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813A -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813A
KR20200082813A KR1020180173769A KR20180173769A KR20200082813A KR 20200082813 A KR20200082813 A KR 20200082813A KR 1020180173769 A KR1020180173769 A KR 1020180173769A KR 20180173769 A KR20180173769 A KR 20180173769A KR 20200082813 A KR20200082813 A KR 20200082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urea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927B1 (ko
Inventor
오원보
염현숙
이은해
이혜자
박진오
이지원
이경록
김경민
김수영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항염 효과,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장벽 강화 효과 및 아토피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N COMPRISING SASA QUELPAERTENSIS EXTRACT AND UREA}
본 발명은 천연 소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고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나, 환경적 요인, 유전적 소인, 면역화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 이상 등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으로 첫째는 유전적 원인으로 피부 보호막인 세포막의 인지질과 세포간 지질을 구성하는 필수 지방산인 감마-리놀레인산(γ-linoleic acid; GLA)이 부족한 상태로 인해 피부표면의 수분이 쉽게 소실되고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이며, 둘째는 생활환경이 건조한 상태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고 피부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환경적 요인을 꼽고 있으며, 셋째는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활성산소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생성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아토피 피부가 발생한다는 것, 넷째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감염되어 발생한다는 것으로서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계하여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피부과학, 대한피부과학회 간행위원회, 여문각, 1992).
현재 아토피 피부염 처방으로는 스테로이드계, 항히스타민제, 항생제 등과 같은 약물 처방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피부약화, 호르몬 이상 증상 등의 여러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천연물로부터 인체 안전한 아토피 증상을 치료 및 완화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10-1924054에는 피뿌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 스테차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10-0990195에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상백피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라벤더, 티트리, 블루 캐모마일, 화이트 캐모마일, 프랑킨센스, 샌달우드 중 1종 이상)과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는 등 천연물로부터 아토피 효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증과 전체적인 건조피부를 동반하며 습진 병변이 특정부위에 반복하여 재발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염증반응을 동반하며 면역세포인 T세포가 매개하는 염증성 질환으로 피부장벽기능이 저하되어 반복적으로 재발되며 각종자극에 의해 쉽게 염증이 유발되는 등 아토피 유발 인자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여러 인자간의 복합적 요인으로 발생하여 그 근원을 찾아 치료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24054호 한국 등록특허 제10-09901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상기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우레아 5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차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상기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차조 추출물 3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용, 피부 보습용, 피부장벽 강화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차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에 의하면, 항염 효과,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장벽 강화 효과 및 아토피 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함에 있어,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정도'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는 질환 또는 질병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에 대한 출현 또는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조릿대는 대나무 중에서 가장 작은 대나무로서 우리나라 중부이남 지방의 산에 빽빽하게 무리 지어 흔히 자란다. 조릿대는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에 따르면 조릿대는 인삼을 훨씬 능가한다고 할만큼 놀라운 약성을 지닌 약초이며, 대나무 중에서 약성이 제일 강하여 조릿대 한 가지만 써서 당뇨병, 고혈압, 위염, 위궤양, 만성간염, 암 등의 난치병이 완치된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또한, 조릿대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가래를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염증을 치료하고 암세포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중 제주조릿대(Sasa quelpaertensis Nakia)는 벼과(Gramineae)의 식물로 한라산 일대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지역 고유종으로 분포지 내에서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어 생육하고 있으며, 내륙 지방의 조릿대와는 형태상의 특징으로 구별된다. 