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755A -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755A
KR20180106755A KR1020170035571A KR20170035571A KR20180106755A KR 20180106755 A KR20180106755 A KR 20180106755A KR 1020170035571 A KR1020170035571 A KR 1020170035571A KR 20170035571 A KR20170035571 A KR 20170035571A KR 20180106755 A KR20180106755 A KR 2018010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stle extract
composition
present
thistl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407B1 (ko
Inventor
김민경
손다희
신승우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407B1/ko
Priority to JP2019552221A priority patent/JP6921440B2/ja
Priority to CN201880033218.3A priority patent/CN110650724A/zh
Priority to US16/496,565 priority patent/US20210361559A1/en
Priority to PCT/KR2018/002898 priority patent/WO2018174453A1/ko
Priority to EP18770560.3A priority patent/EP3643295A4/en
Publication of KR2018010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407B1/ko
Priority to US17/831,558 priority patent/US2022028795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며 흑화를 유도하여 백반증(vitiligo), 백모(gray hair) 또는 저색소증(hypochromatism)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omoting melanin synthesis compris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며 흑화를 유도하여 백반증(vitiligo), 백모(gray hair) 또는 저색소증(hypochromatism)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 피부의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서 생성되는 멜라닌(melanin)은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을 말한다. 상기 멜라닌은 농도와 분포에 따라서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기도 하고, 자외선으로부터 인체의 피부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
멜라닌이 과도하게 생성되면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그러나 반대로 멜라닌의 생성이 과도하게 억제되면 백반증의 피부병변이 나타나기도 하고 모근의 멜라닌 세포의 수와 기능이 감소하여 백모가 발생하기도 하며 저색소증이 발생해 피부암의 위험인자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는 미백 관련 연구만큼이나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흑화를 유도하는 연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들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은 외관상 보기에 좋지 않을뿐만 아니라 사회활동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백반증 및 저색소증의 경우 외과적 시술을 이용하여 치료하거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감추는 경우가 많고 백모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염색하여 일시적으로 백발을 감추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이들의 근본적인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 촉진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9359호는 철쭉 추출물, 싸리 추출물, 굴참나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각각의 추출물은 여러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의 준비와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엉겅퀴는(Cirsium ja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민간 및 한약처방에 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한다. 엉겅퀴의 속명 Cirsium은 정맥종이라는 의미의 희랍어에서 온 것으로, 고대부터 혈관이 부풀어 오르는 질병을 치유하는 약재로 이용된 것에서 유래되었다. 엉겅퀴에는 생리활성이 뛰어난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인 아피제닌(apigenin), 미리세틴(myricetin), 루테올린(luteolin) 및 켐페롤(kaempferol) 등을 포함되어 있고, 양혈, 지혈, 거어, 소옹종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상기 엉겅퀴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1710호는 엉겅퀴 추출물의 비만 치료 및 예방효과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25375호는 엉겅퀴 추출물의 피부 재생, 피부 주름 개선, 피부미백 효과 등을 개시하고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엉겅퀴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촉진효과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체 자극이 적고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연구하던 중, 엉겅퀴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흑화를 유도하고,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엉겅퀴(Cirsium jaonic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민간 및 한방처방에 약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어린 순은 식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엉겅퀴 추출물은 엉겅퀴(Cirsium jaonicum)의 꽃, 잎, 줄기, 뿌리 및 전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엉겅퀴 꽃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은 색소 세포인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고, 생성된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로 멜라닌의 합성을 증가시켜 색소 재침착(repigmentation)을 일으킨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 중 어느 하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 방법 등이 있으며, 초음파 추출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추출은 진동수가 1초에 20,000번 이상인 진동소자를 사용하여 각종 천연소재로부터 유용성분을 화학적인 힘이 아닌 물리적인 힘으로 상온에서 추출하는 방법으로, 용매 추출, 식물성 오일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 추출과 달리 상온에서 천연소재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파괴하지 않고 고농도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초음파 추출은 건조된 엉겅퀴 분말을 60 내지 8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36 내지 60 시간 동안 실시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동안 실시한다. 상기 수치의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엉겅퀴에 함유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으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고 상기 유효성분외 불순물이 추출되며 공정의 효율성이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엉겅퀴 추출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멜라닌 세포의 파괴 또는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백반증(vitiligo)은 자가 면역 기능의 이상으로 멜라닌 세포가 파괴되어 인해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백색 반점들이 피부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후천적탈색소성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백모(gray hair)는 모근의 멜라닌 세포의 수와 기능이 감소하면서 모발이 하얗게 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저색소증(hypochromatism)은 습진, 아토피피부염, 염증성 피부염 등과 같은 피부질환들로 인하여 국소적으로 멜라닌 세포에 기능적 장애가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병변 부위의 피부가 흰색을 나타내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피부 또는 모낭에 존재하는 비활동성 멜라닌 세포 또는 색소 모세포를 자극하여 분화, 증식 및 이동을 촉진시키고 멜라닌을 생성하게 하여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여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엉겅퀴 