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236B1 -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236B1
KR102627236B1 KR1020230049130A KR20230049130A KR102627236B1 KR 102627236 B1 KR102627236 B1 KR 102627236B1 KR 1020230049130 A KR1020230049130 A KR 1020230049130A KR 20230049130 A KR20230049130 A KR 20230049130A KR 102627236 B1 KR102627236 B1 KR 10262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ea squirt
fermentation
fermented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9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인
김제욱
박병성
Original Assignee
인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코스(주) filed Critical 인코스(주)
Priority to KR1020230049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멍게 껍질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은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켜 얻어지며, 항산화, 주름 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 항염에 현저히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A sea squirt shell ferment made by using bioconversion process,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for anti-inflammatory, anti-oxidation, anti-wrinkle, skin regeneration, skin elasticity and skin soothing}
본 발명은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멍게의 껍질은 자신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는 점에서 패류의 패각 기능과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으나 패각과는 차이가 있다. 멍게 껍질에는 보통 혈관이 분포하고 있으며, 혈관이 없는 종류라도 껍질로 혈맥이 이동하게 되어 외부의 자극이나 껍질의 성장 등에 관여하고 있다. 많은 종류의 멍게류의 껍질에 여러 종류의 항산화 다당이 존재하며 종에 따라 그 함량 및 화학적 특성에 차이가 난다.
멍게 육질은 식용으로 이용하지만 껍질은 대부분 버리고 있고, 껍질이 워낙 견고해서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 곳이나 버리는 경우에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폐자원으로 분류되었던 멍게껍질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이를 이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멍게에는 콘드로이친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라고 하는 화합물이 존재한다.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GAGs)에 속하는 화합물로, 연골 및 천연골격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연골조직에서 물을 보유하고 힘과 유연성을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식품에서는 관절 건강과 연골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식이 보충제로도 사용한다.
한편, 구조적으로 히아루론산과 유사한 계열인 특성상 피부에서는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분을 유지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장품에서도 보습, 주름 및 탄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장품 소재로써도 각광을 받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99284호는 상어 뼈 또는 연골로부터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및 그의 나트륨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939는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8779호는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5432호는 멍게의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4868호는 멍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043호는 멍게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분말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2194호는 멍게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7616호는 멍게 껍질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멍게 껍질 분말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8779호 (2007.04.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5432호 (2008.09.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4868호 (2013.06.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8043호 (2016.04.2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2194호 (2014.04.2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1616호 (2020.02.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99284호 (1999.03.0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9939호 (2016.08.16)
천연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교반(열수, 상온, 저온), 냉각, 가압(고온, 저온), 초임계 추출 등의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추출 방법의 종류에 따라 수득 가능한 유효 성분의 종류와 함량의 변화 폭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 전환(bioconversion) 기술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적 기능을 이용하여 전구물질로부터 원하는 산물을 제조하는 기술을 말한다. 즉 미생물 발효 또는 효소 처리 등의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천연물 생리활성물질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여 유효성분의 함량 증가, 흡수율 개선 및 새로운 기능 성분의 생성을 유도하는 작업이다.
종래의 기술들은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추출하기 위해 염산 용액을 이용하여 침적하는 단계로 인하여 공정이 까다롭고 환경적으로 문제가 있으며, 효율이 좋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기술에서 벗어나 새로운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하여 멍게에서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추출한 결과, 수율이 증대되고 항산화, 주름개선, 탄력, 피부 진정,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한 멍게 껍질 발효물이 기존 멍게 껍질 추출물 대비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추출 공정 대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멍게 껍질을 발효시켜 얻어지는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멍게 껍질 발효물을 발효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멍게 껍질을 발효시켜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효모균, 고초균, 유산균 및 누룩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 발효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효모균, 고초균, 유산균 및 누룩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효모균은 예를 들어, Aureobasidium pullulans , Galactomyces Candidum, Pichia Cifferrii , Rhodosporidium Toruloides , Saccharomyces boulardii,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초균의 비제한적인 일 례로 Bacillus subtilis 를 들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예를 들어, Bifidobacterium Bifidum , Bifidobacterium Breve, Bifidobacterium Lactis , Bifidobacterium Longum , Enterococcus Faecium , Enterococcus Faecalis ,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Brevis , Lactobacillus Bulgaricus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Gacceri , Lactobacillus Helceticus , Lactobacillus Kunkeei ,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coccus Lactis , Leuconostoc Citreum , Leuconostoc Mesenteroides , Pediococcus acidilactici , Pediococcus Pentosace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누룩균은 예를 들어, Aspergillus Oryzae , Rhizopus Javanicus , Monascus ank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은 1 단 발효물일 수 있다. 1 단 발효란 미생물 1 종을 이용한 1 단계 발효를 뜻한다.