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819B1 -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819B1
KR100975819B1 KR1020080019904A KR20080019904A KR100975819B1 KR 100975819 B1 KR100975819 B1 KR 100975819B1 KR 1020080019904 A KR1020080019904 A KR 1020080019904A KR 20080019904 A KR20080019904 A KR 20080019904A KR 100975819 B1 KR100975819 B1 KR 10097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composition
acid
methylhonoki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916A (ko
Inventor
김기호
김영희
김기수
한창성
김진국
김경태
고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8001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8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4-O-methylhonoki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4-O-methylhonokiol)은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래트 모낭의 육모 성장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므로 탈모 방지, 개선 및 모발 생장 촉진 활성을 갖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or 4-O-methylhonokiol for preventing baldness and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개선 및 모발 생장 촉진 활성을 갖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거쳐 성장, 탈락한다. 이러한 주기는 3 내지 6년에 걸쳐 반복하는데 이 결과 일일 평균 50 내지 200 여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탈모증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구명되지는 않았지만 예로부터, 대머리나 탈모의 원인으로는 모근이나 피지선 등의 기관에서 남성호르몬의 활성화, 모포 에의 혈류량의 저하, 피지 분비 과잉, 과산화물의 생성, 세균의 번식에 의한 두피 이상,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등에 따른 신경증, 피부에서의 2차 증상 또는 노화 등의 원인으로 거론되어 왔다. 탈모의 가장 전형적인 형태인 남성형 탈모증(AGA, Androgenetic alopecia)의 경우 유전적으로 안드로겐(Androgen) 호르몬에 의존적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진다(Paus et al., J. Invest. Dermatol., 113, pp523-532, 1999). 포유류의 대표적인 안드로겐 호르몬에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하T로 명칭)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이하DHT로 명칭)이 있는데 탈모가 일어나는 환자들에게서 DHT가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된다(Van Neste et al., Br. J. Dermatol., 143(4), pp804-810, 2000). 여기서 T는 5α-환원효소(5α-reductase)에 의해서 DHT로 전환되는데, 특히, 5α-환원효소로 존재하는 두 형태 중 제 2형 5α-환원효소에 의해 T에서 전환된 DHT가 진피유두 및 모낭에 점진적인 축소화(Miniaturization)를 가져온다고 알려지며(Wilson et al., Endocrin. Rev., 14, pp577-593, 1993 ; Whiting D., J. Am Acad. Dermatol., 28, pp755-763, 1993; Singlair et al., Br. Med. J., 317, pp865-886, 1998) 제 2형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환자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를 감소시켜 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Kaufman et al., J. Am Acad. Dermatol., 39, pp578-589, 1998; Trueb et al., Exp. Gerontol., 37, pp981-990, 2002; Van Neste et al., Br. J. Dermatol., 143(4), pp804-810, 2000).
최근까지 종래의 양모의 재료로 전기의 원인을 제거 또는 경감하는 작용을 지닌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배합되었다. 예를 들면, 남성호르몬의 활성화를 저해하 는 작용을 지닌 화합물로써 베타그리칠레친, 옥샌드론 및 싸이프로테올 등과 모포에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지닌 화합물로써 아세틸콜린, 멘톨,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등이다. 그러나 탈모나 발모의 기작은 복잡하여 단순히 남성호르몬의 활성화를 저해하거나 모포의 혈류량을 증가하는 것만으로는 대머리나 탈모를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결국 현재까지 탈모증을 완화시키고 발모를 촉진시키며 두피의 자극을 완화 또는 치료하는데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제제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실정이다.
