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186B1 -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186B1
KR100750186B1 KR1020060011733A KR20060011733A KR100750186B1 KR 100750186 B1 KR100750186 B1 KR 100750186B1 KR 1020060011733 A KR1020060011733 A KR 1020060011733A KR 20060011733 A KR20060011733 A KR 20060011733A KR 100750186 B1 KR100750186 B1 KR 10075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oil
filtered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0434A (ko
Inventor
김기호
김기수
김영희
한창성
이수희
고강일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6001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186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멜라닌(melanin)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을 가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또한 탁월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므로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솔비나무, 미백, 멜라닌, 티로시나제,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aakia fauriei showing anti-oxidation and skin whitening activity}
본 발명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 색깔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달라지게 되는데, 그 중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결정하는 근본적인 내적 인자는 천연 피부 색소인 멜라닌이다. 멜라닌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되며, 이 멜라닌 세포는 신경능에서 기원한 세포로서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멜라닌 세포는 수지상 돌기를 갖는 등 신경세포와 형태학적으로 유사하며, 많은 신호 전달 물질, 성장 인자들에 대한 수용체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어 발생학적 기원이 신경 세포와 같음을 보여주는 많은 특징들이 있다.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 염증 등의 외부조건, α-MSH 등의 호르몬, IL-1, TNF-α, GM-CSG등의 싸이토카인, 류코 트리엔등 여러 가지 인자의 영향 을 받고 있다 또한 멜라닌세포로부터 멜라닌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티로시나제, TRP-1, TRP-2 등 여러 가지 유전자와 그에 해당하는 효소들의 작용, 또한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하는 과정에 여러 종류의 유전자가 관여하고 있다.
멜라닌의 형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멜라닌은 티로신이 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도파)로 히드록실레이션되는 과정을 시작으로 도파퀴논, 도파크롬의 과정을 거쳐 멜라닌으로 합성된다. 도파크롬은 자연히 디카르복실레이션이 되어 DHI가 되며 빠르게 산화되어 인돌-5,6-퀴논이 된다. 그러나 특정한 금속 이온과 효소가 있는 경우 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인 DHICA가 만들어지며 DHICA-옥시다제의 작용을 받아 인돌-5,6-퀴논-2-카르복실산이 되며 이후 유멜라닌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파퀴논이 시스테인이나 글루타치온과 같은 SH 화합물을 만나게 되면 시스테이닐도파가 생성되어지며 결국에는 페오멜라닌이 만들어진다. (대한화장품 학회지, 제 25호, 2권, p45, 1999)
솔비나무(Maakia fauriei)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제주도의 1,100~1,800m대에 다량으로 분포되어 있다. 한국 특산종으로 한라산 일대에 분포하며, 숲속에 자란다. 높이는 8m에 달한다. 어린 가지에 회색빛을 띤 흰색의 털이 빽빽이 나다가 어두운 자주색 또는 회색빛을 띤 검은색으로 변한다. 잎은 어긋나고 1회깃꼴겹잎이며 9~17개의 작은 잎으로 되어 있다. 작은 잎은 타원형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3~6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흰색이 돌며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에 털이 있고, 꽃받침은 길이 3.5mm로 종 모양이며 5개로 얕게 갈라진 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에 갈색 털이 있다. 꼬투리는 편평한 타원형이며 길이 3~7cm, 나비 5~8mm로서 한쪽에 날개가 있다. 다릅나무와 비슷하지만 작은잎의 수가 많고 보다 작은 것이 다르다. 주성분으로는 렉틴, (-)막키아인, 오노닌, 위스틴, 다이드진, 포모노네틴, 4',7-디히드록시플라본과 제니스테인, 리튜신, 아프로모신, 디히드로페레이린 및 3'-메톡시다이드제인이 있으며, 주요 효능으로는 항암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솔비나무와 관련된 특허로는, 10-2002-26176(등록특허)에 '솔비나무로부터 추출된 렉틴 단백질,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에서 항암효과에 대해 다루었으며, 10-2003-0101415(공개특허)에 '에스트로젠 분비 활성화제용 조성물, 에스트로젠 분비활성화 촉진 방법, 콜라젠 합성 촉진제용 조성물 및 콜라젠 합성 촉진 방법'에서 노화방지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을 고찰한 결과, 본 발명은 안정성이 뛰어나고 항산화와 색소 침착을 억제 할 수 있는 성분을 찾고자 하여, 자연의 여러 천연식물들을 검색한 결과 솔비나무에서 우수한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와 색소침착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항산화 및 미백을 위한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을 가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또한 탁월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며 안정성에 문제가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솔비나무를 추출 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또는 클로로포름,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0.5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3~10배 부피량을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5℃의 추출 온도에서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가열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40 내지 400메쉬,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에서 1 내지 14일,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솔비나무 추출액을 수득하거나, 여과한 추출액을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솔비나무 추출물 건조 분말을 수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10 % 중량 백분율,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 중량 백분율,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중량 백분율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솔비나무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효과 및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한 결과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첩포 검사를 통해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솔비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 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 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 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 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미백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1-1. 추출물(1)
솔비나무 1kg을 95% 에탄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mesh)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32.6g를 수득하였다.