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은 2 단 이상 발효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2 단 발효란 미생물 1 종을 이용한 1 단계 발효를 다른 미생물로 한 번 더 발효하는 2 단계 발효를 뜻하며, 단계가 올라갈수록 새로운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가 추가되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피부 탄력, 피부 재생, 피부 진정(항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대해 기존 멍게 껍질 추출물 대비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해 0.01 ~ 95%(w/w)로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0.01% 이하로 사용시 효과가 극미하며, 95% 이상일 경우 이취가 심하여 사용이 불가능 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항산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피부 탄력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피부 재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피부 진정(항염)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피부 자극이 없으면서 피부의 주름 개선에 관련된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세포 재생 활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멍게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멍게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멍게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멍게 껍질 발효물들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멍게 껍질 발효 조건 별 DPPH 활성 저해율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멍게 껍질 발효물들의 피부 재생 효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멍게 껍질 발효 조건 별 세포 생존율에 관한 것이다.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A 내지 B는 A 이상 내지 B 이하인 것으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또는 A와 B의 조합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바이오 전환 기술을 활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바이오 전환 기술을 거치게 되면 단순히 멍게 껍질을 추출하는 것보다 영양소 면에서 더 많은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아미노산, 미네랄,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인체 내 흡수가 잘 되도록 생체 이용률 또한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본래에는 없었던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이 생성됨으로써 항산화, 주름 개선, 피부 탄력, 피부 재생, 피부 진정(항염) 등 다양한 피부 생리 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
미생물은 많은 종류의 효소를 분비함으로써 다양한 생화학반응을 유도하여 분해, 합성, 산화, 환원 반응을 자연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바이오 전환 기술은 멍게 껍질 내의 비활성 또는 불활성 상태의 활성성분들을 활성화시켜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활성성분들의 구조변화를 통해 체내 흡수율을 높이며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들을 생산할 수 있고, 또한 해양 생물 속의 독성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은 항산화, 주름 개선, 피부 탄력, 피부 재생, 피부 진정(항염)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은 효모균, 고초균, 유산균, 누룩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효모균은 예를 들어, Aureobasidium pullulans , Galactomyces Candidum , Pichia Cifferrii, Rhodosporidium Toruloides , Saccharomyces boulardii,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초균의 비제한적인 일 례로는 Bacillus subtilis 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예를 들어, Bifidobacterium Bifidum , Bifidobacterium Breve , Bifidobacterium Lactis , Bifidobacterium Longum , Enterococcus Faecium , Enterococcus Faecalis , Lactobacillus Acidophilus , Lactobacillus Brevis , Lactobacillus Bulgaricus ,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Fermentum , Lactobacillus Gacceri , Lactobacillus Helceticus , Lactobacillus Kunkeei ,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Rhamnosus , Lactobacillus Salivarius , Lactococcus Lactis , Leuconostoc Citreum , Leuconostoc Mesenteroides , Pediococcus acidilactici , Pediococcus Pentosace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누룩균의 경우 Aspergillus Oryzae , Rhizopus Javanicus , Monascus Anka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 1에는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을 얻기 위한 바이오 전환 공정에 사용된 균주들이 예시되어 있다.
No. 약어 균주 명 균주 특성 배양 온도(℃)
1 AO Aspergillus Oryzae 누룩균 25~30
2 AP Aureobasidium pullulans 효모 28~32
3 BS Bacillus subtilis 고초균 35~40
4 BL Bifidobacterium longum 유산균 35~40
5 GC Galactomyces Candidum 효모 28~32
6 LB Lactobacillus Brevis 유산균 35~40
7 LK Lactobacillus Kunkeei 유산균 35~40
8 LPa Lactobacillus Paracasei 유산균 35~40
9 LPl Lactobacillus Plantarum 유산균 35~40
10 LR Lactobacillus Rhamnosus 유산균 35~40
11 LL Lactococcus Lactis 유산균 35~40
12 LM Leuconostoc Mesenteroides 유산균 35~40
13 MA Monascus Anka 누룩균 25~30
14 PC Pichia Cifferrii 효모 28~32
15 RJ Rhizopus Javanicus 누룩균 25~30
16 RT Rhodosporidium Toruloides 효모 28~32
17 SC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 28~32
18 ST Streptococcus Thermophilus 유산균 35~40
상기 멍게 껍질 발효물은 1 단 발효물 또는 2 단 이상 발효물 일 수 있으며, 하기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같이 2 단 이상 발효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효(fermentation)란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을 말한다. 또한 미생물이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유용한 물질을 내는 것도 발효이다. 이러한 발효 과정은 무산소호흡을 하는 미생물들로 유기물을 완전히 분해시키고 다른 종류의 유기물을 만들어 내기도 하여 적은 양의 에너지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발효에 관계되는 미생물의 대표적인 유산균은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당을 분해하여 젖산이나 초산과 같은 유기산을 생성하며 부산물로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리파아제, 프로테아제와 같은 효소를 생성하여 천연물 내의 거대분자의 저분자화를 통하여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해준다.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효모 1 단 발효)
