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528B1 -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 Google Patents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528B1
KR100931528B1 KR1020080010393A KR20080010393A KR100931528B1 KR 100931528 B1 KR100931528 B1 KR 100931528B1 KR 1020080010393 A KR1020080010393 A KR 1020080010393A KR 20080010393 A KR20080010393 A KR 20080010393A KR 100931528 B1 KR100931528 B1 KR 10093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skin
melani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306A (ko
Inventor
이상국
박헌주
이학선
성낙술
이승은
성정숙
장인복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5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꽈리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Hor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시험관 내 (in vitro) 실험에서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고, 동물세포 내 실험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바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은 미백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꽈리, 미백, 티로시나제, 멜라닌,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extract}
본 발명은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Bell AA and Wheeler MH, Annu . Rev . Phytopathol ., 24, pp411-451, 1986
[문헌 2] Jacobo-Herrera et al, J. Nat . Prod ., 69, pp328-331, 2006
[문헌 3] Weller P et al., J. Agric . Food Chem ., 51, pp7044-7049, 2003
[문헌 4] 한국 약용식물학 연구회 저, 종합 약용식물학, 학창사, pp282, 2001
[문헌 5]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2-0003131
[문헌 6] Matsuura et al, J. Chem. Soc. 5, pp664-670, 1970
[문헌 7] Kawai et al, J. Asian Nat. Prod. Res. 3(3), pp199-205
[문헌 8] Mino et al, Phytochemistry, 49(6), pp1631-1636
[문헌 9] Asano et al., Eur. J. Biochem. 229, pp369-376, 1995
[문헌 10] Masamoto Y et al., Planta Med., 40(4), pp361-365, 1980
[문헌 11] Hosoi J et al., Cancer Res ., 45(4), pp1474-1478, 1985
본 발명은 미백 활성을 갖는 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아시아 여성들 특히 한국, 일본, 중국의 여성들에게 가장 관심이 큰 화장품 분야중 하나는 피부 미백이다, “피부 미백”이란 자외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이상 및 임신 등과 같은 환경 변화에 의해 피부 내에 색소의 생성이 과하게 일어나 발생하는 피부색의 변화를 정돈하여 주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요소는 피부 색소인 멜라닌 (melanin)이다. 멜라닌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에서 합성되고, 주변의 각질세포로 전이되어 피부색을 결정짓는다. 원래 멜라닌은 동물, 식물, 미생물 등에서 발견되는 검은 색소로 생육이나 발달에 필수적이진 않지만 어떤 환경에 대한 생존력과 경쟁력을 높여주는 물질이며, 특히 동물에서의 멜라닌은 피부병 및 악성 흑색종 (melanomas)과 관계가 있으며, 티로시나제 (tyrosinase)에 의해 티로신(tyrosine)으로부터 생산되는 도파 멜라닌(DOPA melanin) 외에도 1,8-디히드록시나프탈렌 멜라닌 (DHN melanin; 1,8-Dihydroxynaphtalene melanin), 오르쏘-디페놀 멜라닌 (GDHB melanin; ο-diphenol melanin), 카테콜 멜라닌 (catechol melanin) 등이 보고되어 있다 (Bell AA and Wheeler MH, Annu . Rev . Phytopathol ., 24, pp411-451, 1986). 멜라닌은 생물체에서 발견된 색소로는 특이하게 안정된 색소로서 거의 모든 용매에 불용이며, 추출이나 화학적인 취급이 쉽지 않다. 이 때문 에 멜라닌의 화학적인 면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점들이 많고 연구의 진보도 부진한 편이다.
멜라닌 색소 합성 (melanogenesis) 과정은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s)라고 하는 특별히 분화된 세포의 멜라노좀 (melanosome)이라는 소기관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밝혀지고 있다.
