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2327A -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 Google Patents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2327A KR20150072327A KR1020140142739A KR20140142739A KR20150072327A KR 20150072327 A KR20150072327 A KR 20150072327A KR 1020140142739 A KR1020140142739 A KR 1020140142739A KR 20140142739 A KR20140142739 A KR 20140142739A KR 20150072327 A KR20150072327 A KR 201500723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ptone
- hair
- cosmetic composition
- cells
- fermen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발효펩톤의 제조방법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모모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펩톤발효물의 모모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타 펩톤발효물의 모모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모유두세포 성장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기타 펩톤발효물의 모유두세포 증식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마우스의 장기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마우스의 발모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마우스의 주차 별 발모 점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마우스의 평균 털 무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마우스의 모낭의 깊이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마우스의 모낭의 깊이를 측정한 이미지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조성물 투여 후 피부 조직의 효소활성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 ~ 도 16b는 시험예 4에서 수행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펩톤발효물에 대한 HLPC 측정 결과로서, 도 16a는 0 ~ 60 분까지, 도 16b는 0 ~ 25분까지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a ~ 도 17e 각각은 실험예 1에서 수행한 MS 스펙트럼 측정 결과로서, 도 16b에 표시된 부분의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N0. | 성분명 | 함량(w/w) |
1 | Soybean Peptone | 5.000% |
2 | Glucose | 0.500% |
3 | Potassium phosphate | 0.100% |
4 | Sodium acetate | 0.050% |
5 | MgSO4 | 0.005% |
6 | MnSO4 | 0.005% |
7 | CuSO4 | 0.002% |
8 | 정제수 | 94.338% |
합계 | 100.000% |
세포수 (*105cell/㎖) |
0.5 |
1.0 |
1.5 |
2.0 |
2.5 |
3.0 |
4.0 |
4.5 |
5.0 |
OD value | 0.424±0.014 | 0.579±0.008 | 0.716±0.001 | 0.868±0.049 | 1.064±0.025 | 1.147±0.040 | 1.264±0.066 | 1.371±0.071 | 1.597 ±0.052 |
시료명 | 처리농도 (mg/㎖) |
OD value | 세포수 (×105cells/㎖) |
백분율환산 (%) |
대조군 (무처리군) |
- | 1.579±0.043 | 5.105±0.263 | 100.000±5.142 |
실시예 1 |
0.001 | 1.605±0.021 | 5.326±0.155 | 104.328±3.028 |
0.010 | 1.559±0.031 | 5.494±0.160 | 107.609±3.136 | |
0.050 | 1.666±0.022 | 5.802±0.206 | 113.657±4.036 | |
0.100 | 1.779±0.027 | 5.807±0.101 | 113.752±1.957 | |
0.500 | 2.043±0.049 | 7.256±0.407 | 142.131±7.965 | |
1.000 | 2.070±0.026 | 7.070±0.298 | 138.485±5.845 | |
비교예 1 |
0.001 | 1.551±0.010 | 4.982±0.050 | 97.590±0.971 |
0.010 | 1.509±0.123 | 5.346±0.175 | 104.723±3.431 | |
0.050 | 1.565±0.049 | 5.394±0.248 | 105.653±4.867 | |
0.100 | 1.582±0.039 | 5.233±0.223 | 102.497±4.362 | |
0.500 | 1.693±0.002 | 5.219±0.139 | 102.225±2.724 | |
1.000 | 1.731±0.030 | 5.563±0.158 | 108.978±3.105 |
시료명 | 처리농도 (mg/㎖) |
OD value | 세포수 (×105cells/㎖) |
백분율환산 (%) |
대조군 (무처리군) |
- | 1.645±0.027 | 5.314±0.111 | 100.000±2.083 |
비교예 1 | 0.500 | 1.749±0.039 | 5.743±0.161 | 108.066±3.022 |
실시예 1 | 0.500 | 2.141±0.034 | 7.364±0.142 | 138.568±2.680 |
비교예 2 |
