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369A -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369A
KR20120085369A KR1020110006640A KR20110006640A KR20120085369A KR 20120085369 A KR20120085369 A KR 20120085369A KR 1020110006640 A KR1020110006640 A KR 1020110006640A KR 20110006640 A KR20110006640 A KR 20110006640A KR 20120085369 A KR20120085369 A KR 2012008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jujube
acid
grape
fermentation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2944B1 (ko
Inventor
손준호
박태순
정미송
이인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1000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9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추 또는 포도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갖는 조성물로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skin-whitening,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juice of jujube and grape}
본 발명은 대추 또는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문헌 2] Aroca, P., et al.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문헌 3] Chin, J. E., et al. 2005.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on tyrosinse gene expres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84-1288.)
[문헌 4] Oikarinen A, Karvonen J, Uitto J, Hannuksela M.,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 . 2(1), pp.15-26, Review, 1985.
[문헌 5] Hirobe T., Role of keratinocyte-derived factors involved in regulating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ammalian epidermal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 18(1), pp.2-12. Review, 2005.
[문헌 6] McKay IA, Leigh IM., Epidermal cytokines and their roles in cutaneous wound healing. Br J Dermatol. 124(6), pp.513-8, Review, 1991.
[문헌 7] Kim HH, Cho S, Lee S, Kim KH, Cho KH, Eun HC, Chung JH., Photoprotective and anti-skin-aging effects of eicosapentaenoic acid in human skin in vivo. J Lipid Res . 47(5),pp.921-30, 2006.
[문헌 8] Medina A, Ghaffari A, Kilani RT, Ghahary A., The role of stratifin in fibroblast-keratinocyte interaction. Mol Cell Biochem . 305(1-2), pp.255-64, Review, 2007.
[문헌 9] Wang XJ, Han G, Owens P, Siddiqui Y, Li AG., Role of TGF beta-mediated inflammation in cutaneous wound healing.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11(1), pp.112-7, Review, 2006.
[문헌 10] Traidl-Hoffmann C, MI, Ring J, Behrendt H., Impact of desloratadine and loratadine on the crosstalk between human keratinocytes and leukocytes: Implications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tihistamines. Int Arch Allergy Immunol . 140(4), pp.315-20, 2006.
현대인들은 자외선, 스트레스 등의 여러 가지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각종 피부 트러블 유발로 기미, 주근깨, 피부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촉진한다(1.Voegeli, R. 1996. Elastase and typtase determination on human skin surface. Cosmetic &Toiletries. 111, 51-58.). 피부의 색소 침착은 멜라닌 색소이 생합성에서 tyrosinase 효소를 비롯하여 DHICA oxidase(TRP-1)등의 L-tyrosine을 DOPA(3,4-dihydroxyphenyla-lanine)으로 DOPA에서 DOPA quinone으로 초기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Aroca, P., et al. 1993. Melanin biosynthesis patterns of following hormonal stimulation. J. Biol Chem 268, 25650-25655.). 이를 바탕으로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합성의 억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천연물 탐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어성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티로시나제(tyrosinase) 유전자 발현 억제 효과(3. Chin, J. E., et al. 2005.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extracts on tyrosinse gene express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84-1288.) 등 천연물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그 외 현재 알려져 있는 항산화 및 미백원료는 아르부틴(Arbutin), 코지산(Koj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등의 물질이 대표적이고 상백피, 닥나무, 감초 등의 식물 추출물이 널리 알려져 있다.
환경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 증가 및 각종 산화성 물질의 증가는 피부 손상과 단백질의 합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세포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는 피부 탄력의 감소, 피부 주름살의 증가, 기미와 주근깨 생성 등 피부 미용에 치명적인 현상들을 유발한다. 피부 탄력성은 진피조직의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에 의해 유지되며, 콜라겐(collagen)을 합성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 섬유아세포 기능은 각종 성장인자(growth factor) 뿐만 아니라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나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와 같은 피부 세포들에서 분비되는 싸이토카인(cytokine)에 의해서도 조절된다(2-3). 정상적인 상태에서 유리되는 케라티노사이트의 TGF-β, TβRII, SGad3는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로 부터 프로콜라겐(procollagen), 피브릴린(fibrillin-1), tropoelastin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라겐 생성을 증가시키며, MMPs의 발현을 억제하여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5).
