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792B1 -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792B1
KR101439792B1 KR1020130140934A KR20130140934A KR101439792B1 KR 101439792 B1 KR101439792 B1 KR 101439792B1 KR 1020130140934 A KR1020130140934 A KR 1020130140934A KR 20130140934 A KR20130140934 A KR 20130140934A KR 101439792 B1 KR101439792 B1 KR 10143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ugar
composition
syrup
fruct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준
Original Assignee
김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준 filed Critical 김기준
Priority to KR102013014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792B1/ko
Priority to CN201410664771.0A priority patent/CN104645288A/zh
Priority to US14/547,353 priority patent/US980849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8Hordeum (bar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4Amomum, e.g. round cardam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ORIENTAL MEDICINE COMPOSITION FOR CHILDREN'S UNDERWEIGHT AND RESPIRATORY ORGAN, AND ORIENTAL MEDICINE EXTRACTS DERIVED THEREFROM,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되는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아기는 이유식이 끝나고 식생활의 변화가 큰 시기이며, 개인별로 식이섭취에 따른 성장의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는 시기이다. 또한, 소아기는 근육과 골격뿐 아니라 두뇌 등 신경계통의 여러 기관이 성장, 발달하고 활동량의 증가로 인해 에너지와 영양소 필요량이 크게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나, 비만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마른 체형과 저체중은 사회경제적인 수준이 높아질수록 오히려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영양결핍은 아직까지 소아기의 중요한 영양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저체중은 BMI 백분위 5 퍼센트 미만으로 정의하지만(WHO Expert Committee 1996, Kuczmarski et al. 2000), 임상적으로 이러한 저체중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마른 체형을 가진 아이들의 부모들은 자녀의 체중 변화에 대해 관심이 많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기아로 인한 영양실조나 신경성 식욕부진(anorexia nervosa)으로 인한 저체중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임상검사상 특별히 이상소견이 없는 마른 체형의 아이들도 식이섭취 부족으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의학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
마른 체형은 식이섭취부족의 가능성을 의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식이섭취 부족상태가 단기간에 성장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지속될 경우 성장잠재력의 발현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식욕부진으로 인해 식사량이 적거나 식품을 다양하게 먹지 않거나 새로운 식품을 거부하는 아이들은 식이섭취 부족으로 이어지기 쉽다.
한의학에서는 식욕부진을 호소하거나 체중이 부족한 아이들을 비위허약으로 진단하고 소화기를 치료하는 한약을 사용한다. 비위는 소화를 주관하는 장기로, 비위가 약하면 체내에 들어온 음식물을 소화시키는데 문제가 생긴다. 속이 더부룩해서 아이의 입맛이 떨어지고 체중은 부족하게 된다. 이는 선천적으로 비위가 약한 경우일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비위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화기능을 개선하여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소아들의 식사량을 증가시키는 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화기능뿐 아니라 호흡기능을 개선하여 마른 체형을 갖는 소아들의 성장을 촉진하고 저체중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재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을 포함하는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과당은 결정과당 또는 액상과당일 수 있다.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사는 산사 나무의 열매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상기 산사 10 내지 15 중량%, 상기 백출 8 내지 12 중량%, 상기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상기 박하 8 내지 12 중량%, 상기 형개 5 내지 10 중량%, 상기 진피 5 내지 10 중량%, 상기 맥아 5 내지 10 중량%, 상기 사인 3 내지 7 중량%, 상기 황기 3 내지 7 중량%, 상기 생강 1 내지 5 중량%, 상기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상기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결정과당 및 액상과당을 포함하는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천연 감미료;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을 부직포에 담지하여 물을 수용하는 전탕기에 넣어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약재 추출물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든 단계 이후에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을 포함하므로, 소화기능을 개선하여 식욕부진을 호소하는 소아들의 식사량을 증가시키는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녹용뿐 아니라, 유백피, 수세미, 박하, 형개, 및 황기를 포함하므로, 소화기능뿐 아니라 호흡기능을 개선하여 마른 체형을 갖는 소아들의 성장을 촉진하고 저체중 개선에 도움을 주는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약 조성물을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추출하고, 이를 여과함으로써, 소화기능뿐 아니라 호흡기능을 개선하여 체중 증가, 면역력 강화, 체력 강화, 및 성장 촉진의 효과로 저체중 소아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약재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연령별 체중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연령별 체중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의 복용에 의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백분위의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되는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능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은 산사(山渣), 백출(白朮), 진피(陳皮), 맥아(麥芽), 사인(砂仁), 생강(生薑), 대조(大棗), 및 녹용(鹿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약 조성물은 유백피(楡白皮), 수세미(絲瓜), 박하(薄荷), 형개(荊芥), 및 황기(黃?)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사(山渣)는 장미과에 속한 산사나무의 성숙한 과실로서, 비위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를 촉진하고, 복통, 구토, 설사, 위산과다, 만성장염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혈의 흐름을 돕고 어혈을 없애주고, 강심작용, 혈액순환개선 작용, 및 혈압강하작용과 같은 약리작용을 갖는다.