제주조릿대는 높이 10~80cm, 지름 3~4mm의 상록관엽식물로, 자원 식물학적으로는 열매에 저장 전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제주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식량 기근시의 중요한 구황식물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 제주조릿대의 왕성한 번식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른 식물의 자생을 억제하고 있어 한라산 생태의 종 다양성을 저해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제주조릿대를 이용한 음료수, 화장품 등 제주조릿대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제주조릿대 잎에는 당류, 비타민류가 포함되어 있고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는 arumdoin, cylindrin, taraxerol, freiendelin 등이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예로부터 조릿대 잎, 줄기, 뿌리 모두 약용으로 사용하여 왔고 또한 고혈압, 위염, 당뇨병, 해열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제주조릿대에는 미백효과가 뛰어난 물질인 p-쿠마린산(pcoumaric acid)이 다른품중에 비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여 수확한 것인 제주조릿대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릿대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릿대의 잎, 줄기 및 뿌리 등의 부위를 개별 또는 혼합하여 건조 후 분쇄하여 정제수와 30 내지 70% 에탄올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우레아(Urea)는 피부에 존재하는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ng Factor, NMF)의 일종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우레아는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침투효과 및 각질층의 수분보유 및 수분유지 능력을 촉진하고, 증가된 세포부활의 정상화, 만성습진을 억제하는 항균효과, 피부에 함께 도포되는 다른 보습 성분의 침투를 촉진하는 등의 작용이 있는 물질이다. 또한, 우리 인체의 각 기관과 체액에 분포되어 있어 인체에 무독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제약계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는 물질이다. 우레아가 화장품 제형에 함유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수분과의 접촉 또는 온도 변화로 인해 분해되어 염기성인 암모니아로 변하게 되는데, 염기성인 암모니아는 제형의 pH를 높여 제형의 안정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우레아 5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에서 상기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우레아가 5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효능 및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 대비 효능 및 효과의 증진에 비효율적이고 원료 분해시 발생하는 암모니아로 인한 취와 가스가 발생하여 피부에 자극적이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은 차조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조(glutinous foxtail millet)는 조의 일종으로, 아시아 온대지방의 모든 지역에서 유사 이전부터 재배된 오랜 작물로서, 벼의 전래 이전에 중국에서 도입되었다고 하는데 그 학명은 Setaria italica이고, 5곡 중 하나이다. 곡류 중에서는 그 종실이 가장 작고 저장성도 강하다. 조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쪘을 때 끈기가 있는 차조와 그렇지 못한 메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도정된 조의 영양성분을 살펴보면, 단백질이 약 10% 포함되어 있고 프롤라민(prolamin)과 글루텔린(glutelin)이 각각 반씩 함유되어 있는데, 프롤라민에는 리신(lysine)이 적고, 류신(leucine)이 많다. 당질은 약 70%로 그 대부분은 녹말로서 이 녹말의 모양은 쌀의 녹말과 흡사하다. 기타 성분으로 수분, 지질, 섬유소, 회분 등이 있다. 주로 쌀과 섞어 밥을 만들거나 떡을 만든다거나 제과, 물엿, 소주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열을 다스리고 대장을 이롭게 하여 산후 회복과 조혈이 빠르고 당뇨와 빈혈에 좋다고 한다.
그 중 삼다차조는 제주 지역에서 자생하는 토종 차조로 다른 차조품종과 비교하여 항산화 성분과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여 수확한 것인 삼다차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물과 에탄올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차조를 건조 후 분쇄하여 정제수와 30 내지 70% 에탄올의 혼합액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차조 추출물 3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조성물에서 상기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차조 추출물이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효능 및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 대비 효능 및 효과의 증진에 비효율적이라 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물, 상기 혼합물에 자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혼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용,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항염은 일종의 방어 기작으로, 염증에 저항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상기 염증은 면역반응체계의 신호전달체계로 유발되며, 구체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성 피부염, 염증성 피부질환, 면역질환 및 천식 등이 있으나, 반드시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피부 보습이란 피부에 수분이 빨리 사라지지 않고 피부에 오래 머물수 있도록 하는 수분 손실 억제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효능을 의미한다.
상기 피부 장벽 강화란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1차 방어막인 각질층은 물리적 자극이나 상처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이나 건조한 피부를 가지는 사람의 경우 각질층의 피부 장벽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손상되어 있다. 아토피나 건조한 피부의 치료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소위 보습제를 바르는데, 일반 보습제는 단순히 수분을 보충하거나 피부를 덮어주는 기능을 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에서 혼합 조성물이 각질층의 장벽기능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을 증가시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피부 장벽기능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화장수, 에멀젼, 젤, 크림, 로션, 에센스, 폼, 팩, 비누, 연고,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 혼합 조성물의 중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능 및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안정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연고 또는 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 혼합 조성물의 중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능 및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 안정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제조예 ]
[제조예 1] 개별추출물 제조
제주조릿대, 삼다차조를 각각 증류수로 수세한 후 건조하고 믹서기로 분쇄하여 미세분말 시료를 얻었다. 각각의 추출물 제조는 정제수와 에탄올을 5:5로 혼합한 용매를 각각의 미세분말 시료 대비 약 1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2 회 추출을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을 수행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다음, 수득한 여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개별 추출 분말을 얻었다.
