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946B1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946B1
KR101070946B1 KR1020070137168A KR20070137168A KR101070946B1 KR 101070946 B1 KR101070946 B1 KR 101070946B1 KR 1020070137168 A KR1020070137168 A KR 1020070137168A KR 20070137168 A KR20070137168 A KR 20070137168A KR 101070946 B1 KR101070946 B1 KR 10107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cid
oil
hair los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484A (ko
Inventor
양재하
강주봉
황미열
이진영
이민정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7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94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94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마우스를 통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는 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생지황, 하수오, 산약, 탈모, 발모

Description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herbal mixed extract showing hair-growth stimulating activity and preventing activity from hair loss}
본 발명은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1998. 07. 31)
[문헌 2] 대한민국특허 제0161338호 (1998. 08. 24)
[문헌 3] 대한민국특허 제259037호 (2000. 03. 16)
[문헌 4] 대한민국특허 제0260673호 (2000. 04. 11)
[문헌 5] 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영림사, 1998
[문헌 6] Seok-Seon Rho et al.,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8, pp.89-97, 2005
사람의 모발에는 모주기가 있어 일정한 기간 후에는 휴지기가 와서 두피로부터 탈락하게 되며 모주기와 관계없이 빠지는 것을 탈모증이라 하며, 독발증(禿髮症) 또는 독두병(禿頭病)이라고도 한다. 즉, 비정상적으로 털이 많이 빠지거나 모발이 있어야 할 부위에 없거나 빈약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머리털뿐만 아니라 털은 모두 일정한 성장기간이 지나면 성장이 정지되고 휴지기에 들어가서 탈모하여 다시 털이 나는 일을 되풀이하며, 이것을 털의 성장주기라고 하는데, 눈썹, 속눈썹, 솜털 등의 성장주기는 6 개월 이하인데 반해, 머리털은 성장기가 2~6년 이상으로 길고 휴지기가 2~3 개월 이하로 짧으며, 1개씩 독립된 성장주기를 가지며, 성인은 머리털의 2~5% 정도가 휴지기에 있다고 한다. 휴지기에 들어간 털은 색소가 엷으며, 윤기가 없고, 모근도 가늘며, 세발이나 빗질로 쉽게 빠진다. 또 발열성 질병, 임신,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성장기의 털이 갑자기 휴지기에 들어가 많이 빠지는 일이 있는데, 원인이 제거되면 회복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의 원인은 내분기계 이상, 혈액순환장애 등 순환계 이상에 의한 과도한 피지생성, 모근의 영양 결핍, 알레르기, 세균 감염 등의 신체적 요인, 남성 호르몬의 영향 등 유전적 요인, 각종 공해, 가공 식품이 주류인 음식물, 샴푸, 비누, 무스, 헤어젤, 헤어스프레이, 퍼머, 염색, 헤어드라이 사용 등 환경적 요인, 과도한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 현대인의 정신적·사회적 요인, 노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어 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부분의 탈모환자들이 모낭충이 일정 부분 탈모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모낭충이란 거미과 진드기목에 속하는 기생성 진드기로 사람의 눈꺼풀이나 코 주위, 외이도(外耳道), 머리 등의 피지선과 모낭에 기생한다. 이러한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종래의 발모촉진용 약물 중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탈모치료제로서 그 효능을 승인받은 제품으로는 경구용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Merk, 미국)와 외용제 미녹시딜(Minoxidil, Upjohn, 미국) 두 가지가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세혈관 확장 기능이 있어 두피에 바름으로서 탈모를 방지하지만, 매일 2회씩 지속적으로 발라야하며, 3~4시간 동안 약제가 두피에 머무르도록 해야만 어느 정도 효과가 나타나는 등, 그에 상응하는 효과면에서는 미비하고,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실정이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호르몬인 DHT(5α-dihydrotestosterone) 생성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6개월에서 1년 정도 복용시 발모 또는 탈모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작용으로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감퇴 등을 들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복용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려는 시도 또한 많이 있었는데,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웅지와 