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8797A -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8797A
KR20100038797A KR1020080097893A KR20080097893A KR20100038797A KR 20100038797 A KR20100038797 A KR 20100038797A KR 1020080097893 A KR1020080097893 A KR 1020080097893A KR 20080097893 A KR20080097893 A KR 20080097893A KR 20100038797 A KR20100038797 A KR 2010003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hr
extract
skin
lotion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6736B1 (ko
Inventor
손준호
이화동
안봉전
이진영
박근혜
현석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08009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7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전자공여능 우수 효과,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효과, 크산틴 옥시다제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효과 및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치자, 전자공여능, SOD, 크산틴 옥시다제, 엘라스타제, 노화, 주름개선

Description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a crude complex herb extract showing anti-aging and anti-wrinkle activity}
본 발명은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Li W et al., Induced melanin reduces mutations and cell killing in mouse melanoma. Phytochem. Photobiol., 65, pp480-485, 1997
[문헌 2] Kaufman R. J., Vectors used for expression in mammalian cells. Meth. In Enzymol., 205, pp87, 1991
[문헌 3] Kameyama K. et al., Pigment production in murin melanoma cells is regulated by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1), dopachrome tautomerase (TRP2) and a melanogen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00, pp126-131, 1993
[문헌 4] Hearing V.J.,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4, pp24-28, 1999
[문헌 5] J. A. Escobar et al., SOD and catalase inactivation by singlet oxygen and peroxyl radical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0, pp285-290, 1995
[문헌 6] Gilchrest BA., Skin aging and photoaging: an overview. J. Am. Acad. Dermatol., 21, pp610-613, 1989
[문헌 7] Bernstein EF et al., Enhanced elastin and fibrillin gene expression in chronically photodamaged skin. J. Invest. Dermatol., 103(2), pp182-186, 1994
[문헌 8] 이무형, 조양훈, UVB 조사 후 각질형성세포와 멜라닌세포의 생존률의 변화, 대한피부과학회지, 35(2), pp258-265, 1997
[문헌 9] Takahashi M., Image analysis of skin surface contour. Acta Derm. Venereol. Suppl. (Stockh)., 185, pp9-14, 1994
[문헌 10] Takahashi M., Image analysis of skin surface contour. Acta Derm. Venereol. Suppl. (Stockh)., 185, pp9-14, 1994
[문헌 11] 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490-493, 1998
[문헌 12] 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4-865, 1998
[문헌 13] 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790-791, 1998
[문헌 14] 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74-975, 1998
[문헌 15] 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39-940, 1998
[문헌 16] 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25-926, 1998
[문헌 17] Blois MS, Nature, 26, pp1199-120, 1958
[문헌 18] Marklund S et al., Eur. J. Biochem., 47(3), pp469-474, 1974
[문헌 19] Stirpe F et al., J. Biol. Chem., 244(14), pp3855-3863, 1969
[문헌 20] Cannell RJP et al., Planta. Med., 54(1), pp10-14, 1988
산소를 이용하여 살아가는 생물체는 생명유지를 위해 산소를 필수적으로 요구하지만, 산소의 대사과정동안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피할 수 없다. 이런 독성이 강한 물질을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라 하는데, 산소에 의해 파생되는 물질이라고 해서 산소-유래종(oxygen-derived species)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일부는 최외각에 단일 전자를 하나 가지고 있어 반응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라디칼(radical) 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ROS는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 O2 -),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 ROO.) 등과 같은 산소 라디칼(radical) 뿐만 아니라, 일항 산소(singlet oxygen; 1O2),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H2O2) 등과 같은 비-라디칼(non-radical)을 모두 지칭하는 말로써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ROS의 반응시간은 매우 짧은 반면에 반응력은 매우 커서 생체 내에서 각종 단백질의 변성, 지질과산화, DNA변이 등과 같은 유해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i W et al., Induced melanin reduces mutations and cell killing in mouse melanoma. Phytochem. Photobiol., 65, pp480-485, 1997).
