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647B1 - 항비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비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647B1
KR101391647B1 KR1020120112194A KR20120112194A KR101391647B1 KR 101391647 B1 KR101391647 B1 KR 101391647B1 KR 1020120112194 A KR1020120112194 A KR 1020120112194A KR 20120112194 A KR20120112194 A KR 20120112194A KR 101391647 B1 KR101391647 B1 KR 10139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group
weight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141A (ko
Inventor
연제동
Original Assignee
연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제동 filed Critical 연제동
Priority to KR102012011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6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의 맛과 향을 유지한 채로 먹는 즐거움과 함께 부작용, 단식, 절식의 고통 없이 비만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나복자 10~30 중량%와, 의이인 10~30 중량%, 복령 10~30 중량%, 다엽 10~20 중량% 및 차전자피 10~3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항비만 조성물{ANTI OBESITY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의 맛과 향을 유지한 채로 먹는 즐거움과 함께 부작용, 단식, 절식의 고통 없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항비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식생활은 경제의 발전으로 인한 소득증가 및 농작물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농산물의 대량 생산, 수입의 개방화정책에 따른 각국의 농산물 수입 등으로 인하여 식생활 문화에 큰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와 함께 저장, 유통 기술의 발전으로 사시각처(四時各處)의 농산물을 손쉽게 구입하여 섭취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의 식탁도 다국적 사계절 식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고칼로리로 이루어진 즉석식품의 범람 및 과도한 열량섭취와 일상생활에서의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우리 몸은 필요 이상의 칼로리를 축적하게 하여 비만을 일으키고 있다.
학술적으로 비만이란, 단순한 과체중이 아니라 대사 장애로 인해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를 말하며, 섭취된 칼로리가 신체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초과되어 중성지방의 형태로 과잉 축적되어 발생한 것을 말한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과식에 의한 에너지 대사의 균형에 이상이 발생하면서 내분비계의 혼란 및 면역 이상과 염증을 일으켜, 고지혈증, 관상동맥 심장질환 및 제2형 당뇨병 등의 질병상태에 이르는 위험인자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은,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현대 사회적 변화에서 볼 때 단순히 체중과다 및 미관상의 문제에서 끝나지 않고, 필요 이상으로 초과된 에너지의 지방조직 축적은 임상적으로 저비중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초저비중지단백(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의 증가를 초래하여 고지혈증,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따른 심혈관질환,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 등의 당대사 이상, 고혈압, 폐질환, 담석증, 관절염 등의 빈도를 증가시켜 심각한 건강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비만을 규정하는 기준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채택하고 있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18.5~22.9㎏/㎡가 정상, 23~24.9㎏/㎡인 경우 과체중, 25~29.9㎏/㎡인 경우를 1단계 비만, 30㎏/㎡이상인 경우를 2단계 비만으로 분류한다.
또한, 비만의 원인으로는, 에너지의 불균형, 유전적 요인, 중추신경계 이상, 호르몬 요인, 심리적 장애, 사회문화적 요인 등이 있으며, 내분비적 요소와 신경학적 요소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비만은 그 원인에 따라 원발성 비만과 이차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원발성 비만은 섭취 에너지가 소비 에너지를 초과하여 체지방이 증가된 상태로서, 식습관, 연령, 인종, 유전적 요인 등의 다양한 위험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또한, 이차성 비만은 소수의 일부 비만환자에게서 발견되며 유전 및 선천성 장애, 약물, 신경 및 내분비계 질환, 정신질환 등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또한 비만은 단순성 비만, 증후성 비만으로 구분할 수 있고, 성인에 따라 조절성 비만, 대사성 비만, 지방세포의 양상에 따라 비대형 비만, 증식성 비만, 혼합형 비만, 지방이 축적된 신체부위에 따라 중심성 비만, 말초성 비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인에 따라 분류한 증후성 비만이란, 질병이나 약물복용으로 인하여 생기는 2차성 비만을 말하며, 이러한 증후성 비만은 실제로는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특별한 병적 원인이 없는 단순성 비만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단순성 비만의 원인은 열량의 섭취가 열량의 소비보다 과다하기 때문이며, 식이조절의 불량과 운동량의 부족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증의 치료 역시 열량의 소비를 늘리고 열량의 섭취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비만의 치료는, 다른 만성질환의 치료보다 더욱 어렵고 재발이 쉽게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만 치료 전에 환자 및 치료자가 충분히 준비를 해야 하며 치료목표 또한 개개인의 건강상태와 조건에 맞게 현실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만치료법으로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요법, 수술요법 등이 알려져 있다.
식이요법은, 열량섭취를 제한하되 열량섭취의 제한 정도를 개인의 상태를 고려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과도한 지방섭취는 열량섭취를 늘리고 포화지방의 섭취증가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키므로, 총열량의 25% 이내로 섭취하며, 포화지방은 총열량의 6%, 트랜스지방 섭취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요법은, 체지방감소에 도움이 되며, 운동능력의 파악과 운동 실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운동 전 건강검진을 하는 것이 좋고, 운동형태, 강도, 시간, 빈도, 기간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약물요법은, 비만치료의 보조적인 치료요법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25㎏/㎡이거나, 23㎏/㎡이면서 심혈관계 합병증 및 수면 무호흡증이 동반된 경우 약물 치료를 시도하고 있다.
수술요법은, 고도비만일 경우에 치료하는 수술로서, 체질량지수 37㎏/㎡ 이상이거나, 체질량지수 32㎏/㎡ 이상이면서 2가지 이상의 동반이환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에 시행한다.
한편, 한의학에서는 비만에 대하여 <소문(素問), 통평허실론(通平虛實論)>에서 "비귀인(肥貴人) 즉고량지질야(則膏粱之疾也)"라고 최초로 언급한 이래 그 후 다양하게 기재하고 있다.
역대 의가들은, 비만에 관하여 허증(虛症)은 비토허약(脾土虛弱), 비신양허(脾腎陽虛), 간신양허(肝腎陽虛) 등과, 실증(實證)은 고량후미(膏粱厚味)의 과식, 습(濕), 담(痰), 비위적열(脾胃積熱), 간열협습(肝熱挾濕), 어혈(瘀血) 등으로 그 원인과 병기(病機)를 논하고 있다.
또한 그 치료방법으로는, 허증에는 건비(建碑), 익기(益氣), 온양(溫陽)하고, 실증의 경우에는 거습화담(去濕化痰), 이수(利水), 소도(消導), 활혈(活血), 화어(化瘀)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이병주, 김성훈, 비만의 개념 및 변증시치에 관한 문전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또한 비만의 원인에 대해서는, 기허(氣虛), 습, 담, 내상칠정(內傷七情), 활동감소, 영양감소, 선천품부(先天稟賦) 등이 지적되고 있다(전국한의과대학재활학과학교 실, 동의재활의학과학, 서울 서원당, 1995).
또한 치법(治法)으로는, 화습(化濕), 거담(祛痰), 이수(利水), 소도(消導), 소간이담(疎肝利膽), 건비(建碑), 온양(溫陽)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강유이(江幼李) 비만적중의치료, 북경중의학원보 8(2), 1985).