후박(厚朴, 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은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에서 오랜 기간 건위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후박 잎은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도 사용되어져 왔으며(정보섭,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469, 1998), 후박나무에는 알파, 베타-유데스몰(α,β-eudesmol), 마그놀올(magnolol), 호노키올(honokiol), 오보바톨(obovatol) 등이 포함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생약학연구회, 현대생약학, 학창사, p.567, 2003). 현재 국내에서 쓰이고 있는 후박은 목련과에 속하는 중국산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Magnolia officinalis var. biloba)과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 교목인 일본산 후박(Magnolia obovata), 그리고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인 한국산 후박(Machil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var. obovata)이 있으며 이것은 각각 산지에 따라 후박 또는 후박의 대용품으로 사용된다(Lee S. R. et al., Kor. J. Pharmacogn., 17, p199, 1986). 최근 국내에서 후박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마그놀올 성분의 효능을 활용한 당뇨억제제 특허(김진숙 외, 대한민국특허 출 원번호 제2003-0039241호)가 출원된 바 있으며, 오보바톨 성분을 활용한 항불안 억제제 특허(홍진태 외,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2005-0037854호)가 출원된바 있다. 대한민국특허 출원번호 제2003-0027093호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국내산 후박인 토후박(Machilus thunbergii)의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가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목련과에 속하는 중국산 후박나무(Magnolia officinalis) 4-O-메틸호노키올에 의한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탈모 방지 및 발모에 우수한 효과를 갖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4-O-methylhonokiol)이 탈모 방지, 개선 및 모발 생장 촉진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 방지, 발모 개선 및 모발 생장 촉진 활성을 갖는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4-O-메틸호노키올(4-O-methylhonokiol)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하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4-O-메틸호노키올(4-O-methylhonoki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육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화장료 조성물 또는 화장료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15778000-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에있어서, 상기 4-O-메틸호노키올은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후박나무(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로부터 추출 정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O-메틸호노키올은 마그놀올과 함께 항균효과가 있고, 모기 유충 및 브라인 슈림프(brine shrimp)에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Nitao J. K. et al., Phytochemistry, 30, pp2193, 1991), 신경보호 효과 및 신경영양 효과(neurotrophic effect)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Tomoyuki E. et al.,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14, p2621, 2004).
상기 후박 추출물은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의 줄기껍질, 종자, 잎 또는 뿌리, 바람직하게는 줄기껍질 또는 잎, 보다 바람직하게는 줄기껍질로부터 추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0% 에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테르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헥산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후박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후박 조추출물은 후박의 잎 또는 줄기껍질을 건조하여 그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배 부피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5 내지 100% 에탄올로 약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의 추출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5일, 바람직하게는 약 2내지 7일 동안 열수 추출, 환류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여과하여 얻은 추출물을 약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한 후 본 발명의 후박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박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후박 조추출물 중량의 약 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배 부피의 물을 분산시킨 후,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 렌글리콜, 바람직하게는 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헥산을 물의 0.1 내지 0.5배 정도의 부피를 가하여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분획하여 본 발명의 후박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4-O-메틸호노키올 화합물은 하기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수득 방법으로 얻어진 비극성용매 추출물 중 헥산 용매 추출물을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에 녹이고, C18 컬럼에 흡착시킨 후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 물이 약 10:1 내지 4:1이 되도록 혼합하여 분획물을 얻어 실리카겔에 흡착시킨 다음,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2회 내지 5회 수행하여 활성분획을 분리하고, 최종적으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4-O-메틸호노키올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4-O-메틸호노키올 화합물은 통상의 치환기들의 합성 및 분획 방법을 통하여 합성될 수도 있다(Herbert O. House: Modern Synthetic Reactions, 2nd ED., The Benj amin/Cummings Publishing Co., 1972).