ROS는 정상 대사 과정 중 진핵생물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원핵생물에서는 세포막의 전자전달계에서 전자 수용체로서 작용하고 궁극적으로 물로 환원된 다(Kaufman R. J., Vectors used for expression in mammalian cells. Meth. In Enzymol., 205, pp87, 1991). 이 과정에서 부분적인 산소의 환원에 의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히드록실 라디칼, 퍼옥실 라디칼과산화수소 등의 유해 물질이 생성된다. 세균의 침범에 대항하기 위한 식균 작용의 과정에서도 호중구의 NADPH 옥시다제(respiratory burst oxidase)에 의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이 발생하며, 이 라디칼이 디스뮤타아제(dismutase), 미엘로퍼옥시다아제(myeloperoxidase)의 작용으로 반응성이 큰 라디칼들을 생성하고 세포의 발아, 수정, 세포 분화 과정에서도 상당량의 산소 소비량의 증가(respiratory burst)에 수반되는 산소 라디칼의 생성이 보고되고 있다(Kameyama K. et al., Pigment production in murin melanoma cells is regulated by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 1), dopachrome tautomerase (TRP2) and a melanogen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00, pp126-131, 1993; Hearing V.J., Biochemical control of melanogenesis and melanosomal organization.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4, pp24-28, 1999). 산소 라디칼 외에도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과 시스테인(cysteine)이 에임스 시험법(Ames test)에서 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어 황원자-중앙(sulfur-centered) 라디칼들이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또한 세포막의 산화 손상에 의해 생성되는 ROOH(lipid hydroperoxide)가 미량의 금속이온에 의해 분해되면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 알콕시 라디칼(alkoxyl radical),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 등이 생성되기도 한다.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은 다른 활성 산소종 들이 생기게 되는 핵심요소로서 NADPH 산화효소(NADPH oxidase)나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와 같은 효소에 의해 산소에 전자 하나가 환원되면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수퍼옥사이드(superoxide)는 특정 효소에 의해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물과 산소로 분해된다.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은 지질 과산화의 결과 생성되는 것으로 다른 ROS와 다르게 생물체 내에서 오래 지속되는 성질이 있으며, 일항 산소는 산소가 빛을 받아 전자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변형되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생명체가 살아가는 동안 일어나는 수많은 화학 반응에서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 활성 산소종들이 다량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A. Escobar et al., SOD and catalase inactivation by singlet oxygen and peroxyl radical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0, pp285-290, 1995).
인간의 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외적으로는 각종 오염물질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photoaging)에 의해, 피부가 얇아지며(내인성 노화의 경우), 탄력이 감소하게 되며(Gilchrest BA., Skin aging and photoaging: an overview. J. Am. Acad. Dermatol., 21, pp610-613, 1989; Bernstein EF et al., Enhanced elastin and fibrillin gene expression in chronically photodamaged skin. J. Invest. Dermatol., 103(2), pp182-186, 1994), 자외선 조사에 노출됨에 따라 표피 내 각질 형성세포와 멜라닌세포가 UVB에 의해 세포손상을 받게 된다(이무형, 조양훈, UVB 조사 후 각질형성세포와 멜라닌세포의 생존률의 변화, 대한피부과학회지, 35(2), pp258-265, 1997).
피부 노화는 태양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 (chronologic aging)와 태양광선의 노출부에서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가 연대학적 노화와 복합되어 일어나는 광인성 노화(actinic ageing)로 구분된다. 연대학적 노화에서는 특징적인 임상 피부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된다.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 (coatse wrinkling and furrowing)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질양 물질 (elastotic material)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터워지며 느슨해진다(Takahashi M., Image analysis of skin surface contour. Acta. Derm. Venereol. Suppl. (Stockh)., 185, pp9-14, 1994).
만성적 일광손상을 입은 피부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은 진피의 상부 쪽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탄력질양 물질의 침착(solar elastosis)과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이 증가되고 진피의 주단백질인 콜라겐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피층은 대다수의 제 1형 콜라겐(type I collagen)과 약간의 제 2형 콜라겐(type II 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콜라겐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와 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Takahashi M., Image analysis of skin surface contour. Acta. Derm. Venereol. Suppl. (Stockh)., 185, pp9-14, 1994).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에서는 내인성 노화나, 광노화에 의해 세포활성이 떨어지고, 신호전달체계가 불완전해지면서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하여 주름살이 생기고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흑화를 초래하는 멜라닌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물질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물질,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 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s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등이 주름, 탄력 상실, 피부흑화 등의 피부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진피에 존재하는 세포들 중에서 섬유모세포는 진피의 주요 구성 성분인 교원질과 탄력섬유를 형성하며, 피부의 염증반응에도 관여하여 세포 내 물질대사나 세포노화, 세포사멸, 화학적 혹은 물리적 자극에 대한 피부의 반응을 연구함에 있어 가장 적합한 세포로 각광받고 있다.