상기 백출(白朮)은 화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흰삽주의 뿌리줄기이다. 상기 백출은 건위 및 소화 작용이 있어서 만성소화불량, 장염, 설사 치료작용이 뛰어나고 식욕증진에도 탁월하다. 특히, 병후에 식욕이 없고 전신이 쇠약하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 또한, 이뇨작용도 있어 신장염으로 부종이 있는 환자 또는 임신부의 부종에도 많이 이용된다.
상기 진피(陳皮)는 운향과의 귤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피로서,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약재이다. 상기 진피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소화불량,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하고, 해수, 가래를 없애주며 이뇨작용을 한다
상기 맥아(麥芽)는 대맥이라 부르는 겉보리의 싹을 띄운 것을 지칭한다. 상기 맥아는 따뜻한 성질을 가지며, 비위허약으로 인한 소화 장애에 효과가 있고, 특히, 밀가루 음식에 대한 소화불량에 사용된다. 또한, 유즙분비 부족에 효과가 있고, 소화촉진 작용 및 혈당강하작용과 같은 약리작용을 갖는다.
상기 사인(砂仁)은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양춘사의 과실로 만든 약재로서, 기가 잘 안통하거나 식욕이 없으면서 배가 불러오는 증상과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유효하다. 또한, 위장기능장애로 인한 소화불량, 구토에 사용되고, 하복부가 한랭하고 이질설사를 연달아 일으키는 증상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생강(生薑)은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말린 것을 약재로 쓰는데,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에 효과가 있고,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초긴, 억균작용과 같은 약리효과를 갖는다.
상기 대조(大棗)는 익은 대추를 말린 것으로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하며, 임산부의 자양강장제, 위가 차고 허약해서 오는 통증, 식욕감퇴, 권태, 무력감, 위의 허한으로 인한 구토, 식욕이 없는 오심 및 구토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상기 녹용(鹿茸)은 그늘에서 말린 사슴의 뿔로서, 성질이 따뜻하고 신장, 간장, 및 심장에 작용하여 생정보수(生精補髓), 익혈(益血), 조양(助陽) 및 강근건골(强筋健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백피(楡白皮)는 느릅나무과의 왕느릅나무의 코르크층을 벗긴 수피로서, 상처 치료 효과가 뛰어나고, 습사를 없애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을 갖는다. 상기 수세미(絲瓜)는 박과의 식물로 줄기에서 나온 물이 기침, 가래, 천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당뇨병을 치료하며, 비염 개선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박하(薄荷)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로 야식향, 번하채, 인단초, 구박하라고도 한다. 잎 포면에 기름샘이 있어 여기서 기름을 분비하는데 정유의 대부분이 이 기름샘에 저장되며,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로, 도포제, 진통제, 흥분제, 건위제, 구충제 등에 이용되거나 치약, 잼, 사탕, 화장품, 담배와 같은 제품에 청량제나 향료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형개(荊芥)는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초본식물로 해열작용이 있어 감기 초기의 발한, 해열 목적으로 사용되고, 인후염, 피부질환, 중풍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지혈작용이 있다. 상기 황기(黃?)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고, 쉽게 피로하고 힘이 약하며,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에게 현저한 효능이 있으며, 체력을 항진시키고 전신근육의 긴장도를 높여준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한약 조성물은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은 모두 '대한약전'에서 규정하는 한약재를 이용하고,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엽류 한약재는 얇게 절편으로 가공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상기 산사는 한약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2 중량% 미만인 경우는 상술한 산사의 효능이 미미하고, 26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오히려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출이 한약 조성물에 17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술한 백출의 효능이 미미하며, 2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사작용이 강해져 소화불량, 변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피는 1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몸의 신진대사를 통한 수분대사 조절이 어려워지고, 심장에서 배꼽 사이의 부분에 위치하여 소화작용을 관장하는 중초의 기능을 조화롭게 하는 효과가 떨어진다. 반대로, 상기 진피가 16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및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보다 기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가래나 천식을 치료하는 효능으로 치우칠 수 있다.
또한, 상기 맥아는 12 중량% 미만인 경우는 상술한 맥아의 효능이 미미하고, 16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오히려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인은 7 중량% 미만으로 한약 조성물에 포함되면 위장기능장애를 치료하는 효능이 없고, 1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화불량을 해소시키는 효능이 크지 않다.