[제조예 2]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제주조릿대 추출물 및 삼다차조 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주조릿대 추출물 삼다차조 추출물 우레아
무처리군 - - -
비교예 1 1 - -
비교예 2 - 1 -
비교예 3 - - 1
실시예 1 1 - 1
실시예 2 1 1 1
실시예 3 1 0.5 2
실시예 4 1 2 1
실시예 5 1 3 1
실시예 6 1 1 3
(단위: 중량부)
[ 시험예 ]
[시험예 1] 피부각질형성세포 배양
피부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는 Dr. C.G. Hyun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로부터 분양받아 100 units/㎖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4일 간격으로 계대배양을 시행하였다.
[시험예 2] 세포 독성 평가(EZ-cytox assay)
EZ-cytox assay는 water solution tetrazolium salt (WST)가 살아있는 세포의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와 반응하여 주황색의 수용성 formazan을 생성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HaCaT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Х 104 cells/mL로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HaCaT 세포에 serum-free DMEM으로 교환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조성물을 처리하였다. 이후 EZ-cytox를 각 well에 첨가하여 37℃, 5% CO2 조건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 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였다.
구분 처리농도(μg/mL) 세포독성
HaCaT세포생존율(%)
무처리군 - 100
비교예 1 100 104 ± 4.5
비교예 2 100 105 ± 3.5
비교예 3 100 103 ± 1.7
실시예 1 100 102 ± 2.3
실시예 2 100 101 ± 4.3
실시예 3 100 103 ± 2.2
실시예 4 100 104 ± 1.5
실시예 5 100 104 ± 2.1
실시예 6 100 101 ± 4.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6 모두는 피부각질형성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3] 보습효과
[시험예 3-1] 보습인자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량 증가효과 확인
HaCaT 세포를 24 well plate에 1.0 Х 105 cells/mL로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erum-free DMEM으로 교환하고 상기 표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걷어 15,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걷어내어 정량 전까지 냉동보관(-20℃) 하였다. 효소면역측정법(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ELISA kit (Elabscience Biotechnology Co.,Ltd )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한 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처리농도(μg/mL) Hyaluronic Acid 생성량(%)
무처리군 - 100
비교예 1 100 170 ± 2.3
비교예 2 100 142 ± 1.2
비교예 3 100 185 ± 3.7
실시예 1 100 195 ± 6.7
실시예 2 100 208 ± 3.9
실시예 3 100 210 ± 3.3
실시예 4 100 216 ± 2.2
실시예 5 100 239 ± 5.1
실시예 6 100 253 ± 4.2
Retinoic acid 10 245 ± 0.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6을 처리한 경우가 피부 보습 인자인 히알루론산 생성량이 높았다. 특히, 실시예 1을 살펴보면 우레아와 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상호 효능 증진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우레아와 조릿대 추출물 및 삼다차조 추출물을 모두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의 조성물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현저히 촉진시킴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2] 보습인자 Aquaporin3(AQP3) 생성량 증가효과 확인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4.0 Х 105 cells/mL로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erum-free DMEM으로 교환하고 상기 표 1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군마다 배양액 제거 및 PBS로 세척 후 단백질 정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이 포함되지 않은 PBS를 처리하였다. 이는 저온, 상온 incubation을 반복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단백질을 수거하였다. 정량은 AQP3-ELISA kit (Elabscience Biotechnology Co.,Ltd )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한 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처리농도(μg/mL) Aquaporin3 생성량(%)
무처리군 - 100
비교예 1 100 155 ± 3.6
비교예 2 100 122 ± 5.6
비교예 3 100 176 ± 3.9
실시예 1 100 188 ± 5.6
실시예 2 100 196 ± 3.4
실시예 3 100 231 ± 5.2
실시예 4 100 240 ± 3.6
실시예 5 100 245 ± 2.9
실시예 6 100 266 ± 6.3
