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651B1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651B1
KR101103651B1 KR1020110009946A KR20110009946A KR101103651B1 KR 101103651 B1 KR101103651 B1 KR 101103651B1 KR 1020110009946 A KR1020110009946 A KR 1020110009946A KR 20110009946 A KR20110009946 A KR 20110009946A KR 101103651 B1 KR101103651 B1 KR 101103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cid
cosmetic composition
hair los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이경주
이창환
김성중
박은아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지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지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지미인
Priority to KR1020110009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8Preparations for oily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백엽,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후박 6가지 한방 생약제제를 세척한 후 각각 음건하여 열수 추출 후, 여과하여 얻어낸 한방 복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탈모방지 및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을 건강하게 해주며, 두피 상태를 청결하게 하고, 피지의 과잉생성 억제, 비듬과 가려움증을 예방하고 발모촉진효과 기능을 갖는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the oriental medicine mixed extract preventing activity from hair loss}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천연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량의 물에 측백엽,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후박 6가지 한방 약재를 일정비율로 넣고 일정시간 가열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원료로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과 피지의 과잉생성 억제, 비듬균에 대한 항균작용 등으로 사용자의 모발과 두피상태를 청결하게 하여 모발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탈모예방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샴푸 또는 린스 등을 포함하는 여러 형태의 모발화장료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는 탈모를 고민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 연령층도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외적인 아름다움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탈모가 사회적인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의 주 원인은 모발을 만들어 내는 세포의 기능저하, 남성호르몬의 과잉분비, 피지의 과잉분비, 비듬의 과잉발생, 영양섭취 부족 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유전 및 노화현상에 의한 원인뿐만 아니라 식습관, 정신적인 스트레스, 위생상태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규명되고 있지 않다.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관리차원의 탈모방지 제품을 사용하는 여성이나 젊은 사람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평상시 매일 사용하는 샴푸 조성물에 탈모방지에 도움을 주는 유효성분을 함유시켜 탈모를 미리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종래의 발모촉진용 약물 중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탈모치료제로서 그 효능을 승인받은 제품으로는 경구용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Merk, 미국)와 외용제 미녹시딜(Minoxidil, Upjohn, 미국) 두 가지가 알려져 있다. 미녹시딜(Minoxidil)은 모세혈관 확장 기능이 있어 두피에 바름으로서 탈모를 방지하지만, 매일 2회씩 지속적으로 발라야하며, 3~4시간 동안 약제가 두피에 머무르도록 해야만 효과가 나타나는 등, 상응하는 효과 면에서 미비하고, 가려움증,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실정이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탈모를 유발하는 남성호르몬인 DHT(5α-dihydrotestosterone) 생성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6개월에서 1년 정도 장기복용 시 발모 또는 탈모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복용을 중단하면 2개월 안에 원상태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작용으로써 성욕감퇴,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 감퇴 등을 들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위험이 있기 때문에 복용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복용함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려는 시도 또한 많이 알려져 있다, 난초과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57667호), 웅지와 만형자를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161338호), 반하, 정향, 복분자, 산초, 만형자, 단삼 및 백자인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259037호), 녹두분, 대두분, 흑미분, 들깨분, 참깨분, 호두분, 김분, 홍합분, 굴분, 멸치분, 미역분, 다시마분,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대한민국특허 제0260673호) 등이 공개된 바 있으나, 그 작용 원리가 명확하지 않으며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탈모를 예방하면서 사용시 자극을 거의 주지 않고, 살균 작용뿐만 아니라 두피 세포의 대사활동을 정상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성분으로 된 한방약재로 만든 모발 개선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 및 효능 검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2010-0110407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2002-0096122 :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을 함유하는 샴푸 3.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6-0010035 : 한약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4.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094916 :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0―메틸호노키올을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조성물 5.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0-0097560 :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의 모발 및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6. 대한민국 특허 10-0657380 :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개선을 위한 샴푸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7.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098241 :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생약추출액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8.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0-0011176 :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을 위해 오랜 기간을 연구한 끝에 기존에 알려진 한방약재의 작용과 효능에 기초하여 특정한 조합의 한방약재를 각기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두피 세포의 대사활동을 높여주고 비듬을 예방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다는 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측백엽,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및 후박의 혼합물로부터 열수 추출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측백엽:고삼:단삼:박하:한련초:후박이 중량 기준으로 1 ~ 3 : 0.5 ~ 1.5 : 0.5 ~ 1.5 : 0.5 ~ 1.5 : 0.5 ~ 1.5 : 0.5 ~ 1.5 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물은 측백엽:고삼:단삼:박하:한련초:후박이 중량 기준으로 2:1:1:1:1:1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추출물이 화장료 전체를 기준으로 10.0 ~ 3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측백엽,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및 후박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생약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한방 약재에 대해 차례대로 설명한다.
