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935B1 -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935B1
KR101637935B1 KR1020140016539A KR20140016539A KR101637935B1 KR 101637935 B1 KR101637935 B1 KR 101637935B1 KR 1020140016539 A KR1020140016539 A KR 1020140016539A KR 20140016539 A KR20140016539 A KR 20140016539A KR 101637935 B1 KR101637935 B1 KR 10163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mposition
present
improv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348A (ko
Inventor
김민경
신승우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9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근 천인국 (Gaillardia aristata)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고,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고 안정하여 피부 상태 개선을 위한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CONTAINING GAILLARDIA ARISTATA}
본 발명은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미백, 항노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외부 표면을 덮고 있는 가장 큰 기관으로서, 자외선, 온도의 변화, 먼지, 습기, 대기오염 등의 외적요인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신의 대사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갖고 있는 생명 유지에 없어서는 안 되는 아주 중요한 기관이다. 피부의 조직은 표피, 진피, 그리고 피하조직으로 나누어지고, 그 중에서 표피의 기저층에 사람의 피부색과 관계가 있는 멜라닌이 만들어지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가 존재한다.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서 사람의 피부색은 결정되어지는데, 유전적 요인이나 자외선, 그리고 생활습관과 호르몬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티로신(Tyrosine)이 도파(Dopa)와 도파퀴논으로 전환되고 지속적인 산화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렇게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을 통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표피 세포로 이동되어 약 28일간의 각화 과정 이후에 소실된다. 이러한 멜라닌은 햇빛에서 오는 자외선을 흡수해 자외선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지 않도록 막아 피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도 하기 때문에 적게 생성되면 백반증과 같은 피부병변이 유발되지만, 반대로 멜라닌이 자외선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과도하게 합성되거나, 노화 등에 의해 피부의 생리기능이 떨어지게 될 경우에는 멜라닌이 피부의 표면에 침착되어 기미, 주근깨 등과 같은 다양한 색소 침착을 유발하며 나아가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멜라닌의 과생산 및 이에 따른 색소 침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티로시나아제 작용 억제 및 생성을 억제하거나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중간 단계를 억제 하는 등의 다양한 연구와 피부 미백용 조성물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자외선은 피부에 주근깨, 잡티, 기미, 검버섯 등의 다양한 색소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피부 노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부 노화는 크게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적 노화와 주위환경(오염물질, 세균,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인적 노화로 나눌 수 있다. 특히, 피부는 태양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항산화효소와 비타민 C와 E, 글루타치온과 같은 항산화제가 감소되어 반응성이 매우 큰 유해한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ten species)을 생성한다. 이러한 활성산소종은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키고, 주름을 유발시키는 광노화를 일으키는 원인물질로 잘 알려져 있고, 또한 피부의 효소 및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체계를 손상시키면서 DNA, 단백질 산화, 피부의 면역기능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 세포를 보호하고 피부노화를 완화할 수 있는 항산화제 개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염증은 조직의 손상이나 다양한 경로를 통한 외부 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과 같은 외부 자극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과 같은 내부자극에 대한 생체 내 방어기전로서, 세포 내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홍반, 부종, 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아토피, 뇌질환, 순환기 장애, 그리고 암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염증의 발생원인에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대식세포에서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이나 TNF-α(Tumor necrosis factor), LPS(Lipopolysaccharide) 등의 자극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ed NOS)와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 합성과 관련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에 의해 니트릭옥사이드(Nitric Oxide; NO)와 Prostaglandin E2(PGE2)가 생성되면서 염증을 일으킨다. 또한, L-arginine으로부터 NOS(NO synthase)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높은 반응성을 가진 생체 생성분자로 신경전달기능, 혈액응고 및 면역기능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필요이상으로 생성될 경우에는 과도한 혈관확장, 세포독성 및 조직손상, 그리고 상처 치유 억제 등과 같은 생체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낸다. 피부에 나타나는 거의 모든 질환은 염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항염증 효과가 나타나는 소재 개발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 되고 있다.