즉, 피부색은 멜라닌의 함량, 분포 등에 따라 결정되며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 내에서 생성된 후 세포 외부로 방출되는 멜라노좀의 수와 분포에 연관되어 있다. 피부의 과색소침착 (hyperpigmentation)은 피부의 염증 반응 이후의 체내 호르몬 이상, 유전질환 및 자외선 조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데, 주된 요인은 멜라닌 색소 합성 이상 및 분포 이상에 의한 것이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으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은 물리적, 화학적 독성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에서 색소침착 방지는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연구가 가능하다. 1) 멜라닌 합성의 주효소인 티로시나제 (tyrosinase) 활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제 합성 저해물질이나 티로시나제의 기질에 대한 길항제 (antagonist) 개발, 2) 동물의 멜라닌 생합성 장소인 멜라노사이트의 기능을 저하시키기 위해 멜라노사이트에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 개발, 3) 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DOPA)의 산화방지를 위해 3,4-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 환원물질 개발 및 멜라닌 생성기구인 제 1효소 티로시나제와 도파크롬 (DOPAchrome)에서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시산 (DHICA; 5,6-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로의 변환을 촉매하는 제 2효소인 도파크롬 튜토머라제 (DOPAchrome tautomerase) 또는 5,6-디히드록시인돌-2-카르복실산에서 인돌-5,6-퀴논-2-카르복시산 (indole-5,6-quinone-2-carboxylic acid)으로의 변환을 촉매하는 제 3의 효소의 활성 조절 등이 주목받고 있다.
과도한 멜라닌의 침착은 피부 등의 병리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기미, 주근깨, 점, 검버섯과 같은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따라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미백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티로시나제 (tyrosinase ; monophenol, dihydroxy-L-phenylalanine : oxygen oxidoreductase, EC 1.14.18.1)는 넓은 범위의 페놀화합물을 기질로 이용하는 구리함유 효소로서, 티로신 (tyrosine)을 기질로 이용하여 L-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L-3,4-dihydroxyphenylalanine)을 생성시키고 이를 다시 도파퀴논 (L-DOPAquinone)으로 전이시키는 연속된 효소적 산화 (hydroxylation and oxidation)를 거쳐, 각 생성물의 중합반응에 의해 멜라닌 (melanin)이 생합성 된다. 자외선에 의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유사분열이 일어나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 되고,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에서는 티로시나제 합성이 촉진되어 멜라닌의 생성이 촉진되며 과량 생성된 멜라닌은 결국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 되어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된다. 멜라닌이 비정상적으로 과잉 생산되면 기미나 주근깨를 생성하며, 이와 반대로 적게 생산되면 백반등과 같은 피부 병변이 유발된다. 색소 침착은 외부로부터 자외선, 염증 등의 각종 자극에 의해 발생되며, 이 색소침착의 정도는 표 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가 반응한 양이다. 색소침착 메커니즘의 중심이 되는 것은 티로시나제이다.
현대는 아름다움과 건강을 중시하는 사회 문화적 추세에 따라 화장품은 단순히 치장을 넘어서서 건강한 피부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자연 지향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소비 추세에 따라 다양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기능성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 산업은 화학, 생명과학, 약학, 생리학 등의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이 바탕이 되는 전형적인 정밀화학 산업이며 최근 화장품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제품의 피부 안전성 등이 확보되면서 효능에 주목하게 되었다.
국내에서 출원되는 기능성화장품 관련 특허를 분석하여 보면 미백, 주름개선 및 자외선 차단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활성성분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며 특히, 하얀 피부를 갈망하는 동양권을 중심으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피부 미백에 관한 저자극, 고효능 원료 및 그 원료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백활성 성분별로 천연식물 추출물이 44%, 신규 화합물이 25%, 기존 미백성분으로 알려진 비타민 C 유도체 등 그 밖의 물질이 31%로 나타났고, 천연식물을 통한 새로운 미백물질의 탐색은 국내 뿐 만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기능성을 확인하여 유효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현재 미백화장품 소재로서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코직산 (kojic acid), 알부틴 (arbutin),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 유용성 감초산 추출물 (licorice extract) 및 각종 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들 중에서 코직산 (kojic acid)은 티로시나제 (tyrosinase)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구리이온을 킬레이트시켜 효소활동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데, 성능이 좋은 반면 화장품에 배합시 안정성 및 경제성에 문제점이 있어 사용하는데 부적절하며, 하이드로퀴논 (hydroquinone)은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높아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현재 화장품에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밖에 천연물 특히 식물 중에서 미백 활성 성분을 찾기 위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왔고, 그 중 상백피, 감초, 작약, 계피, 고삼, 갈근, 당귀, 목단피, 반하, 알로에 등 다수의 식물 추출물 및 생약재 추출물 등이 티로시나제 (tyrosinase) 억제 활성이 있다는 사실은 밝혀졌으나, 이들 역시 안전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미백 효능이 명백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미백 원료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미백 효과가 뛰어난 원료를 찾기 위하여 200여종의 천연물로부터 효능물질을 탐색한 결과 꽈리추출물의 미백효능이 매우 강력할 뿐 만 아니라 이러한 천연물은 오랜 기간 동안 인류가 이용하여 왔기 때문에 인간에게 비교적 안전한 성분을 함유할 것으로 여겨짐으로 미백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꽈리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Hort)는 우리나라 각지에 재배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해발 600m 이하의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60~90 cm 정도이다. 지하에는 옆으로 기는 긴 근경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광난형으로 끝이 날카롭고 치아식의 거치가 있으며 절마다 2매씩 난다. 꽃은 엽액에 서 나오며 흰색으로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4cm이고, 꽃받침은 짧은 통형이며,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과실은 구형의 액과로 적색으로 익는다. 생약으로는 전초를 사용하며 산장 (Physalis Herba), 등룡이라고도 한다. 성분으로는 전초에 피살린 A, B, C (physalin A, B, C) (Jacobo-Herrera et al, J. Nat . Prod ., 69, pp328-331, 2006), 사포닌 (saponin),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알칼로이드 (alkaloid)가 있으며 열매에는 0.12% 카로티노이드 (carotenoid)인 붉은 색소, 아스코르빈산, 수지, 펙틴, 탄닌, 쓴맛물질, 카로틴, 알칼로이드, 퀘르쎄틴 (quercetin), 카페인산, 시나민산, 페룰라산 등이 있고 뿌리에는 3-알파-티글로옥시트로판, 피살린, 제아크산틴이 함유되어있고 씨에는 리놀레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 (Weller P et al., J. Agric . Food Chem ., 51, pp7044-7049, 2003). 약리작용으로는 뿌리에는 자궁 수축작용이 있고 열매에는 이뇨작용이 있다.
한의에서는 전초 및 뿌리를 해열약, 해산때의 진통촉진약, 이뇨약 및 통경약으로 써왔으며 민간에서는 오줌내기약, 열내림약, 진통약으로 쓰며 열매는 코감기, 적리, 임질, 고혈압에 사용한다 (한국 약용식물학 연구회 저, 종합 약용식물학, 학창사, pp282, 2001)
이처럼 꽈리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과학적으로 증명된 결과는 제한된 상태이다. 또한, 꽈리의 생리활성기능과 관련된 특허는 없으며 꽈리에서 섬유질채취 (대한민국 특허공고 특1992-0003131)에 관한 내용만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전세계 논문검색에서는 대부분 구조해석과 관련하여 피살린 (physalin) A, B (Matsuura et al, J. Chem. Soc. 5, pp664-670, 1970), 피살린 (physalin) T (Kawai et al, J. Asian Nat. Prod. Res. 3(3), pp199-205)와 페러독신 (ferredoxin)의 아미노산 배열에 관한 연구보고가 있으며 (Mino et al, Phytochemistry, 49(6), pp1631-1636) 또한 꽈리의 뿌리로부터 5개의 칼리스테긴 (calystegins)을 분리 동정하고 이들로부터 글리코시다제 (glycosidase)의 저해활성에 관한 보고도 있다 (Asano et al., Eur. J. Biochem. 229, pp369-376, 1995). 결론적으로 꽈리의 미백활성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어떠한 교시나 개시된 바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꽈리 추출물이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짐을 시험관 내 및 세포 내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 추출물 "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에탄올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꽈리 추출물은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꽈리는 세척 후 꽈리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에탄올을 첨가하여 약 1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에서 약 1시간 내지 4일,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2일 동안 열탕 추출, 환류 순환 추출, 침지 추출 또는 압력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탕 환류 추출 및 침지 추출하여 원심분리, 감압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 하여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꽈리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며, 피부 첩 포 시험에서 무자극 시료임이 입증되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은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 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 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 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 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 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 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꽈리추출물은 시험관 내 (in vitro) 실험에서 우수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며 동물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우수한 멜라닌 합성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바 피부미백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동물세포주 배양