만형자를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61338호),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259037호), 녹두분, 대두분, 흑미분, 들깨분, 참깨분, 호두분, 김분, 홍합분, 굴 분, 멸치분, 미역분, 다시마분,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260673호) 등이 공개된 바 있으나, 그 작용 원리가 명확하지 않으며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전술한 발모제들은 탈모 환자에게 경제적 부담 및 고통을 주거나 부작용을 유발하고, 효과가 일시적이거나 또는 단편적인 약리학적 기작만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효과가 보다 탁월하고 지속적이며, 부작용이 없는 약제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schitz var . purpurea Makino)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신선한 뿌리를 약재로 쓰는데, 이것을 지황이라고 한다. 신선한 근경을 생지황 또는 선지황, 말린 것을 건지황, 생지황을 황주에 넣고 찌고 햇볕에 말리는 것을 9번 거듭한 것을 숙지황이라고도 한다. 생지황은 맛과 성질은 달고 쓰며, 차갑다. 십이경락 중 심경, 간경, 신경에 들어간다. 효능은 열을 내리고, 피를 맑게 하고 피의 흐름을 도우면서 신선한 피를 생성하는 보혈기능이 있어 흰머리를 검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908, 영림사, 1998).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초본으로 산삼과 견줄만한 약성을 인정받으며, 성질은 따듯하고 맛은 쓰고 떫으며 독이 없다. 하수오는 고구마처럼 생겼는데 그보다 약간 작고, 인삼이 귀할 때는 인삼 대신으로, 숙지황이 없으면 대용품으로, 또는 숙지황이 있어도 숙지황보다 금기 기운이 덜하고 소화가 잘되기 때문에 하수오를 쓰기도 하였다. 하수오는 당귀나 숙지 황의 기능과 같이 피를 생성하여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 염증, 종기, 부스럼을 없애주는 작용을 하고 이외에도 가래와 담을 삭히고 부인의 산후병, 냉, 대하 등을 치료하고, 골수를 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생으로 쓸 경우에는 기운을 소통시켜 대변 소통을 원활히 해주는 작용 외에 해독작용을 하기도 하며 적당히 찌거나 삶은 다음에 말려서 쓰면 간과 신을 보해서 혈과 정이 생겨나게 한다. 머리를 검게하고 얼굴을 아름답게 하며 부인의 산후증과 대하증을 다스린다고 하고, 장복할 경우 흰 머리가 검고 윤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318, 영림사, 1998).
산약(Dioscoria tenuipes FR. et SAV.)은 마(Disocorea batatas)의 덩이뿌리로서, 사포닌(saponin), 콜린(cholin), 전분, 클리코단백질(glycoprotein), 압씨신 Ⅱ(abscisin Ⅱ), 폴리페놀,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허로와 신을 보하고 오장을 튼튼히 하여 기력을 돋우고, 근육과 뼈를 강하게 하며 위장을 잘 다스려 설사를 멎게 하고 정신을 편안하게 하여 노화 방지에 특히 효과가 좋으며 거친 피부, 정력증진, 귀울음, 식은 땀을 흘리는데 꾸준히 마시면 효과가 있으며, 건조한 피부를 윤택하게 해 준다고 한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148, 영림사, 19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방제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 추출물 가운데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모 촉진 효과를 가진 원료를 찾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 해오는 가운데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 마우스를 통한 발모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그 구성 배합비가 생지황 : 하수오 : 산약(1~10 : 1~5 : 1~5), 바람직하게는 생지황 : 하수오 : 산약(1~4 : 1~2 : 1~2)의 중량비(w/w)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의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은,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을 세척 후 세절하고, 그 구성 배합비가 생지황 : 하수오 : 산약(1~10 : 1~5 : 1~5), 바람직하게는 생지황 : 하수오 : 산약(1~4 : 1~2 : 1~2)의 중량비(w/w)로 이것의 1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배 부피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헥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초산에칠, 에테르,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여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 동안 100℃에서 2회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한 후 200 메쉬 체에서 압력을 가해 액을 분리하여 40 브릭스까지 추출물을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으로 포함한다.