상기 생강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위액분비촉진, 억균작용과 같은 약리작용의 효과가 없고, 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매운 맛이 강해져 한약 조성물의 복용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조는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따뜻한 성질로 인한 식욕감퇴, 무력감, 구토, 및 오심을 치유하는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9 중량% 를 초과하더라도 9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비하여 크게 약리작용을 발휘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녹용은 공급가격이 비싼 약재로서, 한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와 5 중량%를 초과하도록 포함되는 경우의 생정보수(生精補髓), 익혈(益血), 조양(助陽) 및 강근건골(强筋健骨)의 효능이 크게 차이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의 총 질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5 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조성비를 갖는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상기 한약 조성물에 포함된 약재들의 일반적인 약리효과인 소화불량, 변비, 위장기능장애와 같은 소화기를 보강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식욕부진을 개선함으로써 저체중 소아의 체중 증가 효과로 인한 면역강화 효과를 갖는다. 저체중 소아의 체중이 증가하여 개선되는 효과는 면역력 강화, 체력 강화 및 성장촉진 효과가 있으므로, 저체중 소아의 건강 개선에 중요한 팩터이다.
이와 같이,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것은 저체중 소아의 체중 증가, 면역력 강화, 체력 강화, 및 성장촉진 효과로 이어져 저체중 소아의 건강 개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소화불량, 변비, 위장기능장애와 같은 소화기 질환을 개선하거나 소화기를 보강하는 효과를 갖는 약재들을 소아의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난 상술한 바와 같은 중량% 범위 이내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한약 조성물은 유백피, 산사, 백출, 수세미, 박하, 형개, 진피, 맥아, 사인, 황기, 생강, 대조, 및 녹용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약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산사 10 내지 15 중량%, 백출 8 내지 12 중량%,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박하 8 내지 12 중량%, 형개 5 내지 10 중량%, 진피 5 내지 10 중량%, 맥아 5 내지 10 중량%, 사인 3 내지 7 중량%, 황기 3 내지 7 중량%, 생강 1 내지 5 중량%,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사, 백출, 수세미, 박하, 형개, 진피, 맥아, 사인, 황기, 생강, 대조, 및 녹용은 모두 '대한약전'에서 규정하는 한약재를 이용하고, 한약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건조된 약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엽류 한약재는 얇게 절편으로 가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에서 상기 유백피는 13 중량% 미만인 경우 습사를 없애 설사와 같은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17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수면작용이 강화되고 기관지 질환 개선의 효과는 오히려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박하를 8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약리효과가 발현되지 아니하고, 12 중량% 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복용자에게 거부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세미는 8 내지 12 중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기침, 가래, 천식과 같은 기관지 질환에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형개는 5 내지 10 중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발한, 지혈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없으며, 상기 황기는 3 내지 7 중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체력항진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의 조성비를 갖는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은 상기 한약 조성물에 포함된 약재들의 일반적인 약리효과인 소화불량, 변비, 위장기능장애와 같은 소화기를 보강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식욕부진을 개선함으로써 저체중 소아의 체중 증가 효과로 인한 면역강화 효과를 갖는다. 저체중 소아의 체중이 증가하여 개선되는 효과는 면역력 강화, 체력 강화 및 성장촉진 효과가 있으므로, 저체중 소아의 건강 개선에 중요한 팩터이다.
또한, 상기 한약 조성물은 소화기를 보강하는 효과뿐 아니라, 비염, 천식, 알러지 반응, 기관지염, 기침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개선하여 저체중 소아의 식욕부진을 개선할 수 있다. 다양한 호흡기 질환들은 소아들에게 많이 발병하며 발병시 기침, 가래, 고열, 콧물 등의 증상으로 인하여 식욕이 떨어져 에너지 섭취량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한약 조성물은 통상의 건조된 약재들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건조된 약재들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한약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 건조추출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약 조성물은 상기의 조성비로 제조되는 것이라면 그 제형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환제, 정제, 캡슐제, 액제와 같은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면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한약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한약 조성물을 제조한다(S10). 상기 한약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건조된 약재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약재들의 조합이 분쇄된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열수 추출물을 동결 건조한 분말상의 건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준비된 한약 조성물을 10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전탕기에서 물로 1시간 20분 내지 2시간 20분 동안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S20). 100 ℃ 미만의 온도에서 탕전하는 경우 상기 한약 조성물로부터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아니할 수 있고, 150 ℃ 초과의 온도에서 탕전하게 되면 상기 한약 조성물로부터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100 내지 150 ℃ 범위의 온도에서 탕전을 실시한다. 또한, 탕전 시간이 1시간 20분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한약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고, 탕전 시간이 2시간 2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효성분들이 더 이상 추출되지 아니하고, 높은 온도에 의하여 파괴되는 유효성분의 양이 많아지므로 1시간 20분 내지 2시간 20분의 범위 내에서 탕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탕전시 사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한약 조성물 총량의 약 2 내지 5배일 수 있다.