UV에 의해 케라티노사이트가 손상되면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외에도 TNF-α(tumor necrosis factor), PGE2 (prostaglandin E2),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GSF(granulocyte stimulating factor), IL-1(interleukin-1), IL-6, IL-8, IL-10 등의 유리가 유발한다(6-7). 이중 α-MSH와 PGE2는 멜라노사이트를 자극하여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여, 이 멜라닌은 피부 세포의 항산화 작용을 증강시켜 피부세포가 자외선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어하게 한다(8). IL-1, TNF-α(tumor necrosis factor) 등은 fibroblast에 작용하여 procollagen 발현을 억제하며, MMP-1 (martrix metalloproteinase-1), MMP-2, MMP-3,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등의 활성을 증가시켜 콜라겐 분해를 촉진하게 된다(9-10). 또한, UV에 의해 직접적으로 섬유아세포 (fibroblast)가 상해를 받는 경우에도 콜라겐 관련 유전자는 억제되고 분해에 관련되는 MMPs류 발현은 촉진되어 주름살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진피 섬유아세포 (dermal fibroblast)의 증식과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거나, MMPs을 억제하는 것은 주름살을 생성을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화장품 시장은 이미 성숙 및 포화 수준에 도달하고 있어 앞으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며, 우리나라 고유의 국산 화장품 브랜드의 개발과 수출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의 약 80% 이상은 해외 수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품 원료 수입품 가운데 수입실적이 높은 원료 및 제품들은 각국이 특허 등의 방법을 통해 산업차원에서 보호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이를 수입할 경우 완제품으로 수입하거나 고가의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 실정이다. 다양한 식물 추출물과 전통 한약 효능을 접목한 한방화장품은 국내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수입에만 의존하던 화장품 원료를 국산으로 대체할 수 있고 시대적 트랜드인 웰빙에 부합하면서 소비자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 도모와 국제시장에서의 수출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만의 특색이 있는 한방 화장품 개발로 서양의 허브나 다른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과의 차별화가 되지 않으면 한방 화장품이란 의미도 점점 퇴색되어지리라 생각된다. 오랜기간 동안 발효식품을 사용하여온 우리민족에게 발효는 매우 친숙한 단어이다. 그리고 미생물을 이용한 국내 발효산업은 아미노산, 원료의약품 생산을 통하여 세계 최고의 기술, 인프라, 전문가 및 경험을 보유하고 있어 앞선 발효 기술과 경험을 활용하여 새로운 발효천연물 화장품 소재를 개발한다면 차별화된 소재를 사용하는 새로운 효능이 추가된 향장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한방 화장품이 시장에서 고유 브랜드로 정착되어 중국, 일본으로 진출하여 세계화로 되는 길을 마련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대한약전]에서는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갈매나무과 Rhamnaceae)의 열매이다. 효능으로는 비위(脾胃)를 자양하고 기혈을 북돋우며, 간장을 보호하고 근력을 강화하며, 얼굴색을 좋아지게 하고 구규(九竅)를 통하게 하며 십이경맥을 돕고 각종 약들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민간에서는“하루에 대추를 세 개씩 먹으면 늙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대추는 기를 북돋우고 비(脾)를 튼튼하게 하여 기혈의 생화를 촉진하므로 얼굴과 피부가 윤택해지는데, 특히 야윈 사람에게 좋으며, 성분은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각종 비타민, 유기산 및 무기염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매우 높아 과일 중에서도 첫 손가락에 꼽히는데, 사과, 복숭아에 비해 100배가량 많으며, 비타민E와 비타민P의 함량 또한 과일 중 으뜸이다.
