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342B1 -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342B1
KR101535342B1 KR1020130071734A KR20130071734A KR101535342B1 KR 101535342 B1 KR101535342 B1 KR 101535342B1 KR 1020130071734 A KR1020130071734 A KR 1020130071734A KR 20130071734 A KR20130071734 A KR 20130071734A KR 101535342 B1 KR101535342 B1 KR 101535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nia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lactobacillu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166A (ko
Inventor
이현용
김지선
최운용
최우석
최철순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봉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양봉임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34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주름개선의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로니아에 저온 극한 가공공정을 처리한 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공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은 초고압 또는 초음파와 같은 저온 극한 가공 공정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아로니아 자체의 유용활성물질 파괴가 최소화되었으며, 유산균 발효 처리로 인해 용출된 유용물질을 대사시켜 다양한 활성물질의 생성을 유도해 아로니아 추출물을 화장료 소재에 적용하기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추출방법 및 아로니아에 극한 가공공정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항산화, 미백, 보습, 주름개선 등의 효능이 더욱 좋다.

Description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ronia melanocarpa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보습 또는 주름개선의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깨끗한 피부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수요가 급속히 늘고 있다. 여기에 인공 화학약품이 첨가된 화장료에 대한 안전성이 부각된 요즈음, 자연성 및 천연성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심리가 작용하여 각종 천연물 함유 기능성 화장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피부에 나타나는 색소침착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위한 보호작용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피부에 나타난 색소침착은 여성들의 아름다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속적으로 미백과 관련된 관리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화장품의 사용을 통하여 많은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질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단순히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보다는 안전성을 강조한 고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기능성화장품 중 미백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고조되고 화장품 시장의 발전과 더불어 피부를 밝게 하는 미백화장품의 연구와 시장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피부의 색소침착과 더불어 활성산소 또는 자유라디칼은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로산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에 침하현상(주름)을 일으키며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또한 활성산소는 멜라닌 형성과정 중 자발적인 산화반응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원인 및 주름 생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활성산소 또는 자유라디칼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인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효소계열의 예방적 항산화제인 SOD(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아제(catalase),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lutathione peroxidase) 등과 천연항산화제인 토코페롤(tocopherol),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글루타치온(glutathione) 및 합성항산화제인 BHA, BHT 등 많은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고가일 뿐만 아니라 배합시 안전성 및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자유라디칼 및 염증에 의한 피부 트러블의 개선을 위해서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여 사용이 용이한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795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압, 초음파 전처리 또는 초고압 균질화 전처리를 한 후 유산균 발효하는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 미백, 보습,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아로니아를 건조시키는 단계; (b) 건조시킨 아로니아를 나노입자 크기로 분산시키는 고압 균질화 단계; (c) 고압 균질화된 아로니아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고 초고압 및/또는 초음파 처리하는 극한 전처리 단계; 및 (d) 전처리 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전처리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 30%의 농도(v/v)가 되도록 유산균을 접종하여 20 ~ 40℃에서 6 ~ 72시간동안 발효시키고, 발효된 아로니아를 40 ~ 100℃에서 2 ~ 2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뒤 4 ~ 15℃에서 5분 ~ 24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극한 전처리하는 (b)단계는 5분 ~ 1시간동안 30kHz ~ 120kHz로 초음파 처리 및/또는 4℃ ~ 30℃에서 5분 ~ 30분간 100MPa ~ 500MPa의 압력으로 초고압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고압 균질화는 초고압 균질화 장치에서 15,000 ~ 20,000 psi의 압력을 가하여 장치 내 미세관을 통해 3 ~ 5회 순환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illus paracasei) HS-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효모(Saccharomyces exiguu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불가리아 간균(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디아세틸락티스(Lactococcus diacety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us niger), 아세토박터 자일리늄(Acetobacter xylin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노화, 미백, 주름개선 또는 보습의 효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로니아에 저온 극한 가공공정을 처리한 후 유산균으로 발효하는 공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은 초고압 또는 초음파와 같은 저온 극한 가공 공정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아로니아 자체의 유용활성물질 파괴가 최소화되었으며, 초고압 균질화 공정 처리에 의하여 추출물이 나노사이즈로 분산되어 피부에서 보다 높은 침투성을 가져 흡수에 효과적이다. 또한 유산균 발효 처리로 인해 용출된 유용물질을 대사시켜 다양한 활성물질의 생성을 유도해 아로니아 추출물을 화장료 소재에 적용하기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추출방법 및 아로니아에 극한 가공공정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보다 항산화, 미백, 보습, 주름개선 등의 효능이 더욱 좋다.
