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9613A -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9613A
KR20110029613A KR1020090087367A KR20090087367A KR20110029613A KR 20110029613 A KR20110029613 A KR 20110029613A KR 1020090087367 A KR1020090087367 A KR 1020090087367A KR 20090087367 A KR20090087367 A KR 20090087367A KR 20110029613 A KR20110029613 A KR 20110029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llia
skin
citru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340B1 (ko
Inventor
김지은
채병근
이종석
안성연
신진섭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8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34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함유하여 주름과 피부결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 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는 효능이 우수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백 * 녹차 * 유채꽃 * 감귤 * 백련초 * 항산화 * 피부 탄력 증진 * 피부결 개선 * 세포 손상 보호 *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Anti-oxidating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함유하여 주름과 피부결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고 세포의 손상을 보호하는 효능이 우수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에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에 의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화의 활성 산소설은 1956년 Harm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활성산소들에 의하여 생체구성 성분들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손상들이 축적되어 노화와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활성 산소들에 의한 손상들은 생체가 가지고 있는 방어능력으로 대처되고 있지만, 방어가 100% 완전치 못하므로 일부의 활성산소에 의한 유해작용을 받게 된다. 이 유해작용은 천천히, 경우에 따라서 수년 내지는 일생을 통하여 만성적으로 일어나 누적되어 피부의 세포나 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것이 곧 질병 및 노화의 원인이 된다.
염증의 발현은 체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일련의 반응이지만, 임상적으 로는 발적, 종창, 발열, 동통 및 기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조직학적으로 염증부위를 관찰하면, 세포의 괴사, 모세혈관의 확장, 부종과 동시에 호중구, 단구를 주체로 하는 염증성 세포의 침윤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상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일련의 순서를 갖고 출현하는 것이다. 또 최근에는 이 과정에 작용하는 많은 화학매개체(화학적 매개물질)와 그 작용이 계속 알려지고 있다. 염증의 과정을 시간적으로 보면 혈류 및 혈관크기의 변동에 의한 혈역동학적 변동(Hemodynamic changes)과 염증세포의 삼출, 또한 결합조직의 증식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 중 ROS와 연관되어 연구가 되고 있는 부분은 혈역동학적 변동으로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염증시에는 혈소판 활성물질(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이 분비되어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며, 산화질소(nitric oxide) 합성이 증가되며 혈관이 확장되고, 부착분자들이 발현되어 백혈구의 부착 및 이동에 관여한다. 뿐만 아니라 급성 염증시에는 내피세포의 표면의 성질이 변화한다. 상기의 일련의 반응과 ROS를 연관시킨 연구를 많이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생체에서 항산화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음식이나 보충제로 항산화제를 섭취할 경우 피부까지 도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각을 감싸고 있어 외부 환경과 자외선 등의 유해 요인에 늘 직접 맞닿아 있으면서도, 생명과 직결되지는 않는 말초 기관이기 때문에 체내에 비타민이나 항산화제가 부족하게 되면 가장 먼저 피부에 결핍이 오기 쉽다. 즉, 인체의 입장에서 오장육부 등 생존에 중요한 장기에 먼저 필요한 성분을 공급한 후 남는 것을 피부에 보내주게 된다. 그러므로 피부에도 항산화력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서의 항산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면 화장품에 대한 피부 항산화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를 강하게 충족시키게 되어 피부 노화에 대한 다양한 효능, 특히 항산화, 피부결 및 탄력 개선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항산화 효과가 높은 물질을 찾고자 연구를 매진하던 중, 식물성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뛰어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피부결과 피부 탄력을 개선해 주고 피부 세포 손상을 억제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주름과 피부결을 개선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자외선 및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세포 손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은 동백(Camellia japonica),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 감귤(Citrus unshiu) 및 백년초(Opuntia cocconellifera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 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동백(Camellia japonica)은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소 교목이지만, 생방 속도가 느려 흔히 관목처럼 보인다. 보통키는 약 7m이지만, 생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에서 자란 동백나무 중에는 높이가 18m, 흉고의 둘레가 2.8m 인 것도 있다. 종자는 검은 갈색의 타원체로서 늦은 가을에 성숙한다. 이러한 동백의 씨를 압착하여 얻는 불건성유가 동백 기름이다. 이 기름은 머릿기름, 정밀기계유, 의약계에서는 올리브유의 대용으로 쓰여졌으며, 정제한 기름은 요리용으로 쓰여 왔다. 특히, 동백기름은 예로부터 부녀자들의 머릿기름으로 사랑을 받아왔다.
녹차(Camellia sinensis leaf)는 동백나무과의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insis)의 싹이나 잎을 이용하여 차엽속에 존재하는 산화 효소를 화열(火熱)이나 증기로 처리함으로써 효소를 실활시켜 제조한 것이다. 녹차는 기원전부터 기호차로서 음용 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녹차에 함유된 여러 성분들의 약리적인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가치가 재인식되고 있다. 폴리페놀,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C 등의 유효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숙취 및 니코틴 해독작용, 피로회복, 강심작용,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녹차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에 의한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노화작용, 중금속 해독 작용, 충치 예방 및 구취제거 작용 등의 효과들이 입증되면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은 겨자과 두해살이풀로서 꽃은 3~4월에 총상꽃이 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높이가 80~130cm이고,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다.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진다.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가죽같은 질감)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종자에는 38~45%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15~20%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고,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연고기제, 유성주사약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 쓴다.