황련(Coptis chinensis F.)은 다년생초본으로 그 근경을 약재로 사용하며, 그 구성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콥티신(coptisine), 워레닌(worenine), 팔마틴(palmatine), 야테오리진(jateorrhizin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항암작용, 항미생물 작용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490-493, 1998).
황금(Phellodendron amurense R.)은 다년생초본으로 그 뿌리를 약재로 사용 하며, 그 구성 성분으로는 바이칼레인(baicalein), 바이칼린(baicalin), 우고닌(wogonin), 우고노사이드(wogonoside) 및 네오바이클레인(neobaiclein)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해열, 소염, 항알레르기, 혈관확장, 혈압 강하 작용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4-865, 1998).
황백(Scutellaria baicalensis G.)은 황벽나무의 껍질로서 그 구성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자트로리친(jatrorrhizine), 마그노플로린(magnoflorine), 펠로덴드린(phellodendrine), 칸디신(candicine), 팔마틴(palmatine), 메니스페린(menisperine)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혈소판 응고 억제, 혈당강하, 이뇨, 항염, 항균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790-791, 1998).
연교(Forsythia suspensa V.)는 개나리의 열매로서 그 구성 성분으로는 포르시톨(forsythol), 스테롤(sterol), 사포닌(saponin), 플라보놀(flavonol)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 지혈작용, 간치료작용, 해열, 진토, 이뇨작용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74-975, 1998).
금은화(Lonicera japonica T.)는 인동덩굴의 꽃봉오리로 그 구성 성분으로는 꽃에는 루테올린, 이노시톨 약 1%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 사포닌, 탄닌, 이소클로로제닌산(isochlorogenic acid), 클로로제닌산(chlorogenic acid) 등을 함유한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39-940, 1998).
치자(Gardenia jasminoides F.)는 치자나무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열매로 그 구성 성분으로는 가데닌(gardenin), 펙틴(pectin), 탄닌(tannin), 크로신(crocin), 크로세틴(crocetin) 등의 성분이 알려져 있으며, 진정, 혈압하강 작용 등이 보고된 바가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925-926, 1998).
그러나 상기문헌 어디에도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로 구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 개선용으로서의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되거나 공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공여능 우수 효과, SOD 유사활성 효과,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효과, 엘라스타제(Elastase) 저해활성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 생약 추출물은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로 구성된 것으로 그 상대배합 중량비가 1: 1-5:1-5:1-5:1-5:1-5, 바람직하게는 1: 1-3:1-3:1-3:1-3:1-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1: 1: 1:1 :1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70 내지 80%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를 건조하여 그 중량의 약 1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30배 부피(w/v)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아세토 니트릴,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70 내지 80%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로, 20 내지 100℃의 추출 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교반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 또는 냉침 추출의 추출방법으로 1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감압여과하고 동결 건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은 피부 노화방지. 미백 또는 각질 제거용 피부외용제로서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의 피부 외용제 형태의 약학 조성물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노화방지, 미백, 각질 제거용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 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 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 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 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 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은 이외의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 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전자공여능 우수 효과, SOD 유사활성 효과,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활성 저해 효과 및 엘라스타제(Elastase)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 노화방 지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참고예,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시료 및 기기
본 실험에 사용한 시약인 1-1-다이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크산틴(xanthine), 크산틴 옥시다제(xanthine oxidase), porcine pancreas elastase (PPE), N-Succinyl-(L-Ala)3-p-nitroanilide 등은 시그마사 (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기기는 UV/vis-spectrophotometer (Hitachi, Japan), 회전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 Tokyo, Rikakikai Co., Japan), 원심분리기(centrifuge; Hitachi, Japan), 동결 건조기(freeze drier; Ilsin, Korea), 현미경(microscope; Olympus, Japan), CO2 배양기(incubator, Hanbaek Scientific Co., Korea), pH meter (Metrohm Switzerland), B.O.D incubator (Hanbaek Co., Korea), autoclave (Hanbaek Scientific Co., Korea), spectrophotometer (Minolta. Japan), ELISA reader (Bio Rad., Japan)등 이다.