1-2. 추출물(2)
솔비나무 1kg을 70% 에탄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46.2g를 수득하였다.
1-3. 추출물(3)
솔비나무 1kg을 30% 에탄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 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53.3g를 수득하였다.
1-4. 추출물(4)
솔비나무 1kg을 30% 함수 부틸렌 글리콜 5ℓ에 넣고 상온에서 5일간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 4.2ℓ를 수득하였다.
1-5. 추출물(5)
솔비나무 1kg을 30% 함수 프로필렌 글리콜 5ℓ에 넣고 상온에서 5일간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 4.1ℓ를 수득하였다.
1-6. 추출물(6)
솔비나무 1kg을 30% 함수 글리세린 5ℓ에 넣고 상온에서 5일간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 4.0ℓ를 수득하였다.
1-7. 추출물(7)
솔비나무 1kg을 메탄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25.7g를 수득하였다.
1-8. 추출물(8)
솔비나무 1kg을 초산에칠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26.7g를 수득하였다.
1-9. 추출물(9)
솔비나무 1kg을 메칠렌 클로라이드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20.8g를 수득하였다.
1-10. 추출물(10)
솔비나무 1kg을 부탄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25.1g를 수득하였다.
1-11. 추출물(11)
솔비나무 1kg을 에테르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15.4g를 수득하였다.
1-12. 추출물(12)
솔비나무 1kg을 클로로포름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13.8g를 수득하였다.
1-13. 추출물(13)
솔비나무 1kg을 n-프로판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16.8g를 수득하였다.
1-14. 추출물(14)
솔비나무 1kg을 이소프로판올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18.1g를 수득하였다.
1-15. 추출물(15)
솔비나무 1kg을 벤젠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11.8g를 수득하였다.
1-16. 추출물(16)
솔비나무 1kg을 헥산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 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19.7g를 수득하였다.
1-17. 추출물(17)
솔비나무 1kg을 아세톤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20.1g를 수득하였다.
1-18. 추출물(18)
솔비나무 1kg을 정제수 5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있는 70℃의 수욕조에서 5시간 가열 추출한 후 25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4℃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한다. 이 추출물을 50℃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추출물 건조 분말 79.7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스킨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스킨로션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중량(%)
1 실시예 1-2의 추출물 1.0
2 부틸렌글리콜 5.0
3 글리세린 3.0
4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6
5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틱에시드 0.01
6 에탄올 7.0
7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8
8 트리에탄올아민 0.2
9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4
10 페닐트리메티콘 0.5
11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3 향료 0.1
14 정제수 잔량
100.0
실험예 1.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 실험
상기 실시예 1-1 내지 1-18의 솔비나무 추출물(1) 내지 (18)을 시료로 사용하여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효과를 바니 등의 방법(A. Vanni, Annali di Chimica, 80, p35, 199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액(pH 6.8) 1.0 ㎖, 0.3 ㎎/㎖ L-티로신 수용액 1.0 ㎖, 1,250 유닛/㎖ 머쉬룸 티로시나제(SIGMA사, T-7755) 0.1 ㎖를 혼합한 후 여기에 시료용액을 농도에 따라 각각 0.2 ㎖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반응을 진행시키고, 양성대조군으로 알부틴(바이오랜드 사)을 사용하였다.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80nm에서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머쉬룸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 [1-(A-A')/(B-B')] x 100
A : 시료와 효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80nm에서 흡광도
A' : 시료만 첨가한 반응용액의 480nm에서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하지 않지 않고 효소만 첨가한 반응용액의 480nm에서 흡광도
B': 시료와 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80nm에서 흡광도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추출물의 최종농도(㎍/㎖) 머쉬룸 티로시나제 저해율(%)
알 부 틴 300 50 76.28 30.08
추출물(1) 300 50 62.08 25.27
추출물(2) 300 50 88.54 38.17
추출물(3) 300 50 60.54 26.18
추출물(4) 300 50 55.96 21.04
추출물(5) 300 50 50.08 19.47
추출물(6) 300 50 69.28 25.37
추출물(7) 300 50 48.39 24.37
추출물(8) 300 50 36.37 18.51
추출물(9) 300 50 25.09 0.73
추출물(10) 300 50 31.09 6.08
추출물(11) 300 50 8.17 0.31
추출물(12) 300 50 3.89 0.34
추출물(13) 300 50 4.37 1.34
추출물(14) 300 50 6.45 0.28
추출물(15) 300 50 3.46 0.10
추출물(16) 300 50 9.24 0.37
추출물(17) 300 50 24.23 3.76
추출물(18) 300 50 37.24 11.27