숙근 천인국(Gaillardia aristata)은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추위에 강하고 노지월동하는 숙근초로 인디안국화라고도 한다. 생명력이 강하고 적색과 노란색을 띠는 꽃은 제주도를 비롯하여 해마다 우리나라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꽃꽂이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숙근 천인국에 대한 연구 결과 보고는 없고,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몇몇 종에서 거담, 진해, 건위, 진정 등 생약재로서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소화를 돕고 혈기에 좋으며 감기, 학질 등의 전염성 질환에 유효한 국화과 식물을 대상으로 피부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유효물질을 발굴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예기치 않게 숙근 천인국 추출물이 피부에 안정하면서 미백뿐 아니라 항노화,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Skin conditions)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자유라디칼 소거력과 콜라겐 생합성능을 통해 항노화 및 항산화 효능을 나타낸다. 나아가, COX-2와 NO의 활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피부 부작용이 없어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면 그 효능과 안전성이 우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염 조성물로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생약의 추출방법에 따라 유효성분의 추출에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등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퍼콜레이션법 등과 같은 추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숙근 천인국 원생약을 추출한 추출물은 필요한 경우 적절한 방법에 의해 농축된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유효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개선 효과가 미약하고,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비하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숙근 천인국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용해화제,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그리고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샴푸,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 내지 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의 정도, 체중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및 점안제, 멸균 주사용액 등과 같은 비경구형 제형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노화 방지 및 항염 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 및 피부 부작용이 없어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및 약제학적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2는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는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COX-2의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NO의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실시예 1: 숙근 천인국 추출물 제조
숙근 천인국을 채취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깨끗이 세척한 다음, 20 내지 35℃에서 음건한 다음, 분쇄하고 입자의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분쇄된 숙근 천인국 분말 1kg을 70% 메탄올 10L에 침지하여 24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그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지(Advantes, No.2)를 사용하여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멜라닌 세포(Human melanocyte)(HEMn-DP: C-202-5C, Gibco®)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 멜라닌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당 1x105 개로 접종한 후,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5% CO2 및 37℃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한 후, 3일간 5% CO2 및 37℃ 하에서 배양하였다.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5 ppm, 10 ppm, 20 ppm 으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e)로 세척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BECKMAN COUL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10,000 내지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을 얻었다. 얻어진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시킨 후에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microplate reader(Power Wave. Bio-tek INC)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 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근 천인국 추출물이 미백 효과를 갖는 공지의 물질인 코직산(Kojic acid)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멜라닌 세포(Human melanocyte)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체 멜라닌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당 1x105 개로 접종한 후,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5% CO2 및 37℃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한 후, 3일간 5% CO2 및 37℃ 하에서 배양하였다.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5 ppm, 10 ppm, 20 ppm 으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10,000 내지 13,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펠렛(pellet)을 얻었다. 이 세포 펠렛을 분해완충액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1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microplate reader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세포 일정수당 티로시나제 활성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ppm)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코직산 (kojic acid) 60 40
숙근천인국 추출물 5 20
10 30
20 42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근 천인국 추출물이 코직산(Kojic acid)보다 세포내 티로시나제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4 :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확인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4ml의 에탄올에 희석한 0.1 mM의 DPPH 용액과 1, 10 및 100 mg/ml의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하여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기존의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하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DPPH 자유라디칼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소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 처리 농도(ppm) DPPH라디칼 소거율(%)
숙근천인국 추출물 1 1.3
10 24