또한 비만에 대하여 <황제내경(皇帝內徑), 소문(素文), 기병론(奇病論)>에서는 "차비미지소발야(此肥美之所發也), 차인필수식감미이다비야(此人必數食甘美而多肥也), 비자령인내열(肥者令人內熱), 비자령인중만(肥者令人中滿), 고기기상일(故基氣上溢), 전위소갈(轉爲消渴)"이라 언급하였다.
또한, 이동원은 "비위구실(脾胃俱實), 즉능식이비(則能食而肥), 비위구허(肥胃俱虛), 즉불능식이수(則不能食而瘦), 혹소식이비(或小食而肥), 수비이사지불거(雖肥而四肢不擧), 개비실이사기성야(蓋脾實而邪氣盛也)"라 하였으며, "부인유신체비반(婦人有身體肥 月半), 담연심다(痰涎甚多), 내비토지내병야(乃脾土之內病也)"라 하여 그 병기를 논하였다.
비만증의 병기는, 주로 비위의 운화기능의 실조로 인하여 수습이나 담탁이 형성되어 발생하거나, 습담 등이 비위의 운화기능에 장애를 주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비만증의 치료는, 허증에는 건비, 익기, 보신, 온양, 양음 등을 주로 하였고, 실증에는 거습, 화담, 이수, 활혈, 화어, 소도법(疏導法) 등을 주로 활용하였다(김홍건, 김병탁, 비만증의 원인과 병기 및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 논문집 1992).
또한, 한의학에서 비만치료의 원칙은, 정확한 원인에 대한 변증(辨證)을 통한 적절한 시치(施治)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역대 의가들은 비만의 원인을 비(脾)와 신(腎)의 기허(氣虛)나 양허(陽虛), 구와(久臥), 구좌(久坐)와 같은 허병(虛病)과 고량후미(膏梁厚味), 담탁(痰濁), 습담(濕痰), 비위적열(脾胃積熱), 어혈(瘀血) 등과 같은 실증(實證)으로 생각하였고 그 치료법으로 허증의 경우 건비(建脾), 익 기(益氣), 온양(溫陽)하고, 실증의 경우 거습화담(祛濕化痰), 이수(利水), 소도(消導), 활혈화어(活血化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김정여, 송용선, 비만에 대한 동서의학 고찰. 동의물리요법과학회지. 1993).
한약요법으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하여 한약재를 응용한 역사도 오래되었고 항비만 약재를 이용한 비만치료 연구도 깊어졌지만, 한약에서 조지항비만(調脂抗肥滿)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약재의 발굴과 과학적 검증도 대단히 중요하다 할 것이다.
현재 널리 알려진 항비만강지(抗肥滿降脂) 효능의 한약재로는, 마황(麻黃), 산사육, 대황(大黃)등이 있으며, 찻잎, 코코아 등에도 항비만강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는데(진혜방, 치료비반증적식물약. 국외의학, 약학분책, 1995), 이들은 모두 천연물로서 거의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만에 대한 처방연구로는, 사상방인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과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이, 후세방인 오령산,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 방기황기탕 등이 있으나(진광선, 비만의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 대전대학교대학원 2004), 많은 한방의료기관에는 태음조위탕을 대표적 처방으로 활용하고 있다.
태음조위탕은, 보통 의이인, 건률, 나복자, 맥문동, 석창포, 길경, 마황 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비만치료에 대한 실험적 보고를 보면, 방풍통성산을 담습기체, 담습내온, 비위실열로 인한 실증의 비만증에 응용한다고 하였다(민병화, 이인선, '가미육군자탕이 백서의 비만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
한편, 옹유량(翁維良) 등은 다음과 같이 변증별 항비만거지(抗肥滿祛脂)의 효능을 파악하고 있다.
첫째, 거담화탁(祛痰化濁), 이습강지(利濕降脂) 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는 생대황(生大黃), 호장근(虎杖根), 창출(蒼朮), 택사(澤瀉), 인진호(茵蔯蒿), 초결명(草決明), 반하(半夏), 번사엽(番瀉葉), 원총, 대산(大蒜), 괴목(槐木), 금은화(金銀花), 강황(薑黃), 자근, 하엽(荷葉), 의이인(薏苡仁) 등이 있고,
둘째, 활혈거어(活血祛瘀), 항비만강지(抗肥滿降脂)하는 효능의 약재는, 충울자, 단삼(丹蔘), 적작약(赤芍藥), 익모초, 삼칠근(三七根), 생산사육, 오령지(五靈脂), 향부자(香附子), 삼릉(三稜), 아출(莪朮), 계혈등(鷄血藤), 우슬(牛膝), 당귀(當歸), 천궁(川芎) 등이 있고,
셋째, 자음양혈(滋陰養血) 항비만강지(抗肥滿降脂)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는 한련초(旱蓮草), 여정자(女貞子), 하수오(何首烏), 생지황(生地黃), 산수유, 구기자, 국화, 상기생(桑寄生), 영지 등이 있다고 하였다(옹유량(翁維良), 등. 감비중약. 복건의약잡지. 1980).
한편, 한의학에서 이용되는 비만치료 한약요법은, 대부분 한약재를 2가지 이상 혼합하여 처방한 복방 처방이고, 이렇게 처방된 약재를 탕약으로 달여 장기간 음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한약요법의 경우, 특유의 냄새 및 탕약색깔 때문에 섭취자에게 혐오감을 일으켜 복용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음식의 맛과 향을 유지한 채로 먹는 즐거움과 함께 부작용, 단식, 절식의 고통 없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비만 약재를 분말형으로 조성하여, 각종 식재료에 섞어 조리함으로써,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복자 10~30 중량%와, 의이인 10~30 중량%, 복령 10~30 중량%, 다엽 10~20 중량% 및 차전자피 10~3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비만 조성물은 미세한 분말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비만 조성물은 분말형태의 식재료 1000g에 10 ~ 40 중량%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나복자 10~30 중량%와, 의이인 10~30 중량%, 복령 10~30 중량%, 다엽 10~20 중량% 및 차전자피 10~3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분말형태로 조성된 그룹 1; 및 진피 10~20 중량%와, 산사육 10~30 중량%, 옥미수 20~40 중량%, 양총피 20~40 중량% 및 맥아 10~2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액상형태로 그룹 2를 조성하여; 식품 조리시 상기 그룹 1은 분말형태로 식재료에 첨가하고, 상기 그룹 2는 육수에 첨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의 맛과 향을 유지한 채로 먹는 즐거움과 함께 부작용, 단식, 절식의 고통 없이 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약재로 이루어진 항비만 조성물을 분말형 또는 액상형으로 조성하여 식품에 첨가함으로써, 간편하게 섭취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한약재를 분말형태로 제조한 그룹 1(Group 1)과, 한약재를 액상형으로 제조한 그룹 2(Group 2)와, 상기 그룹 1과 그룹 2를 혼합한 그룹 3(Group 3)과, 상기 그룹 3을 2배로 혼합한 그룹 4(Group 4)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그룹 1의 항비만 조성물은, 나복자(蘿蔔子)와, 의이인(薏苡仁), 복령(茯笭), 다엽(茶葉) 및 차전자피(車前子皮)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그룹 1의 항비만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나복자 10~30 중량%와, 의이인 10~30 중량%, 복령 10~30 중량%, 다엽 10~20 중량% 및 차전자피 10~3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한다.