동의보감에는 포도열매가 배고픔을 달래고 기운이 나게 하며 추위를 타지 않게 하고, 기혈과 근골을 보강하고 비위와 폐신을 보하여 몸을 든든하게 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한다고 한다. 포도에는 포도당과 과당 등 당분과 비타민 A, B, C 등이 풍부하고, 칼슘, 인, 철 등 무기질도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포함한 다양한 폴리페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포도의 껍질과 씨에 많은 폴리페놀 약효성분은, 동맥경화와 암, 노화와 피로 등을 초래하는 '활성산소'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 항산화작용을 한다. 그 외, 철분이 많아 빈혈에 좋고, 바이러스활동을 억제하여 충치를 예방하며, 신경효소의 활동을 증진시켜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의 퇴행성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발효란 미생물이 어떤 물질을 분해하고 변형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그 과정을 통해 미생물이 또 다른 물질을 생산해 내기도 한다. 우유에 발효균(미생물)을 넣어 두면 요구르트가 되고, 포도즙이 자체 발효되면서 포도주가 되듯이 발효과정을 거치면 유효성분이 분해되어, 그 미생물의 수가 증가하고 새로운 물질이 생겨난다.
이런 과정을 화장품에 적용시킨 것이 바로 발효 화장품이며, 피부에 좋은 물질을 미생물로 발효 시킨 후 얻은 대사산물을 화장품에 이용하는 것이다. 화장품 중에는 양을 많이 쓰면 독성이 생기거나, 혹은 분자 크기가 피부 세포의 틈새보다 커서 피부에 깊숙이 침투되지 못한 채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발효화장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해 준다. 발효를 통해 독성 성분들을 분해 및 변화시켜 그 독성을 최소화하고, 피부에 친숙한 물질로 변환시켜 적은 양으로도 피부에 큰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발효는 이제 유망한 21세기 바이오 축이 되고 있다. 전통적인 식품 이외에도 새로운 분야에 적용하려고 하는 연구가 우리나라를 필두로 해서 국제적으로 활발해 졌다. 기존의 전통식품도 더욱 발전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분야까지 적용을 하고 있다. 화장품과 다이어트제품, 의료, 공업, 농업, 축산, 수산분야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이러한 자연 발효 기법을 도입해 화장품 개발에 나서는 기업들이 늘고 있으며 발효 화장품의 주요 컨셉도 단순히 ‘발효 화장품’이 아닌 ‘자연 발효 화장품’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추 또는 포도를 알콜발효 및 초산발효를 시켜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등의 생리활성을 검증하여 화장품 조성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그 생리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추 또는 포도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대추는 Zizyphus jujuba R. Zizyphus jujuba R. Zizyphus jujuba var. inermis MILL.을 포함하고; 상기 포도로는 Vitis vinifera L. Vistis labrusca L., Vitis praecox Poit. &Turpin, Vitis moschata var. alba Poit. &Turpin, Vitis moschata var. rubra Poit. &Turpin, Vitis corinthiaca var. violacea Poit. &Turpin, Vitis alexandrina Poit. &Turpin, Vitis guilelmi Poit. &Turpin, Vitis bryoniaefolia Bunge, Vitis laxiflora A.Sav., Vitis densiflora A.Sav., 또는 Vitis promeryana T.Durand &B.D.Jacks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발효액은 알콜발효, 초산발효 또는 이들의 조합발효를 포함한 발효법을 수행한 발효액임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알콜발효는 20 내지 40℃ 온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하는 전배양과 20 내지 40℃ 온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하는 본배양을 거쳐 활성화된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Saccharomyces klutveri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 Saccharomycescoreanus , Saccharomycessake , Saccharomyces rouxii , 또는 Saccharomyces mali - duclaus를 약 10° 내지 30° 브릭스(brix)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브릭스(18brix) 범위의 대추 또는 포도 즙(18brix)에 1-30%(v/v), 바람직하게는 1-10%(v/v) 용량이 되도록 접종하여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 일 내지 2주일,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6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36시간 내지 56시간 동안 정치배양을 수행하여 알콜 발효액의 알콜 도수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및 당도가 약 1° 내지 20° 브릭스(18brix)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브릭스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식물 알콜발효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초산 발효는 식물 알콜발효액에 살균처리하여 활성화된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박터 (Acetobacter) 