100 75
200 98
실시예 5: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 측정
콜라겐 생합성능은 사람유래 섬유아세포에 대한 세포실험으로 합성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콜라겐 생합성능 실험은 인체유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normal fibroblast, 아주대 피부과)를 DMEM 배지가 들어 있는 24-well plate에 접종시키고(2 × 105 세포/well), 5% 농도의 CO2 배양기에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각 well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배지를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콜라겐 측정 키트(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 MK101, 다카라, 일본)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 타입 I C-펩타이드(Type I C-peptide: PICP)의 양을 측정하였다. 자세한 시험방법은 (주)다카라의 키트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콜라겐 생합성 관찰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인체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6: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COX-2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염증반응에 동반해서 그 발현정도가 높아지는 COX-2(cyclooxygenase-2)생성에 숙근 천인국 추출물이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면역대식세포(macrophage)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12-well plate에 24시간동안 배양 후 COX-2 luciferase vector를 형질주입(transfection)시킨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숙근 천인국 추출물 10 ppm과 100 ppm 농도를 처리하고, 희석된 시험물질을 전처리후 LPS(Lipopolysaccharide) 200ng/ml를 처리하여 COX-2 생성을 유도하였다. 그 후, 시험물질에 의해 저해된 COX-2 생성정도를 루시퍼라제(luciferase) 형광발현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숙근 천인국 추출물에 의한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효과 측정
염증반응에 동반하는 일산화질소(NO)생성에 숙근 천인국 추출물이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면역대식세포(macrophage)인 RAW267.4 세포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RAW264.7 세포를 24-well plate에 24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숙근 천인국 추출물 10 ppm과 100 ppm 농도를 처리하고, 희석된 시험물질을 전처리한 후에 LPS(Lipopolysaccharide) 200 ng/㎖를 처리하여 일산화질소를 유도하였다. 시험물질에 의해 저해된 일산화질소 생성정도를 Griess reagent와의 반응정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 숙근 천인국 추출물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숙근 천인국 추출물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각각 0.1%, 0.5% 및 1%를 첨가한 제형을 제조하고, 이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시나픽 산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 (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 ÷ 검사회수(9회)
반응도에서 ±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Figure 112014014169077-pat00001
상기 표 3에서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0명, 0명 및 1명이고, 평균 반응도는 각각 0.00, 0.00, 0.09이었다. 그러므로 평균반응도가 3이하의 반응도를 나타내므로,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 유연화장수 (함량 : 중량%)
숙근 천인국 추출물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2. 영양화장수 (함량 : 중량%)
숙근 천인국 추출물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3. 영양크림 (함량 : 중량%)
숙근 천인국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4. 맛사지 크림 (함량 : 중량%)
숙근 천인국 추출물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5. 팩 (함량 : 중량%)
숙근 천인국 추출물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제제예 2 : 약학적 제제
1. 산제의 제조
숙근 천인국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숙근 천인국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숙근 천인국 추출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10)

  1.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숙근 천인국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10.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16539A 2014-02-13 2014-02-13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63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539A KR101637935B1 (ko) 2014-02-13 2014-02-13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539A KR101637935B1 (ko) 2014-02-13 2014-02-13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348A KR20150095348A (ko) 2015-08-21
KR101637935B1 true KR101637935B1 (ko) 2016-07-08

Family

ID=5405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539A KR101637935B1 (ko) 2014-02-13 2014-02-13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9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3583A1 (en) 2005-12-29 2007-07-05 The University Of Sydney A method of treatment and agents useful for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3583A1 (en) 2005-12-29 2007-07-05 The University Of Sydney A method of treatment and agents useful for sam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 2013, Particle ID 591354*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Vol. 161, Pages 386-393(공개일: 2013. 11. 7.)*
Journal of Oleo Science Vol. 62, No. 5, Pages 329-333(공개일: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348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368B1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00064240A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1956A (ko) 오가피로부터 추출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5225A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57376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37935B1 (ko) 숙근 천인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515443B1 (ko) 베르가못, 금은화, 율무 및 밀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미백 및 손상된 피부 회복 촉진용 기능성 화장용 조성물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JP5690149B2 (ja) 外用剤又は内用剤
KR100561781B1 (ko) 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