Retinoic acid 10 238 ± 3.6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6을 처리한 경우가 피부보습 인자인 Aquaporin3 생성량이 높았다.상기 표 3과 표 4를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우레아를 함유하는 조릿대 추출물 및 조릿대 및 삼다차조 혼합 추출물은 히알루론산과 Aquaporin3 생성율을 현저히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어 피부 보습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장벽강화
[시험예 4-1] 관련 시험 1
HaCaT 세포를 6 well plate에 4.0 Х 105 cells/mL로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erum-free DMEM으로 교환하고 상기 표 1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각 군마다 배양액 제거 및 PBS로 세척 후 단백질 정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이 포함되지 않은 PBS를 처리하였다. 이는 저온, 상온 incubation을 반복하여 세포를 용해시킨 후 단백질을 수거하였다. 정량은 Filaggrin-ELISA kit (Elabscience Biotechnology Co.,Ltd )를 이용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한 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처리농도(μg/mL) Filaggrin 생성량(%)
무처리군 - 100
비교예 1 100 180 ± 4.5
비교예 2 100 126 ± 3.5
비교예 3 100 187 ± 1.6
실시예 1 100 201 ± 3.7
실시예 2 100 214 ± 6.2
실시예 3 100 223 ± 7.1
실시예 4 100 226 ± 6.3
실시예 5 100 235 ± 4.5
실시예 6 100 242 ± 5.3
Retinoic acid 10 218 ± 3.7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6을 처리한 경우가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을 촉진시켜 피부 건조를 방지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을 방지하며, 손상된 피부 장벽을 빠르게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염증 억제
[시험예 5-1] 관련 시험 1
본 발명의 상기 개별 및 복합 추출물에 대한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염증성 cytokines (IL-6: Interleukin-6) 생성 억제 활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 넣고 18 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상기 표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과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를 함께 처리하여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 rpm, 3 min) 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전염증성 cytokine 생성 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정량 전까지 냉동보관 (-20℃) 하였다. 전염증성 cytokines은 mouse enzyme-linked immnunosorbent assay (ELISA)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정량 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
처리농도(μg/mL) Interleukin-6 생성량(%)
비교예 1 100 30.2 ± 2.1
비교예 2 100 48.1 ± 2.9
비교예 3 100 50.2 ± 1.7
실시예 1 100 61.9 ± 1.5
실시예 2 100 65.2 ± 1.2
실시예 3 100 62.5 ± 3.9
실시예 4 100 75.6 ± 1.1
실시예 5 100 78.6 ± 2.1
실시예 6 100 79.1 ± 1.3
Dexamethason 10 61.3± 3.5
표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3 보다 전염증성 cytokine 생성 억제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살펴보면, 조릿대 추출물의 경우 전염증성 cytokine 생성 억제율이 매우 낮으나 우레아와 혼합하여 사용될 경우 효능의 증진을 유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조릿대 추출물과 삼다차조 추출물 및 우레아를 함유하는 실시예 2 내지 6은 그 효능이 더욱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아토피성인자인 TARC 및 MDC 생성 억제 활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한 아토피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토피성 chemokine (TARC: Thymus and activation regulated chemokine, MDC: Macrophage-derived chemokine) 생성 억제 활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HaCaT 세포를 24 well plate에 1.0 Х 105 cells/mL로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erum-free DMEM으로 교환하고 상기 표 1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과 interferon-γ (IFN-γ, 10ng/mL)를 함께 처리하여 일정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12,000 rpm, 3 min)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아토피성 chemokine 생성 함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는 정량 전까지 냉동보관 (-20℃) 하였다. TARC 및 MDC 함량은 human enzyme-linked immnunosorbent assay (ELISA) kit (R&D Systems Inc.,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였으며 standard에 대한 표준곡선의 r2 값은 0.99 이상이었다.