참고예 2. 통계처리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분산분석(ANOVA : analysis of variance)로 검정하였으며, a=0.05 수준에서 Duncan의 다중검증법(DMRT :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0.0(Release 10.0. SPSS Inc. 미국)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대구약령시 구입)를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의 상대배합 중량비, 생약명과 학명은 하기의 표 1과 같다. 이후 추출 과정은 하기와 같다(도 1 참조).
생약명 학 명 중량(g)
황 련 Coptis chinensis F. 6
황 금 Scutellaria baicalensis G. 6
황 백 Phellodendron amurense R. 6
연 교 Forsythia suspensa V. 6
금은화 Lonicera japonica T. 6
치 자 Gardenia jasminoides F. 6
총 량 36
1-1. 열수 추출물의 제조(1)
열수 추출물의 경우,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 각 6g 의 약 10배 부피(w/v)의 증류수를 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얻은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 및 건조하여 열수 추출물 10.5g(29%)을 얻었다(이하, “GHR-W”라 함).
1-2. 7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2)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 각 6g 의 약 10배 부피(w/v)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 및 건조하여 70% 에탄올 추출물 9.8g(27.2%)을 얻었다(이하, “GHR-E”라 함).
1-3. 아세토니트릴 추출물의 제조(3)
아세토니트릴 추출물의 경우,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 각 6g 의 약 10배 부피(w/v)의 아세토니트릴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여과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 및 건조하여 아세토니트릴 추출물 10.0g(27.6%)을 얻었다(이하, “GHR-A”라 함).
상기로부터 수득한 각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동결건조 후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의 방법으로 수득된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로 구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스킨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2-1. GHR-W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획득된 GHR-W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 표 2의 조성대로 하여, GHR-W 추출물이 함유된 스킨(이하, “GHR-SW”라 함)을 제조하였다.
단계 원료 단위(중량%)
A 1 정제수 to 100
A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A 3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A 4 베타인 2.00
A 5 글리세린 1.00
A 6 부틸렌글라이콜 3.00
B 7 에탄올 5.00
B 8 메칠파라벤 0.15
B 9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0
B 10 페녹시에탄올 0.30
C 11 소듐하이알루로레이트 0.05
D 12 알로에베라잎추출물 0.50
E 13 시트릭애씨드 0.05
E 14 소듐시트레이트 0.01
F 15 GHR-W 추출물 1.00
합계 100
2-2. GHR-E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의 제조(2)
상기 실시예 2-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E 추출물을 사용하여, GHR-E 추출물이 함유된 스킨(이하, “GHR-SE”라 함)을 제조하였다.
2-3. GHR-A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의 제조(3)
상기 실시예 2-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A 추출물을 사용하여, GHR-A 추출물이 함유된 스킨(이하, “GHR-SA”라 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의 방법으로 수득된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로 구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3-1. GHR-W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획득된 GHR-W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 표 3의 조성대로 하여, GHR-W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이하, “GHR-EW”라 함)를 제조하였다.
단계 원료 단위(중량%)
A 1 정제수 to 100
A 2 부틸렌글라이콜 5.00
A 3 글리세린 3.00
A 4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A 5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A 6 베타인 3.00
A 7 피이지-32 3.00
B 8 글리세린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프로필렌글라이콜 3.00
C 9 카보머 0.20
D 10 소듐하이알루로레이트 0.05
E 11 트리에탄올아민 0.20
F 12 에탄올 5.00
F 13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05
F 14 방부제 적량
G 15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5
H 16 GHR-W 추출물 1.00
합계 100
3-2. GHR-E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조(2)
상기 실시예 3-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E 추출물을 사용하여, GHR-E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이하, “GHR-EE”라 함)를 제조하였다.
3-3. GHR-A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조(3)
상기 실시예 3-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A 추출물을 사용하여, GHR-A 추출물이 함유된 에센스(이하, “GHR-EA”라 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의 방법으로 수득된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로 구성된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하기와 같은 조성으로 크림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4-1. GHR-W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획득된 GHR-W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기 표 4의 조성대로 하여, GHR-W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이하, “GHR-CW”라 함)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단위 (중량%)
1 GHR-W 추출물 10.0
2 스쿠알란 5.0
3 유동파라핀 3.5
4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 4.5
5 스테아린산 1.5
6 세틸알코올 2.0
7 밀납 1.0
8 바셀린 2.0
9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폴리솔베이트 60 1.5
11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1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5
13 글리세린 5.0
14 부틸렌글리콜 5.0
15 카보머 0.2
16 트리에탄올아민 0.2
17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18 정제수 적량
합 계 100.0
4-2. GHR-E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4-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E 추출물을 사용하여, GHR-E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이하, “GHR-CE”라 함)을 제조하였다.