상기한 그룹 1의 항비만 조성물은, 곱게 세밀화한 분말로 형성하여, 분말상태로 섭취하거나, 또는 식품의 조리시 첨가하여 복용할 수 있다.
예컨대, 그룹 1의 분말형 항비만 조성물을 이용하여, 칼국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가루(또는 쌀가루) 1000g에 대하여 세밀한 분말상태의 항비만 조성물 140g을 혼합(이하, '혼합분말'이라 한다)한다. 이때 상기의 혼합분말에 대두유 50ml, 물 530ml, 식염 30g을 넣고 잘 치대어 반죽한다.
이어서, 반죽된 혼합분말을 밀봉하여 냉장에서 10시간 이상 숙성시킨다. 그 이후 숙성된 혼합분말을 밀대를 이용하여 두께 2mm 정도로 엷게 편 후 먹기 적당한 크기로 자르면 한약재에 대한 거부감이 없이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즉, 분말형태의 그룹 1의 항비만 조성물은, 밀가루와 혼합하여 라면, 국수, 칼국수, 만두피, 만두, 어묵, 수제비 등을 만들어 섭취할 수 있고, 쌀가루와 혼합하여 떡, 케이크, 떡볶이, 송편 등을 만들어 쉽게 섭취할 수 있다.
한편, 그룹 2의 액상의 항비만 조성물은, 진피(陳皮)와, 산사육, 옥미수(玉米鬚), 양총피(洋蔥皮) 및 맥아(麥芽)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그룹 2의 항비만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진피 10~20 중량%와, 산사육 10~30 중량%, 옥미수 20~40 중량%, 양총피 20~40 중량% 및 맥아 10~2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한다.
상기한 그룹 2의 항비만 조성물은, 상기 약재를 깨끗하게 세척한 후 건조하여, 이를 일정시간 끓여서 달인 추출액으로 제조된다.
예컨대, 그룹 2의 액상의 항비만 조성물을 이용하여, 육수 첨가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일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룹 2의 약재를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이어서, 약탕기에 물 1000g에 대하여 그룹 2 항비만 조성물을 230g을 넣고 3시간 정도 끓여 탕액을 만든다.
상기한 탕액은 음식물에 첨가되는 육수 1000g에 대하여 140g을 넣어 제조한다.
또한, 상기한 그룹 2의 항비만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육수에, 상기한 그룹 1의 항비만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칼국수 반죽을 넣은 칼국수를 섭취할 경우, 보다 향상된 항비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그룹 1 및 2의 항비만 조성물 각각에 대한 성질 및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룹 1의 조성물에 대해 살펴본다.
그룹 1의 나복자(蘿蔔子)는, 본초명으로 '무씨'를 의미하며, 기침이나 가래 따위를 다스리는데 사용된다.
상기 나복자의 맛은, 맵고(辛) 달며(甘), 성질(性)은 평(平)하고, 폐(肺), 위경(胃經)에 귀경(歸經)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나복자는 기가 치밀어 오르는 증세를 하기(下氣)시켜 주는 효능과 호흡을 가라앉히며 소화를 돕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어, 해수(咳嗽)로 인한 기관지 천식, 식적기체(食積氣滯), 가슴이 답답하고 더부룩한 증세, 이질에 의한 이급후중을 치료한다.
상기 나복자의 성분에는, 메틸 메르캅탄(Methyl Mercaptan) 휘발성 오일이 들어 있는데, 이는 알코올과 비슷한 구조로서 싸이올(Thiol)이라고도 하며, 썩은 배추와 같은 악취를 내는 유기 황화합물이다. 무의 매운맛과 향은 황화합물인 겨자유(Mustard Acid)와 메틸 메르캅탄 때문이다.
또한, 나복자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약침으로 비만한 실험용 쥐(이하, '비만백서(肥滿白鼠)'라 함)에 임상 실험한 결과, 체중감소의 유의한 변화와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의 감소와 HDL의 증가 등을 확인한 보고가 있다.(강수우, 위통순, 윤대환. 비유에 대한 내복자 약침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
또한, 죽여와 나복자 혼합물의 실험에서 죽여(竹茹)와 나복자 모두 각각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의 B세포내 인슐린과립의 점유면적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랑게르한스섬 A세포내 글루카곤과립의 점유면적비율은 유의한 감소를 보인 것으로 보고되었다(명성하, 이학인, 김연섭. 죽여와 나복자가 실험적 당뇨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1999). 이는 죽여와 나복자 모두 당대사에 관여하는 인슐린, 글루카곤에 관여하여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나복자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향과 매운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이인(薏苡仁)은, 율무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맹이를 말하며, 비위를 보호하고 오줌을 잘 누게하며 열을 내리고 고름을 빼내는 효능이 있다.
상기 의이인의 맛은 달고 싱거우며, 성질은 량(凉)하며, 비(脾), 폐(肺), 신경(腎經)에 들어간다. 의이인은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폐를 보하며, 열을 내리고 습을 거두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설사, 습비, 근맥급성경련, 굴신불리, 수종, 각기, 폐위, 폐옹, 배뇨가 곤란하면서 소변 색이 뿌연 증상, 부인의 백대하를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p3428).
또한, 의이인의 성분 중에는 당분해 억제제인 코이졸(Coixol) 성분이 들어있어 비만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의이인을 혼합한 추출액이 비만의 체중 감소효과,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의 감소와 HDL-콜레스테롤의 증가를 실험을 통해 비만의 감소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박태용 <체감의이인탕의 항비만 효과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8).
한편, 상기 의이인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단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령(茯笭)은, 벌채한 지 3~8년이 지난 소나무의 뿌리 주위에 기생하는 부정형의 균체로서, 본품(本品)은 대소부동한 구형(球形) 또는 부정형(不定形)의 덩어리이며, 내부는 육질의 과립상태인데 유백색 또는 담홍색을 보이고, 신선한 것은 냄새가 난다.
상기 복령은 4~5년 된 것을 한방에서 양품으로 보며, 특히 백색이고 질(質)이 견실한 것을 백복령(白茯笭)이라 한다. 복령의 성분은 식물섬유소, 파키모스(Pachymose), 과당, 포도당, 탄산칼슘(석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령의 성질은 평하고, 미는 감하며 심, 비 폐경에 귀경한다. 복령의 약효는 습을 제거하고 수(水)를 배출시키며, 비(脾)를 유익하게 하고 위(胃)를 조화시키며 마음을 안정시킨다.
따라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수종창만(水腫脹滿), 담 음해역(痰飮咳逆), 구얼, 설사, 유정, 림탁, 경계, 건망을 치료하고,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중약대사전, p 1789).
상기 복령의 성분 중 복령당이 복령다당으로 변함으로서 생성되는 pachymaran이 sarcoma-180(피부종양 일종) 실험 쥐에 대한 종양 억제율이 96.9%에 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왕영걸. 복령재배, 식용균재배기술수책 p335, 귀주성 인민출판사 1988).