도 1은 다양한 방법으로 아로니아 추출물을 처리한 뒤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실험예 1: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 실험예 2: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 실험예 3: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
도 2는 다양한 방법으로 아로니아 추출물을 처리한 뒤 DPPH 소거능을 통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이다(실험예 1: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 실험예 2: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 실험예 3: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
도 3은 다양한 방법으로 아로니아 추출물을 처리한 뒤 멜라닌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이다(실험예 1: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 실험예 2: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 실험예 3: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
본 발명은 초고압 또는 초음파 전처리 및 초고압 균질화 처리를 한 후 유산균 발효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 아로니아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50% 이상을 보이고, 높은 멜라닌 활성을 보이며, 높은 수분함유량을 보여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보습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극한 전처리 및 유산균 발효공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최근 많은 여성들뿐만 아니라 남성의 경우에도 미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피부미백,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및 주름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합성 화합물을 사용한 제품들이 대부분인데 합성화합물이 첨가된 화장품은 피부에 따라 민감한 피부반응을 유발시킬 수 있어, 다양한 피부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피부에 유용한 기능성 효과를 갖는 물질을 연구하고 있던 중 아로니아에 주목하였다.
아로니아는 아로니아 나무의 열매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식용색소의 원료로 쓰이기도 하고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 레드초크베리, 블랙초크베리, 퍼플초크베리의 세가지를 합쳐서 아로니아라고 하는데 아로니아에는 100g 당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320mg으로 이는 자연계에 있는 모든 식물들 중 가장 높은 편에 속하며, 안토시아닌은 항산화효과로 주목받는 물질이다. 안토시아닌의 효능은 항산화효과, 시력개선 효과 및 혈관질환 예방과 개선 효과가 있으나 아로니아에 일반 열수추출을 하였을 때는 아로니아가 가지고 있는 유용물질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아로니아를 건조시키는 단계; (b) 건조시킨 아로니아를 나노입자 크기로 분산시키는 고압 균질화 단계; (c) 고압 균질화된 아로니아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고 초고압 및/또는 초음파 처리하는 극한 전처리 단계; 및(d) 전처리 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c)단계의 극한 전처리 단계는 초음파 처리 또는 초고압처리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2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을 택하여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및 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단계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illus paracasei) HS-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효모(Saccharomyces exiguu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불가리아 간균(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디아세틸락티스(Lactococcus diacety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us niger), 아세토박터 자일리늄(Acetobacter xylin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이 화장료로서 적합하며, 실제로 기능성 성분들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군으로 나누어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3가지 군 모두에서 10% 미만의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세포독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3가지 군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법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3가지 군 모두에서 35% 이상의 소거능이 측정되었으며, 특히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자유라디칼의 소거능이 50%가 넘는 수치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서,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군으로 나누어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가장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인 실험예 2도 기존 추출공정을 거친 아로니아 추출물인 실시예 1에 비하여 높은 미백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3가지 군 및 비교예로써 보습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3-부틸렌글리콜을 대상으로 수분함유량을 측정한 결과, 3가지 군 모두에서 보습물질로 알려진 1,3-부틸렌글리콜인 비교예보다 더 높은 수분함유량을 보였으며,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유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성 화장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50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아로니아 추출물을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해 0.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지는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며, 반면 5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세포 등에 독성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목적하는 효과를 첨가량에 비례하여 얻지 못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고려하여 상기 기술된 범위 이내의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첨가량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가격이 상승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아로니아 추출물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제조예 1>
아로니아 초고압 또는 초음파 전처리
본 발명자들은 아로니아를 초고압 또는 초음파 전처리하기 위하여 먼저 아로니아를 물로 단시간 헹궈낸 다음 열풍건조기에서 40℃로 하루 동안 건조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된 아로니아 200g에 물 또는 유기용매 1L를 가하여 20℃ ~ 50℃의 온도에서 5분 ~ 1시간 동안 30kHz ~ 120kHz로 초음파처리를 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건조된 아로니아 100g와 물 또는 유기용매 300mL을 비닐팩에 넣고 진공 포장하여 4℃ ~ 30℃에서 5분 ~ 30분간 100MPa ~ 500MPa의 압력으로 초고압 처리를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아로니아 초고압 전처리, 아로니아 초음파 전처리 중 하나의 방법을 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 제조예 2>
아로니아 초고압 균질 전처리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초고압 전처리 또는 초음파 전처리 된 아로니아를 초고압 균질화 장치에 넣고 15,000 ~ 20,000 psi의 압력을 가하여 고압 균질화 장치 내의 미세관을 통해 3 ~ 5회 순환시켜 용액속의 아로니아를 나노입자 크기로 고압 균질화 하였다.
< 제조예 3>
아로니아의 발효
상기 제조예 2의 전처리과정을 거친 아로니아 추출물에 1 ~ 20%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유산균을 접종하여 6 ~ 72시간 발효를 진행하였다.