4-3. GHR-A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4-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A 추출물을 사용하여, GHR-A 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이하, “GHR-CA”라 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Vitamin C의 제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L-Ascorbic acid, regent grade, Sigma)는 각 실험예에서 농도별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수득된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과 실시예 2, 3 및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 및 크림(GHR-CW, GHR-CE 및 GHR-CA)의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전자공여능 우수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방법으로 수득된 GHR-W, GHR-E 및 GHR-A 추출물들의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ies)은 블로이스(Blois)의 방법(Blois MS, Nature, 26, pp1199-120, 1958)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은 순서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2mL에 0.2mM의 DPPH 1mL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 공여능은 시료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수학식 1 참조).
전자공여능(%)=[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GHR-W, GHR-E 및 GHR-A 추출물 모두 500ppm에서 7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GHR-A 추출물의 경우 1,000 ppm에서 95%의 효과를 나타내어 대조군인 비타민 C의 92% 보다도 우수한 항산화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GHR-W, GHR-E 및 GHR-A 추출물들을 첨가한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 및 크림(GHR-CW, GHR-CE 및 GHR-CA)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GHR-A 추출물을 1,000ppm으로 첨가한 스킨(GHR-SA)과 에센스(GHR-AE)는 8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HR-W 또는 GHR-E 1,000ppm를 첨가한 크림은 다소 낮은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w/o/w 복합 에멀전(multiple emulsion)이 유화형태의 크림으로 DPPH와 결합 시 뿌연 색으로 변하여 흡광도 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결과로부터 전자공여능은 GHR-A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 SOD(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효과 측정
SOD 유사활성은 마크룬드(Marklund)의 방법(Marklund S et al., Eur. J. Biochem., 47(3), pp469-474, 1974)에 준하여 하기와 같은 순서로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2mL에 tris-HCl 완충용액(50mM tris+10mM EDTA, pH 8.5) 2.6mL와 7.2mM 피로갈롤 0.2mL 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M HCl 0.1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반응액 중 산화된 피로갈롤의 양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시료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수학식 2 참조).
SOD 유사활성능(%)=[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이 1,000ppm에서 각각 50, 44, 36%의 활성을 나타내어 GHR-W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첨가한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 및 크림(GHR-CW, GHR-CE 및 GHR-CA)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첨가한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는 20% 이하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GHR-A 추출물을 1,000ppm으로 첨가한 크림은 38%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복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이 복합 생약 추출물 자체보다는 전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 효과 측정
크산틴옥시다제 저해활성 측정은 스티르페(Stirpe)와 코르테(Corte)의 방법(Stirpe F et al., J. Biol. Chem., 244(14), pp3855-63, 1969)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시료용액 0.1mL와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 0.6mL에 크산틴 (2mM)을 녹인 기질액 0.2mL를 첨가하고 크산틴 옥시다제 (0.2U/mL) 0.1mL를 가하여 37℃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1mL를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킨 다음, 반응액 중에 생성된 요산(uric acid)의 양을 흡광도 292 nm에서 측정하였다.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 첨가군과 무첨가군 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수학식 3 참조).