본 발명에 사용된 동물세포주인 마우스 유래의 멜라노사이트인 멜란-에이 (Melan-a) 세포주는 영국의 베넷박사 (Dr. D.C. Bennett, University of London)로부터 분양받았으며, 2 mM 글루타민 (glutamine), 100 U/㎖ 페니실린 G (penicillin G), 100 ㎍/㎖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Gibco, USA), 10 % 우태아혈청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 100 nM 티피에이 (TPA,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Sigma, USA)를 포함하는 RPMI 1640 (Gibco, USA) 배지를 첨가하여 37 ℃의 10 % 이산화탄소 및 90 % 공기 조성의 배양기 (CO2 incubator) 내에서 계대배양하였으며, 하기 실험예 2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꽈리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 사용한 꽈리는 채취후 검정된 공시재료를 세척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인 꽈리 1 ㎏에 80 % 에탄올을 1: 5 (w/v)의 비율로 첨가하고 혼합 후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3회 반복 환류 추출하여 획득한 추출액을 여지 No.2 (Advantec TOYO, Japan)로 여과한 후 50 ℃에서 회전감압농축기 (Rotary vacuum evaporator ; Heidolph VV2011, Switzerland)로 감압농축한 후에 동결 건조하여 갈색의 꽈리 에탄올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20 ℃에 보관하며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꽈리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측정 ( in vitro )
티로시나제 (Tyrosinase; monophenol monooxygenase, E.C.1.14.18.1, Sigma, USA) 저해 활성 측정은 티로시나제의 작용 결과 생성되는 도파퀴논을 비색법에 의해 측정하는 마사모토 등 (Masamoto Y et al., Planta Med., 40(4), pp361-365, 1980)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100 mM 인산나트륨완충액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6 ㎖과 버섯유래의 티로시나제 (mushroom tyrosinase, 40 unit, Sigma, USA) 15 ㎕와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로 20 mg/㎖ 농도가 되도록 녹인 실시예 1의 꽈리 추출물을 최종 농도가 50, 150, 450 μg/㎖이 되도록 첨가하고 최종 0.86 ㎖이 되도록 증류수로 보정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 다음 기질로서 3.4 mM 디페닐알라닌 (DOPA, L-3,4-dihydroxyphenylalanine) 0.14 ㎖을 첨가한 후 분광광도계 (spectrophotometer; U-3000, Hitachi, Japan)로 475 nm에서 반응액 중 생성된 도파퀴논 (Dopaquinone)의 변화량을 실온에서 10분간 측정 (time scanning)하여 시료용액 대신 용제를 첨가한 대조구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꽈리 추출물의 농도별로 시간에 따른 도파가 도파퀴논으로의 변환 억제활성을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이와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저해율(inhibition rate, %)을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표 1 및 도 1 내지 도 2참조).
꽈리 추출물 처리 농도 (μg/㎖)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
50 14.3
150 33.2
450 43.1
실험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꽈리 추출물을 50 μg/㎖ 첨가시 14.3 %, 150 μg/㎖ 첨가시 33.2 %, 450 μg/㎖ 첨가시 43.1 % 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바(IC50= 0.53 ㎎/㎖), 상기 결과로부터 꽈리 추출물의 탁월한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꽈리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저해 효능 측정 ( 동물세포주를 이용한 시험)
꽈리 추출물을 처리한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의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문헌의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Hosoi J et al., Cancer Res ., 45(4), pp1474-1478, 1985).
마우스의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인 멜란-에이 (Melan-a) 세포를 6-웰 플레이트 (6-well plate)에 3× 104 세포수/well로 분주하고 48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꽈리 추출물을 최종농도 1, 2, 5 ㎎/㎖이 되도록 처리하고 5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세포를 염화칼슘 (CaCl2), 염화마그네슘 (MgCl2)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 (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2회 세척하고 트립신 (trypsin, Gibco, USA)을 처리하여 세포를 분리하여 각 군당 동일한 수의 세포를 수집하였다. 세포침전물을 염화칼슘 (CaCl2), 염화마그네슘 (MgCl2)이 들어있지 않은 인산염완충액 (DPBS; Dulbecco's Phosphated Buffered Saline)으로 세척하고 100 ㎕의 10% 디메틸술폭시화물 (DMSO)이 첨가된 1 노르말농도 (N)의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으로 현탁한 후 60 ℃에서 30분간 처리하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으며, 합성 멜라닌으로 작성된 표준곡선으로부터 멜라닌양을 환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표 2 및 도 3 참조).