속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Acetobacter pasteurianus KFC 819(KCTC 10173BP), Acetobacter aceti, Acetobacter oxidans, Acetobacter vini acetati 또는 Acetobacter schutzembachii를 접종하여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 일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15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7시간 내지 13시간 동안 정치배양을 수행하여 초산 발효액의 초산 함량이 1-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및 당도가 당도가 약 1° 내지 20°브릭스(brix) 범위, 바람직하게는 5°내지 10° 브릭스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식물 초산발효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포도 또는 대추 원재료는 착즙한 포도 또는 대추 착즙물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발효액은 세척한 포도 또는 대추 원재료를 착즙기로 착즙하는 제 1단계; 상기 착즙물을 20 내지 40℃ 온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하는 전배양과 20 내지 40℃ 온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7일, 바람직하게는 6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하는 본배양을 거쳐 활성화된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Saccharomyces) 속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Saccharomyces klutveri DJ97, Saccharomyces cerevisiae , Saccharomycescoreanus , Saccharomycessake , Saccharomyces rouxii 또는 Saccharomyces mali - duclaus를 약 10 내지 30 브릭스(brix)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브릭스(18brix) 범위의 대추 또는 포도 즙(18brix)에 1-30%(v/v), 바람직하게는 1-10%(v/v) 용량이 되도록 접종하여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 일 내지 2주일,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6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36시간 내지 56시간 동안 정치배양을 수행하여 알콜 발효액의 알콜 도수가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및 당도가 약 1° 내지 20° 브릭스(18brix)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브릭스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식물 알콜발효액을 수득하는 제 2단계;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 알콜발효액에 살균처리하여 활성화된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아세토박터(Acetobacter) 속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Acetobacter pasteurianus KFC 819(KCTC 10173BP), Acetobacter aceti , Acetobacter oxidans , Acetobacter vini acetati 또는 Acetobacter schutzembachii를 접종하여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 일 내지 30일,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15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7시간 내지 13시간 동안 정치배양을 수행하여 초산 발효액의 초산 함량이 1-1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및 당도가 당도가 약 1° 내지 20° 브릭스(brix)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브릭스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식물 초산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대추 또는 포도 발효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발효액은 강력한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미백, 항균 및 항염효과를 갖는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발효액을 0.00001 내지 50% 중량%(w/w),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0% 중량%(w/w),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w/w)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갖는 화장품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 등과 같은 화장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발효액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추 또는 포도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갖는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며,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내, 항산화, 항염증,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알콜발효액 시료들의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Figure pat00001
JEF : 대추 알콜발효액;
Figure pat00002
GEF : 포도 알콜 발효액;
Figure pat00003
