) 담팔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