YM Broth 950 mL에 멍게 껍질 분말 50 g을 넣고 121℃ 에서 15 분 동안 멸균하여 멸균 배지를 얻었다. 무균 조건 하에서, 멸균 배지에 표 1의 효모를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28 ~ 32℃의 온도 조건으로 24 ~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고초균 1 단 발효)
YM Broth 950 mL에 멍게 껍질 분말 50 g을 넣고 121℃ 에서 15 분 동안 멸균하여 멸균 배지를 얻었다. 무균 조건 하에서, 멸균 배지에 표 1의 고초균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35 ~ 40℃의 온도 조건으로 24 ~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유산균 1 단 발효)
MRS Broth 950 mL에 멍게 껍질 분말 50 g을 넣고 121℃ 에서 15 분 동안 멸균하여 멸균 배지를 얻었다. 무균 조건 하에서, 멸균 배지에 표 1의 유산균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35 ~ 40℃의 온도 조건으로 24 ~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 누룩균 1 단 발효)
YM Broth 950 mL에 멍게 껍질 분말 50 g을 넣고 121℃ 에서 15 분 동안 멸균하여 멸균 배지를 얻었다. 무균 조건 하에서, 멸균 배지에 표 1의 누룩균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25 ~ 30℃의 온도 조건으로 24 ~ 48 시간 동안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2 단 발효를 진행하였다. 2 단 발효의 방법은 표 2에 정리하였다.
1 단 발효 균주 2 단 발효 균주
실시예 5 효모 효모
실시예 6 효모 유산균
실시예 7 효모 고초균
실시예 8 효모 누룩균
실시예 9 유산균 효모
실시예 10 유산균 유산균
실시예 11 유산균 고초균
실시예 12 유산균 누룩균
실시예 13 고초균 효모
실시예 14 고초균 유산균
실시예 15 고초균 누룩균
실시예 16 누룩균 효모
실시예 17 누룩균 유산균
실시예 18 누룩균 고초균
실시예 19 누룩균 누룩균
[ 실시예 5]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효모 1 단 발효 후 효모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1)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효모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8 ~ 32℃)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효모 1 단 발효 후 유산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1)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유산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효모 1 단 발효 후 고초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1)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고초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효모 1 단 발효 후 누룩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1)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누룩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5 ~ 3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유산균 1 단 발효 후 효모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2)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효모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8 ~ 32℃)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0]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유산균 1 단 발효 후 유산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2)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유산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1]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유산균 1 단 발효 후 고초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2)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고초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2]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유산균 1 단 발효 후 누룩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2)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누룩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5 ~ 3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고초균 1 단 발효 후 효모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3)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효모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8 ~ 32℃)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고초균 1 단 발효 후 유산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3)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유산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고초균 1 단 발효 후 누룩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3)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누룩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5 ~ 3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 누룩균 1 단 발효 후 효모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4)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효모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8 ~ 32℃)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 누룩균 1 단 발효 후 유산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4)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유산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8]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 누룩균 1 단 발효 후 고초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4)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고초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35 ~ 4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9]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 ( 누룩균 1 단 발효 후 누룩균 2 단 발효)
상기 1 단 발효물(실시예 4)를 멸균한 후 그 멸균된 발효물에 누룩균 1 종을 접종한 후 발효기에서 온도 조건(25 ~ 30℃)으로 24 ~ 48 시간 동안 2 단 발효하였다.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21℃에서 20 분간 열을 가하여 멸균한 후, 원심 분리와 여과(mesh filter)를 통해 발효 용해물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멍게 껍질 추출물의 제조 ( 열수 추출)
멍게 껍질 분말 50 g을 증류수 950 ml로 80℃에서 3 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 mesh)로 여과하였다.
[ 비교예 2] 멍게 껍질 추출물의 제조 (산 및 알칼리 처리)
멍게 껍질 분말 50 g을 증류수 950 ml에 넣고 산 및 알칼리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mesh filter(stainless steel filter mesh, R&K, China, 4~400 mesh)로 여과하였다.
[ 실험예 1] 콘드로이친 분석
콘드로이친 황산의 분석은 한국기능식품연구원에 의뢰하여 건강기능성식품공전에 적힌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콘드로이친 황산의 기본 단위이자 hexuronic acid인 D-글루쿠론산을 염료 원료인 카바졸과 반응시켜 붉은색 화합물로 만든 후, 분광광도계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때 최대 흡수 파장인 530 nm에서 발색 정도를 측정하여 정량한다.