Vit.C : 아스코르빈 산을 의미하며, 결과는 평균(means) ± S.D. 3중 데이터를 기록함);
도 2는 초산 발효액 시료들의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Figure pat00004
JAF : 대추 초산 발효액;
Figure pat00005
GAF : 포도 초산 발효액;
Figure pat00006
Vit.C : 아스코르빈 산을 의미하며, 결과는 평균(means) ± S.D. 3중 데이터를 기록함);
도 3은 대추 알콜발효액 시료들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A :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B :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C : Escherichia coli KCTC 1039; D : Propioni bacterium acnes KCTC 3314를 의미함);
도 4은 포도 알콜발효액 시료들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A :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B :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C : Escherichia coli KCTC 1039; D : Propioni bacterium acnes KCTC 3314를 의미함);
도 5은 대추 초산 발효액 시료들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A :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B :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C : Escherichia coli KCTC 1039; D : Propioni bacterium acnes KCTC 3314를 의미함);
도 6은 포도 초산 발효액 시료들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A :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B :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C : Escherichia coli KCTC 1039; D : Propioni bacterium acnes KCTC 3314를 의미함);
도 7은 알콜발효액 시료들의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Figure pat00007
JEF : 대추 알콜발효액;
Figure pat00008
GEF : 포도 알콜 발효액;
Figure pat00009
Vit.C : 아스코르빈 산을 의미하며, 결과는 평균(means) ± S.D. 3중 데이터를 기록함);
도 8는 초산 발효 액 시료들의 산화질소(NO) 생성 억제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
Figure pat00010
JAF : 대추 초산 발효액;
Figure pat00011
GAF : 포도 초산 발효액;
Figure pat00012
Vit.C : 아스코르빈 산을 의미하며, 결과는 평균(means) ± S.D. 3중 데이터를 기록함);
도 9은 멜라노마 세포 (B16F10)에 대한 티로시나제 활성으로 유도된 발효에 대한 신호전달 물질 저해제들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A : 대조군(control); B : 대추 알콜발효액; C : 포도 알콜발효액; D : 대추 초산 발효액; E 포도 초산 발효액을 각각 의미하며, B16F10 세포가(1x106 cells) 1시간 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시작한 후에 세포들을 48시간동안 1000ppm 발효액으로 처리한 결과임);
도 10는 멜라노마 세포 (B16F10)에 대한 MITF 활성으로 유도된 발효에 대한 신호전달 물질 저해제들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A : 대조군(control); B : 대추 알콜발효 액; C : 포도 알콜발효액; D : 대추 초산 발효액; E 포도 초산 발효액을 각각 의미하며, B16F10 세포가(1x106 cells) 1시간 동안 무혈청 배지에서 시작한 후에 세포들을 48시간동안 1000ppm 발효액으로 처리한 결과임).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식물 발효 추출물의 제조
1-1. 식물 착즙액의 제조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에서 생산되는 대추 및 포도를 각각 1kg을 착즙기를 이용하여 착즙하여 18brix 당도의 대추 및 포도 착즙액 200ml를 (이하, 각각“JJ”및 “GJ"라 함)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식물 알콜 발효액의 제조
전배양(30℃에서 1일간)과 본배양(30℃에서 1일간)을 거쳐 활성화된 Saccharomyces klutveri DJ97(KCTC 8842P)를 상기 1-1 단계에서 얻은 대추 및 포도 착즙액(18brix)에 5% 용량(S. klutveri DJ97 배양액 10ml)이 되도록 접종하여 30℃에서 4일간 정치배양하면서 알콜발효를 하면서 자연적으로 생성된 알콜의 발효를 수행하여 알콜 발효액이 알콜 도수가 3?4% 및 8°?9°brix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대추 및 포도 알콜발효액(이하,‘각각‘JEF’및“GEF"라 함)를 수득하고 이를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3. 식물 초산 발효액의 제조
상기 1-2 단계에서 수득한 식물 알콜발효액에 살균처리하여(70 내지 90℃에서 5 내지 30분간 살균) 활성화된 Acetobacter pasteurianus KFC 819(KCTC 10173BP, 배양액 10ml)를 접종하여 30℃에서 10일간 정치배양하여 자연적으로 생성된 초산의 함량이 3?4% 및 7°?8°brix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대추 및 포도 초산발효액(이하, 각각“JAF”및“GAF"라 함)를 수득하고 이를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참고예 1. 시약 및 기기
1-1. 항산화능 수렴효과 및 항염증 측정 시약
항산화능과 항염증 측정 실험에 사용된 시약인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xanthine, xanthine oxidase, nitro blue tetrazolium(NBT) 등은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2. 항균력 측정에 사용된 균주 및 배지