본 발명의 4-O-메틸호노키올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무독성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 (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으로 포함하나, 두피의 상태나 탈모 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 이용하여 래트의 모낭육모 효과와 5α-환원효소 활성을 확인해 본 결과, 배양한 래트 모낭의 길이를 성장시키고 5α-환원효소 활성 억제에 뛰어난 효과를 가지므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 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탈모 방지용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를 활성시키는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품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 스프레이 등과 같은 화장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 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 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 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 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 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 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 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 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후박 극성용매 가용 조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후박나무(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를 건조 및 세절하여 얻은 줄기껍질 3kg에 95% 에탄올 9L를 가하여 실온에서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기(EYELA사, N-1000, 일본)로 감압농축하여 건조된 조추출물 450g을 얻었고, 하기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후박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후박 조추출물 중 200g을 2L 증류수로 현탁시킨 다음, 500ml의 헥산을 가하여 용해한 다음, 이를 분별 추출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2회 반 복 수행하여 헥산층에 녹는 부분을 모은 뒤 헥산층을 감압농축하여 후박 헥산 가용 추출물 70g을 수득하였고, 하기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후박 추출물로부터 4-O-메틸호노키올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후박 헥산 가용 추출물 70g을 300ml의 메탄올에 녹이고 300g의 C18 컬럼에 흡착시킨 후, 메탄올:물=4:1(v/v)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분획물을 수득하였으며, 용리액을 감압농축하여 황갈색의 농축액 40g을 얻었고, 이것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켰다. 그런 후, 헥산:초산에틸=9:1인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칼럼(4.5x40cm)에 충진한 실리카겔(머크사, 상품명: 9385) 1kg에 분획물을 흡착시키고 헥산과 초산에틸의 비율을 9:1에서 6:4로 변환시키면서 총 2회의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분획물을 분리한 다음, 최종적으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건의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하기 물성치를 갖는 4-O-메틸호노키올 2g을 수득하였고, 하기 실시예에 사용하였다.
NMR 기기로 1H-NMR은 바리안사(Varian, GEMINI, 400 MHz), 13C-NMR은 바리안사(Varian, GEMINI, 100 MHz)로 그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CDCl3(Chloroform-d, 알드리치사)를 용매로 사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로는 트리메칠실란을 사용하여 δ값(ppm)으로 나타내었으며, NMR 결과는 이미 발표된 자료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Shoji Y. et al., Chem. Pharm. Bull. 39, p2024, 1991).
1H-NMR (400MHz, CDCl3): δ ppm 3.45(2H, d, J=6.0Hz, H-7'), 3.45(2H, d, J=6.0Hz, H-7), 3.90(3H, s, OMe), 5.10(4H, m, H-9 and H-9'), 6.01(2H, m, H-8 and H-8'), 6.95(1H, dd, J=8, 1.5Hz, H-3'), 6.97(1H, dd, J=8.0, 1.5Hz, H-3), 7.05(2H, m, H-2 and H-6'), 7.23(1H, dd, J=8.5, 1.6Hz, H-6), 7.30(1H, dd, J=8.5, 1.6Hz, H-4');
13C-NMR (100MHz, CDCl3): δ ppm 129.09(C-1), 130.67(C-2), 128.67(C-3), 156.94(C-4), 115.53(C-5), 127.86(C-6), 34.22(C-7), 136.48(C-8), 115.47(C-9), 127.83(C-1'), 150.79(C-2'), 110.88(C-3'), 129.64(C-4'), 132.09(C-5'), 130.46(C-6'), 39.36(C-7'), 137.77(C-8'), 115.77(C-9'), 55.47(OMe)
4-O-메틸호노키올
Figure 112008015778000-pat00002
컬럼(column) 심팍 프렙-ODS(Shim-Pak prep-ODS C18) 컬럼,시마츄사
컬럼 온도
(column temperature)
30℃
유속(flow rate) 18 mL/min
측정기(detector) UV 254 nm
주입 부피
(injection volume)
400 ㎕
이동상(mobile phase) 80% 메탄올
참고예 1. 순도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후박추출물 및 4-O-메틸 호노키올의 순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건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순도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컬럼(column) 캅셀팍 C18 4.6 X 250mm, 시세이도사
컬럼 온도
(column temperature)
30 ℃
유속(flow rate) 1.0 mL/min
측정기(detector) UV 254 nm
주입 부피
(injection volume)
20㎕
이동상(mobile phase) 80% 메탄올
실험물질 4-O-메틸호노키올의 함량 (%)
실시예 1 12.50
실시예 2 30.28
분석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30.28%로 12.50%인 실시예 1보다 4-O-메틸호노키올 함량이 훨씬 높았다.
