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7954A -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7954A
KR20110057954A KR1020090114593A KR20090114593A KR20110057954A KR 20110057954 A KR20110057954 A KR 20110057954A KR 1020090114593 A KR1020090114593 A KR 1020090114593A KR 20090114593 A KR20090114593 A KR 20090114593A KR 20110057954 A KR20110057954 A KR 20110057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rry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aging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이찬우
황준영
이종석
채병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1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7954A/ko
Publication of KR2011005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과 셀프 나노리포좀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천연물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로니아 베리 * 클라우드 베리 * 허니 베리 * 산자 나무 * 나한과 * 고지 베리 * 석류 * 애쉬 베리 * 블루 베리 * 라즈 베리 * 아사이 베리 * 체리 모야* 오디 * 망고스틴 * 항산화 * 피부탄력증진 * 활성 산소 * 세포 손상 보호 *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Anti-oxidant or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과 셀프 나노리포좀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천연물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키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에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에 의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화의 활성산소설은 1956년 Harm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활성산소들에 의하여 생체구성 성분들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손상들이 축적되어 노화와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활성 산소들에 의한 손상들은 생체가 가지고 있는 방어능력으로 대처되고 있지만, 방어가 100% 완전치 못하므로 일부 의 활성산소에 의한 유해작용을 받게 된다. 이 유해작용은 천천히, 경우에 따라서 수년 내지는 일생을 통하여 만성적으로 일어나 누적되어 피부의 세포나 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것이 곧 질병 및 노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피부는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 뿐만 아니라 일광 및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는 광노화(photoaging)가 많이 진행된다. 이러한 일광 및 자외선은 피부에 직접 닿을 경우 자유라디칼을 많이 발생시키며, 이러한 자유라디칼에 의해 피부의 항산화 방어체계는 손상을 받게 되어 주름을 증가시키고, 피부를 이완시키는 등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한편,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물질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을 이용하여 시험관 내(in vitro)에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는 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피부세포 또는 피부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계의 방어인자 활성을 측정하여 실제적인 보호효과를 측정하는 생체 내(in vivo) 시험 단계에는 아직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물질을 찾고자 연구를 매진하던 중, 자유라디칼 소거능 또는 세포 내 항산계 보호능이 뛰어난 천연물질을 선별하고, 이를 일반 열수 추출법 대신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과 셀프 나노리포좀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원료가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라디칼 소거능 또는 세포내 항산화계 보호능이 있는 천연물질을 안정화하여 항산화 및 항노화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아로니아 베리(Aronia berry), 클라우드 베리(Cloud berry), 허니 베리(Honey berry), 산자나무 추출물(Seabuckthorn),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luohan guo) fruit), 고지 베리(Goji berry), 석류(punica granatum L.), 애쉬 베리(Ash berry), 블루 베리(Blue berry), 라즈 베리(Rasp berry), 아사이 베리(Acaiberry), 체리모야(Cherimoya), 오디(mul berry) 및 망고스틴(Mangoste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집한 셀프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과 셀프 나노리포좀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천연물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기존의 열수추출법 대비 항산화,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어 우수한 항산화 효능 및 항노화 효능을 갖는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과 셀프 나노리포좀 기술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천연물질은 아로니아 베리, 클라우드 베리, 허니 베리, 산자나무 추출물, 나한과, 고지 베리, 석류, 애쉬 베리, 블루 베리, 라즈 베리, 아사이 베리, 체리모야, 오디 및 망고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물질을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능이 우수한 물질을 추출하는 추출 작업을 선별한 결과 일반적인 열수추출법 대비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과 셀프 나노리포좀 기술을 이용한 기술이 항산 화, 항노화 효능 물질의 함량이 높았고 항산화, 항노화 효능이 훨씬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법은 하기와 같다.