항균력 검색 실험에서 사용한 공시 균주는 피부 상재균으로서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Escherichia coli KCTC 1039 및 여드름유발균으로서 Propioni- bacterium acnes KCTC 3314를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전 배양 및 본 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는 nutrient broth (NB), tryptic soy broth (TSB)를 Difco Lab. (Sparks, MD., U.S.A) 및 Gifu anaerobic medium(GAM, Nissui Co. Japan)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생육 저해환 측정을 위한 고체배지는 상기 액체배지에 agar를 첨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1-3.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 측정 시약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 측정에 사용된 시약인 mushroom tyrosinase, L-3,4-dihydroxyphenyl-alanine(L-DOPA), porcine pancreas elastase(PPE), N-succinyl-(L-Ala)3-p-nitroanilide, collagenase 및 4-phenylazobenzyloxycarbonyl-Pro-Leu-Gly-Pro-D-Arg 등은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immunofluorecense 측정에 사용된 c-fos, MMP-3, FGF-2, tyrosinase, MITF primary antibody와 goat anti-mouse IgG secondary antibody는 Santacruz(CA,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4. 세포 생존율 측정에 사용된 세포주 및 시약
세포 독성에 측정에 사용된 세포주는 melanoma 세포인 B16F10과 fibroblast 세포인 HS-68, macrophage 세포인 RAW 264.7을 Korean Cell Line Bank(KCLB)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세포 독성 측정 시약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fetal bovine serum(FBS), penicillin/streptomycin, trypsin 250, 0.4% trypan blue stain은 Gibco BRL Co.(Grand Island, USA) 및 Haemacytometer(Marienfeld, Germany)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MTT)는 Sigma Chemical Co.(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1-5. 실험에 사용된 기기
생리활성 실험에 사용된 기기는 UV/VIS spectrophotometer(Hitachi, Japan), rotary vacuum evaporator(Tokyo, Rikakikai Co. Japan), centri- fuge(Hitachi, Japan), freeze drier(Ilsin, Korea), microscope(Olympus, Japan), CO2 incubator(Hanbaek Scientific Co. Korea), BOD incubator (Hanbaek Co. Korea), autoclave(Hanbaek Scientific Co. Korea), ELISA reader(Bio Rad, Japan)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미백효과 측정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문헌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Yagi 등의 방법(Yagi A, Kanbara T, Morinobu N.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Aster glehni 1986;3981:517-519.)
반응구는 0.175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500μL에 10mM L-DOPA를 녹인 기질액 200μL 및 시료용액 100μ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110U/mL) 200μL을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75nm에서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냈고 저해율을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13
대추 및 포도 발효액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1 및 2과 같이 나타내었다. 대추의 알콜발효의 경우 1,000ppm에서 35%의 저해능을 나타내었으며, 초산발효는 5,000ppm에서 36%의 tyrosinase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포도의 알콜 및 초산발효액은 5,000ppm에서 각각 26% 이상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항균 효과 검증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Conner, D. E. and Beuchat, L. R. Sensitivity of heat-stressed yeasts to essential oils of plants. Appl. Environ. Microbiol. 47(2): 229-233, 1984.)
2-1. 균배양
Propionibacterium acnes의 배양을 위한 액체배지로는 gifu anaerobic medium(GAM)을 사용 하였으며, Escherichia coli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액체배지로는 nutrient broth(NB)를 사용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의 액체배지로는 tryptic soy broth(TSB)를 사용하였다. 고체배지는 상기 액체배지에 agar를 첨가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Propionibacterium acnes균은 CO2 incubater에 그 외 균주는 BOD incubator에서 37℃로 배양하였다.