감귤(Citrus unshiu)은 관상용, 식용, 약용 및 향신료 등에 널리 이용되는데, 열매 껍질을 귤피, 진피, 청귤피, 청피 및 등자피라고 하고 씨앗을 귤핵이라고 하여 예로부터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주로 순환계 질환과 각종 체증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에는 감귤 껍질이 음식을 소화시키고 속을 좋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향약대사전에는 소화를 시키고 식중독인 경우에는 이를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감귤은 비타민(vitamin) B1, B2, C 및 각종 유기산(organic acid)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항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리모노이드(limonoid) 및 혈관 강화 및 간의 해독 작용, 항암, 항염 및 항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헤스페리딘(hesperidine)이 풍부한 것으 로 알려져 있다.
백년초(Opuntia cocconellifera fruit)는 선인장의 일종으로서, 그 열매는 붉은색을 띠고 신맛을 지니고 있다.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등의 미네랄 성분과 노화 예방 효과가 우수한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하고, 비타민C의 함량은 알로에의 5배에 달할 정도로 높으며, 식이섬유 함유율은 30%로 일반 과일류나 신선 채소류에 비하여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제주도 지방 기념물 35호로 지정된 백년초의 원산지는 멕시코이며, 오래 전부터 멕시코만에서 해류를 타고 밀려와 제주도의 해변가 모래밭이나 바위틈에서 서식, 정착하게 되었다. 백련초는 선인장의 꽃으로 백년을 산다하여 이름이 백련초이듯이 그 효능은 탁월하다. 백련초는 99%가 넘는 수분을 지닌 둥근 몸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오랜 건조에도 견딜 수 있는 식물이다. 이 탁월한 수분보유능력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주면서 피부가 윤기나고 촉촉할 수 있게 도와준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공지의 방법으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과 1,3-부틸렌글리콜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추출온도는 40℃가 바람직하며, 6~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현재까지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은 서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각 꽃의 추출물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때 항 산화 작용, 피부탄력 증진 작용, 피부결 개선 작용, 세포 손상 보호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공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천연물을 원료로 하여 다양한 추출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항산화 효과 및 피부탄력과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한 결과,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혼합 사용한 경우가 훨씬 항산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없고, 30중량%를 초과하면 함량 증가에 비해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서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항산화력으로 인해 피부결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피부 세포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결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세포 손상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 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동백꽃, 녹차, 유채꽃, 감귤 또는 백련초는 각각 ㈜바이오랜드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건조 중량 100g을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3ℓ 로 1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후, 여과를 통해 찌꺼기를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자외선에 의한 세포 손상 보호 효과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96웰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18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웰에 50㎕ 인산완충염액(PBS)을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UV B) 램프(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keratinocyte growth media, Clonetics, BioWhittacker社, MD, USA) 20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백련초 추출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처리한 후, 16~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일정 시간 경과 후, 배양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16~20시간 동안 세포 손상에 지표 효소인 젖산탈수소화효소(lactate dehydrogenase, LDH)의 양을 정량하였다. 배양 상층액 중의 LDH 양은 프로메가社(Madison, WI, USA)의 Cytotox 96 non-radioactive cytotoxicity assay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LDH 분비률(%)은 대조군인 비히클을 100으로 고정하여 각 군의 상대적인 값을 계산하여 얻을 수 있었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또는 백련초 추출물을 단독 처리시 자외선에 의한 사람의 각질세포 손상에 따른 LDH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지만,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자외선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비히클)과 유사한 정도까지 LDH 증가를 감소시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하여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실험예 2] 반응성 활성 산화물의 생성 억제 효과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24웰 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4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16시간 후,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백련초 추출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처리하였다. 2시간 뒤에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웰에 100㎕의 인산완충염액(PBS)을 넣었다. 이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 B(UV B) 램프(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社,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각질형성세포 배양액 20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백련초 추출물을 다시 처리하고 일정 시간대별로 자외선 자극에 의해 증가한 반응성 활성 산화물(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양을 정량하였다. ROS의 양은 ROS에 의해 산화되는 DCF-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의 형광을 측정하는 Tan의 방법을 참고하여 정량하였으며(Tan et al., 1998, J. Cell Biol. Vol. 141, pp1423~1432),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또는 백련초 추출물들을 단독 처리시 자외선에 의해 피부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ROS의 생성 증가를 억제할 수 있지만,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ROS의 생성 증가를 가장 많이 억제시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은 자외선과 같은 외부 자극에 대하여 ROS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7]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크림 제형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7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년초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1.세테아릴알코올 1.7 1.7 1.7 1.7 1.7 1.7 1.7 1.7
2.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1.5
3.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5 1.5 1.5 1.5 1.5 1.5 1.5 1.5
4.피토스쿠알란 3 3 3 3 3 3 3 3
5.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3 3 3 3 3 3 3 3
6.디메치콘 0.5 0.5 0.5 0.5 0.5 0.5 0.5 0.5
7.폴리소르베이트 60 1 1 1 1 1 1 1 1
8.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4 0.4 0.4 0.4 0.4 0.4 0.4 0.4
9.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0.1
10.프로필파라벤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1.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12.부틸렌글리콜 5 5 5 5 5 5 5 5
13.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0.7 0.7 0.7 0.7 0.7 0.7 0.7 0.7
14.동백 추출물 1 1 - - - - 1 1
15.녹차 추출물 1 - 1 - - - 1 -
16.유채꽃 추출물 1 - - 1 - - 1 -
17.감귤 추출물 1 - - - 1 - - 1
18.백련초 추출물 1 - - - - 1 -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7의 제조방법>
1) 상기 11~18 성분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수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2) 상기 1~10 성분을 70℃까지 가열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상 파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1)의 수상 파트에 상기 2)의 유상 파트를 투입하고 7200rpm에서 6분간 호모믹싱하였다.