상기 약재 추출물은 상기 한약 조성물에 포함된 한약재들의 조성비와 동일한 조성비로 추출된 약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재 추출물은 약재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의 추출물을 22~26 : 18~21 : 14~16 : 14~16 : 9~11 : 6~8 : 6~8 : 1~4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한약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산사 10 내지 15 중량%, 백출 8 내지 12 중량%,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박하 8 내지 12 중량%, 형개 5 내지 10 중량%, 진피 5 내지 10 중량%, 맥아 5 내지 10 중량%, 사인 3 내지 7 중량%, 황기 3 내지 7 중량%, 생강 1 내지 5 중량%,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한약 조성물을 제조한다(S10). 상기 한약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건조된 약재들의 조합일 수 있고, 상기 약재들의 조합이 분쇄된 분말 형태일 수 있으며, 열수 추출물을 동결 건조한 분말상의 건조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준비된 한약 조성물을 10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전탕기에서 물로 1시간 20분 내지 2시간 20분 동안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S20). 100 ℃ 미만의 온도에서 탕전하는 경우 상기 한약 조성물로부터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아니할 수 있고, 150 ℃ 초과의 온도에서 탕전하게 되면 상기 한약 조성물로부터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100 내지 150 ℃ 범위의 온도에서 탕전을 실시한다. 또한, 탕전 시간이 1시간 20분 미만인 경우에도 상기 한약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아니하는 단점이 있고, 탕전 시간이 2시간 2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효성분들이 더 이상 추출되지 아니하고, 높은 온도에 의하여 파괴되는 유효성분의 양이 많아지므로 1시간 20분 내지 2시간 20분의 범위 내에서 탕전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탕전시 사용하는 물의 양은 상기 한약 조성물 총량의 약 2 내지 5배일 수 있다.
상기 약재 추출물은 상기 한약 조성물에 포함된 한약재들의 조성비와 동일한 조성비로 추출된 약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재 추출물은 약재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유백피, 산사, 백출, 수세미, 박하, 형개, 진피, 맥아, 사인, 황기, 생강, 대조, 및 녹용으로부터의 추출물을 14~16 : 12~15 : 8~12 : 8~12: 8~12: 6~8.5 : 6~8.5 : 6~8.5 : 4~6 : 4~6: 3~5 : 3~5 : 0.5~2 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약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은 여과 및/또는 마스킹(Masking)될 수 있으며, 상기 약재 추출물의 탕전이 완료되면 부직포에 담긴 상기 한약 조성물은 꺼내서 제거하고, 상기 약재 추출물은 150 메쉬(mesh)의 필터로 여과시킬 수 있다(S30).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 및 마스킹 이후에 선택적으로 감압 농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여과 및 마스킹 단계에서 여과를 거친 약물을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약 10 내지 30% 농축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 및 마스킹된 약재 추출물 또는 상기 감압 농축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 과당은 결정과당 또는 액상과당일 수 있고,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당,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약재 추출물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약재 추출물의 여과, 마스킹 단계 또는 감압 농축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약재 추출물의 탕전 단계 이전 또는 이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약재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와 같은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일,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약재 추출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아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약재 추출물 총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2011년 7월 1일부터 2013년 4월 30일까지 서울지역 81개 어린이집의 소아들과 서울소재 1개 한의원 내원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817명을 모집하여 만성 비염이 없고 감기에 걸리는 횟수가 년 4회 이하인 만 2세 내지 만 5세의 연령의 소아로 BMI가 15% 이상 내지 25% 미만, 6개월 이상 식욕부진, 및 3일 식이조사에서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필요추정량(EER)의 -1S.D.미만인 조건을 모두 만족하거나 BMI가 15% 미만 소아 108명과 소아의 육아를 담당하고 있는 보호자 108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하기 표 1의 조성과 분량에 따른 한약 조성물(이하, SEC-22라 지칭함: Sansa Extracts Composition-22)을 준비하여, 상기 표 2의 체중별 기준 체중에 해당하는 용량에 따라 120 ℃ 온도의 전탕기에서 물로 2시간 동안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실험군에게 2개월간 하루 120cc를 2 내지 3 회 나누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약재명 복용량(g)/일/15Kg
산사 4.67
백출 3.73
진피 2.80
맥아 2.80
사인 1.87
생강 1.40
대조 1.40
녹용 0.47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12.00
측정 몸무게(Kg) 참고 몸무게(Kg)
7.6 ~ 10.5 9
10.6 ~ 13.5 12
13.6 ~ 16.5 15
16.6 ~ 19.5 18
19.6 ~ 22.5 21
22.6 ~ 25.5 24
상기 SEC-22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은 SEC-22에 포함된 약재들의 조성비와 동일한 조성비로 추출된 약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재 추출물은 결정과당을 제외한 약재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을 22~26 : 18~21 : 14~16 : 14~16 : 9~11 : 6~8 : 6~8 : 1~4의 비율로 포함한다.
한편, 대조군으로는 상기 SEC-22와 열량만 동일하도록 구성된 하기 표 3에 따른 조성을 갖는 위약(placebo)을 대조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에게 2개월간 하루 2 내지 3회 120cc를 나누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구성요소 투약량(g)/일/15Kg
당밀(Molasses) 2.40
구연산(Citric Acid) 0.16
시트르산나트륨(Trisodium Citrate) 0.04
허브 향료(Herb Flavor) 0.36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12.0 + 1.8*
*상기 표 2의 체중별 기준 체중에 따라 조절가능
상기 SEC-22 및 위약을 복용한 실험군 및 대조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신장, 체중), 설문조사(소화기증상 설문지(Alarcon et al. 2003), 까다로운 식행동 설문지), 식이섭취조사를 초기 내원시, 치료 1개월, 치료 2개월, 치료 이후 관찰 1개월, 치료 이후 관찰 2개월에 각각 시행하였다.