0.100 | 1.702±0.018 | 5.550±0.074 | 104.430±1.400 |
0.500 | 1.770±0.026 | 5.829±0.106 | 109.697±1.998 |
시료명 | OD value | 세포수 (×105cells/㎖) |
백분율환산 (%) |
대조군 | 1.628±0.009 | 5.170±0.036 | 100.000±0.695 |
밀크펩톤(milk peptone) | 1.846±0.068 | 6.080±0.282 | 117.600±5.452 |
밀크펩톤발효물 | 1.926±0.068 | 6.414±0.282 | 124.052±5.461 |
밀펩톤(wheat peptone) | 1.851±0.085 | 6.908±0.354 | 117.947±6.851 |
밀펩톤발효물 | 2.082±0.024 | 7.062±0.098 | 136.581±1.901 |
감자펩톤(photato peptone) | 1.694±0.064 | 5.447±0.265 | 105.354±5.125 |
감자펩톤발효물 | 1.934±0.073 | 6.447±0.304 | 124.697±5.870 |
세포수 (*105cell/㎖) |
0.5 |
1.0 |
1.5 |
2.0 |
2.5 |
3.0 |
3.5 |
4.0 |
5.0 |
OD valule | 0.473±0.014 | 0.616±0.008 | 0.775±0.004 | 0.861±0.048 | 0.993±0.027 | 1.171±0.032 | 1.241±0.110 | 1.361±0.051 | 1.526 ±0.087 |
시료명 | 처리농도 (mg/㎖) |
OD value | 세포수 (×105cells/㎖) |
백분율환산 (%) |
대조군 (무처리군) |
- | 1.612±0.063 | 5.105±0.263 | 100.000±5.142 |
실시예 1 |
0.001 | 1.665±0.037 | 5.326±0.155 | 104.328±3.028 |
0.010 | 1.705±0.038 | 5.494±0.160 | 107.609±3.136 | |
0.050 | 1.780±0.049 | 5.802±0.206 | 113.657±4.036 | |
0.100 | 1.781±0.024 | 5.807±0.101 | 113.752±1.957 | |
0.500 | 2.128±0.098 | 7.256±0.407 | 142.131±7.965 | |
1.000 | 2.084±0.072 | 7.070±0.298 | 138.485±5.845 | |
비교예 1 |
0.001 | 1.583±0.012 | 4.982±0.050 | 97.590±0.971 |
0.010 | 1.670±0.042 | 5.346±0.175 | 104.723±3.431 | |
0.050 | 1.682±0.060 | 5.394±0.248 | 105.653±4.867 | |
0.100 | 1.643±0.053 | 5.233±0.223 | 102.497±4.362 | |
0.500 | 1.640±0.033 | 5.219±0.139 | 102.225±2.724 | |
1.000 | 1.722±0.038 | 5.563±0.158 | 108.978±3.105 |
시료명 | 처리농도 (mg/㎖) |
OD value | 세포수 (×105cells/㎖) |
백분율환산 (%) |
대조군(무처리군) | - | 1.538±0.037 | 4.797±0.127 | 100.000±2.664 |
실시예 1 | 0.500 | 2.023±0.018 | 6.817±0.061 | 142.099±1.271 |
비교예 1 | 0.500 | 1.529±0.045 | 4.756±0.152 | 99.146±3.172 |
비교예 2 |
0.100 | 1.538±0.033 | 4.798±0.113 | 100.006±2.359 |
0.500 | 1.597±0.039 | 5.043±0.132 | 105.122±2.751 |
시료명 | OD value | 세포수 (×105cells/㎖) |
백분율환산 (%) |
대조군 | 1.616±0.045 | 5.120±0.185 | 100.000±3.623 |
밀크펩톤(milk peptone) | 1.654±0.072 | 5.279±0.301 | 103.117±5.872 |
밀크펩톤발효물 | 1.730±0.068 | 5.594±0.283 | 109.265±5.524 |
밀펩톤(wheat peptone) | 1.720±0.010 | 5.554±0.043 | 108.481±0.845 |
밀펩톤발효물 | 1.840±0.033 | 6.053±0.136 | 118.239±2.660 |
감자펩톤(photato peptone) | 1.665±0.079 | 5.282±0.327 | 103.177±6.396 |
감자펩톤발효물 | 1.807±0.069 | 5.916±0.288 | 115.551±5.633 |
Claims (15)
-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건강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톤발효물은 펩톤화된 단백질을 발효시킨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톤발효물을 0.25 mg/㎖ ~ 12.5 mg/㎖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톤발효물은 중량평균분자량 200 ~ 500의 저분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펩톤화된 단백질은 콩펩톤, 밀펩톤, 감자펩톤, 카제인펩톤, 밀크펩톤, 젤라틴펩톤 및 어류펩톤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펩톤화된 단백질은 콩펩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콩펩톤은 서리태, 서목태, 흑태, 황태, 강낭콩, 울타리콩, 푸르대콩, 녹두, 적두, 거두, 콩나물콩, 선비콩, 대두 및 풋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콩으로부터 유래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펩톤발효물은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펩톤발효물은 동결건조 처리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
- 제12항에 있어서, 유액, 화장수, 크림, 로션, 에센스, 팩, 젤, 미스트, 샴푸, 린스 또는 비누인 화장료 제형.