실시예 4. 래트 진모 모낭(Rat vibrissa hair follicle)의 분리 배양을 이용한 육모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1~3에서 얻은 후박 추출물 및 4-O-메틸호노키올의 탈모 방지 및 육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장기배양법(Organ culture method)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Jindo and Tsuboi, Jpn. J. Dermatol., 107, pp769-779, 1997; Imai et al., Arch. Dermatol. Res., 284, pp466-471, 1993; Jindo et al., J. Dermatol. 20, pp756-762, 1993; Philpott et al., J. Cell Sci., 97, pp463-471, 1990).
래트의 진모 모낭(Vibrissa hair follicle)을 분리하여 배양하면서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후박 추출물 및 4-O-메틸호노키올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각각 0, 4, 7 및 14일에 이미지분석기(Image analyzer, DP701 controller, Olympus, Japan)를 이용하여 모낭(Follicle) 길이를 측정하였다.
생후 3주령인 Wistar rat(샘타코, Korea) 수컷을 에틸에테르(ethyl ether)로 마취한 후 경추도살 하였다. Rat 왼쪽과 오른쪽 mystacial pads를 분리하여 100units/ml 페니실린(penicillin)-100㎍/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E/P완충용액[(50% Earle′s balanced salts solution; EBSS, Sigma MO, USA)+(50%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Sigma MO, USA)]에 넣었다. 해부현미경으로 관찰하며 vibrissa follicle을 조심스럽게 분리하였다. E/P완충용액을 넣은 페트리접시에 분리된 모낭을 넣고 37℃, 5% CO2 항온기에서 잠시 배양하였다. 24well plate의 각 well당 2mM L-glutamine(Gibco Inc, NY, USA), 10㎍/ml 인슐린(Sigma MO, USA), 50nM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Sigma MO, USA)과 100units/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500㎕의 William E medium(Gibco Inc, NY, USA)을 넣고 well당 하나씩의 모낭을 넣어서 37℃, 5% CO2 항온기에서 3일마다 배지를 교환하면서 배양하였다. 한 실험군에 10-12개의 모낭을 이용하였으며 배양중인 vibrissa follicle의 형태는 현미경(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미녹시딜 설페이트(minoxidil sulfate)를 1μM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후박 추출물 및 4-O-메틸호노키올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0, 4, 7 및 14일에 모낭의 길이변화를 이미지분석기를 이용하여 촬영하면서 음성대조군(Con)의 평균길이와 비교하여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과 도 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3의 처리에 의하여 모든 처리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모낭의 길이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3의 10ng/mL의 4-O-메틸호노키올을 처리하였을 때가 대조군에 비하여 287% 증가로 높은 모낭 성장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농 도 모낭 길이의 증가율(%)
대조군 - 100
실시예 1 0.10㎍/㎖ 172
1.00㎍/㎖ 190
10.0㎍/㎖ 202
실시예 2 0.01㎍/㎖ 186
0.10㎍/㎖ 194
1.00㎍/㎖ 193
실시예 3의 4-O-메틸호노키올 1.00ng/㎖ 165
10.00ng/㎖ 287
100ng/㎖ 148
미녹시딜(양성대조군) 1uM 182
실시예 5. 5α-환원효소(reductase) 활성 실험
생후 7~8주령인 Wistar rat 수컷을 에틸에테르로 흡입마취한 후 경추도살 하고 전립선을 떼어내서 액체질소로 급냉하였다. 전립선의 무게를 측정하여 0.32mM 수크로오스(sucrose; Amresco Inc, USA)와 1mM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Sigma, USA)을 함유한 pH 6.5의 20mM photassium phosphate buffer를 1g당 5ml씩 가하였다. 전립선을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로 분쇄한 후 1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여과하였다. 상층액은 회수하여 초원심분리기(Ultra centrifuge; Beckman, USA)로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회수하여 20mM photassium phosphate buffer를 가하여 녹였으며 이것을 5알파-환원효소 분획으로 사용하였다. 단백질농도는 BSA(Bovine serum albumin)를 표준화하여 Bio-Rad protein assay kit(Bio-Rad, USA)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에펜도르프튜브(Eppendorf tube)에 상기의 5알파-환원효소 분획 250㎍과 120nCi[1,2,6,7-3H]-testosterone, 200μM NADPH(Calbiochem, US),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후박 추출물 및 4-O-메틸호노키올과 pH 6.6의 40mM potassium phosphate buffer를 넣어 500㎕로 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1ml의 초산에틸을 넣고 1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상층액만을 회수하여 감압건조한 후 50㎕의 초산에틸을 가하여 녹이고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Merck, Germany)판에 점적하였다. 전개용매로는 50:50 (초산에틸: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였다.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UV램프(UVGL-58, Upland, USA)를 사용하여 254nm에서 확인하였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은 10% 황산을 뿌린 후 가열하여 확인하였다. TLC판에서 테스토스테론 및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부위를 오려내어 scintilation vial에 넣고 5ml의 cocktail을 넣은 후 LSC(Liquid scintilation counter, Packard Instruments, USA)를 사용하여 cpm(counter per minute)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에 따라 5α-환원효소 활성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전환율을 DHT/(testosterone+DHT)의 비로 계산하여 산출하고 대조군과 상대적인 5α-환원효소 저해율(%)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실시예 1~3의 처리에 의하여 모든 처리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였고, 실시예 2의 0.30㎍/㎖의 농도에서 5α-환원효소 활성이 최고 22 % 억제함을 보였다.