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얻어진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마우스를 통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헤어토닉, 헤어로션, 샴푸, 린스 또는 비누 등 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 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 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 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 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 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 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 -(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 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 중량으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 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 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마우스를 통한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내는 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 추출물의 제조
(주) 휴먼허브에서 구입한 생지황 3,600 g, 하수오 1,800 g 및 산약 1,800 g를 세척하여 세절하여 기계식 약탕기에 넣고, 여기에 물 15,000 g를 첨가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2번 달였다. 그리고 나서 이것을 200 메쉬 체에서 압력을 가해 액을 분리하여 40 브릭스까지 탕액을 농축하여 제조하여 최종적으로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 (이하 “A"라 명명함) 2160 g을 수득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마우스를 통한 발모 촉진 효과 실험
1-1. 실험준비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A를 시료로 이용하여 마우스에서의 실제 발모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Rho 등의 방법(Seok-Seon Rho et al.,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38, pp.89-97, 2005)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텔로젠(telogen) 시기를 앞둔 6주령 생쥐(C57/BL6, 오리엔트, 한국, 18 내지 20 g)를 1주일간 사육실에서 적응하도록 한 후, 생쥐에 마취제(케타민 또는 펜토발비탈, 한림제약, 엔토발주사 70601)를 복강으로 투여하여(2.5 mg/개체) 마취 시킨다. 마취가 된 쥐의 등쪽에 제모제를 1 g 발라서 잘 펴준 다음 2분가량 상온에 둔다. 스크렙퍼로 등을 살짝 밀면서 제모시킨다. 제모된 쥐는 여분의 제모제를 제거하기 위해 미온수로 씻어 준다. A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쥐를 3군으로 나누어(5일째: 군당 5마리; 10일, 15일째: 군당 15마리; 20일째: 군당 8마리) 매일 상기 시료 물질을 20일 동안 하루에 한 번 씩 도포(2% 미녹시딜: 0.1 ml, A: 0.3 ml)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은 미녹시딜 용매(알코올: 60%, 물: 20%, PEG400: 20%)를, 양성 대조군은 2% 미녹시딜, 실험군은 50% A를 이용하였다.
1-2. 발모 효과 관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A를 시료로 이용하여 3군으로 나눈 생쥐의 발모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5일, 10일 및 20일째 사진을 촬영하여 발모 진행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7주령 생쥐는 자연 탈모가 되는 시기인 텔로젠(telogen)이므로, 제모 후 등의 피부가 희게 보였으며, 음성 대조군이나 양성 대조군이나 실험군 모두 5일까지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미녹시딜(Minoxidil)과 50% A을 처리한 생쥐의 등에서 모낭(hair follicle)이 자라고 있는 흔적이 관찰되었다. 5일 이후 생쥐들의 발모는 실험군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10 일째 한약재를 처리한 군의 등에서 거의 70% 이상 발모가 관찰되었고, 이 현상은 미녹시딜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에서와 비슷하였다. 10일 이후는 거의 모든 생쥐군에서 급속도로 빨리 발모가 진행되었고, 20일째는 모든 군에서 완전한 발모가 관찰되었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50% A가 발모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0% A의 효과 정도는 5일째 모낭의 출현이나 10일째 발모가 왕성히 일어나는 양상이 미녹시딜과 유사하거나 뒤지지 않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1-3. 모발의 밀도 및 굵기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A를 시료로 이용하여 3군으로 나눈 생쥐의 모발 밀도 및 굵기를 칼라비디오 영상장치(Leadm, 한국)와 폴리스코프(Leadm,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발의 밀도 측정 결과 도 3, 4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A를 처리한 군의 모발 밀도가 10 일째 미녹시딜을 처리한 군과 유사한 밀도수준을 보였으며 이것은 대조군에 비해 2 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urkey test, p<0.001).
모발의 굵기 측정 결과는 도 5, 6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A를 처리한 군의 모발 밀도가 10 일째 미녹시딜을 처리한 군과 유사한 굵기를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2 배 이상 두꺼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Turkey test, p<0.001).