저해율(%)=[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GHR-E 추출물이 1,000 ppm에서 55%로 GHR-W, GHR-E 및 GHR-A 추추물 중 가장 우수한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첨가한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 및 크림(GHR-CW, GHR-CE 및 GHR-CA)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의 크산틴 옥시다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GHR-E 추출물을 첨가한 스킨(GHR-SE)의 경우 1,000 ppm에서 3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에센스(GHR-EE)와 크림(GHR-CE)의 경우 30% 미만의 활성을 나타내어, 스킨을 제외한 나머지 화장료 조성물은 GHR-W, GHR-E 및 GHR-A 추출물보다 다소 낮은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주름개선 효과 측정(엘라스타제 저해활성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수득된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 및 실시예 2, 3 및 4의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 및 크림(GHR- CW, GHR-CE 및 GHR-CA)의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측정은 칸넬(Cannell) 등(Cannell RJP et al., Planta. Med., 54(1), pp10-14, 1988)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기질로서 N-숙시닐(succinyl)-(L-Ala)3-p-니트로아닐리드(N-succinyl-(L-Ala)3-p- nitroanilide)를 사용하여 37℃에서 20분간 기질로부터 생성되는 p-니트로아닐리드의 생성량을 445 nm에서 측정하였다. 즉, 각 시험용액을 일정 농도가 되도록 조제하여 0.5mL씩 시험관에 취하고, 50mM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buffer) (pH 8.6)에 녹인 돼지 췌장 엘라스타제(porcine pancreas elastase) (2.5U/mL)용액 0.5mL을 가한 후 기질로 50mM 트리스-염산 완충액 (pH 8.6)에 녹인 N-숙시닐(succinyl)-(L-Ala)3-p-니트로아닐리드(0.5mg/mL)을 첨가하여 20분간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수학식 4 참조).
저해율(%)=[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100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효과를 측정한 결과, GHR-W 추출물의 경우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와 유사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첨가 한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 및 크림(GHR-CW, GHR-CE 및 GHR-CA)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제 저해활성 효과을 측정한 결과, 스킨(GHR-SW, GHR-SE 및 GHR-SA), 에센스(GHR-EW, GHR-EE 및 GHR-EA)의 경우 30% 정도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비타민 C보다 높은 엘라스타제 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에탄올 및 아세토니트릴 추출물을 첨가한 w/o/w 복합 에멀전(multiple emulsion) 크림(GHR-CE 및 GHR-CA)의 경우 46.51%로 복합 생약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비타민 C의 효능에 대등한 주름개선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의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조예 1.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로션)의 제조예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단위: 중량 %)
번호 원 료 함 량
1 GHR-W 추출물 2.0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라마이드 0.7
5 세테아레스-4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선플라우어오일 10.0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1 산탄검 0.3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적량
합 계 100
제조예 2.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함유한 화장료중 유화형 파운데이션의 제조예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단위: 중량 %)
번호 원 료 함 량
1 GHR-E 추출물 2.0
2 밀납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4 유동파라핀 5.0
5 스쿠알란 5.0
6 스테아린산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8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4.0
9 글리세린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부틸렌글리콜 3.0
12 트라이에탄올아민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14 안료 12
15 방부제 미량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적량
합 계 100
제조예 3. 친수성 연고제의 제조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을 함유한 피부외용 약학조성물중 친수성 연고제를 표 7에 나타내었다.
(단위: 중량 %)
번호 원 료 함 량
1 GHR-A 추출물 10.0
2 백색 바세린 25
3 스테아릴 알콜 22
4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13.0
5 프로필렌 글리콜 12
6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7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3.0
합 계 100
도 1은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시료로부터 추출 과정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도이며(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1
GHR-W : 복합 생약의 열수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2
GHR-E : 복합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3
GHR-A : 복합 생약의 아세토니트릴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4
Vitamin C-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3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낸 도이고(A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스킨, B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에센스, C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5
GHR-SW, GHR-EW 또는 GHR-CW : GHR-W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6
GHR-SE, GHR-EE 또는 GHR-CE : GHR-E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7
GHR-SA, GHR-EA 또는 GHR-CA : GHR-A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4는 복합 생약 추출물(GHR-W, GHR-E 및 GHR-A)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8
GHR-W : 복합 생약의 열수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09
GHR-E : 복합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0
GHR-A : 복합 생약의 아세토니트릴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1
Vitamin C-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5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낸 도이고(A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스킨, B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에센스, C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2
GHR-SW, GHR-EW 또는 GHR-CW : GHR-W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3
GHR-SE, GHR-EE 또는 GHR-CE : GHR-E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4
GHR-SA, GHR-EA 또는 GHR-CA : GHR-A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6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5
GHR-W : 복합 생약의 열수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6
GHR-E : 복합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7
GHR-A : 복합 생약의 아세토니트릴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8
Vitamin C-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7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고(A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스킨, B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에센스, C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19
GHR-SW, GHR-EW 또는 GHR-CW : GHR-W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0
GHR-SE, GHR-EE 또는 GHR-CE : GHR-E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1
GHR-SA, GHR-EA 또는 GHR-CA : GHR-A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 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8는 복합 생약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며(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2
GHR-W : 복합 생약의 열수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3
GHR-E : 복합 생약의 에탄올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4
GHR-A : 복합 생약의 아세토니트릴 추출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5
Vitamin C-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도 9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다(A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스킨, B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에센스, C : GHR-W, GHR-E 및 GHR-A 추출물을 첨가한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6
GHR-SW, GHR-EW 또는 GHR-CW : GHR-W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7
GHR-SE, GHR-EE 또는 GHR-CE : GHR-E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Figure 112008069788707-PAT00028
GHR-SA, GHR-EA 또는 GHR-CA : GHR-A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킨, 에센스 또는 크림, 상기 수치는 반복 3 회 실험의 평균값이며, 알파벳 문자로 표기된 값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냄 p< 0.05).