실험물질 농도(㎍/㎖) 저해율(%)
실시예 1 0.20 16.79
1.00 19.46
2.00 21.79
실시예 2 0.03 18.20
0.15 20.86
0.30 22.76
실시예 3의 4-O-메틸호노키올 0.01 14.20
0.05 16.78
0.10 19.58
실시예 6. 진피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 대한 증식효과 확인
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을 100 units/㎖penicillin-100 ㎍/㎖ streptomycin (Gibco Inc, NY, USA)과 10% heat-inactivated fetal bovin serum (FBS; Gibco Inc, NY, USA)이 함유된 DMEM (Hyclone In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항온기에서 배양하였으며, 3 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Rat vibrissa immortalized dermal papilla cell의 증식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ermal papilla 세포 (1.0× 104cells/㎖)를 96 well plate에 넣고 24시간 배양 후 serum-free DMEM 배지로 교환하여 다시 24 시간 배양한 다음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후박 추출물 및 4-O-메틸호노키올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황산미녹시딜(minoxidil sulfate; Sigma, USA)은 1 μ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4 일 동안 배양한 후 50 ㎕ 의 MTT (Sigma, MO, USA)을 첨가하고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층액은 제거하고 DMSO 200 ㎕을 가하여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microplate reader (Amersham Pharmacia Biotech, NY, U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 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증식정도에 대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농도(㎍/㎖)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 0.20 3.7
1.00 5.6
2.00 5.9
실시예 2 0.03 4.8
0.15 5.6
0.30 5.9
실시예 3의 4-O-메틸호노키올 0.01 7.2
0.05 10.4
0.10 11.7
미녹시딜(양성대조군) 1uM 14.9
실시예 7.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효능 확인
7-1. 실험동물
생후 6주된 암컷 C57BL/6 마우스(㈜ 중앙실험동물)를 1주간 동물 사육실 환경에 적응 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온도 23± 3℃, 12 시간씩 밤낮을 유지하였다. 실험동물은 격리용 마우스 케이지에서 사육하였고, 실험용 사료를 자유로이 급여하였다. 실험군은 5개의 군으로 설정하여 대조군, vehicle(약물이 포함되지 않은 제형 도포군), 양성 대조군(일반적으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는 약물인 5% minoxidil (현대약품) 도포군), 0.0001% 및 0.5%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하는 제형 도포군으로 하였다. 한 실험군에 각 8마리의 마우스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7-2. 시료 도포 및 육모 효능 관찰
양모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등 쪽 피부의 색이 pink color를 보이는 휴지기 체모의 7주령을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등 부위를 소동물용 clipper로 삭발하고, 제모제(비키로크림, 태극약품)를 이용하여 각 군의 등 쪽 피부에 도포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한 후, 물로 남은 제모제를 세척하였다. 시료인 0.00001% 및 0.5% 4-O-메틸호노키올을 함유한 제형과 5% minoxidil을 함유한 제형을 제모부위에 떨어뜨린 다음에 두드리면서 도포하고 그 이후로는 하루에 한 번씩 도포하였으며, 대조군에는 PBS를 도포하였다. 실험 시작 후 1일, 8일, 12일, 17일에 털이 자라는 상태를 육안 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에틸에테르로 가볍게 마취한 후 사진촬영을 실시하였다(Philp D. et al., FASEB J, 18(2), pp385-397, 2004).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후박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헤어토닉의 제조
레조시놀 0.1%
멘톨 0.05%
판테놀 0.2%
살리실산 0.1%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
염산피리독신 0.1%
피마자유 5.0%
실시예 1의 후박 추출물 10.0%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에탄올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2. 헤어컨디셔너의 제조
세탄올 3.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
프로필렌 글리콜 2.5%
염화스테아릴메틸벤질 암모늄(25%) 7.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
실시예 3의 4-O-메틸호노키올 0.5%
색소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3. 헤어로션의 제조
레조시놀 2.0%
멘톨 2.0%
판테놀 0.5%
피록톤올아민 0.1%
실시예 1의 후박 추출물 5.0%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4. 헤어비누의 제조
실시예 1의 후박 추출물 0.1%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적량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 (수분 13%, 중량부) 잔량
계 100.0%
이하, 본 발명의 후박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5. 정제
원 료 함 량 함 량
4-O-메틸호노키올 50 mg -
후박 추출물 -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100 mg
유당 100 mg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캡슐제
원 료 함 량 함 량
4-O-메틸호노키올 50 mg -