한편, 상기 복령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향과 단맛에 의해 다른 조성물과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엽(茶葉)은, 차나무의 잎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곱게 갈은 말차를 이용한다. 즉, 다엽은 뜨거운 물에 용해시켜 마시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물에 용해되는 수용성 성분만을 섭취하는 것이며 다량의 성분은 수용성이 아니라 그냥 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다엽을 곱게 갈아 사용하면 불용성 성분까지 모두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다엽의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서늘하고, 심, 폐, 위경에 귀경한다.
또한,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번갈을 제거하며, 가래를 삭이고 소화를 도우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어, 두통,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상, 다면증, 심번구갈(心煩口渴), 식적담체, 학질, 이질을 치료한다 하였다(중약대사전, p 841).
또한, 다엽의 성분 중에는 방향족 화합물인 폴리페놀로 구성되어진 카테킨(Catechin)이 58%정도 함유되어 있어 유의한 체중감소 효과와 혈압강화 효과(Kristel D, Eva MR K, Ilse MT. N, Neeltje V, Margriet S, Westerterp P. Effect of green tea on resting energy expenditure and substrate oxidation during weight loss in overweight females. Br J Nutr. 2005), 및 콜레스테롤 흡수억제 효과로 항비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Helena BL. Sang KN, Sung IK, Green tea extract inhibits the lymphatic absorption of cholesterol and α-tocopherol in ovariectomized rats. Journal of Nutriton. 2002).
또한, 다엽의 카페인(Caffeine), 테오필린(Theophylline) 성분은 일종의 각성제로 심장혈관을 확장하며 말초혈관까지도 확장하여 혈액순환을 돕는다.
상기 카페인은 위액분비를 촉진시켜 주며, 테오필린은 신장의 세뇨관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이뇨작용을 한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백서실험을 통해 녹차분말이 체중, 체내지질, 혈소판응집 등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강정애.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있어서 녹차분말이나 녹차 추출물이 체중 체내 지질 혈소판 응집 TBARS 생성 및 적혈구막 Na-leak 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한편, 상기 다엽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향과 쓴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2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전자피(車前子皮)는, 소염, 이뇨, 진해에 사용되는 약재로서, 질경이 씨앗을 차전자라 하고 그 껍질을 차전자피라 한다.
상기 차전자피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공복해소와 다이어트, 변비, 과민성 대장염,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등의 효과가 있고, 벌레예방, 가래삭임, 소변, 열내림 등의 증상에 효능이 있다.
한의학에서 차전자는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하며, 신장과 방광경에 귀경한다 하였다. 효능으로는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열을 제거하며,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담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하여, 소변불통, 임탁, 대하, 혈뇨, 해수 다담, 습비 등을 치료한다 하였다(중약사전, p 4042).
또한, 상기 차전자피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끈적거림과 껍질의 질감이 강하게 느껴져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그룹 2의 조성물에 대해 살펴본다.
그룹 2의 상기 진피(陳皮)는, 귤 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따뜻하며, 비경과 폐경에 들어간다. 진피의 약효는, 이기(理氣), 조중(調中), 조습(燥濕), 화담(化痰)하고, 흉복창만(胸腹脹滿), 식욕부진, 구토에 의한 딸국질, 기침이 나고 가래가 성한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본초강목에는 진피는 고(苦)로 사(瀉)하고, 조(燥) 할 수 있으며, 신(辛)으로 산(散) 할 수 있고, 온(溫)으로 화(和)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한, 이기, 조습하는 효능이 있고, 같이 쓰는 약재에 따라 보사승강(補瀉昇降) 할 수 있다 하였고, 다른 약들은 새것이 귀하지만 귤피는 묵은 것이 귀하다 하였다(중약대사전, p 530-531).
진피 플라보노이드의 기능성에 대한 연구는, 항산화작용, 고지혈증 억제작용, 충치예방효과, 항균작용 등과 고혈압 예방,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작용 및 HDL-콜레스테롤 증가 그리고 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 등 다양한 생리기능성에 대해 보고되어 있다(Han and You 1988 / Monforte et al. 1995 Kurowska et al. 2000).
또한, 감귤 고유의 플라보노이드인 tangeretin은 암세포 침윤 및 전이 방지 효과,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효과 및 백혈병 세포의 분화 촉진작용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Kunizane, Ueda, Yamazaki 1995).
또한, 발효 진피 추출물은, 체중감소, 혈중지질 감소, LDL-콜레스테롤 감소, 지방조직 무게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냈다고 보고되어 있다(박치덕. <Aureobasidium pullulans를 이용한 진피 flavonoid의 생물전환 및 항비만 효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대학원, 2011).
또한, 귤피의 추출물은 탄수화물 분해효소인 α-Glucosidase의 억제와 탄수화물을 콜레스테롤로 환원시키는 환원효소인 HMG-CoA 환원억제효능으로 비만의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되어 있다(조화은. <진피활용을 위한 고지방식이에서의 기능성 평가>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07).
한편, 상기 진피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향과 매운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2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사육은, 산사나무의 열매로서 씨를 제거한 육질부분을 말한다. 산사는 혈압을 천천히 지속적으로 하강시키는 작용과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중약사전, p 2053-2054).
산사는,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비, 위 간경에 귀경한다. 산사의 약효는 식적을 제거하고 어혈을 없애며 촌충을 구제하는 효능이 있어 육식으로 인한 적체, 징가, 담음, 비만, 탄산, 설사, 직장궤양, 요통, 산기, 산후 아침통, 오로가 다 나오지 않았을 때, 영아의 식체를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본초경소>에 산사는 대체로 음식을 소화시키고 비위를 튼튼히 하며 엉킨 기를 소통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고 되어 있다(중약사전, p 2054-2056).
또한, 산사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약침의 형태로 비만백서에 실험한바, 체중감소, 총콜레스테롤 감소,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감소 효과와 HDL 증가 효과에 유의하다고 보고되어 있다(정영표, <위유의 산사약침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7).
또한, 산사 추출물은, 비만백서의 체중증가 제어, 혈청 전이효소의 개선, 간의 지질 및 체지방의 증가를 제어, 자궁주위 지방조직 및 간의 중량 유의한 감소, 전지방세포인 미분화 상태의 3T3-L1 세포증식의 제어 등의 유의성이 있는 효과를 얻어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고광재, <산사추출물이 백서의 비만모형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7).
한편, 상기 산사육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향과 신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3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미수(玉米鬚)는, 옥수수의 수염으로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이뇨하는 작용과 열을 내리며, 간기를 평하게 하고 담을 돕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신염에 의한 수종, 각기, 황달, 간염, 고혈압, 담낭염, 담결석, 당뇨병, 비출혈, 축농증, 급성 유선염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뇨작용과 순환계통에 대한 작용으로 혈압을 강압시키는 뚜렷한 작용이 있고, 혈당을 낮추는 뚜렷한 작용과 담을 돕는 작용과 지혈작용이 있다고 하였다(중약대사전, p 3105).