추출물을 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여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엉겅퀴 추출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엉겅퀴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300 ㎎/kg(체중)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에 의하여 개체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고, 생성된 멜라닌 세포의 활성화로 멜라닌 합성이 증가하여 색소 재침착(repigmentation)을 일으킴으로써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을 완화, 호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나의 구체적 양태로, 본 발명은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개체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개체의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을 개선하는 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개체에 투여하는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로 인하여 개체의 백반증, 백모 및 저색소증을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개선될 수 있는 상태 또는 질환을 가진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돼지, 양, 개, 고양이, 랫트, 마우스, 침팬지 등의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멜라닌 세포의 파괴 또는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a) 발전의 억제, (b) 경감, (c) 제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천연 추출물로서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체 멜라닌 세포(Human melanocyte)에서 엉겅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 촉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B16 멜라노마 세포(B16 melanoma cell)에서 엉겅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 촉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3D skin에서 엉겅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멜라닌 합성 촉진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엉겅퀴 추출물 제조
엉겅퀴 꽃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후,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엉겅퀴 꽃 분말 1kg을 70% 에탄올 용매에 담근 후 48시간 초음파 추출한 다음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물을 감압 농축하여 엉겅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인체 멜라닌 세포에서 엉겅퀴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측정
인체 멜라닌 세포를 HMGS(Human Melanocytes Growth Supplement)가 함유된 M254 배지를 이용하여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당 1.5x105 개로 접종한 후,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의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로 교체한 후, 5일간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 ppm, 3 ppm, 5 ppm 으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e)로 세척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10,000 내지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시킨 후에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ppm) 멜라닌 생성 촉진율(%)
control - 100
엉겅퀴 추출물 1 110
3 116
5 122
상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 촉진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엉겅퀴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측정
B16 멜라노마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당 1x105 개로 접종한 후,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 1의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한 후, 3일간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0 ppm, 50 ppm, 100 ppm 으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e)로 세척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10,000 내지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시킨 후에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도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ppm) 멜라닌 생성 촉진율(%)
control - 100
엉겅퀴 추출물 10 111
50 159
100 222
상기 표 2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 촉진율이 높았고, 엉겅퀴 추출물을 100 ppm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멜라닌 생성을 촉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3D skin에서 엉겅퀴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측정
3D skin을 보존배지(maintenance medium)로 12-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교체한 후, 엉겅퀴 추출물을 세포독성이 없는 50 ppm, 100 ppm 농도에서 처리하였다. 10일 동안 엉겅퀴 추출물을 농도에 맞게 처리한 배지로 3번 교체한 후, 5% CO2 및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e)로 세척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10,000 내지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시킨 후에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ppm) 멜라닌 생성 촉진율(%)
control - 100
엉겅퀴 추출물 50 120
100 128
상기 표 3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생성 촉진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 엉겅퀴 추출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엉겅퀴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를 함유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킨 후, 밀납, 유동파라핀, 유상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혀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엉겅퀴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상기 엉겅퀴 추출물의 함량을 0.1%, 0.5% 및 1%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각각 9.91%, 9.51% 및 9.01%로 줄여가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영양크림을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엉겅퀴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상기 시험결과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엉겅퀴 추출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제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하기의 표 5와 같이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추출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 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6과 같이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추출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하기의 표 7과 같이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8과 같이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하기의 표 9와 같이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엉겅퀴 추출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함량(g)