실험 결과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과 비교하였을 때 추출물(1) 내지 추출물(6)에서 유사하거나 더욱 뛰어난 머쉬룸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측정
상기 실시예 1-1 내지 1-18의 솔비나무 추출물(1) 내지 (18)를 시료로 사용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16 멜라노마 세포(ATCC CRL6323)를 10% 소혈청과 1%의 항생제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1x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킨 후, 새로운 DMEM 10% 배지로 갈아준 후 시료를 농도별로 웰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후 배지를 제거하고 0.33 ㎎/㎖의 MTT((3-[4,5- dimethylthiazole-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M5655)를 1㎖ 처리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MTT를 제거하고 DMSO(dimethylsulfoxide)를 1㎖ 첨가하여 발색정도를 575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 농도(㎍/㎖) 세포 생존율(%)
알 부 틴 100 50 97.26 106.42
추출물(1) 100 50 100.49 107.61
추출물(2) 100 50 101.46 113.53
추출물(3) 100 50 105.88 109.26
추출물(4) 100 50 99.31 103.48
추출물(5) 100 50 108.36 100.12
추출물(6) 100 50 98.38 102.34
추출물(7) 100 50 91.37 95.18
추출물(8) 100 50 84.38 91.28
추출물(9) 100 50 80.36 84.71
추출물(10) 100 50 93.68 100.27
추출물(11) 100 50 85.34 87.15
추출물(12) 100 50 72.38 84.21
추출물(13) 100 50 79.59 94.33
추출물(14) 100 50 88.65 95.55
추출물(15) 100 50 77.80 84.46
추출물(16) 100 50 85.52 80.48
추출물(17) 100 50 84.55 86.64
추출물(18) 100 50 113.64 110.21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피부 미백제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부틴과 동등 내지 보다 우수한 B16 멜라노마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1 내지 1-18의 솔비나무 추출물(1) 내지 (18)를 시료로 사용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노지네시스(melanogenesis) 저해 효과를 매다와 푸쿠다의 방법(Maeda and Fukuda, J. Soc . Cosmetic Chem ., 42, p361, 1991)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ATCC CRL6323)를 10% 소혈청과 1%의 항생제를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x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킨 후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0.34 ㎍/㎖, Sigma사)가 처리된 DMEM 10% 배지로 갈아준 후 시료를 농도별로 웰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후 1.5 ㎖ 튜브에 배지를 수거하고 세포들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떼어낸 후 배지를 수거한 튜브로 옮겼다. 3,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1N NaOH 250㎕를 처리하여 끓는 물에서 10분 처리 후 가볍게 원심 분리하였다. 다시 10분간 초음파 분해(sonication)하여 완전히 멜라닌을 용해한 후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하여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 농도(㎍/㎖)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알 부 틴 100 50 35.61 7.85
추출물(1) 100 50 31.36 5.46
추출물(2) 100 50 48.61 13.99
추출물(3) 100 50 38.64 10.46
추출물(4) 100 50 36.34 2.47
추출물(5) 100 50 29.68 6.37
추출물(6) 100 50 12.34 3.62
추출물(7) 100 50 19.64 0.47
추출물(8) 100 50 16.39 4.21
추출물(9) 100 50 16.41 0.17
추출물(10) 100 50 18.34 7.55
추출물(11) 100 50 0.18 0.31
추출물(12) 100 50 2.36 0.11
추출물(13) 100 50 6.68 0.54
추출물(14) 100 50 9.64 0.71
추출물(15) 100 50 6.87 0.60
추출물(16) 100 50 2.45 0.64
추출물(17) 100 50 2.67 0.52
추출물(18) 100 50 14.13 0.39
실험 결과 추출물(1) 내지 추출물(5)은 양성대조군인 알부틴과 유사하거나 뛰어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추출물(2)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자유 라디칼 소거 효능 실험
상기 실시예 1-1 내지 1-18의 솔비나무 추출물(1) 내지 (18)를 시료로 사용하여 푸지타(Fujita) 등의 방법(Y.Fugita et al., Yakugak Zasshi, 108, p129, 1988)을 개선한 것으로, 안정한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라디칼(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을 사용하였다. 0.2 mM 의 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 (DPPH) 용액 1㎖에 시료를 각 농도별로 2㎖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 시킨 후, 525nm에서 최대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2로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자유 라디칼 소거효과(%) = [1-(A-A')/(B-B')] x 100
A : 시료와 DPPH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525nm에서 흡광도
A' : DPPH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525nm에서 흡광도
B : DPPH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525nm에서 흡광도
B' : 시료와 DPPH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525nm에서 흡광도
시 료 반응액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 농도(㎍/㎖)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