또한, 옥미수를 포함한 추출물이 토탈콜레스테롤 감소, 토탈 리파이드 감소, 저밀도-콜레스테롤 감소, 혈청 중 글루코스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는 옥미수가 혼합된 추출물이 비만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변성희, 김상천. <비만치료 및 예방에 대한 한약의 효능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1).
한편, 상기 옥미수의 조성비율이 2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과 단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20 ~ 4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총피(洋蔥皮)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인 양파의 껍질을 말하며, 야채와 향신 조미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무기질, 비타민 C 등이 풍부한 당질로 이루어져 있다.
양파에는 다량의 flavonoid 가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quercetin, quercitrin, rutin 등 flavonoid계 색소와 채내 지방수준 저하에 효과적인 allyl propyl disulfide 및 diallyl disulfid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YK, Sourc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vegetable juices and the trend of study. Bull food Technol 1995).
양파의 작용으로는,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xanthine oxidase 저해작용, 중금속 해독작용,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양파의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보고되어 있다(이찬중, 김희대, 정은호, 서전규, 박철우, 하영래. <비상품 양파추출물의 실험 쥐 피부암 및 위장암 억제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학지 2000).
양파의 페놀, 플라보노이드, 케르세틴 추출방법으로는,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메탄올 추출법 등이 있는데, 100℃ 열수 추출법/ 에탄올/ 메탄올 추출법의 추출물량은 Total phenol이 각각 112±3/ 111±7/ 108±9, Total flavonoid가 각각 12.6±1.8/ 14.8±0.7/ 14.0±0.7, Quercetin이 각각 10.4±0.3/ 12.5±0.8/ 11.7±0.4로 조사되었다.
또한, 양파의 육질부분과 껍질의 성분 분석에서 양파육질/ 양껍질의 Total phenol이 각각 131±8/ 3152±56, Total flavonoid가 각각 11.5±1.0/ 725±15, Quercetin이 각각 9.3±0.7/ 585±21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르면, 양파의 껍질 부분이 페놀 약 24배, 플라보노이드, 케르세틴은 약 6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액의 저장은 4℃ 냉장보관과 2주 이내의 섭취를 할 경우가 가장 적합하다고 보고되어 있다(박훈 외 <양파의 추출방법과 추출액의 살균.저장에 따른 기능성 성분 분석 Food Engineering Progress vol.13> 2009).
양파의 한의학적 본초명은 양총(洋蔥)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온하고 폐경(肺經)에 귀경한다. 효능은 건위이기(健胃理氣), 해독살충(解毒殺蟲), 강혈지(降血脂), 화담(化痰)하여 식소복창, 창상, 궤양, 고지혈증 등을 주치한다(김규열, 원광디지털대학교 식이본초, 2010).
또한, 싸이올(thiol), 메틸 디썰파이드(methyl disulfide), 알릴 썰파이드(allyldisulfide), 알리모노썰파이드(allylmonosulfide) 등의 성분이 들어 있는데(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p 2877, 1997), 싸이올은 메르캅틴이라고도 하며 휘발성오일로 지방의 분해 배설을 돕고, 썰파이드류(메틸, 알릴, 알리모노 등)은 지방저하 및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어 고혈압 등의 순환계 질환에 좋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Park YK, Sourc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vegetable juices and the trend of study. Bull Food Technol 1995).
한편, 상기 양총피의 조성비율이 2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색과 단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20 ~ 4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맥아(麥芽)는, 겉보리에 수분과 온도 및 산소를 작용시켜 발아시킨 보리의 낟알로서, 맥주 양조의 원료 및 미생물의 배양액을 만드는데 많이 쓰인다.
상기 맥아는, 벼과의 대맥(大麥)의 싹을 내어 말린 후 살짝 복아서 만든 약재로서, 달콤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약간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甘溫). 맥아는 비위허약으로 인한 소화장애에 효과가 있고, 특히 밀가루 음식에 대한 소화불량에 쓰인다. 또한 유즙분비 부족에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소화촉진 작용과 혈당강하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상기 맥아는, 질이 단단하고 싹이 2㎝이내이며 황색이고, 한쪽 끝에는 어린 싹이 있으며 다른 쪽에는 어린 뿌리가 있고 바깥면은 엷은 황색이며 배유는 유백색이고 질은 단단하며 부서지기 쉽다.
맥아의 이명으로는, 대맥아(大麥牙), 대맥벽(大麥檗), 대맥모(大麥毛), 광맥얼, 곡맥(谷麥) 등이 있다.
한의학에서 맥아의 성질은 조금 따뜻하며 맛은 달고 독이 없으며, 비장과 위경에 귀경한다 하였다.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하기하는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완복창만, 식욕부진, 구토, 설사 등의 치료에 쓰인다(중약사전, p1272).
한편, 상기 맥아의 조성비율이 10 중량%의 미만일 경우에는, 약재효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고,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단맛이 너무 강하여 섭취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10 ~ 20 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룹 1 내지 그룹 4로 조성된 항비만 조성물로 비만백서를 통한 비만치료의 효과를 실제로 실험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만백서는 6주령 수컷을 Orient Bio(Seoul,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만백서는 스테인리스 스틸 케이스에서 사육하였고, 사육실의 온도는, 20~22℃, 습도는 50±10%, 일광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 비만의 유도에는 고지방사료를 사용하였다. 고지방사료는 Dytes사(Dyets Cat. No.101556, Dyets, Bethlehem, PA)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주간의 적응기간 후 고지방 사료를 8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발하였으며, 실험군은 고지방사료에 그룹 1 내지 그룹 4의 항비만 조성물 각각의 시료를 섞어 제조한 사료와 음수를 8주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고지방사료의 급식을 시작한 후 1주 간격으로 비만백서의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8주 후 CO2를 이용하여 비만백서를 희생시켜 심장 채혈을 통해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3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또한, 간장, 백색지방조직을 적출하여 PBS에 세척하고 분리한 혈청과 함께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에서 냉동보관 하였다.
또한, 간기능수치의 지오피(GOT, Glutamate Oxaloacate Transaminase)와, 지피티(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의 농도를 측정하는 kit는 아산제약(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제조사의 지시에 의거 정량화하였다.