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은 기체나 열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압력매개체로 수압을 이용하여 각종 식품류, 화장품 원재료 등을 초고압으로(1,000 기압, 100 MPa) 압력을 가해 초저분자로 액화 처리하는(엑기스화)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하게 되며 식물세포 내까지 물이 침투하여 초저분자의 효능물질들을 추출하게 되는데 실온에서의 추출로 영양소 파괴가 적고, 저분자인 아미노산과 펩타이드가 다량 추출되며 저온공법으로 천연의 색을 유지하고, 열처리로 인한 변취, 특이취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때 레시틴 성분을 같이 넣어 주게 되면 초고압으로 추출되면서 별도의 공정 없이 셀프 리포좀을 만들게 되는데 고온에서 만들어지는 일반 리포좀은 열에 매우 민감하여 제조과정에서 많은 손실이 발생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을 이용한 셀프 리포좀은 저온 공정(20℃)에서 고압만으로 수백 나노의 리포좀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투과율을 높이고 유효 성분이 피부에 안정하게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천연물질을 초고압 장치에 넣은 후에 1∼3시간 압력을 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때 레시틴(리포이드社, Germany)을 첨가하여 천연물질의 셀프 나노 리포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초고압 저분자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셀프 나노 리포좀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 중량%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성분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없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력으로 인해 항산화,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폼(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 으로 도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셀프 나노 리포좀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아로니아 베리, 클라우드 베리, 허니 베리, 산자나무 추출물, 나한과, 고지 베리, 석류, 애쉬 베리, 블루 베리, 라즈 베리, 아사이 베리, 체리모야, 오디 및 망고스틴을 각각 건조중량 100 g씩 준비하고, 상기 천연물질에 레시틴 10 g(리포이드社, Germany)을 넣은 후 초고압 저분자 추출 장치에서 3시간 동안 1,000 기압, 100 MPa으로 가압하여 각 천연물질의 셀프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일반 추출물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아로니아 베리, 클라우드 베리, 허니 베리, 산자나무 추출물, 나한과, 고지 베리, 석류, 애쉬 베리, 블루 베리, 라즈 베리, 아사이 베리, 체리모야, 오디 및 망고스틴을 건조 중량 100 g씩 준비하고, 이를 각 플라스크에 넣 고 증류수 3 ℓ로 1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하여 일반 천연물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자외선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96웰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4 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18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웰에 50 ㎕ 인산완충염액(PBS)을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UV B) 램프(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keratinocyte growth media, Clonetics, BioWhittacker社, MD, USA) 20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처리한 후, 16∼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일정 시간 경과 후, 배양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16∼20시간 동안 세포 손상에 지표 효소인 젖산탈수소화효소(LDH: lactate dehydrogenase)의 양을 정량하였다. 배양 상층액 중의 LDH 양은 프로메가社(Madison, WI, USA)의 키트(Cytotox 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T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LDH 분비율(%)은 대조군인 비히클을 100으로 고정하여 각 군의 상대적인 값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었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서, 일반 추출법을 이용한 비교예 1 처리 시 자외선에 의한 사람의 각질세포 손상에 따른 LDH의 증가를 어느 정도까지만 억제할 수 있었지만, 실 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을 처리한 경우에는 자외선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비히클)과 유사한 정도까지 LDH 증가를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하여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반응성 활성 산화물의 생성 억제 효과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24웰 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16시간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2시간 뒤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웰에 100 ㎕의 인산완충염액(PBS)을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UV B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 3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 20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슈퍼푸르츠 셀프 나노 리포좀과 일바적인 추출을 이용한 슈퍼푸르츠 추출물을 다시 처리하고 일정 시간대별로 자외선 자극에 의해 증가한 반응성 활성 산화물(ROS)의 양을 정량하였다. ROS의 양은 ROS에 의해 산화되는 DCF-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의 형광을 측정하는 Tan의 방법을 참고하여 정량하였으며(Tan et al., 1998, J. Cell Biol. Vol. 141, pp. 1423∼1432),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에서, 일반적인 추출 방법을 이용한 비교예 1 처리 시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ROS의 생성 증가를 어느 정도만 억제할 수 있었지 만,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을 처리한 경우에는 ROS의 생성 증가를 가장 많이 억제시켰다.