표 3은 멍게 껍질 발효물과 멍게 껍질 추출물의 콘드로이친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에서 가장 높은 콘드로이친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총 단백질량 측정
총 단백질량 함량 측정은 멍게 껍질 발효물의 총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BCA assay을 수행하였다. BCA assay는 단백질이 구리 이온(Cu2 +, Cu+)을 환원시킬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 이온은 BCA 용액과 반응을 해서 보랏빛의 화합물(Cu+ / BCA chromophore)을 생성하게 되는데, 단백질의 양이 많을수록 보랏빛 화합물이 진해지며 562 ㎚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함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USA)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Reagent A와 Reagent B를 49:1 비율로 희석해준다. 희석한 시약 200 μl을 96 well microplate에 넣고 검액 25 μl을 함께 넣어 37℃ Incubator에 30 분간 반응시킨다. Standard curve는 albumin 2000, 1000, 500, 250, 125, 66.25, 33.125, 0 ppm의 농도로 3 반복 진행하였다. Microplate reader (Thermo, USA)를 이용하여 56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standard curve을 작성하고 멍게 껍질 발효물의 단백질 정량을 하였다.
콘드로이친 함량 (%) 총 단백질 함량 (%)
실시예 1 2.47 ± 0.39 8.95 ± 0.56
실시예 2 1.35 ± 0.28 3.14 ± 0.44
실시예 3 2.48 ± 0.15 8.89 ± 0.35
실시예 4 1.02 ± 0.13 2.91 ± 0.29
실시예 5 5.07 ± 0.49 11.24 ± 0.88
실시예 6 4.14 ± 0.45 9.11 ± 0.64
실시예 7 6.32 ± 0.34 13.97 ± 1.12
실시예 8 3.25 ± 0.36 8.85 ± 0.53
실시예 9 3.11 ± 0.28 5.54 ± 0.61
실시예 10 2.69 ± 0.21 4.29 ± 0.55
실시예 11 3.46 ± 0.30 5.66 ± 0.75
실시예 12 2.37 ± 0.19 4.10 ± 0.48
실시예 13 5.33 ± 0.41 10.87 ± 0.53
실시예 14 4.46 ± 0.23 9.03 ± 0.24
실시예 15 3.31 ± 0.34 9.35 ± 0.72
실시예 16 1.76 ± 0.21 3.42 ± 0.61
실시예 17 1.33 ± 0.14 3.29 ± 0.33
실시예 18 1.59 ± 0.19 3.67 ± 0.39
실시예 19 1.14 ± 0.08 3.11 ± 0.27
비교예 1 0.19 ± 0.03 0.66 ± 0.05
비교예 2 2.88 ± 0.24 4.33 ± 0.36
표 3은 멍게 껍질 발효물들의 콘드로이친 함량과 총 단백질 함량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멍게 껍질 발효 조건 별 함량에 관한 것이다.
표 3에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 7에서 콘드로이친 함량과 총 단백질 함량 모두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 실험예 3] 항산화 활성 측정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Brand-Williams, 1997)을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DPPH를 50 ppm 농도가 되게 70% EtOH에 녹여 준비하였다. DPPH 용액과 시료를 1:1 로 혼합하였다. 시료로 멍게 껍질 발효물을 농도별(0.5%, 1%, 2%, 4%)로 용매에 용해시킨 것을 준비하였다.
DPPH 용액과 시료의 혼합물을 10 분간 반응시키고 10분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100 ppm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를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하고 시료를 넣은 것을 실험군(sample)으로 하여 소거 활성의 크기는 다음 식 1에 의해 DPPH의 활성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식 1)
도 1은 멍게 껍질 발효물들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멍게 껍질 발효 조건 별 DPPH 활성 저해율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 7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피부 재생( MTT assay )
멍게 껍질 발효물의 Cell viability 측정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HDF Cell의 배양에 의해 측정하였다. HDF Cell을 96 well microplate에 1×104 Cell/well로 분주한 후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멍게 껍질 추출물과 멍게 껍질 1 단 발효물을 각각 농도별(0.5%, 1%, 2%, 4%)로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96 well plate에서 10 ㎕씩 첨가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2는 멍게 껍질 발효물들의 피부 재생 효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멍게 껍질 발효 조건 별 세포 생존율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 2, 5, 7, 9, 10, 11, 12에서 피부 재생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5] 주름 개선 활성 측정 ( MMP -1 및 MMP -9 mRNA 발현)
콜라게나제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의 일종으로 호중구 특이적 과립 내에 잠복형으로 저장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이다. MMP-1 및 MMP-9 은 UV 조사 시 피부 내의 활성이 증가하여 콜라겐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노화에 주요 인자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MMP-1 및 MMP-9은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반응 (RT-qPCR)을 이용해 mRNA 발현을 측정할 수 있다. RT-qPCR은 DNA 산물을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하여 증폭 산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특정 mRNA 발현을 정량분석 할 수 있는 시험법이다. 본 시험에서는 HDF 세포에서 실시예 혹은 비교예의 MMP-1 및 MMP-9 mRNA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RT-qPCR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MMP-1 및 MMP-9 시험에서는 계대 배양한 HDF 세포를 60 mm culture dish 에 3 × 105 cells/dish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UV-B(15 mJ)을 조사하였다.