1.5ml tube에 기질액 100μL를 분주하고, 37℃에서 5분간 보존한 후 분리한 혈청 20μL를 넣고 vortex하여 혼합하였다. 그 다음 GOT를 측정하기 위한 혼합액은 37℃에서 1시간, GPT를 측정하기 위한 혼합액은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정색시약 100μL를 넣고 vortex하여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그 다음 0.4N NaOH 1mL를 넣고 재차 vortex한 후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으며, 반응이 끝난 후 microplate reader 를 이용하여 5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당량 측정은, Accu-Check Active kit(Roche Diagnostics, Mannheim, Germany)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비만백서는 고지방 사료를 8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발시킨 뒤, 8주 후 비만백서의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재취하여 혈당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지질분석은, 비만백서를 희생시킨 후 심장 내에서 혈청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 내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High-Density Lipoprotein), LDL(Low-Density Lipoprotein)의 농도 측정 kit는, 아산제약(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으며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정량화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통계는, 3회 이상 실험의 평균치를 mean±SD로 표시하였으며, 반복실험 평균치간의 유의성은 SAS software를 이용하여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서 검증하였고, P<0.05에서 평균값 간의 유의적 차이를 구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일반 쥐의 경우 8주간 체중 증가가 4.87g으로 나타난 데 비해, 고지방식이의 경우 15.69g으로 약 3.2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지방사료에 그룹 1 내지 그룹 4의 항비만 조성물을 섞은 사료를 먹인 비만백서의 경우, 그 증가량이 8.76g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P<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기별 몸무게 변화량 측정결과>
0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2.7 23.4 22.4 23.5 22.9 22.8 22.6 22.8 22.5 23.1 22.87 0.365
Positive 23.3 23.1 22.8 23 23.5 23.7 22.8 23.1 22.8 22.9 23.1 0.312
Group 1 22.5 22.8 22.4 23.1 23 22.3 22.2 22.1 22.2 22.2 22.48 0.361
Group 2 22.5 22.8 23.1 22.4 22.3 22.8 22.9 22.5 22.7 22.8 22.68 0.248
Group 3 22.9 23 23.3 22.9 22.4 22.8 23.2 23.3 23.5 23.4 23.07 0.333
Group 4 22.9 23.3 23.3 22.8 23.4 23.1 22.7 23 23.2 23.3 23.1 0.240
1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3.3 23.5 23.1 23.1 22.8 22.9 23.3 23.2 23.5 23.4 23.21 0.237
Positive 24.5 25.2 25 24.7 24.8 25.3 25.7 24 24.1 24 24.73 0.585
Group 1 22.8 23.2 23.6 22.7 23.5 23.1 23.3 22.9 22.5 22.6 23.02 0.379
Group 2 23.4 23.1 23.3 23 22.9 23.4 23.5 22.8 23.1 23 23.15 0.236
Group 3 23.5 23.7 22.9 24.2 24.5 23.6 23.9 23.8 24.1 24.2 23.84 0.452
Group 4 23.8 23.9 23.5 23.4 23.6 23.9 23.8 23.5 23.8 23.9 23.71 0.191
2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4 23.8 24.2 23.5 23.6 23.9 23.5 24 23.6 23.4 23.75 0.267
Positive 26.5 25.9 26.3 26.1 26 25.8 25.7 26.1 25.9 26.3 26.06 0.250
Group 1 24.2 23.8 24 23.9 23.7 23.8 24.2 23.9 23.7 23.7 23.89 0.191
Group 2 24.7 24.9 23.9 24.5 24.6 24.6 24.7 24.9 25 24.5 24.63 0.309
Group 3 24.7 24.5 24.5 24.9 24.2 24.5 24.3 24.7 24.3 24.6 24.52 0.214
Group 4 24.5 24.9 24.7 24.6 25.1 25.2 24.6 24.6 24.7 24.3 24.72 0.274
3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4.5 24.4 24.5 24.2 24.3 24.5 24.6 24 24.1 24.2 24.33 0.200
Positive 27.1 27.1 27 27.2 27.3 27.2 27.3 26.8 27.2 27 27.12 0.154
Group 1 24.8 24.8 24.7 25.1 24.6 24.5 24.8 24.6 24.8 24.9 24.76 0.171
Group 2 25.5 25.9 25.4 25.1 25.5 25.6 25.7 25.4 25.2 25.9 25.55 0.241
Group 3 25 25.3 25.5 25.1 25.2 24.9 25.5 25.2 25.1 24.8 25.16 0.231
Group 4 25.2 25.9 25.2 25.8 26 25.1 25.3 25.6 25.3 25.8 25.55 0.317
4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5.3 25.1 25.2 25.2 25.6 25.1 25.5 25.2 25.2 25.3 25.27 0.163
Positive 28.5 28.2 28.3 28.5 28.8 28.1 28.1 28.5 28.1 28 28.31 0.255
Group 1 26.2 25.9 26.2 26.1 25.8 26.1 26.3 25.9 25.7 26.1 26.03 0.194
Group 2 26.5 26.9 26.8 27.2 26.8 26.5 26.6 26.5 27 26.9 26.77 0.240
Group 3 26.8 26.5 26.5 26.9 26.4 26.8 26.1 26.3 26.9 26.6 26.58 0.269
Group 4 26.9 27.2 27.1 26.5 27.3 26.5 26.8 26.9 26.6 26.5 26.83 0.302
5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6.2 26.3 25.9 26.1 26.2 25.8 25.7 26 26.1 26 26.03 0.188
Positive 30.1 30 29.5 29.5 29.4 29.4 29.6 29.3 29.2 29.5 29.55 0.287
Group 1 28.1 27.3 27.5 27.7 28 27.5 27.4 27.6 27.1 27.2 27.54 0.323
Group 2 28.5 28.1 28.2 28.9 28 28.1 28.7 28.5 28.1 28.5 28.36 0.302
Group 3 28.2 27.5 27.7 28.3 28.4 27.5 27.9 27.9 28.2 27.7 27.93 0.330
Group 4 28.3 28.1 28.5 28.6 27.6 28.2 28.1 28 28 27.8 28.12 0.301
6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6.5 26.1 26.7 26.3 26.4 26.4 26.1 26.3 26.2 26.3 26.33 0.182
Positive 32 31.9 32.3 32.5 31.8 32.4 32.5 32.3 32.4 32.4 32.25 0.254