측백엽(側柏葉)은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의 어린 가지와 잎을 말한다. 봄, 가을에 측백나무의 어린가지와 잎을 채취해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조선후기의 의서인 방약합편 (方藥合編)에 측백엽은 쓴맛이 나며 수염과 눈썹을 나게 하며 토혈, 코피, 자궁출혈, 이질 등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 동의보감의 탈모 처방인 이선환 (二仙丸)에서는 측백엽과 당귀를 가루로 만든 후 복용하면 탈모에 효과가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측백엽은 예전부터 한방에서 탈모, 치습제, 지혈제로 사용되거나 대하증의 치료에 쓰였다. 측백엽에는 주니페르산(juniperic acid), 두존(thujone), 마이우론(mayurone), 사빈산(sabinic acid), 등이 들어있고 청혈, 지혈작용이 있어 혈액을 왕성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혈열이나 혈허로 인한 병후의 탈모나 머리카락이 빨리 희어지는 증상에 효능이 있으며, 최근에는 측백엽의 발모작용을 이용하여 개발된 발모제가 판매되고 있다.
고삼(苦蔘,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이용부위: 뿌리)은 쓴맛을 내고 있어 쓰다 고(苦)라는 글자를 사용하고 효능이 삼과 유사하다고 해서 인삼 삼(蔘)이라는 글자를 사용한다. 주요 약효성분으로는 항균작용이 있는 Matrine 과 Oxymatrine, 항산화 물질인 0xanthohumol, 항암작용이 있는 Kurarinone이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이뇨작용, 해열작용, 항 진균작용 등이 있어 피부의 화농증과 습진에도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삼은 남성탈모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5α- reductase라는 효소의 성능을 강력히 억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탈모를 억제할 뿐 아니라 모발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이용부위:뿌리)은 인삼의 한 종류로 높이는 40~80㎝이고, 전체에 잔털이 많이 나있다. 뿌리에서는 특이한 냄새가 나고 약간 쓴맛이 나는데 한방에서 약재로 많이 쓰여진다. 단삼의 성분은 세포의 활성을 도와 두피를 튼튼하게 하고, 풍부한 사포닌은 과도한 피지를 억제하며, 모발을 검게 해주고, 진정작용, 모발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혈관확장작용, 항균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등의 약리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하(Mentha arvensis L., 이용부위: 잎)의 멘토산은 청량감과 두피의 냄새를 제거하고 초산, 수지 및 소량의 Tannin은 남성피지를 억제해 가려움증이나 과도한 유분을 억제해 주는 작용을 한다.
한련초(Eclipta prostrata L., 이용부위: 잎)는 신장을 건강하게 하는데, 한의학적으로 모발은 신장과 관계가 많다. 또한 한련초는 성질이 차가워 젊은 사람의 상열감으로 인한 탈모에 적합하며, 신맛은 수렴시키는 효능이 있어 종기와 가려움증을 치료한다.