처리농도(μg/mL) TARC 생성저해(%) MDC 생성저해(%)
비교예 1 100 22.8 ± 1.9 23.2 ± 2.6
비교예 2 100 44.6 ± 2.3 57.4 ± 3.3
비교예 3 100 53.2 ± 1.8 54.9 ± 2.7
실시예 1 100 60.4 ± 2.5 61.2 ± 3.8
실시예 2 100 68.2 ± 4.2 64.7 ± 5.3
실시예 3 100 62.5 ± 3.9 74.6 ± 2.9
실시예 4 100 76.6 ± 3.4 68.3 ± 2.7
실시예 5 100 79.7 ± 2.9 76.9 ± 3.6
실시예 6 100 76.3 ± 3.3 78.4 ± 4.1
silymarin 10 51.8 ± 4.3 42.1 ± 3.7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3보다 아토피성 chemokine 생성 억제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아토피성 피부 질환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제제예 ]
[제제예 1] 유연 화장수 제조
하기의 표 8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 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0.5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0.1
폴리솔베이트 80 0.4
아르기닌산 0.1
잔탄검 0.1
히아루론산 1.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Up to 100
[제제예 2] 크림 제조
하기의 표 9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3 0.5
베타-1,3-글루칸 5.0
폴리솔베이트 80 1.5
스쿠알란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1.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Up to 100
[제제예 3] 피부 외용제
하기의 표 10과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7 0.5
베타-1,3-글루칸 5.0
폴리솔베이트 80 5.0
PEG 60 2.0
쉐어버터 5.0
스쿠알란 5.0
글리세린 10.0
프로필렌글리콜 10.0
세테아릴올리베이트/ 소르비탄 올리베이트 1.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Up to 10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상기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우레아 5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차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상기 조릿대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차조 추출물 30 내지 3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용, 피부 보습용, 피부장벽 강화용 또는 아토피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은 차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173769A 2018-12-31 2018-12-31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15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69A KR102150927B1 (ko) 2018-12-31 2018-12-31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69A KR102150927B1 (ko) 2018-12-31 2018-12-31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13A true KR20200082813A (ko) 2020-07-08
KR102150927B1 KR102150927B1 (ko) 2020-09-02

Family

ID=7160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69A KR102150927B1 (ko) 2018-12-31 2018-12-31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806A (ko) 2021-10-08 2023-04-1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622831B1 (ko) 2021-10-08 2024-01-0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삼다차조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120A (ko) * 2008-05-19 2009-11-24 홍경숙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 및 화장품혼합원료 제조방법
KR100990195B1 (ko) 2010-01-20 2010-10-29 (주)엘큐어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4178A (ko) * 2011-12-08 2013-06-18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2463B1 (ko) * 2015-08-13 2016-04-15 (주)우신메딕스 각질연화용 패치
KR101790250B1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네이처프론트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101924054B1 (ko) 2018-04-02 2018-11-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뿌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 스테차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37631A (ko) * 2017-09-29 2019-04-0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120A (ko) * 2008-05-19 2009-11-24 홍경숙 피부미용 효과를 가지는 천연곡물 혼합분말 및 화장품혼합원료 제조방법
KR100990195B1 (ko) 2010-01-20 2010-10-29 (주)엘큐어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완화 천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4178A (ko) * 2011-12-08 2013-06-18 (주)아모레퍼시픽 제주조릿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2463B1 (ko) * 2015-08-13 2016-04-15 (주)우신메딕스 각질연화용 패치
KR101790250B1 (ko) * 2016-05-09 2017-11-20 주식회사 네이처프론트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90037631A (ko) * 2017-09-29 2019-04-08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924054B1 (ko) 2018-04-02 2018-11-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뿌리풀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 스테차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927B1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3218B1 (ko) 홀리바질, 박하, 님나무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 완화용 조성물
KR100863890B1 (ko)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20597A (ko) 꽃 쌈발효에 의한 항염증용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195577B1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7719B1 (ko) 알로에 추출물 및 밭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976415B1 (ko) 이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또는 피부염증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170058546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2812A (ko) 알로에 추출물, 밭벼 추출물 및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0698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백두산떡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00027359A (ko) 유창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