2-2. 생육 저해환(Clear zone) 측정
항균력 측정은 paper disc법8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 백금이 취해서 액체 배지 10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다시 액체 배지 10mL에 균액을 0.1mL 접종하여 3?6시간 본 배양한 후 평판배지 1개당 균수가 약 1×107cells이 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filter paper disc (8mm, Tokyo, Japan)를 고체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0.05mL/disc가 되도록 시료를 농도별로 흡수시켜 37℃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disc 주위의 clear zone (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대추 알콜 및 초산발효액과 포도의 알콜 및 초산 발효액의 항균력을 검토하기 위하여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여드름 유발균인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clear zone 형성을 관찰한 결과 표 1 및 2 및 도 3- 6와 같이 나타내었다. 포도의 초산 발효액이 P. acne를 제외산 모든 균주에 대해서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대추의 초산 발효액은 E. coliS. epidermidis에 대해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S. epidermidis에 대하여 대추 및 포도의 초산발효액 5mg/disc에서 2개의 시료 모두 1.1c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고, S. aureus의 경우, 포도의 초산발효액이 5mg/disc에서 1.2cm를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에 대해서는 포도 알콜발효액이 5mg/disc에서 1.3cm를 나타내었으며, 대추 초산 발효액의 경우 2.5mg/disc과 5mg/disc에서 각각 1.2cm, 1.7c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또한, 포도 초산 발효액의 경우 2.5mg/disc과 5mg/disc에서 각각 1.2cm, 1.7c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알콜 발효보다 초산 발효가 항균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대추의 발효액 보다는 포도의 발효액이 넓은 생육저해환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실험예 3. 항염 효과 검증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들의 항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문헌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3-1. Nitric oxide 저해활성 측정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itrite 농도를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DMEM배지를 이용하여 5×104cells/ml로 조절한 후 12well plate에 접종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전 배양하였다. 세포에 5μg/ml의 LPS를 처리하고 1시간 뒤에 5, 10, 25, 50μg/ml의 감, 시체 및 인삼 추출물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의 상층액을 얻은 후 Griess 시약과 반응 시킨 후 ELISA 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NO 생성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RAW264.7 cell의 NO 생성억제 정도를 측정 생성억제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에 10μg/ml의 LPS를 처리 후 대추 및 포도의 발효액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생성되는 NO량을 측정한 결과 도 7- 8와 같이 나타내었다. LPS 처리군은 LPS 무처리군에 비하여 높은 NO발현양을 나타내었으며 각 분획층마다 NO 발현을 감소 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대추의 초산 발효액과 포도의 초산발효액의 경우 1000ppm의 농도에서 40%에 가까운 NO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대추 및 포도 알콜 발효액의 경우 같은 농도에서 35%에 가까운 NO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3-2. ImmunoFluorecense 검증
각 cell line을 Lab-tek chamber 8well에 세포를 1× 103개로 분주하여 24시간 안정시킨 뒤, 시료를 농도 별로 처리한다. 24?48시간이 지난 뒤 차가운 PBS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한 뒤 0.5% triton X-100을 10분간 가하여 세포를 투과하였다. 다시 PBS 완충용액으로 3회 세척한 뒤 1% BSA를 넣어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primary anti-body (MITF 1:100, tyroisnase 1:100, MMP-3 1:100, FGF-2 1:50)를 4℃에서 over night 하였다. 1차 반응이 끝나면 PBS로 3차 세척 후 alexa flour 568 goat anti-mouse IgG (1:1,000)을 첨가하고 차광하여 1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40분 후에 DAPI를 200μL씩 well에 첨가하였다. PBS 완충용액으로 4회 세척 후 chamber를 제거 한 후 slide에 mounting solution을 첨가 하여 커버 슬립으로 고정하여 관찰을 하였다.
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keratinocyte가 자극 받게 되면 α-melanocyte sitmulating hormone (α-MSH), adrenocorricotropic hormone (ACTH)4) 등의 신호전달물질을 melanocyte로 분비하게 된다. melanocyte의 melanocortin type 1 receptor (MC1R) 수용체에서는 이러한 자극을 받아들여 세포내 cyclic adenosine monophosphae (cAMP) level을 증가 시키게 된다. cAMP의 증가는 protein kinase A (PKA)의 활성화를 일으키고, 그에 다라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CREB)의 인산화를 증가시킨다. 인산화된 CREB는 melanocyte의 특정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pition factor (MITF)의 promoter에 결합하여 MITF의 발현을 일으키게 된다. MITF의 발현은 결국 melanin생성의 주요 효소인 tyrosinase, TRP-1, TRP-2의 promoter와의 결합이 촉진되어 melanin 생합성이 증가된다(47. Smith, LT, Holbrook, KA, Madri, JA. (1986) Collagen types Ⅰ,Ⅲ, and Ⅴ in human embryonic and fetal skin. Am J Anat. 175(4), 507-521.)