후박 추출물 -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100 mg
유당 100 mg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켑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7. 주사제
원 료 함 량 함 량
4-O-메틸호노키올 50 mg -
후박 추출물 -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적량
pH 조절제 적량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박 추출물(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 육모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하거나 기존 육모제의 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고, 5α-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래트 모낭의 육모 성장에 뛰어난 활성을 나타내므로 탈모 방지, 개선 및 모발 생장 촉진 활성을 갖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래트 진모 모낭(Rat vibrissa hair follicle) 분리 배양을 이용하여 확인한 4-O-메틸호노키올 및 대조군의 모낭에서의 육모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4-O-메틸호노키올 및 대조군의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효능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8)

  1. 삭제
  2. 하기 화학식 1의 4-O-메틸호노키올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 예방용 약학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5778000-pat0000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4-O-메틸호노키올은 후박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 예방용 약학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 예방용 약학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용 약학조성물.
  6. 삭제
  7. 하기 화학식 1의 4-O-메틸호노키올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15778000-pat00004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9904A 2008-03-04 2008-03-04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097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04A KR100975819B1 (ko) 2008-03-04 2008-03-04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904A KR100975819B1 (ko) 2008-03-04 2008-03-04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16A KR20090094916A (ko) 2009-09-09
KR100975819B1 true KR100975819B1 (ko) 2010-08-16

Family

ID=41295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904A KR100975819B1 (ko) 2008-03-04 2008-03-04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4827B2 (ja) 2008-09-25 2014-06-04 バイオランド リミテッド 4−o−メチルホノキオールを含有するアミロイド関連疾患の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
KR102001381B1 (ko) 2017-12-05 2019-07-1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o-치환된 호노키올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N112076179A (zh) * 2020-09-27 2020-12-15 成都金瑞基业生物科技有限公司 和厚朴酚的医药用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3A (ja) * 1995-07-10 1997-01-21 Taisho Pharmaceut Co Ltd 育毛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23A (ja) * 1995-07-10 1997-01-21 Taisho Pharmaceut Co Ltd 育毛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916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12456A (ko) 아케비아 사포닌-디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703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제 조성물
KR100979269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20117128A (ko) 반지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30033623A (ko) 감잎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151555B1 (ko) 섬오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신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0928378B1 (ko) 노랑하늘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614467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13858B1 (ko) 익모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73040A (ko) 지칭개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헤미스텝신(Hemistepsin) A 또는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듬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60031007A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천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4306A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0750186B1 (ko)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