신장과 체중은 속옷만 입은 상태로 소수 첫째 자리까지 측정하였고, BMI는 신장과 체중으로부터 계산하였으며, 신장, 체중, BMI의 백분위는 2007년 한국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의 함수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소화기증상 중 메스꺼움, 구역구토, 더부룩함, 복통, 트림, 방귀에 대한 주당 평균 발생 빈도를 기록하여 치료기간 중 위장관에 불편한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였다.
까다로운 식행동 설문지 조사로부터 식욕, 밥 먹는 시간, 까다로운 식습관을 조사하였으며, 식욕은 7-point VAS(Visual Analog Scale)로, 밥 먹는 시간은 분 단위로 기재하였다. 까다로운 식습관 설문지는 총 9개 평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문항당 7-point VAS로 평가한 후 문항에 따라 까다로운 식습관이 적은 쪽을 1, 많은 쪽을 7로 조정하여 9개 문항의 총합을 계산하였으며, 식사량(amount) 점수는 식욕(appetite) 점수에 (undereating frequency)와 (frequency of trying to feed) 점수를 역으로 합산하여 최저 3점부터 최대 21점으로 계산하였고, 식품거부감(food neophobia) 점수는 새음식시도(food neophobia (trial)), 새음식섭취(food neophobia(eager)) 2문항을 합산하여 최소 2점부터 최대 14점으로 처리하였다.
식이섭취조사는 초기 내원시 육아를 담당하는 보호자를 교육하여 내원일 전후 7일 중 감기 등의 질병이 없는 상태에서 연속되지 않도록 3일(주중 2일, 주말 1일)을 기록하도록 한 후 에너지와 3대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식품군을 DES(Diet Evaluation System, DES-Korea co., Seoul, Korea)로 분석하였다. 총에너지 섭취비율은 Atwater factor를 사용하여 탄수화물 4 kcal/g, 단백질 4kcal/g, 지방 9 kcal/g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서술한 바와 같이, 까다로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 밥 먹는 시간 및 까다로운 식습관이 위약을 복용한 대조군에 비하여 상기 SEC-22을 복용한 실험군의 소아들에게서 유의성 있게 개선된 것이 관찰되었다. 까다로운 식습관 중 음식을 먹으려고 시도하는 횟수(Frequency of trying to feed)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소아들에게 유의성 있게 증가함이 발견되었다. 또한, 음식섭취 문제(Eating problem) 및 식욕(Appetite) 부문에서도 실험군의 소아들이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으며, 까다로운 식습관 총점에서 실험군의 소아들의 점수가 초기 내원시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항목 치료 기간 관찰 기간
1달 2달 1달 2달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먹는 시간(min)(%) -1.9±12 -5.1±12 -6.2±11 -3.9±10.8 -6.7±13 -4.6±12 -6.1±13.3 -1.9±12
식이문제 -0.5±1.3 -0.4±1.4 -0.9±2.0 -0.4±1.2 -1.1±1.9 -0.7±1.5 -1.0±1.7 -0.6±1.5
먹으려고 하는 횟수 -0.4±1.8 -0.2±1.1 -0.9±1.5 -0.5±1.4 -1.2±1.6 -0.4±1.4 -1.2±1.6 -0.4±1.7
식욕 0.3±1.2 0.6±1.1 0.4±1.3 0.4±1.2 0.7±1.3 0.7±1.2 0.6±1.1 0.4±1.2
식이섭취에 미치는 영향 항목에서는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 곡물군 섭취량, 및 야채군 섭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의 소아들에게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실험군의 소아들의 연령별체중 백분위가 초기 내원시보다 치료 1,2개월 이후, 그리고 관찰 2개월에 유의성 있게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항목 치료 기간 관찰 기간
1달 2달 1달 2달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에너지(kcal/일) 131 ±390 23 ±204 116 ±307 91 ±300 87 ±326 59 ±235 137 ±380 6 ±296
탄수화물
(% 에너지)
0.6 ±6.3 1.2 ±6.9 0.4 ±5.8 1.2 ±7.0 0.9 ±5.8 2.3 ±6.2 1.9 ±6.4 0.9 ±7.3
내원 초기 대비 곡물군 섭취 증가량(%) 0.2 ±0.6 0.2 ±3.3 0.3 ±0.6 0.3 ±0.5 0.2 ±0.6 0.2 ±0.5 0.1 ±1.4 0.0 ±1.4
내원 초기 대비 야채군 섭취 증가량(%) 0.3 ±1.4 -0.1 ±2 0.5 ±1.2 0.1 ±1.9 0.4 ±1.3 0.2 ±0.6 1.0 ±1.9 0.3 ±2.4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에너지 섭취량은 실험군에서만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탄수화물 섭취량의 유의성 있는 증가가 에너지 섭취량의 증가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군에서도 곡물군의 섭취량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는데 쌀을 주식으로 하는 특성상 밥 먹는 양의 증가가 에너지 섭취량을 증가시킨 주 요인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상기 SEC-22을 복용한 실험군과 상기 위약을 복용한 대조군에 속하는 소아들의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변동된 연령별체중 