. B16F10 세포 내에서의 tyrosinase와 MITF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형광 염색법을 실시한 결과 도 9-10과 같이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경우 대추 및 포도의 발효액을 1000ppm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대추와 포도의 초산 발효액은 발효액을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시 약간의 형광 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하였으나, 알콜발효액은 형광 발현이 줄어들지 않음을 확인 하였다. MITF의 경우 대추의 초산발효가 대조군과 비교시 형광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6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7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18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19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Figure pat00020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21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Figure pat00022

Claims (5)

  1. 대추 또는 포도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은 알콜발효, 초산발효 또는 이들의 조합발효를 포함한 발효법을 수행한 발효액임을 특징으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발효는 전배양 및 본배양을 거쳐 활성화된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균주를 약 10° 내지 30° 브릭스(brix) 범위의 대추 또는 포도 즙(18brix)에 1-30% (v/v)용량이 되도록 접종하여 15 내지 50℃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 일 내지 2주일 동안 정치배양을 수행하여 알콜 발효액의 알콜 도수가 1 내지 20% 및 당도가 약 1° 내지 20° 브릭스(18brix) 범위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식물 알콜발효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 발효는 식물 알콜발효액에 살균처리하여 활성화된 유산균를 접종하여 15 내지 50℃ 온도 범위의 온도에서 1 일 내지 30일 동안 정치배양을 수행하여 초산 발효액의 초산 함량이 1-10%, 및 당도가 약 1° 내지 20° 브릭스(brix) 범위에 이르도록 발효를 수행하여 식물 초산발효액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06640A 2011-01-24 2011-01-24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29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640A KR101292944B1 (ko) 2011-01-24 2011-01-24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640A KR101292944B1 (ko) 2011-01-24 2011-01-24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369A true KR20120085369A (ko) 2012-08-01
KR101292944B1 KR101292944B1 (ko) 2013-08-02

Family

ID=4687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640A KR101292944B1 (ko) 2011-01-24 2011-01-24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9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4979A (ja) * 2016-01-13 2017-07-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N110420146A (zh) * 2019-08-30 2019-11-08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葡萄藤发酵产物提取物的制备方法及应用
CN114522126A (zh) * 2022-03-14 2022-05-24 上海花宫生物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葡萄泥膜的发酵工艺
KR20230145825A (ko) * 2022-04-11 2023-10-18 (주)엔피코리아 벤토나이트와 과일식초를 함유하는 미용 팩 화장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04B1 (ko) 2000-11-07 2003-02-07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분말 상의 포도 발효액 추출물을 함유하고 미백 및 주름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029490A (ja) * 2003-07-10 2005-02-03 Sosin: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活性酸素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KR20090111719A (ko) * 2008-04-22 2009-10-27 (주)더페이스샵코리아 대추 발효액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52244B1 (ko) * 2008-12-10 2016-08-30 (주)아모레퍼시픽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4979A (ja) * 2016-01-13 2017-07-20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N110420146A (zh) * 2019-08-30 2019-11-08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葡萄藤发酵产物提取物的制备方法及应用
CN114522126A (zh) * 2022-03-14 2022-05-24 上海花宫生物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葡萄泥膜的发酵工艺
KR20230145825A (ko) * 2022-04-11 2023-10-18 (주)엔피코리아 벤토나이트와 과일식초를 함유하는 미용 팩 화장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944B1 (ko) 201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3716B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954773B1 (ko) 낙엽송 부산물로부터 다량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정제 방법 및 이 유효성분을 함유한 조성물
KR100773411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KR101292944B1 (ko) 포도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
KR101243219B1 (ko) 울릉도 특산 나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93007B1 (ko) 대추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60121074A (ko) 만형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JP6823889B2 (ja) ピペロニル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老化又は皮膚再生用組成物
JP2015160821A (ja) 美白用組成物及び化粧料
KR101685121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6272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243220B1 (ko) 삼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87904B1 (ko) 비피더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130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1842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541843B1 (ko) 발효 밤송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균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20140135552A (ko) 밀기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0720655B1 (ko) 항산화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yk 생약 조성물
KR20230150701A (ko) 타트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외용 조성물
KR20210145098A (ko) 시린직산, 바닐릭산 및 에피카테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