이어서 최종 처리 농도가 0.25%, 0.5%, 1%, 2%가 되도록 희석한 실시예 혹은 비교예를 세포에 각각 처리하여 세포배양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하여 RT-qPCR을 실행하였다.
표 4는 주름개선 활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표 4는 2% 농도에서 MMP-1 발현 억제율, 농도 별 MMP-9 생성 저해능에 관한 것이다.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경우 MMP-1, MMP-9 활성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MMP-1 mRNA 발현 억제율 (%) MMP-9 생성 저해능(%)
실시예 1 81.47 42.55
실시예 2 71.97 40.59
실시예 3 74.32 39.29
실시예 4 77.88 44.39
실시예 5 97.70 59.14
실시예 6 91.19 48.83
실시예 7 114.89 63.03
실시예 8 91.15 48.86
실시예 9 86.95 52.04
실시예 10 80.25 48.33
실시예 11 82.80 49.75
실시예 12 79.87 48.12
실시예 13 87.87 50.59
실시예 14 81.87 49.23
실시예 15 86.43 51.75
실시예 16 78.50 49.35
실시예 17 79.08 52.90
실시예 18 78.14 47.17
실시예 19 76.45 48.93
비교예 1 18.60 9.77
비교예 2 68.24 44.54
* TGF-β(20 mg/mL) 55.62 -
** Retinoic acid(1 μM) - 52.84
*, ** 은 양성대조군
[ 실험예 6] 피부 탄력 측정(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 )
엘라스타제는 진피 내 피부탄력을 유지하는 기질 단백질인 엘라스틴(elastin)의 분해에 관여하며, 콜라겐(collagen)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 효소로 피부의 주름 및 탄력성 소실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엘라스타제의 활성 정도는 기질인 N-succinyl-tri-alanyl-p-nitroanilide(STANA)가 nitroanilide로 분해되면서 일어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2 일간 배양한 HDF 세포에서 엘라스타제를 포함하는 효소액을 취하여 96 well plate의 각 well 당 100 μg의 엘라스타제 효소액을 넣고 0.2 M Tris-HCl buffer를 넣어 총 볼륨이 88 μL가 되도록 하였다.
이후 시료와 양성대조군(PDS, Phosphoramidon disodium salt)을 농도별로 각 웰(well)에 넣고 엘라스타제 기질인 STANA액을 2 μL씩 각 well에 넣어 9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켰다. 이 때, 실시예 혹은 비교예는 0.25%, 0.5%, 1%, 2% 의 농도로 넣었고, 양성대조군(PDS)는 0.01 μM의 농도로 넣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식 2를 통해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표 5는 멍게 껍질 발효물의 주름개선 활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2% 농도에서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에 관한 것이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경우 엘라스타제 활성이 강하게 저해되었다.
(식 2)
무처리군: 0.2 M Tris HCl buffer + 엘라스타제 효소액 + STANA
시료처리군: 0.2 M Tris HCl buffer + 엘라스타제 효소액 + STANA + 시료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능 (%)
실시예 1 16.60
실시예 2 17.02
실시예 3 15.64
실시예 4 15.43
실시예 5 18.49
실시예 6 18.42
실시예 7 20.97
실시예 8 18.96
실시예 9 19.08
실시예 10 17.09
실시예 11 18.22
실시예 12 17.97
실시예 13 17.33
실시예 14 16.85
실시예 15 17.88
실시예 16 16.14
실시예 17 16.97
실시예 18 16.26
실시예 19 16.62
비교예 1 11.97
비교예 2 18.45
* PDS(0.01 μM) 39.69
*은 양성대조군
[ 실험예 7] 피부 진정(항염) 효과 측정
1. Nitric oxide 생성능 측정(NO Assay)
Green et al.(1982) 방법에 따라 NO 생성 저해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 배양액내 NO 양을 아질산염(nitrite, NO2 -)와 질산염(nitrate, NO3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당 5 × 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고 24 h 동안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LPS(lipopolysaccharide) 1μL/mL이 처리된 배지에 실시예 혹은 비교예를 농도별(0.25%, 0.5%, 1%, 2%)로 가하여 48h 동안 배양하였다. 새로운 96 well plate에 배양된 세포 상층액 100 μL/mL와 그리스시약(griess reagent) 100μL을 가하여 차광된 상태에서 10 분간 반응시키고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 생성 억제능은 다음의 식 3에 따라 산출하였다.