- 펩톤발효물 0.1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케어용 조성물은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및 헤어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7971 | 2013-12-18 | ||
KR20130157971 | 2013-12-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327A true KR20150072327A (ko) | 2015-06-29 |
KR101662603B1 KR101662603B1 (ko) | 2016-10-06 |
Family
ID=5351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2739A Active KR101662603B1 (ko) | 2013-12-18 | 2014-10-21 |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2603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3874A1 (ko) * | 2016-08-30 | 2018-03-08 | (주)코엔바이오 |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WO2018062751A1 (ko) * | 2016-09-27 | 2018-04-05 | (주)아모레퍼시픽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
KR102153414B1 (ko) * | 2020-05-18 | 2020-09-0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20210089370A (ko) * | 2020-01-08 | 2021-07-16 | (주)아모레퍼시픽 | 발효된 제주푸른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KR20210134145A (ko) * | 2020-04-29 | 2021-11-09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KR102418114B1 (ko) | 2022-02-24 | 2022-07-07 |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 천연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 및 모발 볼륨용 화장료 조성물 |
WO2024242245A1 (ko) * | 2023-05-23 | 2024-11-28 |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 열처리 유산균 리모시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20을 포함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7538A (ja) * | 1999-05-24 | 2000-11-28 | Toyo Hakko:Kk | 毛髪処理用剤組成物 |
KR20050075474A (ko) * | 2004-01-15 | 2005-07-21 |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 콩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재생용 조성물 |
KR20100060983A (ko) * | 2008-11-28 | 2010-06-07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녹두 발효-효소 처리액을 함유하는 비듬증 개선, 탈모 방지및 육모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KR101049776B1 (ko) | 2011-02-21 | 2011-07-19 | (주)메디웨이코리아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
KR101103651B1 (ko) | 2011-02-01 | 2012-01-11 | 주식회사 예지미인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
2014
- 2014-10-21 KR KR1020140142739A patent/KR10166260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7538A (ja) * | 1999-05-24 | 2000-11-28 | Toyo Hakko:Kk | 毛髪処理用剤組成物 |
KR20050075474A (ko) * | 2004-01-15 | 2005-07-21 |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 콩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재생용 조성물 |
KR20100060983A (ko) * | 2008-11-28 | 2010-06-07 |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 녹두 발효-효소 처리액을 함유하는 비듬증 개선, 탈모 방지및 육모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KR101103651B1 (ko) | 2011-02-01 | 2012-01-11 | 주식회사 예지미인 |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
KR101049776B1 (ko) | 2011-02-21 | 2011-07-19 | (주)메디웨이코리아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헤어 케어용 조성물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3874A1 (ko) * | 2016-08-30 | 2018-03-08 | (주)코엔바이오 | 지방 분해능을 갖는 균주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WO2018062751A1 (ko) * | 2016-09-27 | 2018-04-05 | (주)아모레퍼시픽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용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용 조성물 |
KR20210089370A (ko) * | 2020-01-08 | 2021-07-16 | (주)아모레퍼시픽 | 발효된 제주푸른콩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
KR20210134145A (ko) * | 2020-04-29 | 2021-11-09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
KR102153414B1 (ko) * | 2020-05-18 | 2020-09-0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약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KR102418114B1 (ko) | 2022-02-24 | 2022-07-07 |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 천연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 및 모발 볼륨용 화장료 조성물 |
WO2024242245A1 (ko) * | 2023-05-23 | 2024-11-28 |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 열처리 유산균 리모시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20을 포함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2603B1 (ko) | 2016-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2603B1 (ko) | 모유두세포 및 모모세포의 활성화능을 갖는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형 | |
US7005148B2 (en) | Use of an extract of at least one vaccinium-type plant as an anti-glycation agent | |
KR101779480B1 (ko) | 펩톤발효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형 | |
EP1079797B1 (fr) | Utilisation d'au moins une soyasaponine ou un soyasapogénol en association avec un ecdystéroide, comme agent cosmetique destine a augmenter la quantite de collagene iv dans la jonction dermo-epidermique | |
US20150258015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 for decreasing the appearance of skin wrinkles | |
KR101638551B1 (ko) |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 |
EP2953611B1 (fr) |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mprenant un perséose d'avocat dans la protection des cellules souches épidermiques | |
CN112220719B (zh) | 一种乌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US6551625B1 (en) | Inhibiting disagreeable odors with extracts of undifferentiated plant cells | |
JP3615705B2 (ja) | 皮膚及び/又は毛髪の色素形成を刺激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1つのシュンギク属の抽出物の使用 | |
Rousseau et al. | Restoration of stratum corneum with nacre lipids | |
CN114931517A (zh) | 一种美白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EP2561858A2 (en) | A composition for activating hair follicle stem cells to stimulate hair growth | |
US20100040706A1 (en) | Method of anti-ageing cosmetic care by stimulation of survivin expression | |
JPH08506804A (ja) | まだら皮膚色素沈着を減少するため若しくは皮膚の保護機能を増強するため又は皮膚細胞培地の調製のためのシマルーバ抽出物の使用及びこのようにして得られた組成物 | |
CN119214981B (zh) | 小分子焕颜发酵组合物及其应用 | |
KR101672883B1 (ko) |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마이크로니들 | |
KR100903283B1 (ko) | 녹용 성분을 함유한 발모촉진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6430408B2 (ja) | ケウインの化粧料使用 | |
JPH10226628A (ja) | 毛乳頭活性化剤 | |
KR20230043873A (ko) | 다당류가 풍부한 봄박스 코스타툼 꽃 추출물 | |
JP3683406B2 (ja) | 養毛化粧料 | |
TWI679028B (zh) | 用於保養肌膚之表皮幹細胞及具有多種功能的中草藥組成物及其面膜 | |
JP2003238365A (ja) | 育毛料 | |
KR20230057733A (ko) | 트리코데르마 아트로비리데 배양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