백분위와 BMI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실험군과 대조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의 연령별신장 백분위는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이후에도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지만, 연령별체중 백분위는 실험군의 소아들만 치료 1,2개월에서 초기 내원시보다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고, 관찰 2개월에도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BMI 백분위 역시 실험군의 소아들에서만 치료 2개월 및 관찰 2개월에 초기 내원시보다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하기 표 6의 결과값은 초기 내원시 연령별신장 백분위, 연령별체중 백분위, 및 BMI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항목 치료 기간 관찰 기간
1달 2달 1달 2달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연령별신장 백분위(%) -1.4±4.5 -1.3±8.8 -0.8±5.7 -0.4±5.5 -0.1±6.0 -0.6±6.1 -0.9±5.5 -0.3±6.9
연령별체중 백분위(%) 1.3±3.5 1.1±5.4 2.2±3.8 1.1±4.7 2.1±7.5 0.4±5.5 1.8±4.1 0.2±5.6
BMI(%) 1.4±5.2 0.2±4.3 2.2±5.6 1.2±4.6 1.1±5.3 1.1±6.5 2.1±5.1 1.5±8.0
상술한 바와 같이, 마른 체형의 소아들에게 상기 SEC-22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을 복용시킨 결과 식욕 증가와 함께 식사량을 중심으로 까다로운 식습관이 개선되고, 탄수화물 섭취량을 중심으로 에너지 섭취량이 증가하였으며, 연령별 체중 및 BMI 백분위도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상기 SEC-22은 저체중이 아닌 마른 체형의 소아들도 식욕 및 에너지와 영양소 섭취의 증가, BMI 백분위 증가 및 체중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실험예 2>
2011년 7월 1일부터 2013년 4월 30일까지 서울지역 81개 어린이집의 소아들과 서울소재 1개 한의원 내원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817명을 모집하여, 만성 비염이 있거나 감기에 걸리는 횟수가 년 중 4회를 초과하는 만 2세 내지 만 5세 연령의 소아로 BMI가 15% 내지 25%, 6개월 이상 식욕부진, 및 3일 식이조사에서 에너지 섭취량이 에너지필요추정량(EER)의 -1 S.D.미만을 모두 만족하거나 BMI가 15% 미만인 소아 86명과 상기 소아의 육아를 담당하고 있는 보호자 86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다. 상기 만성 비염의 판단은 재채기, 콧물, 코막힘, 소양감, 후비루와 같은 증상이 1년 중 연속 혹은 비연속적으로 1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단, 비강내 구조적인 이상으로 인한 비염 및 약물유발성 비염 제외).
이후, 하기 표 7의 조성과 분량에 따른 한약 조성물(이하, SEC-33: Sansa Extracts Composition-33)을 준비하여, 상기 표 2의 체중별 기준 체중에 해당하는 용량에 따라 120 ℃ 온도의 전탕기에서 물로 2시간 동안 탕전하였으며, 실험군에게 2개월간 하루 120cc를 2 내지 3 회 나누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약재명 복용량(g)/일/15Kg
유백피 5.60
산사 4.67
백출 3.73
수세미 3.73
박하 3.73
황개 2.80
진피 2.80
맥아 2.80
사인 1.87
황기 1.87
생강 1.40
대조 1.40
녹용 0.47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12.00
한편, 대조군으로는 상기 SEC-33과 열량만 동일하도록 구성된 하기 표 8에 따른 조성을 갖는 위약(placebo)을 대조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에게 2개월간 하루 2 내지 3회 120cc를 나누어 복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SEC-33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은 SEC-33에 포함된 약재들의 조성비와 동일한 조성비로 추출된 약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재 추출물은 결정과당을 제외한 약재 추출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유백피, 산사, 백출, 수세미, 박하, 형개, 진피, 맥아, 사인, 황기, 생강, 대조, 및 녹용으로부터의 추출물을 14~16 : 12~15 : 8~12 : 8~12: 8~12: 6~8.5 : 6~8.5 : 6~8.5 : 4~6 : 4~6: 3~5 : 3~5 : 0.5~2 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투약량(g)/일/15Kg
당밀(Molasses) 2.40
구연산(Citric Acid) 0.16
시트르산나트륨(Trisodium Citrate) 0.04
허브 향료(Herb Flavor) 0.36
결정 과당(Crystalline Fructose) 12.0+ 13.0*
*상기 표 2 의 체중별 기준 체중에 따라 조절 가능
상기 SEC-33 및 위약을 복용한 실험군 및 대조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신장, 체중), 설문조사(소화기증상 설문지(Alarcon et al. 2003), 까다로운 식행동 설문지), 식이섭취조사를 초기 내원시, 치료 1개월, 치료 2개월, 치료 이후 관찰 1개월, 치료 이후 관찰 2개월에 각각 시행하였다. 상기 신체계측, 설문조사, 식이섭취조사의 방법은 실험예 1에서 시행한 방법과 동일하다.