(식 3)
표 6은 멍게 껍질 발효물의 항염 효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Nitric oxide 생성능에 관한 것이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경우 Nitric oxide 생성능의 발현이 강하게 저해되었다
2. IL-6 mRNA 발현 억제율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중 하나인 대식세포는 그람음성세균(gram negative bacteria)의 외표면 성분인 lipopolysaccharides (LPS) 등에 노출됨으로써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IL-6와 같은 염증성 cytokine의 발현을 통해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IL-6는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반응연쇄반응(RT-qPCR)을 이용해 mRNA 발현을 측정할 수 있다. RT-qPCR은 DNA 산물을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하여 증폭 산물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특정 mRNA 발현을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시험법이다.
본 시험에서는 RT-qPCR을 이용하여 Mouse macrophage인 RAW 264.7 세포에 LPS (Lipopolysaccharide)로 염증 반응을 유도한 후 시료 처리에 따른 IL-6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계대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6-well plate에 1.5 x 106 cells/well로 분주하고 37℃,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내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media를 serum free DMEM으로 교체하고 LPS(10 ng/mL)를 처리한다.
이어서 최종 처리 농도가 0.25%, 0.5%, 1%, 2%가 되도록, 실시예 혹은 비교예를 세포에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인 dexamethasone은 최종 처리 농도가 1.25 μM 이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세포배양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서 RNA를 추출하고 cDNA를 합성하여 RT-qPCR을 실행하였다.
표 6은 멍게 껍질 발효물의 항염 효능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IL-6 mRNA 발현 억제율에 관한 것이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7의 경우 IL-6 mRNA의 발현이 강하게 저해되었다.
Nitric oxide 생성능 (μM) IL-6 mRNA 발현 억제율 (%)
실시예 1 6.18 51.58
실시예 2 7.33 48.58
실시예 3 6.57 47.52
실시예 4 10.91 49.65
실시예 5 4.40 61.35
실시예 6 5.94 53.47
실시예 7 3.83 70.79
실시예 8 6.66 54.82
실시예 9 6.84 58.63
실시예 10 7.50 56.54
실시예 11 7.28 55.04
실시예 12 8.96 46.92
실시예 13 5.36 59.28
실시예 14 6.63 55.00
실시예 15 7.66 47.05
실시예 16 7.51 47.44
실시예 17 8.02 50.24
실시예 18 7.63 48.39
실시예 19 8.98 43.28
비교예 1 11.86 13.94
비교예 2 6.89 53.97
* EGCG(10 μg/mL) 4.44 -
** Dexamethasone(1.25 μM) - 56.83
*, ** 은 양성대조군
본 발명에 따른 멍게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로 개발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개발되는 경우에 본 발명은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되는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하기에 화장료 조성물의 로션 제형을 예로 들고 있으며, 상세하게는 영양 로션, 스킨 로션, 밀크 로션을 예로 들고 있다.
<제형 예 1_영양 로션(유액)>
원료 명 함량(%)
1 멍게 껍질 발효물(실시예 1-19) 혹은 추출물(비교예 1-2) 5.0
2 스테아린산 2.0
3 세틸알콜 1.5
4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5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6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7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1.0
8 쉐어버터 0.5
9 유동파라핀 3.0
10 스쿠알렌 3.0
11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1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
13 부틸렌글리콜 5.0
14 글리세린 3.0
15 트리에탄올아민 0.12
16 소듐-이디티에이 0.02
17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8 정제수 to 100
상기 표 7의 각 성분 중에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에서 5 분 동안 유화시킨 후, 위의 실시예(1 ~ 19번)들 혹은 비교예(1 ~ 2번)들을 첨가시켜 30℃까지 냉각시켜서 제조하였다.