꽈리 추출물 처리 농도 (μg/㎖)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
10 65.3
20 80.1
30 84.3
2 mM 알부틴 62.3
실험결과, 상기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꽈리 추출물을 10 μg/㎖ 첨가시 65.3 %, 20 μg/㎖ 첨가시 80.1 %, 30 μg/㎖ 첨가시 84.3 %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바(IC50=6.5 μ), 꽈리 추출물은 기존 미백제로 사용되고 있는 2 mM 알부틴 (α-arbutin, Sigma, USA)보다 탁월한 멜라닌 합성 저해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꽈리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의 멜라닌 색소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여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2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4 마이크로 스탈린 납 2.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7 밀납 2.0
8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2.0
9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5.0
11 액상 리놀린 5.0
12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8.0
13 스쿠알란 8.0
14 농글리세린 5.0
15 1,3-부틸렌글리콜 5.0
16 알란토인 0.1
17 꽈리추출물 10.0
18 향료 미량
19 황색4호 미량
2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6 바셀린 3.5
7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3.5
8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8
9 유동 파라핀 35.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3.0
11 옥틸도데칸올 5.0
12 스쿠알렌 2.0
13 농글리세린 5.0
14 꽈리추출물 5.0
15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1.0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스테아린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4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5 바셀린 1.0
6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5
7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0
8 유동 파라핀 5.0
9 스쿠알렌 5.0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2 농글리세린 5.0
13 꽈리추출물 15.0
14 트리에탄올아민 0.5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글리세린 2.0
2 1,3-부틸렌글리콜 2.0
3 구연산 0.01
4 에탄올 15.0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6 꽈리추출물 25.0
7 향료 미량
8 위치하젤추출물 1.0
9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농글리세린 15.0
2 1,3-부틸렌글리콜 5.0
3 알란토인 0.1
4 에탄올 7.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6 트리에탄올아민 0.15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8 초산토코페롤 0.5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10 꽈리추출물 30.0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3 농글리세린 3.0
4 알란토인 0.1
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6 폴리에틸렌글리콜 1.0
7 에탄올 6.0
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9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10 디엘판테놀 0.1
11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12 꽈리추출물 45.0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스테아린산 6.5
2 미리스틴산 28.0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4 프로필렌 글리콜 5.0
5 농글리세린 10.0
6 수산화나트륨 7.0
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8 태반 추출물 0.5
9 꽈리추출물 15.0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도 1은 도파 (DOPA; 3,4-dihydroxyphenylalanine)의 도파퀴논 (DOPAquinone)으로의 변환에 있어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의 농도별 (50, 150, 450 μg/㎖) 시간에 따른 변환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꽈리 추출물의 농도별 (50, 150, 450 μg/㎖) 티로시나제 억제 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도 3는 마우스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 (Melan-a)에 대한 꽈리 추출물의 농도별 (10, 20, 30 μg/㎖) 처리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율을 나타낸 도이고,
도 4은 마우스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 (Melan-a)에 대한 꽈리 추출물의 농도별 (10, 20, 30 μg/㎖)처리 후 세포주가 형성한 멜라닌 색소의 변화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마우스 멜라노사이트 세포주인 멜란-에이 (Melan-a)에 대한 알부틴 (α-arbutin)의 농도별 (0.5, 1, 2 mM) 처리에 의한 멜라닌 색소 형성 억제율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6)

  1. 꽈리(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꽈리 추출물이 0.1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5. 꽈리(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10393A 2008-01-31 2008-01-31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KR100931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93A KR100931528B1 (ko) 2008-01-31 2008-01-31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393A KR100931528B1 (ko) 2008-01-31 2008-01-31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06A KR20090084306A (ko) 2009-08-05
KR100931528B1 true KR100931528B1 (ko) 2009-12-14

Family

ID=4120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393A KR100931528B1 (ko) 2008-01-31 2008-01-31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3248A1 (en) * 2016-01-07 2018-07-12 Kemin Industries, Inc. Determination of melanin inhibition potential of natural ingredients
KR20230065003A (ko) 2021-11-04 2023-05-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9A (ja) *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2179581A (ja) * 2000-12-15 2002-06-26 Yakult Honsha Co Ltd 皮膚老化防止剤
JP2002212089A (ja) * 2001-01-18 2002-07-31 Lion Corp 外用組成物
JP2015000314A (ja) * 2013-06-18 2015-01-05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9A (ja) *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JP2002179581A (ja) * 2000-12-15 2002-06-26 Yakult Honsha Co Ltd 皮膚老化防止剤
JP2002212089A (ja) * 2001-01-18 2002-07-31 Lion Corp 外用組成物
JP2015000314A (ja) * 2013-06-18 2015-01-05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3248A1 (en) * 2016-01-07 2018-07-12 Kemin Industries, Inc. Determination of melanin inhibition potential of natural ingredients
KR20230065003A (ko) 2021-11-04 2023-05-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306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143820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8797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780893B1 (ko) 뜰보리수 과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항염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094306B1 (ko) 타이모퀴논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WO2015005642A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931528B1 (ko) 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80097636A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100756669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873244B1 (ko) 발아 오미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방지 및 항염 조성물
KR20210063048A (ko) 아롱 부챗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의학적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0614467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등대풀, 목단피, 알로에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