후박(Magnolia officinalis Rehd. et Wils, 이용부위: 나무껍질)은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에서 오랜 기간 건위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후박 잎은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도 사용 되어 왔다. 주요 성분으로는 마그노올(Magnolol), 호노키올 (Honokinol), 알파-, 베타-데스몰 (α-,β- Eudesmol), 알파-, 베타- 피넨(α-,β- Pinene), 캄펜 (Camphen), 리모넨 (Limonene), 마그노쿠라린 (Magnocurarine), 마그노플로린 (Magnoflorine)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박 추출물의 4-0-메틸호노키올 (4-O-methylhonokiol)이라는 성분이 탈모 및 육모 촉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문헌으로 보고 되기도 하였다. 후박나무의 약리 작용으로는 진통작용, 건위작용, 항균작용, 진경작용, 진정작용, 평천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6가지 한방약재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성분이 모발의 발모촉진에 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방약재 혼합물은 상기 한약재 혼합물에 대해 1~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15배의 물을 혼합하여 40℃ 온도에서 약 1일~3일 정도에서 침적시키거나 60~80℃ 추출온도에서 약 4시간~2일 정도에서 중탕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가지 한방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모발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 등과 같은 화장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
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복합 생약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6가지 한방약재추출물은 여러가지 모발화장료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므며, 추출물 이외의 나머지 성분들은 최종 제품의 형태나 특성에 따라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측백엽,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후박 6 가지 한방추출액을 사용하여 두피 자극을 완화하고 비듬과 가려움증을 예방 또는 개선하여 모발을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두피 트러블 개선에 큰 효과를 주는 것은 물론, 모근과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를 1일 1회씩 한달 동안 세척한 후의 두피 상태와 사용하기 전의 두피 상태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를 사용하기 전과 후의 모발 큐티클 층을 전자현미경(SEM)을 통해 600배 확대하여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측백,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후박 6가지 한약재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이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한방 추출물의 제조
측백엽 200g, 고삼 100g, 단삼 100g, 박하 100g, 한련초 100g, 후박 100g에 각각 15배의 정제수를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열탕증류기에서 80℃로 5시간 가열한 후 함께 혼합하여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에 0.45㎛ 의 필터로 또 다시 여과하여 추출액 6∼7kg (17.8g/l)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한방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제형의 제조
상기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함유한 샴푸제형을 [표 1]에서와 같은 배합비(중량비)로 하여 제조하였다.
원료명 배합비
1. 복합 한방 추출물 30.0부
2. 멘톨 0.1부
3. 판테놀 0.2부
4. 살리실산 0.1부
5.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05부
6. 계면활성제 50.0부
7. 점도조절제 5.0부
8. 보습제 5.0부
9. 크림바졸 적량
10. 나이아신아마이드 적량
11. 향료 적량
12. 에탄올 적량
13. 정제수 잔량
합 계 100부
피험자 설문 조사
평소 탈모를 고민하던 사람을 20명 선정하여 표 1의 샴푸를 1일 1회씩 4개월 동안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두피 상태 및 탈모 감소를 느끼는 정도에 대해 설문 평가 하였다.
설문내용 응답자 비율
사용 후 두피 가려움증이 줄어든 것을 느꼈다. 95%
사용 후 두피 각질이 줄어든 것을 느꼈다. 90%
사용 후 탈모가 감소하는 것을 느꼈다. 85%
모발의 인장 강도 비교 실험
모발의 인장 강도 실험이란 모발이 당기는 힘에 의해 끊어지기 전까지 견딜 수 있는 힘을 말한다. 표 1의 샴푸를 사용 하기 전 모발과, 4개월간 사용한 후의 모발의 인장 강도 측정을 하였다. 모발의 인장 강도 측정은 대산엔지니어링 (DS-UTM) 기기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샘플의수(개) 샴푸 사용전(Kg) 샴푸 사용 후(Kg)
1 0.10 0.112
2 0.098 0.014
3 0.097 0.116
4 0.112 0.125
5 0.094 0.153
6 0.088 0.12
7 0.099 0.135
8 0.12 0.165
9 0.098 0.151
10 0.097 0.132
평균 0.1003 0.1223
모발의 인장강도 실험을 한 결과 표 1의 샴푸를 4개월간 사용한 후의 모발의 인장강도가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상태 비교 실험
표 1의 샴푸를 1일 1회씩 한달 동안 세척한 후의 두피 상태와 사용하기 전의 두피 상태를 현미경 사진을 통해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샴푸 사용 전에 있었던 피지와 비듬이 제거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1)
모발 큐티클 층 비교 시험
표 1의 샴푸를 사용하기 전과 후의 모발 큐티클 층을 전자현미경(SEM)을 통해 6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샴푸 사용 후 모발 큐티클 층이 정돈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2)
모발 두께 및 모발 개수 비교 실험
표 1의 샴푸를 1일 1회씩 4개월 동안 사용하게 한 후의 모발 두께 및 모발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때 모발 두께 및 개수 측정은 특정 부위를 지정한 후 폴리스코프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각각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08029577-pat00001
측정 결과 모발 굵기가 평균 2%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08029577-pat00002
* 측정부위: 왼쪽 귀의 이륜(耳輪)부위의 가장 높게 올라온 곳에서 부터 5cm, 7cm, 10cm 떨어진 부분.