그 결과, 까다로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 밥 먹는 시간과 까다로운 식습관 중 음식섭취 문제(Eating problem), 식욕(Appetite), 음식을 먹으려고 시도하는 횟수(Frequency of trying to feed) 부문에서 실험군의 소아들이 대조군의 소아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개선되고, 까다로운 식습관 총점에서도 실험군의 소아들의 점수가 초기 내원시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항목 치료 기간 관찰 기간
1달 2달 1달 2달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먹는 시간(min)(%) -5.5±10.6 -4.1±9.1 -6.5±13.9 -3.6±13.1 -6.0±12.8 -5.5±11.7 -6.2±14.2 -3.6±13.8
식이문제(Eating problem) -0.3±1.3 -0.2±1.3 -0.6±1.5 0.0±1.5 -0.8±1.6 -0.6±1.8 -0.9±1.7 -0.4±1.5
먹으려고 하는 횟수(Frequency of trying to eat) -0.5±1.5 -0.1±1.7 -0.6±1.2 0.0±1.9 -0.8±1.3 -0.3±2.0 -1.0±1.5 0.2±2.0
식욕(Appetite) 0.2±1.0 -0.1±1.4 0.5±1.2 0.0±1.5 0.4±1.0 0.3±1.3 0.6±1.3 0.4±1.4
또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SEC-33을 복용한 실험군과 상기 위약을 복용한 대조군에 속하는 소아들의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변동된 연령별체중 백분위와 BMI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하기 표 10은 실험군과 대조군에 속하는 소아들의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치료 1,2개월 및 관찰 1,2개월에 변동된 연령별체중 백분위 및 BMI 백분위를 나타낸 표이다.
표 10,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실험군과 대조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의 연령별체중 백분위 및 BMI 백분위는 실험군 및 대조군 모두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치료 2개월 시점에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대조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실험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의 BMI 백분위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 1,2개월 및 관찰 1,2개월 모두 실험군에 해당하는 소아들의 BMI 백분위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항목 치료 기간 관찰 기간
1달 2달 1달 2달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실험군 대조군
연령별체중 백분위(%) 1.5±5.3 1.2±5.5 2.5±5.7 0.8±6.3 1.6±6.9 1.1±6.5 2.5±6.5 1.8±6.5
BMI(%) 2.7±5.2 0.8±4.6 5.0±7.9 1.2±6.8 2.9±7.3 1.9±7.0 3.7±8.4 2.8±9.8
상술한 바와 같이, 마른 체형의 소아들에게 상기 SEC-33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을 복용시킨 결과 식이문제가 개선되고, 식욕 증가와 함께 식사량을 중심으로 까다로운 식습관이 개선되며, 연령별 체중 및 BMI 백분위도 초기 내원시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특히, 실험군의 연령별체중 백분위 및 BMI 백분위 증가율이 실험예 1에 따라 SEC-22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을 복용시킨 실험군보다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상기 SEC-33 및 상기 SEC-33로부터 제조된 약재 추출물은 호흡기 질환을 개선하여 저체중이 아닌 마른 체형의 소아들의 식욕 및 에너지와 영양소 섭취의 증가율, BMI 백분위 증가율 및 체중 개선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1)

  1. 산사, 백출, 진피, 맥아, 사인, 생강, 대조, 및 녹용을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당은 결정과당 또는 액상과당인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사는 산사 나무의 열매인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8.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산사 10 내지 15 중량%, 백출 8 내지 12 중량%,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박하 8 내지 12 중량%, 형개 5 내지 10 중량%, 진피 5 내지 10 중량%, 맥아 5 내지 10 중량%, 사인 3 내지 7 중량%, 황기 3 내지 7 중량%, 생강 1 내지 5 중량%,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결정과당 및 액상과당을 포함하는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천연 감미료;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한약 조성물.