<제형 예 2_유연화장수(스킨 로션)>
원료 명 함량(%)
1 멍게 껍질 발효물(실시예 1-19) 혹은 추출물(비교예 1-2) 7.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8
6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7 폴리솔베이트80 0.1
8 에탄올 5.0
9 트리에탄올아민 0.08
10 소듐-이디티에이 0.02
1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2 정제수 to 100
상기 표 8의 각 성분 중에서, 수상파트에 에탄올 파트를 넣어 가용화 시킨 후 위의 실시예(1 ~ 19번)들 혹은 비교예(1 ~ 2번)들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제형 예 3_영양 크림, 화장료>
원료 명 함량(%)
1 멍게 껍질 발효물(실시예 1-19) 혹은 추출물(비교예 1-2) 20.0
2 스쿠알란 5.0
3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0
4 밀납 1.5
5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3.0
6 세탄올 3.2
7 쉐어버터 2.0
8 폴리솔베이트60 1.5
9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6
1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11 글리세린 5.0
12 부틸렌글리콜 5.0
13 소듐히아루로네이트 (1%) 3.0
1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15 레시틴 0.3
16 트리에탄올아민 0.2
17 소듐-이디티에이 0.02
18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9 정제수 to 100
상기 표 9의 각 성분 중에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에서 5 분 동안 유화시킨 후, 위의 실시예(1 ~ 19번)들 혹은 비교예(1 ~ 2번)들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제형 예 4_아이 세럼>
원료 명 함량(%)
1 멍게 껍질 발효물(실시예 1-19) 혹은 추출물(비교예 1-2) 60.0
2 글리세린 6.0
3 부틸렌글리콜 5.0
4 스쿠알란 8.0
5 쉐어버터 3.0
6 밀납 1.0
7 올리브오일 2.0
8 해바라기씨유 2.0
9 동백유 2.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1%) 3.0
11 세탄올 0.5
12 폴리솔베이트60 2.3
13 디 판테놀 0.5
14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5 정제수 to 100
상기 표 10의 각 성분 중에서,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에서 5 분 동안 유화시킨 후, 위의 실시예(1 ~ 19번)들 혹은 비교예(1 ~ 2번)들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화장료의 효과를 패널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세하게는 화장료의 피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0~30대 여성 지원자 20 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설문 조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1 ~ 19번) 혹은 비교예(1 ~ 2번)가 함유된 화장료의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매일 2 회(아침, 저녁) 사용 하게 한 다음 1 달이 경과 되었을 때, 하기 표 11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지원자가 자가 설문평가를 통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영양 로션, 스킨 로션, 영양 크림, 아이 세럼 순으로 표 12 ~ 15에 나타내었다.
설문조사 항목 X
보습 효과 강함 보통 미약 없음
피부 진정(항염) 효과 강함 보통 미약 없음
잔주름 개선 효과 강함 보통 미약 없음
피부 탄력 증진 효과 강함 보통 미약 없음
피부 자극 없음 미약 있음 강함
사용감 매우 좋음 좋음 나쁨 아주 나쁨
설문조사 항목 보습 효과 피부 진정 (항염)
효과
잔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효과 피부 자극 사용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비교예 1
비교예 2
설문조사 항목 보습 효과 피부 진정 (항염)
효과
잔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효과 피부 자극 사용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비교예 1
비교예 2
설문조사 항목 보습 효과 피부 진정 (항염) 효과 잔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효과 피부 자극 사용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비교예 1
비교예 2
설문조사 항목 보습 효과 피부 진정 (항염)
효과
잔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효과 피부 자극 사용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비교예 1
비교예 2
표 12 ~ 1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비교예(1 ~ 2번)에 비하여 1 단 발효(실시예 1 ~ 4)가 포함된 화장료에서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으며, 1 단 발효보다 2 단 발효(실시예 5 ~ 19)가 포함된 화장료에서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또한, 실시예(1 ~ 19번) 혹은 비교예(1 ~ 2번)가 함유된 화장료에서 5%가 함유된 영양 로션, 7%가 함유된 스킨 로션, 20%가 함유된 영양 크림, 60%가 함유된 세럼 순으로 멍게 껍질 발효물이 많이 함유 되었을 때 더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본 발명은 단순 폐기되던 수산 부산물(멍게 껍질)을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친환경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멍게 껍질을 1 단 발효 균주로 발효하는 1 단 발효 단계; 및
    1 단 발효물을 멸균한 멸균 발효물을 2 단 발효 균주로 발효하는 2 단 발효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 발효 균주가 효모균이고,
    상기 2 단 발효 균주가 효모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멍게 껍질을 발효시켜 콘드로이친 설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멍게 껍질을 1 단 발효 균주로 발효하는 1 단 발효 단계; 및
    1 단 발효물을 멸균한 멸균 발효물을 2 단 발효 균주로 발효하는 2 단 발효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1 단 발효 균주가 효모균이고,
    상기 2 단 발효 균주가 고초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균이 Aureobasidium pullulans, Galactomyces Candidum, Pichia Cifferrii, Rhodosporidium Toruloides, Saccharomyces boulardii, Saccharomyces Cerevisiae Schizosaccharomyces Ellipsoids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초균이 Bacillus subtili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멍게 껍질 발효물이 항산화, 피부 재생, 주름개선, 피부 진정, 피부 탄력 및 항염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껍질 발효물.