Group 1 28.5 28.1 28.3 28 28.2 28.1 28.1 28 28.1 28 28.14 0.157
Group 2 30.1 29.5 29.7 29.6 29.3 30 29.5 29.8 29.8 29.8 29.71 0.242
Group 3 28.6 28.5 28.1 28.9 28.9 29.2 29.1 28.2 28.5 28.5 28.65 0.365
Group 4 29.1 29.5 29 29.2 29.1 28.7 29.1 28.6 28.7 28.5 28.95 0.313
7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6.9 26.8 27.7 27.4 27.3 27.1 27 27 26.9 27 27.11 0.276
Positive 36.2 35.8 35.4 35.2 36 35.7 35.9 35.4 35.5 35.3 35.64 0.330
Group 1 30.2 29.8 29.7 29.6 30.4 29.7 29.9 29.9 30.2 30.4 29.98 0.297
Group 2 31.5 31.7 30.9 31.5 31 31.4 31.7 31.7 31.3 31.6 31.43 0.286
Group 3 30.7 30.1 30.2 30.3 30.3 30.8 30.5 29.9 30.8 30.1 30.37 0.316
Group 4 30.5 31.2 31.1 30.7 30.8 30.9 31.2 31 31.1 30.8 30.93 0.231
8주차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27.8 27.9 27.7 28.2 28.1 27.5 27.6 27.5 27.5 27.6 27.74 0.254
Positive 38.5 39.1 38.7 38.9 38.9 39.2 39 38.8 38.3 38.5 38.79 0.288
Group 1 31.2 31.3 31.2 31.5 31 31.6 31.2 31.1 31.1 31.2 31.24 0.183
Group 2 33.3 33.1 33.2 33.2 32.8 32.9 33.5 33.4 33.2 33.1 33.17 0.211
Group 3 32.3 32.5 32.4 32.7 32.7 32 32.3 32.5 32.4 32.2 32.39 0.223
Group 4 32.9 33 32.4 33.3 32.8 32.7 32.9 32.5 32.5 32.4 32.74 0.295
<상기 결과에 따른 결과치의 도표 및 그래프>
Sample Initial weight
(g)
final weight
(g)
Weight gain
(g)
Vehicle 22.87±0.365ab 27.74±0.255f 4.87±0.287e
Positive 23.10±0.313a 38.79±0.288a 15.69±0.307a
Group 1 22.48±0.361c 31.24±0.184e 8.76±0.375d
Group 2 22.68±0.249bc 33.17±0.211b 10.49±0.288b
Group 3 23.07±0.333a 32.39±0.223d 9.32±0.447c
Group 4 23.10±0.240a 32.74±0.295c 9.64±0.467c
Figure 112012082087912-pat00001

위 도표 및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쥐(■)는 8주 후 체중이 27.74g으로 나타났고, 고지방사료를 먹은 비만백서(●)의 경우 38.79g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룹 1(▲, 분말), 그룹 2(▼, 액상), 그룹 3(◆, 분말+액상), 그룹 4(◀, 분발 2배+액상 2배)의 경우 고지방사료를 먹었음에도 그 제충이 약 31g 내지 33g으로서 상당한 비만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지방사료를 식이한 비만백서에서 일반 식이 쥐에 비해 간과 하복부지방의 무게가 각각 1.2배, 1.8배 증가하였으나, 그룹 1 내지 그룹 4의 시료를 첨가하여 식이한 결과, 간 무게에서는 증가량이 각각 1.03, 1.08, 1.06, 1.08배로 감소하였으며, 하복부지방의 무게 역시 각각 1.5, 1.63, 1.58, 1.63배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 역시 P<0.05 수준에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Liver>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1.6 1.5 1.5 1.4 1.5 1.4 1.6 1.5 1.4 1.5 1.49 0.074
Positive 1.7 1.8 1.8 1.8 1.9 1.8 1.9 1.9 1.8 1.9 1.83 0.067
Group 1 1.6 1.4 1.5 1.5 1.6 1.5 1.6 1.6 1.5 1.6 1.54 0.070
Group 2 1.6 1.7 1.7 1.6 1.5 1.5 1.6 1.7 1.6 1.7 1.62 0.079
Group 3 1.6 1.6 1.6 1.5 1.6 1.5 1.6 1.5 1.6 1.7 1.58 0.063
Group 4 1.5 1.5 1.6 1.8 1.7 1.5 1.6 1.6 1.7 1.6 1.61 0.099
<Adipose>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0.8 0.8 0.7 0.7 0.7 0.7 0.8 0.7 0.7 0.8 0.74 0.052
Positive 1.5 1.2 1.2 1.4 1.3 1.4 1.5 1.2 1.3 1.4 1.34 0.117
Group 1 1.1 1.3 1.1 0.9 1.1 1.2 1.1 1.1 1.2 1 1.11 0.110
Group 2 1.3 1.2 1.2 1.2 1.1 1.2 1.1 1.2 1.3 1.3 1.21 0.074
Group 3 1.2 1.1 1.2 1.1 1.2 1.2 1.1 1.2 1.2 1.2 1.17 0.048
Group 4 1.2 1.3 1.3 1.2 1.1 1.1 1.2 1.2 1.3 1.2 1.21 0.074
Sample Tissue Weight(g)
Liver Adipose
Vehicle 1.49±0.074d 0.74±0.052d
Positive 1.83±0.067a 1.34±0.117a
Group 1 1.54±0.070cd 1.11±0.110c
Group 2 1.62±0.079b 1.21±0.074b
Group 3 1.58±0.063bc 1.17±0.048bc
Group 4 1.61±0.099bc 1.21±0.074b
또한, 고지방식이로 인한 간 손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간손상 지표인 GOT와 GPT 농도를 혈청 내에서 측정하였다. 비만으로 인한 GOT 수치는 약 2배, GPT 수치는 약 4.5배 정도로 나타났고, 그룹 1 내지 그룹 4의 시료를 첨가하여 식이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P<0.05 수준으로 유의하게 간 손상이 감소됨을 보였다.
Figure 112012082087912-pat00002

고지방사료를 식이한 경우, 혈청내에 존재하는 당이 증가하였다. 혈청을 분리하여 당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고지방식이를 한 비만백서에서 혈당량이 2배 증가하였고, G1의 경우 고지방식이 비만백서의 혈당 증가량에 비해 최대 2배까지 혈당량 증가를 억제함을 보였다. 이 결과 또한 P<0.05 수준에서 유의함을 보였다.
<Blood Glucose Level>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175 197 181 177 181 176 172 173 185 179 179.6 7.291
Positive 356 328 345 380 359 381 372 351 339 370 358.1 17.75
Group 1 226 258 241 246 262 251 263 238 243 247 247.5 11.50
Group 2 299 271 268 279 284 291 265 281 283 272 279.3 10.63
Group 3 267 256 265 278 265 267 264 276 286 273 269.7 8.590
Group 4 265 255 261 290 276 272 273 270 263 261 268.6 9.947
<상기 결과에 따른 결과치 그래프>
Figure 112012082087912-pat00003

마지막으로, 고지방식이 비만백서에서 혈청 내에 존재하는 지질(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HDL)의 양을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경우,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LDL의 양은 증가하며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HDL의 양은 감소함을 보였다.