< 제조예 4>
아로니아의 추출
상기 제조예 3의 방법으로 발효과정을 거친 아로니아에 물 또는 유기용매 1L를 가하여 먼저 40℃ ~ 100℃의 온도로 2시간 ~ 24시간 열추출하였으며, 열추출 후 4℃ ~ 15℃의 온도에서 5분 ~ 24시간 냉침추출하는 방법으로 아로니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 제조예 5>
아로니아의 추출물의 파우더화
추출과정을 거친 아로니아 추출물을 여과시킨 후, 감압농축기(rotary vacc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농축 하였고, 다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분말화하였다.
< 실시예 1>
아로니아의 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 결과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로서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1과 같이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대조군),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군으로 나누어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13055663418-pat00001
실험예 1은 건조된 아로니아에 증류수를 가하여 열수추출한 것이고, 실험예 2는 건조된 아로니아에 초음파 또는 초고압공정을 처리한 후 초고압 균질기에 통과시켜 나노사이즈로 분산시킨 후 증류수를 가하여 열수추출한 것이며, 실험예 3은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초고압 균질화까지 거친 아로니아에 유산균을 접종시켜 발효시킨 후 증류수를 가하여 열수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세포독성은 3-(4, 5-dimethythiazo-2-yl)-2, 5-dipheny-tetrazoliumbromide (MTT)를 사용하여 Mosmann방법을 변형시켜 측정하였다. CCD-986sk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5×10⁴cells/well 농도로 접종한 후, 80% 정도의 배양시점에서 각 웰에 시료를 투여하고 CO₂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5 ㎍/㎖ 농도의 MTT 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고 4시간 후 상층액을 제거하였으며, 10 ㎕의 에시드-이소프로파놀(acid-isopropanol, 0.04N HCl in isopropanol)을 첨가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Tecan, USA)로 565 ㎚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1의 3가지 군 모두에서 10%를 넘지 않는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인 실험예 1과 비교하였을 때,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인 실험예 2와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오히려 더 낮은 세포독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1 참조).
< 실시예 2>
아로니아의 추출물의 항산화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료 소재로서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DPPH 라디칼 소거능법을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은 Dietz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96 웰플레이트에 용매를 에탄올로 하여 제조한 0.1 mM DPPH용액 200 μl와 실험예의 샘플 80 μl을 혼합하여 25℃에서 20분동안 암실에 방치 한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아스코르브산은 본 실험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1의 3가지 군 모두에서 35% 이상의 소거능이 측정되었으며, 특히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자유라디칼의 소거능이 60%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도 2 참조).
< 실시예 3>
아로니아의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능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에 피부 미백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멜라닌을 생성하는 쥐 유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인 Clone-M3 세포주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함으로써 각 시료의 미백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Clone-M3 세포주를 96웰에 1.5x10 cells/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3일간 각 시료 0.5 mg/mL의 농도로 3일 동안 처리하였다. 3일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각 웰 당 1 ㎖의 1N NaOH를 가하여 교반시킴으로써 멜라닌 성분이 용출되도록 하였다. 용출된 멜라닌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가장 높은 미백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추출물인 실험예 2도 기존 추출공정을 거친 아로니아 추출물인 실시예 1에 비하여 높은 미백활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3 참조).
< 실시예 4>
아로니아의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이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페트리디쉬에 실험예 1 ~ 3의 아로니아를 증류수에 0.5 mg/mL의 농도로 희석한 희석액 20 mL을 넣고, 이를 CaCl₂가 들어있는 데시케이터 중의 상대습도 41%, 온도 25℃의 조건하에 방치한 다음, 일정시간 경과 후 아노리아 희석액 양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경시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써 보습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각 시료별 보습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 1의 3가지 군 모두에서 보습물질로 알려진 1,3-부틸렌글리콜인 비교예보다 더 높은 수분함유량을 보였으며,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인 실험예 3에서 가장 높은 수분함유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표 2 참조).
Figure 112013055663418-pat00002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극한 전처리(초고압 또는 초음파)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은 항산화 뿐만 아니라 미백 및 보습에 의한 주름개선 등의 효능이 있어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종래 사용하고 있는 일반 아로니아 추출물에 비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아로니아의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5의 방법으로 제조된 극한 전처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에 항산화, 미백 및 보습 효과가 있어 기능성 화장료로서 적합함을 확인하고 실제로 화장료로 제조하였다.