Claims (7)

  1.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아세토니트릴,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칠, 부틸렌글리콜, 에테르,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상대배합 중량비가 1: 1-5:1-5:1-5:1-5:1-5인 피부 외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 약학조성물.
  6. 황련, 황금, 황백, 연교, 금은화 및 치자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097893A 2008-10-06 2008-10-06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08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93A KR101086736B1 (ko) 2008-10-06 2008-10-06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93A KR101086736B1 (ko) 2008-10-06 2008-10-06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97A true KR20100038797A (ko) 2010-04-15
KR101086736B1 KR101086736B1 (ko) 2011-11-25

Family

ID=4221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893A KR101086736B1 (ko) 2008-10-06 2008-10-06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73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0717A (zh) * 2012-12-05 2013-02-27 邓凯伟 一种治疗牛口蹄疫的中药
CN103536667A (zh) * 2013-11-08 2014-01-29 四川巴尔农牧集团有限公司 止痢中药组合物
CN103536668A (zh) * 2013-11-08 2014-01-29 四川巴尔农牧集团有限公司 止痢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CN103550378A (zh) * 2013-11-14 2014-02-05 肖宁 一种临床护理痔疮的药物组合物
CN103599243A (zh) * 2013-11-22 2014-02-26 安徽天恒药业有限公司 治疗牙衄牙缝内出血的中药组合物
KR20160002125A (ko) 2014-06-30 2016-01-07 (재)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8069B1 (ko) * 2016-10-20 2018-07-12 신덕현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76026A1 (en) * 2020-03-05 2021-09-10 Givaudan Sa Cosmetic composition
KR20220118664A (ko) * 2021-02-19 2022-08-2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보습 효과를 보유한 가미황련해독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444B1 (ko) * 2003-06-27 2006-06-07 신준식 한방 약재를 이용한 피부노화 방지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0717A (zh) * 2012-12-05 2013-02-27 邓凯伟 一种治疗牛口蹄疫的中药
CN103536667A (zh) * 2013-11-08 2014-01-29 四川巴尔农牧集团有限公司 止痢中药组合物
CN103536668A (zh) * 2013-11-08 2014-01-29 四川巴尔农牧集团有限公司 止痢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CN103550378A (zh) * 2013-11-14 2014-02-05 肖宁 一种临床护理痔疮的药物组合物
CN103599243A (zh) * 2013-11-22 2014-02-26 安徽天恒药业有限公司 治疗牙衄牙缝内出血的中药组合物
KR20160002125A (ko) 2014-06-30 2016-01-07 (재)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8069B1 (ko) * 2016-10-20 2018-07-12 신덕현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과 편백 오일을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76026A1 (en) * 2020-03-05 2021-09-10 Givaudan Sa Cosmetic composition
CN115605264A (zh) * 2020-03-05 2023-01-13 奇华顿股份有限公司(Ch) 化妆品组合物
KR20220118664A (ko) * 2021-02-19 2022-08-2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보습 효과를 보유한 가미황련해독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손소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736B1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193B1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KR10108673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121944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5485B1 (ko)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3820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까실쑥부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4614A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0744B1 (ko) 지황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 제거용 조성물
KR100773411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05004542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73406B1 (ko)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ch 조성물
KR102196158B1 (ko) 오미자씨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42690B1 (ko) 참나도히초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67765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하고초 pse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02891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싸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891734B1 (ko) 도인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6669B1 (ko)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00085532A (ko) 굴피나무의 수피, 심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8852B1 (ko) 미백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