엉겅퀴 추출물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엉겅퀴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엉겅퀴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엉겅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엉겅퀴 추출물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증, 백모 또는 저색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70035571A 2017-03-21 2017-03-21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989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571A KR101989407B1 (ko) 2017-03-21 2017-03-21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2019552221A JP6921440B2 (ja) 2017-03-21 2018-03-12 アザミ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メラニン生成促進用組成物
CN201880033218.3A CN110650724A (zh) 2017-03-21 2018-03-12 包含蓟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用于促进黑色素生成的组合物
US16/496,565 US20210361559A1 (en) 2017-03-21 2018-03-12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PCT/KR2018/002898 WO2018174453A1 (ko) 2017-03-21 2018-03-12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EP18770560.3A EP3643295A4 (en) 2017-03-21 2018-03-12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IRSIUM JAPONICUM AS AN ACTIVE PRINCIPLE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US17/831,558 US20220287956A1 (en) 2017-03-21 2022-06-03 Composition containing cirsium japonic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stimulating melanogene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571A KR101989407B1 (ko) 2017-03-21 2017-03-21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55A true KR20180106755A (ko) 2018-10-01
KR101989407B1 KR101989407B1 (ko) 2019-06-14

Family

ID=6358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571A KR101989407B1 (ko) 2017-03-21 2017-03-21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10361559A1 (ko)
EP (1) EP3643295A4 (ko)
JP (1) JP6921440B2 (ko)
KR (1) KR101989407B1 (ko)
CN (1) CN110650724A (ko)
WO (1) WO201817445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03B1 (ko) * 2018-11-28 2020-05-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00063855A (ko) * 2018-11-28 2020-06-0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10007488A (ko) * 2019-07-11 2021-0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837B1 (ko) * 2020-12-03 2023-10-1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나린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EP4144345A1 (en) 2021-09-06 2023-03-08 Clariant International Ltd Prunella vulgaris extract and use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240A (ja) * 2001-09-28 2003-06-17 Lion Corp 白髪予防改善剤及び毛髪有効成分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70021522A (ko) * 2005-08-18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7002537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8199A (en) * 1995-03-10 1997-12-16 Kao Corporation Lipolysis acceleration method
JP3526985B2 (ja) * 1995-10-09 2004-05-17 花王株式会社 浴用剤組成物
JP2001131026A (ja) * 1999-11-08 2001-05-15 Shiseido Co Ltd 頭皮頭髪用化粧料
FR2834718B1 (fr) * 2002-01-15 2004-12-24 Cognis France Sa Substances actives cosmetiques et/ou pharmaceutiques
FR2881953A1 (fr) * 2005-02-11 2006-08-18 Greenpharma Sa Sa Utilisation de derives de la taxifoline comme agents pigmentants et protecteurs de la peau ou des cheveux
KR20080102939A (ko) * 2007-11-09 2008-11-2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리빈 또는 이소실리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N105147702B (zh) * 2009-10-05 2018-05-11 花王株式会社 神经酰胺产生促进剂以及保湿剂
KR101281710B1 (ko) 2010-03-11 2013-07-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JP5951273B2 (ja) * 2012-02-08 2016-07-13 三省製薬株式会社 白髪防止用外用剤
KR101669359B1 (ko) 2015-03-11 2016-10-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CN105434764A (zh) * 2015-12-18 2016-03-30 高松武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胶囊
CN106421150A (zh) * 2016-10-19 2017-02-22 罗锡山 广西白癜风壮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240A (ja) * 2001-09-28 2003-06-17 Lion Corp 白髪予防改善剤及び毛髪有効成分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20070021522A (ko) * 2005-08-18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7002537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연원, 엉겅퀴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작용기전, 중앙대학교, pp.1-44(2005.06.) *
허선정, 고려엉겅퀴의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pp.1-100(2012.02.)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03B1 (ko) * 2018-11-28 2020-05-19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00063855A (ko) * 2018-11-28 2020-06-05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10007488A (ko) * 2019-07-11 2021-01-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61559A1 (en) 2021-11-25
CN110650724A (zh) 2020-01-03
JP2020511514A (ja) 2020-04-16
JP6921440B2 (ja) 2021-08-18
WO2018174453A1 (ko) 2018-09-27
KR101989407B1 (ko) 2019-06-14
EP3643295A4 (en) 2020-12-30
US20220287956A1 (en) 2022-09-15
EP3643295A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40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14293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894714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모사 추출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386120B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367703B1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110903B1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743001B1 (ko) 키토산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32862B1 (ko) 산속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05779B1 (ko) 쐐기풀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1893B1 (ko) 밤나무 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JP2012250921A (ja) 紫外線障害抑制剤
KR102249072B1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 또는 백모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230168850A (ko) 톳 추출물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457784B1 (ko) 시호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40076126A (ko) 진득찰 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6330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수축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