그러나, 그룹 1 내지 그룹 4의 시료를 첨가하여 식이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과 LDL의 양은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며, 반대로 HDL의 양은 증가함을 보였다. 다만, HDL의 경우 그룹 1을 제외한 그룹 2 내지 4의 경우에는 그 증가량이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Lipid Level>
<Total Cholesterol>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88.3 89.3 89.2 88.5 88.1 86.3 87.5 86.6 86.3 85.9 87.6 1.260
Positive 298 312 310 321.5 315.3 305.2 325.6 307.2 311.5 283.6 309.1 11.86
Group 1 232 245 251 215.6 223.6 238.6 235.9 231.9 248.7 223.6 234.7 11.70
Group 2 262 247 283 263.9 276.4 281.1 275.6 277.9 264 256.2 268.8 11.73
Group 3 260 258 276 275.1 264.3 268 260.8 275.3 271.6 277.8 268.8 7.354
Group 4 253 251 259 243.8 278.2 270.6 251.9 255.9 263.7 281.2 260.9 12.26
<Triglyceride>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82.3 80.4 80.9 77.3 85.5 94.1 85.6 81.9 72.2 75.5 81.57 6.092
Positive 221 235 182 195.4 200.6 207.1 210.3 219 231.5 198.2 210.1 16.59
Group 1 135 151 122 139.4 135.6 145.2 141.7 150.3 130.1 121.1 137.3 10.42
Group 2 171 173 156 184.2 180.5 174 173.3 182.6 190.5 162.8 174.9 10.06
Group 3 168 162 182 188.3 179.2 176.1 181.6 190.6 162.1 159.4 175.1 11.20
Group 4 168 189 185 176.9 183.3 155.8 156.2 160.9 181 162.7 172 12.70
<HDL>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32.5 39.6 41.1 29.8 30.6 32.9 35.5 32.7 40.5 31.3 34.65 4.265
Positive 28.5 32.1 30.6 25.1 22.6 23.7 21.9 25.6 30.7 31.8 27.26 3.931
Group 1 30.7 31.2 33.8 25.3 27.6 31.1 28.9 33.6 32.7 31.8 30.67 2.701
Group 2 31.5 27.1 23.6 25.9 26.8 31.8 30.7 28.9 28.5 29.6 28.44 2.618
Group 3 30.4 30.5 28.5 29.1 28.6 31.2 30.7 28.8 28.6 22.5 28.89 2.465
Group 4 28.4 27.6 26.5 31.2 32.7 30.5 30.3 27.6 26.9 28 28.97 2.066
<LDL>
1 2 3 4 5 6 7 8 9 10 평균 편차
Vehicle 41.2 40.9 43.1 35.1 35.2 41.1 35 30.1 32.9 32.1 36.67 4.535
Positive 212 234 198 226.1 237.6 207.1 216.8 229.4 201.6 223.4 218.7 13.56
Group 1 102 112 107 98.6 123.4 105.9 113.6 107.6 115.8 110.3 109.7 6.994
Group 2 154 147 150 151.1 162.3 142.3 140.8 134.5 137.9 128.9 145.1 10.07
Group 3 150 153 163 132.7 135.9 142.2 151.9 147.9 158.8 162.6 150 10.56
Group 4 157 163 163 169.6 153.2 147.2 135.2 143 129.8 134.7 149.8 13.94
<상기 결과에 따른 결과치 도표>
Sample Total Cholesterol
(mg/dl)
Tryglyceride
(mg/dl)
HDL
(mg/dl)
LDL
(mg/dl)
Vehicle 87.6±1.260d 81.57±6.092d 34.65±4.265d 36.67±4.535d
Positive 309.07±11.865a 210.11±16.593a 27.26±3.931c 218.77±13.569a
Group 1 234.75±11.703c 137.11±10.428c 30.67±2.701b 109.79±6.994c
Group 2 268.84±11.732b 174.98±10.061b 28.44±2.618bc 145.08±10.070b
Group 3 268.87±7.354b 175.14±11.201b 28.89±2.465bc 150±10.567b
Group 4 260.96±12.264b 172±12.707b 28.97±2.066bc 149.8±13.948b
위의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40% 지질이 함유된 고지방사료를 8주간 식이하여 비만백서를 유도하였을 경우, 그룹 1 내지 그룹 4의 시료 모두 비만을 억제함을 보였으며, 특히 분발형태의 그룹 1의 경우가 다른 그룹 2 내지 그룹 4의 시료보다 가장 뛰어난 억제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 추출방식으로 사용한 그룹 2의 경우에는 비만 억제활성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시료에 비해 가장 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가지의 시료를 섞어서 사용한 그룹 3 및 그룹 4의 경우에는 그룹 1보다는 효과가 떨어지며, 그룹 2보다는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그룹 1의 작용과 그룹 2의 작용이 서로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두 시료의 평균치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농도를 달리 한 그룹 3과 그룹 4(그룹 3의 2배)의 경우, 그 효과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그룹 3의 농도에서 항비만 효과는 포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분말형 항비만 조성물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나복자 10~30 중량%와, 의이인 10~30 중량%, 복령 10~30 중량%, 다엽 10~20 중량% 및 차전자피 10~3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은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조성되고,
    상기 조성물은 미세한 분말형태로 이루어지며, 분말형태의 식재료 1000g에 10 ~ 40 중량%를 혼합하고,
    나복자 10~30 중량%와, 의이인 10~30 중량%, 복령 10~30 중량%, 다엽 10~20 중량% 및 차전자피 10~3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이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분말형태로 제조되는 그룹 1; 및
    진피 10~20 중량%와, 산사육 10~30 중량%, 옥미수 20~40 중량%, 양총피 20~40 중량% 및 맥아 10~20 중량%를 포함하되, 각 성분들의 비율이 총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하여 액상형태로 제조되는 그룹 2를 조성하여;
    식품조리시 상기 그룹 1은 분말형태의 식재료에 첨가하고, 상기 그룹 2는 육수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12194A 2012-10-10 2012-10-10 항비만 조성물 KR10139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194A KR101391647B1 (ko) 2012-10-10 2012-10-10 항비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194A KR101391647B1 (ko) 2012-10-10 2012-10-10 항비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141A KR20140046141A (ko) 2014-04-18
KR101391647B1 true KR101391647B1 (ko) 2014-05-07

Family

ID=5065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194A KR101391647B1 (ko) 2012-10-10 2012-10-10 항비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4551A (zh) * 2015-04-23 2015-07-22 于厚美 一种预防胆道手术感染的中药制剂
CN105148116A (zh) * 2015-09-29 2015-12-16 齐国良 一种祛除人体内湿气的中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037B1 (ko) * 2002-06-26 2003-11-28 (주)현덕비엔티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KR100498512B1 (ko) * 2002-11-19 2005-07-01 한국식품연구원 체중감소 또는 체중유지용 양파껍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037B1 (ko) * 2002-06-26 2003-11-28 (주)현덕비엔티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KR100498512B1 (ko) * 2002-11-19 2005-07-01 한국식품연구원 체중감소 또는 체중유지용 양파껍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141A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9089B (zh) 一种降糖、降压、通便减肥、抗疲劳、改善性功能保健品及其生产工艺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198262B (zh) 一种治疗小儿轮状病毒性肠炎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447902B (zh) 一种具有减肥功效的组合物
CN102038260B (zh) 中药解酒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404019A (zh) 复方菊苣根调节嘌呤代谢紊乱的固体制品及其制备方法
CN105998762A (zh) 一种含绞股蓝的防三高及痛风的保健药物组合物
CN106858215A (zh) 一种百香果复合饮料
CN103168815A (zh) 一种银杏苦荞饼干及其制作方法
KR20070000573A (ko) 혈당저하 및 변비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CN105943958A (zh) 一种治疗痛风的桦褐孔菌复合固体颗粒及其制备方法
CN107613998A (zh) 作为有效成分含有阿魏菇水提取物的代谢性疾病的预防和治疗用药物组合物或健康功能性食品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CN102511876B (zh) 山楂红枣浓浆及其生产工艺
CN108323600A (zh) 一种保健酵素茶固体冲剂及其生产方法
CN102178008A (zh) 一种降压、降脂、降糖保健养生茶
CN105623995B (zh) 山里红开胃酒及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348350A (zh) 一种调节血糖的面条及其制备方法
KR101391647B1 (ko) 항비만 조성물
CN104352542A (zh) 一种海参雪莲的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176773A (zh) 一种调节血糖的南瓜酒及其制作方法
CN102362936B (zh) 鸡爪芋提取物的用途及其药品和保健品固体制剂、饮料制剂
CN114947129A (zh) 一种降尿酸的大叶菊苣白芷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4286243A (zh) 一种富硒养心茶及其生产方法
CN104305193A (zh) 具有促进肠推进作用的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