10 일째(개수/cm2) 15 일째(개수/cm2)
대조군 1,391 ± 64 3,960 ± 53
미녹시딜 4,015 ± 435* 4,664 ± 138*
50% A 3,429 ± 425# 4,882 ± 194#
*, #: Turkey test, p<0.001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10 일째(um) 15 일째(um)
대조군 5.67 ± 0.47 13.6 ± 0.47
미녹시딜 12.67 ± 0.47* 17.3 ± 0.47*
50% A 11.33 ± 1.7# 17.0 ± 0#
*, #: Turkey test, p<0.001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1-3. 마우스를 통한 피부 두께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A를 시료로 이용하여 3군으로 나눈 생쥐의 피부두께를 현미경(Moticam 2300; Motic, 홍콩)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마우스 개체에서 채취한 피부조직을 파라핀에 고정한 뒤 슬라이드에 붙여서 염색한 것을 사용하여 피부두께를 측정하였다. 피부두께는 피부각질층에서 진피층에 있는 근육층까지 측정하였고, 각 개체 당 적어도 3개의 피부 조직에서 3개 이상의 지점에서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획득하고 통계적 처리(Turkey test)를 하여 유의적이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피부 두께 측정 결과는 도 2과 표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A를 처리한 군의 피부두께가 10일째 미녹시딜(Minoxidil)을 처리한 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며 이것은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0.001).
5 일째 10 일째 15 일째 20 일째
대조군 167.6 ± 55.6 175.8 ± 22.5 303.4 ± 45.9 271.0 ± 45.9
미녹시딜 132.9 ± 25.0 282.3 ± 40.7* 321.3 ± 73.6 316.5 ± 62.0
50% A 122.4 ± 14.3 277.1 ± 54.9* 388.1 ± 105.3 299.7 ± 65.8
*: Turkey test, p<0.001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생지황, 하수오 및 산약의 복합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헤어 토닉의 제조
실시예 1의 A 1%
에탄올 55.0%
피마자유 5.0%
글리세린 3.0%
피록톤아민 0.1%
향료,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2. 헤어 로션의 제조
실시예 1의 A 1.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피록톤올아민 0.1%
향료, 색소 0.5%
정제수 잔량
계 100.0%
제제예 3. 헤어 비누의 제조
실시예 1의 A 0.1%
이산화티탄 0.2%
폴리에틸렌글리콜 0.8%
글리세린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0.05%
나트륨 1.0%
색소, 비누향 적량
화장비누베이스(수분 13%, 중량부) 잔량
계 100.0%
도 1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도포한 생쥐의 모발 생장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도포한 생쥐의 피부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10일째 도포한 생쥐의 모발 밀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15일째 도포한 생쥐의 모발 밀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10일째 도포한 생쥐의 모발 굵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복합 생약 추출물을 15일째 도포한 생쥐의 모발 굵기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5)

  1. 생지황 : 하수오 : 산약(1~10 : 1~5 : 1~5)의 중량비(w/w)의 복합 생약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70137168A 2007-12-26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0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168A KR101070946B1 (ko) 2007-12-26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168A KR101070946B1 (ko) 2007-12-26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484A KR20090069484A (ko) 2009-07-01
KR101070946B1 true KR101070946B1 (ko) 2011-10-06

Family

I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78B1 (ko) 2019-02-26 2019-05-09 김지유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6779B1 (ko) 2019-02-26 2019-05-09 김지유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7690B1 (ko) 2019-02-26 2020-06-10 (주)성환예가비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210B1 (ko) 2019-11-27 2020-10-1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동규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947B1 (ko) * 2005-10-18 2006-03-03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0180B1 (ko) * 2006-12-01 2007-11-2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947B1 (ko) * 2005-10-18 2006-03-03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0180B1 (ko) * 2006-12-01 2007-11-2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578B1 (ko) 2019-02-26 2019-05-09 김지유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6779B1 (ko) 2019-02-26 2019-05-09 김지유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7690B1 (ko) 2019-02-26 2020-06-10 (주)성환예가비 발모 개선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210B1 (ko) 2019-11-27 2020-10-15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동규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9332A (ko) 가열처리 인삼,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엽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1189670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of cucumber, eggplant and snai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KR20180004367A (ko) 금화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70000714A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3651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551891B1 (ko) 섬오가피 및 문주란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0012312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30033623A (ko) 감잎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00110407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JP3987733B2 (ja) 線維芽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む皮膚外用剤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09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7257657B2 (ja) 抗酸化剤、及び化粧料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70418B1 (ko) 구기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5068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증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239516B1 (ko)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발 보호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