4) 상기 3)의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시험예 3] 피부결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7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지정된 눈가 부위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7의 크림을 각각 도포하게 한 후, 각 피검자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육안평가)
시험 물질 주름 개선
효과 우수
주름 개선
효과 약간
주름 개선
효과 없음
유효율(%)
실시예1 11 7 2 90
비교예1 9 7 4 80
비교예2 8 7 5 75
비교예3 7 7 6 70
비교예4 8 7 5 75
비교예5 7 8 5 75
비교예6 10 7 3 85
비교예7 9 8 3 85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5보다 추출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한 비교예 6~7의 주름 개선 효과가 배가되었지만,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함께 혼합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의 혼합물은 피부 주름을 개선하여 피부결을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시험예 4]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실제 사람의 피부에서의 탄력 증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7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25~35세 여성 20명을 아침 저녁 매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결과값은 피부 탄력 측정기의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을 의미한다.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시험 물질 피부 탄력 효과
실시예 1 0.38±0.10
비교예 1 0.28±0.09
비교예 2 0.25±0.03
비교예 3 0.26±0.09
비교예 4 0.22±0.07
비교예 5 0.24±0.08
비교예 6 0.31±0.07
비교예 7 0.33±0.05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은 비교예 1~7 대비 가장 높은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의 혼합물은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 손상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의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의 활성산화물(ROS)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5)

  1. 동백(Camellia japonica), 녹차(Camellia sinensis leaf), 유채꽃(Brassica camperstris(rapeseed) flower), 감귤(Citrus unshiu) 및 백년초(Opuntia cocconellifera frui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결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탄력 증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세포 손상 보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 녹차, 유채꽃, 감귤 및 백련초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87367A 2009-09-16 2009-09-16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5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67A KR101135340B1 (ko) 2009-09-16 2009-09-16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367A KR101135340B1 (ko) 2009-09-16 2009-09-16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613A true KR20110029613A (ko) 2011-03-23
KR101135340B1 KR101135340B1 (ko) 2012-04-17

Family

ID=4393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367A KR101135340B1 (ko) 2009-09-16 2009-09-16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0213A (zh) * 2013-05-10 2013-10-02 杭州普丽美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茶多酚脂溶性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60054683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WO2023156064A1 (en) * 2022-02-17 2023-08-24 The Boots Company Plc Antioxidant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872B1 (ko) * 2016-01-22 2018-01-25 배용태 엽록소가 제거된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238A (ja) * 2000-01-19 2001-07-24 Pokka Corp 紫外線吸収剤及びそれを含有した皮膚外用剤
JP5095893B2 (ja) * 2001-09-13 2012-12-12 丸善製薬株式会社 活性酸素消去剤
JP2005112780A (ja) * 2003-10-07 2005-04-28 Kyoei Kagaku Kogyo Kk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む化粧料
KR100556524B1 (ko) * 2003-12-12 2006-03-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동백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0213A (zh) * 2013-05-10 2013-10-02 杭州普丽美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茶多酚脂溶性微胶囊及其制备方法
KR20160054683A (ko) * 2014-11-06 2016-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WO2023156064A1 (en) * 2022-02-17 2023-08-24 The Boots Company Plc Antioxida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340B1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135340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749B1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항노화 활성,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30243B1 (ko) 글루타치온, 미세침, 아세틸헥사펩타이드, 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 항노화, 항산화 효능의 화장료 조성물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8320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386118B1 (ko) 싸리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볼륨 증가용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191A (ko) 딸기나무 열매 추출물의 화장적 용도
KR2017013743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90056522A (ko) 기실, 원보초, 상기생, 여정자 및 지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유 라디칼 소거작용을 갖는화장료 조성물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0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20120006804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