  10. 제 1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멍게 껍질 발효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49130A 2023-04-14 2023-04-14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30A KR102627236B1 (ko) 2023-04-14 2023-04-14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9130A KR102627236B1 (ko) 2023-04-14 2023-04-14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236B1 true KR102627236B1 (ko) 2024-01-19

Family

ID=89717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9130A KR102627236B1 (ko) 2023-04-14 2023-04-14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23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739A (ko) * 1997-10-22 1999-05-15 최병대 미색류 껍질로부터 황산다당류의 추출 및 정제방법
KR100199284B1 (ko) 1996-11-08 1999-06-15 서경배 상어 뼈 또는 연골로부터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및 그의 나트륨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00708779B1 (ko) 2005-08-26 2007-04-17 (주)스피어테크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432A (ko) 2007-03-20 2008-09-24 박지호 멍게의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11787A (ko) * 2007-06-19 2008-12-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염증질환내 vcam 및 cox-2의 발현 억제제
JP2009297007A (ja) * 2008-06-16 2009-12-24 Makoto Yafuji 低分子コンドロイチン硫酸の製造方法
KR101274868B1 (ko) 2011-06-14 2013-06-18 박시향 멍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20130122188A (ko) * 2012-04-30 2013-11-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멍게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043B1 (ko) 2012-11-26 2016-05-23 주식회사 한국코스모 멍게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분말 팩의 제조 방법
KR20160092569A (ko) * 2015-01-27 2016-08-05 인코스(주)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9939B1 (ko) 2014-09-24 2016-08-22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1616A (ko)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효율이 개선된 전력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284B1 (ko) 1996-11-08 1999-06-15 서경배 상어 뼈 또는 연골로부터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및 그의 나트륨염을 제조하는 방법
KR19990033739A (ko) * 1997-10-22 1999-05-15 최병대 미색류 껍질로부터 황산다당류의 추출 및 정제방법
KR100708779B1 (ko) 2005-08-26 2007-04-17 (주)스피어테크 리포좀으로 안정화 된 우렁쉥이 또는 멍게 외막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432A (ko) 2007-03-20 2008-09-24 박지호 멍게의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11787A (ko) * 2007-06-19 2008-12-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염증질환내 vcam 및 cox-2의 발현 억제제
JP2009297007A (ja) * 2008-06-16 2009-12-24 Makoto Yafuji 低分子コンドロイチン硫酸の製造方法
KR101274868B1 (ko) 2011-06-14 2013-06-18 박시향 멍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20130122188A (ko) * 2012-04-30 2013-11-0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멍게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2194B1 (ko) 2012-04-30 2014-05-1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멍게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8043B1 (ko) 2012-11-26 2016-05-23 주식회사 한국코스모 멍게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결건조 분말 팩의 제조 방법
KR101649939B1 (ko) 2014-09-24 2016-08-22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9A (ko) * 2015-01-27 2016-08-05 인코스(주)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1616A (ko)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변환 효율이 개선된 전력 변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342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670166B2 (ja) 化粧料
EP2082731A1 (fr) Utilisation d&#39;une association d&#39;hespéridine et d&#39;un microorganisme pour agir sur la fonction barrière de la peau
KR100964018B1 (ko) 발효 푸코잔틴 제조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5365B1 (ko) 쌀배아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개선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JP2010138147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抗酸化剤、抗炎症剤、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KR102119825B1 (ko)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03951A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969067B2 (ja) 抗炎症剤、抗老化剤および美白剤
CN115038425B (zh) 包括多糖类、酵母提取物及具备益生菌特性的菌株发酵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改善用化妆料组合物
KR102553057B1 (ko) 피부 유래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CN111534455B (zh) 一种乳酸杆菌溶孢产物的制备及其在化妆品的应用
KR20160092564A (ko) 효모,유산균 2단 발효 용해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569A (ko) 효모, 유산균 2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4387903B2 (ja) パパイ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JP2016074647A (ja) 保湿効果を有する乳酸菌米発酵物
JP2024015051A (ja) プロフィラグリンmRNA発現促進剤、セリンパルミトイ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mRNA発現促進剤、及びヒアルロン酸合成酵素3mRNA発現促進剤
KR101194226B1 (ko) 파프리카 효모발효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4218B1 (ko) 복합유산균 파쇄액 및 마치현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8193336A (ja) 皮膚外用剤
KR102627236B1 (ko) 바이오 전환 기술을 접목시킨 멍게 껍질 발효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주름개선,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JP2006075083A (ja) ゴーヤから得られる発酵物
KR102541770B1 (ko) 엘더꽃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7837A (ko) 커피박 및 커피콩 분말 발효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비누 조성물
JP2006089408A (ja) レモンから得られる発酵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