그러므로,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하여 ROS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여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의 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세테아릴알코올 1.7 1.7
2.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3.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5 1.5
4. 피토스쿠알란 3 3
5.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3 3
6. 디메치콘 0.5 0.5
7. 폴리소르베이트 60 1 1
8.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 0.4
9. 메틸파라벤 0.1 0.1
10. 프로필파라벤 0.05 0.05
11. 정제수 잔량 잔량
12. 부틸렌글리콜 5 5
13. 폴리아크릴레이트-13* 폴리이소부텐* 폴리소르베이트 20 0.7 0.7
14.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 1 -
15. 비교예 1의 추출물 - 1
<제조방법>
1) 상기 성분 11∼15를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상기 성분 1∼10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상기 1)의 수상 파트에 상기 2)의 유상 파트를 투입하고 7,200 rpm에서 6분간 호모믹싱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시험예 3]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의 탄력 증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제형예 1및 비교제형예 1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결과값은 피부 탄력 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을 의미한다.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시험물질 피부탄력효과
제형예 1 0.41±0.10
비교제형예 1 0.22±0.09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은 일반 추출법을 이용한 비교제형예 1 대비 매우 높은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과 비교예 1의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 손상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셀프 나노 리포좀과 비교예 1의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의 활성산화물(ROS) 생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아로니아 베리(Aronia berry), 클라우드 베리(Cloud berry), 허니 베리(Honey berry), 산자나무 추출물(Seabuckthorn),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luohan guo) fruit), 고지 베리(Goji berry), 석류(punica granatum L.), 애쉬 베리(Ash berry), 블루 베리(Blue berry), 라즈 베리(Rasp berry), 아사이 베리(Acaiberry), 체리모야(Cherimoya), 오디(mul berry) 및 망고스틴(Mangoste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집한 셀프 나노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질 추출물은 1,000 기압 및 100 MPa 압력을 가해 초저분자로 액화 처리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셀프 나노 리포좀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 산소 억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 손상 보호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14593A 2009-11-25 2009-11-25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7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93A KR20110057954A (ko) 2009-11-25 2009-11-25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93A KR20110057954A (ko) 2009-11-25 2009-11-25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54A true KR20110057954A (ko) 2011-06-01

Family

ID=4439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93A KR20110057954A (ko) 2009-11-25 2009-11-25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795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41B1 (ko) * 2011-06-13 2013-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7021B1 (ko) * 2012-12-31 2013-07-17 주식회사 제닉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35342B1 (ko) * 2013-06-21 2015-07-0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4116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어람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90695A1 (ko) * 2017-04-14 2018-10-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62080B1 (ko) 2022-03-31 2022-11-03 (주)바이오코스텍 하스카프를 포함하는 천연물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79615A (ko) * 2021-11-29 2023-06-07 (주)다럼앤바이오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141B1 (ko) * 2011-06-13 2013-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7021B1 (ko) * 2012-12-31 2013-07-17 주식회사 제닉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한 항산화, 항염증 및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35342B1 (ko) * 2013-06-21 2015-07-0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4116A (ko)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어람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8190695A1 (ko) * 2017-04-14 2018-10-18 한국 한의학 연구원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79615A (ko) * 2021-11-29 2023-06-07 (주)다럼앤바이오 새싹보리 추출물, 비타민나무 열매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2080B1 (ko) 2022-03-31 2022-11-03 (주)바이오코스텍 하스카프를 포함하는 천연물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766B1 (ko) 덴드로븀 크리소톡숨 추출물 및 항노화제로서 이의 화장품학적 용도
KR20110057954A (ko)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US11213479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ssionflower extract and edelweiss cells, and uses
EP3102181B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é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é
KR20140060928A (ko)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127240A (ko) 서바이빈 발현의 자극에 의한 항-노화 미용 관리 방법
KR20140016764A (ko) 커피 발효물 및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30138677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62039B1 (ko)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3412B1 (ko) 유기농 에버라스팅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저분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4502A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5770426B2 (ja) 一重項酸素消去剤、並びに該一重項酸素消去剤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82635A (ko) 적송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210060801A (ko) 식물 복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22476A (ko) 더위지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9613A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3983A (ko) 레틴알데히드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질환 감소용 조성물
EP3052198B1 (fr)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39;hemerocalle et utilisations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