<5-1> 크림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3과 같은 조성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55663418-pat00003

<5-2> 에센스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4와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55663418-pat00004

<5-3> 화장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5와 같은 조성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55663418-pat00005

<5-4> 로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6과 같은 조성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55663418-pat00006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a) 아로니아를 건조시키는 단계;
    (b) 건조시킨 아로니아를 나노입자 크기로 분산시키는 고압 균질화 단계;
    (c) 고압 균질화된 아로니아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가하고 초고압 및/또는 초음파 처리하는 극한 전처리 단계; 및
    (d) 전처리 혼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는 전처리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 30%의 농도(v/v)가 되도록 유산균을 접종하여 20 ~ 40℃에서 6 ~ 72시간동안 발효시키고, 발효된 아로니아를 40 ~ 100℃에서 2 ~ 2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뒤 4 ~ 15℃에서 5분 ~ 24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한 전처리하는 (b)단계는 5분 ~ 1시간동안 30kHz ~ 120kHz로 초음파 처리 및/또는 4℃ ~ 30℃에서 5분 ~ 30분간 100MPa ~ 500MPa의 압력으로 초고압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고압 균질화는 초고압 균질화 장치에서 15,000 ~ 20,000 psi의 압력을 가하여 장치 내 미세관을 통해 3 ~ 5회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illus paracasei) HS-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효모(Saccharomyces exiguus),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불가리아 간균(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코커스 디아세틸락티스(Lactococcus diacetylactis), 락토코커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스트렙토코커스 서머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Rhodopseudomonas palustris), 아스퍼질러스 나이저(Aspergilus niger), 아세토박터 자일리늄(Acetobacter xylin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노화, 미백, 주름개선 또는 보습의 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071734A 2013-06-21 2013-06-21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35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34A KR101535342B1 (ko) 2013-06-21 2013-06-21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734A KR101535342B1 (ko) 2013-06-21 2013-06-21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166A KR20140148166A (ko) 2014-12-31
KR101535342B1 true KR101535342B1 (ko) 2015-07-08

Family

ID=5267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734A KR101535342B1 (ko) 2013-06-21 2013-06-21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3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49A (ko) 2017-01-31 2018-08-08 조금숙 복합 발효에 의한 아로니아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6253A (ko) * 2017-08-08 2019-02-18 신홍식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90063795A (ko) * 2017-11-30 2019-06-10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200060605A (ko)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안토시아닌의 함유량이 증대된 아로니아 캘러스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126B1 (ko) * 2015-01-16 2017-03-24 현 용 이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60810B1 (ko) * 2016-10-07 2019-03-2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블랙커런트 열매와 아로니아 열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1646B1 (ko) * 2016-11-01 2019-0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 발효물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타블렛
KR101941269B1 (ko) * 2016-11-01 2019-0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 발효물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발효 음료
KR102078671B1 (ko) * 2018-02-27 2020-02-19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증대된 아로니아 음료 조성물
KR102026597B1 (ko) * 2018-03-09 2019-09-30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산균 배양물 혼합액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4384B1 (ko) * 2019-01-28 2020-02-06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lm101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0845B1 (ko) * 2019-06-03 2021-11-25 재단법인 순천바이오헬스케어연구센터 아로니아 발효액 및 갈대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477182B1 (ko) * 2019-11-19 2022-12-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착즙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8310B1 (ko) * 2019-12-30 2020-10-22 충청북도 단양군 아로니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402419B1 (ko) * 2020-01-31 2022-05-27 달성군 항산화 효능을 증대시킨 아로니아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079A (ko) * 2007-07-13 2009-01-16 최윤하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8699A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7954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079A (ko) * 2007-07-13 2009-01-16 최윤하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8699A (ko) * 2009-11-03 2011-05-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홍삼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7954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049A (ko) 2017-01-31 2018-08-08 조금숙 복합 발효에 의한 아로니아 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6253A (ko) * 2017-08-08 2019-02-18 신홍식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83041B1 (ko) * 2017-08-08 2019-05-29 신홍식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90063795A (ko) * 2017-11-30 2019-06-10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032703B1 (ko) * 2017-11-30 2019-11-08 재단법인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200060605A (ko) 2018-11-21 2020-06-01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안토시아닌의 함유량이 증대된 아로니아 캘러스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166A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342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693623B2 (ja) 化粧料
KR10178230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6599607B2 (ja) 抗酸化剤、皮膚化粧料及び毛髪化粧料
JP2008291004A (ja) 美肌用組成物
KR101567755B1 (ko)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보습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기능성 울금 발효겔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 보습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기능성 울금 발효겔
JP4925692B2 (ja) 美肌用組成物
JP2009179643A (ja) 化粧料
KR102014312B1 (ko) 참까막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TW201223559A (en) Cytoprotective agent
KR20200058904A (ko)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7138271B2 (ja) 乳化剤
JP2021172593A (ja) 皮膚外用剤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63435A (ko)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3440A (ko) 좁쌀풀(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63439A (ko) 큰까치수염(Lysimachia clethroides)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58900A (ko) 단삼(Salvia miltiorrhiza)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627236B1 (ko)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8301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9114B1 (ko) 발효 두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0729A (ko) 선복화 추출물의 적합성 시험방법
JP2021100925A (ja) 皮膚外用剤
KR20200058901A (ko) 참취(Aster scaber) 추출물 또는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8888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