측정 결과 모발개수는 평균 4.26%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측백엽, 고삼, 단삼, 박하, 한련초 및 후박의 혼합물로부터 열수 추출된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측백엽:고삼:단삼:박하:한련초:후박이 중량 기준으로 1 ~ 3 : 0.5 ~ 1.5 : 0.5 ~ 1.5 : 0.5 ~ 1.5 : 0.5 ~ 1.5 : 0.5 ~ 1.5 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을 기준으로 10.0 ~ 3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갖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09946A 2011-02-01 2011-02-0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1103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46A KR101103651B1 (ko) 2011-02-01 2011-02-0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946A KR101103651B1 (ko) 2011-02-01 2011-02-0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651B1 true KR101103651B1 (ko) 2012-01-11

Family

ID=4561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946A KR101103651B1 (ko) 2011-02-01 2011-02-01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6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328A (ko) 2013-12-18 2015-06-29 (주)제니트리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펩톤발효물의 경피 전달 시스템
KR20150072327A (ko) 2013-12-18 2015-06-29 (주)제니트리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KR20160001102A (ko) 2014-06-26 2016-01-06 이호규 그라비올라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3992A (ko) * 2017-11-10 2019-05-21 유명희 한방 발모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20B1 (ko) 2006-01-24 2006-11-01 (주)코리아하우스 오비채 천연한방 두피클리닉샴푸 조성물
KR100805692B1 (ko) 2007-08-30 2008-02-21 (주)유니허브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KR100822835B1 (ko) 2007-10-22 2008-04-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두피 및 모발 개선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2854A (ko) * 2007-07-04 2009-01-09 황대성 생약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220B1 (ko) 2006-01-24 2006-11-01 (주)코리아하우스 오비채 천연한방 두피클리닉샴푸 조성물
KR20090002854A (ko) * 2007-07-04 2009-01-09 황대성 생약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5692B1 (ko) 2007-08-30 2008-02-21 (주)유니허브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KR100822835B1 (ko) 2007-10-22 2008-04-16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두피 및 모발 개선을 위한 생약재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328A (ko) 2013-12-18 2015-06-29 (주)제니트리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펩톤발효물의 경피 전달 시스템
KR20150072327A (ko) 2013-12-18 2015-06-29 (주)제니트리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KR20160001102A (ko) 2014-06-26 2016-01-06 이호규 그라비올라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7092A (ko) 2014-06-26 2022-03-07 이호규 그라비올라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3992A (ko) * 2017-11-10 2019-05-21 유명희 한방 발모제 조성물
KR102000693B1 (ko) * 2017-11-10 2019-07-17 유명희 한방 발모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709B1 (ko) 인삼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비듬 생성 억제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6812B1 (ko) 발효추출물과 산소수를 포함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7388782B2 (ja) キュウリ、ナス及びカタツムリの混合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脱毛防止又は発毛促進用組成物
KR100776346B1 (ko) 한련초, 숙지황, 하수오 및 반하 혼합 생약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비듬, 항염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103651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070823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JP4615796B2 (ja) 刺激緩和組成物
KR101154219B1 (ko) 복령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636A (ko) 포공영, 어성초, 감초 및 유근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2B1 (ko)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067529A (ko)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1891B1 (ko) 섬오가피 및 문주란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00110407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312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130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3624A (ko) 하수오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130033623A (ko) 감잎 등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0418B1 (ko) 구기자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및 개선효과를 갖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34670B1 (ko) 스쿠알렌 및 달팽이알 추출물이 함유된 임신선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9516B1 (ko) 애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발 보호 화장료 조성물
KR1010709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