  10. 산사 22 내지 26 중량%, 백출 17 내지 21 중량%, 진피 12 내지 16 중량%, 맥아 12 내지 16 중량%, 사인 7 내지 11 중량%, 생강 5 내지 9 중량%, 대조 5 내지 9 중량%, 및 녹용 1 내지 5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부직포에 담지하여 물을 수용하는 전탕기에 넣어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3. 제 10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단계 이후에,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당은 결정과당 또는 액상과당인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7. 유백피 13 내지 17 중량%, 산사 10 내지 15 중량%, 백출 8 내지 12 중량%, 수세미 8 내지 12 중량%, 박하 8 내지 12 중량%, 형개 5 내지 10 중량%, 진피 5 내지 10 중량%, 맥아 5 내지 10 중량%, 사인 3 내지 7 중량%, 황기 3 내지 7 중량%, 생강 1 내지 5 중량%, 대조 1 내지 5 중량%, 및 녹용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조성물을 부직포에 담지하여 물을 수용하는 전탕기에 넣어 탕전하여 약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에 과당; 비정제설탕, 정백당, 중백당, 및 삼온당을 포함하는 설탕; 천연 감미료; 합성 감미료; 말티톨시럽; 폴리글리시톨시럽; 팔라티노스; 및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올리고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연 감미료는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효소처리스테비아, 스테비오사이드, 토마틴, 타우마틴, 소마틴, 모넬린, 글리시리진, 꿀, 메이플 시럽, 아가베 시럽, 및 코코넛 슈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 감미료는 아스파탐, 사카린, 아세설팜칼륨, 및 수크랄로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여과된 약재 추출물을 감압농축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약재 추출물을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의 제조 방법.
  21.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및 제 14 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저체중 개선용 약재 추출물.
KR1020130140934A 2013-11-19 2013-11-19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143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34A KR101439792B1 (ko) 2013-11-19 2013-11-19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201410664771.0A CN104645288A (zh) 2013-11-19 2014-11-19 命名为sec-22和sec-33的中药组合物
US14/547,353 US9808499B2 (en) 2013-11-19 2014-11-19 Oriental medicine compositions marked as SEC 22 and SEC 33 for improving children's underweight, low growth and depressed respiratory org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0934A KR101439792B1 (ko) 2013-11-19 2013-11-19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792B1 true KR101439792B1 (ko) 2014-09-15

Family

ID=517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0934A KR101439792B1 (ko) 2013-11-19 2013-11-19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08499B2 (ko)
KR (1) KR101439792B1 (ko)
CN (1) CN1046452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210B1 (ko) 2016-07-15 2018-09-12 인그리디언코리아 유한회사 저당함량 감미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25372A1 (en) * 2002-04-12 2003-10-27 Pangenomics Co., Ltd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yskinetic diseases
EP1604647B1 (en) * 2004-05-12 2008-05-07 Chisso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organosiloxane-containing epsilon-polylysine polymer, and polyhydric alcohol, and production thereof
CN100400033C (zh) * 2005-05-23 2008-07-09 湘潭大学 香砂养胃咀嚼片的制备方法
CN1709484A (zh) * 2005-06-24 2005-12-21 王衡新 益气健脾和胃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JP3830960B1 (ja) * 2005-08-12 2006-10-11 建仁 河乃 育毛物質
CN100404067C (zh) * 2006-08-25 2008-07-23 陈朝东 治疗儿童肺系疾病的中药制剂
KR101483440B1 (ko) * 2008-05-02 2015-01-19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2100880A (zh) * 2009-12-17 2011-06-22 天津市中宝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小儿流涎的中药组合物
EP2544700B1 (en) * 2010-03-08 2016-11-16 Opmop Ltd. Herb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nxiety and related conditions
CN102872435A (zh) * 2012-09-25 2013-01-16 王雪娟 一种治疗小儿厌食的中药组合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33권 제2호 (2012. 6) pp.180-187 1226-917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210B1 (ko) 2016-07-15 2018-09-12 인그리디언코리아 유한회사 저당함량 감미제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40115A1 (en) 2015-05-21
US9808499B2 (en) 2017-11-07
CN104645288A (zh)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4891B (zh) 一种糖醇蜂蜜苹果酱及其制备方法
KR101738912B1 (ko) 비만억제 및 다이어트 조성물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KR101789424B1 (ko) 구기자를 포함하는 수면장애 개선용 한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463504B2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US20160199427A1 (en) Food, beverag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fermented eastern prickly pear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05851740A (zh) 一种健胃消食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JP2013203683A (ja) Ii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CN105326933A (zh) 一种治疗失眠的中药浸提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24304A (zh) 老年人富硒巧克力奶糖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9792B1 (ko) 저체중 개선 및 호흡기능 개선용 한약 조성물, 이로부터 추출된 약재 추출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CN102948746A (zh) 一种清火助消化奶伴及其制备方法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25172A (zh) 一种适用于儿童的大鲵肽营养组合物
KR20180056199A (ko) 모링가추출물을 함유한 다이어트용 껌의 제조방법
CN108685101A (zh) 林蛙肽菊粉
CN108967757A (zh) 一种红枣生姜浓浆生产工艺
KR102275824B1 (ko) 당뇨 예방 및 개선용 복합 천연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46141A (ko) 항비만 조성물
CN107801830A (zh) 不含胶基可食用的牙齿口腔清洁片
CN106212697A (zh) 一种蜂蜜木瓜养颜豆浆及其制备方法
CN101164595A (zh) 一种治疗厌食症的中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