추출물(1) 50 10 63.34 12.57
추출물(2) 50 10 69.44 24.27
추출물(3) 50 10 60.17 22.08
추출물(4) 50 10 54.98 18.66
추출물(5) 50 10 49.54 12.58
추출물(6) 50 10 42.84 13.65
추출물(7) 50 10 59.67 23.55
추출물(8) 50 10 54.62 21.54
추출물(9) 50 10 50.22 17.35
추출물(10) 50 10 53.68 13.47
추출물(11) 50 10 47.66 13.51
추출물(12) 50 10 40.39 5.94
추출물(13) 50 10 38.61 6.17
추출물(14) 50 10 43.11 9.54
추출물(15) 50 10 29.51 3.54
추출물(16) 50 10 25.64 6.52
추출물(17) 50 10 5.67 1.36
추출물(18) 50 10 21.34 9.26
실험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추출물(1) 내지 추출물(4) 및 추출물(7) 내지 추출물(10)은 50% 이상의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5. 인체 첩포시험(Patch tes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자극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2에 대하여 피부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20~5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5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 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핀챔버(fin chamber)를 사용하여 바셀린을 블랭크로, 실시예 2의 스킨로션을 0.02g씩 가하여 인체 상박부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1시간 이내에 피부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48시간 후)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표 6의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고, 피부 자극 유발 가능성의 평가는 다음 수학식 3으로부터 계산된 평균반응률로 하였으며,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에 대한 피부 첩포시험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균반응률(%) = [Σ(24시간 후 반응 피검자수 × 점수) + Σ(48시간 후 반응 피검자수 × 점수)] × 100 / (총 검사횟수 × 최대점수 × 전체피검자수)
인체 첩포시험의 검사 기준
피부반응 점수
- 0 반응없음
1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2 양성 반응 (홍반)
++ 3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4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인체 첩포시험의 검사 결과
시험물질 24시간 후 반응 있는 피검자수(명) 48시간 후 반응 있는 피검자수(명) 평균반응률 (%)
0 1 2 3 4 0 1 2 3 4
실시예 2 15 0 0 0 0 15 0 0 0 0 0
인체 첩포시험 검사 결과 실시예 2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무자극 범위에 속하여 인체에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을 가져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또한 탁월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므로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솔비나무(Maakia fauriei)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0011733A 2006-02-07 2006-02-07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5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33A KR100750186B1 (ko) 2006-02-07 2006-02-07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33A KR100750186B1 (ko) 2006-02-07 2006-02-07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34A KR20070080434A (ko) 2007-08-10
KR100750186B1 true KR100750186B1 (ko) 2007-08-17

Family

ID=38600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733A KR100750186B1 (ko) 2006-02-07 2006-02-07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갖는 솔비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1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51A (ja) * 1994-12-26 1996-07-09 Lion Corp 皮膚外用剤
KR20050070873A (ko) * 2003-12-31 2005-07-07 주식회사 두산 에스트로젠 분비 활성화제용 조성물, 에스트로젠 분비활성화 촉진 방법, 콜라젠 합성 촉진제용 조성물 및콜라젠 합성 촉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51A (ja) * 1994-12-26 1996-07-09 Lion Corp 皮膚外用剤
KR20050070873A (ko) * 2003-12-31 2005-07-07 주식회사 두산 에스트로젠 분비 활성화제용 조성물, 에스트로젠 분비활성화 촉진 방법, 콜라젠 합성 촉진제용 조성물 및콜라젠 합성 촉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약학회지 41(4) 444~449, 1997
약학회지 43(5) 553~558, 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34A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KR101857528B1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3820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36212B1 (ko) 하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80104760A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7581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0748851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0931528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6669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