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693B1 - 한방 발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발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693B1
KR102000693B1 KR1020170149869A KR20170149869A KR102000693B1 KR 102000693 B1 KR102000693 B1 KR 102000693B1 KR 1020170149869 A KR1020170149869 A KR 1020170149869A KR 20170149869 A KR20170149869 A KR 20170149869A KR 102000693 B1 KR102000693 B1 KR 102000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ir
extract
parts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992A (ko
Inventor
유명희
Original Assignee
유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희 filed Critical 유명희
Priority to KR102017014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69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 또는 여기에 국화잎 추출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천연 한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연 한방 조성물은 발모촉진에 우수한 효과가 있고 인체 독성과 부작용이 없어 발모촉진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한방 발모제 조성물{ORIENTAL HAIR RESTORER COMPOSITION}
본 발명은 한방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 또는 여기에 국화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 효과가 뛰어나고 인체 독성 및 부작용이 없는 발모촉진용 한방 발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脫毛)는 모발이 있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전체적으로 모발의 수가 감소하거나 모발 굵기가 가늘어지거나 모발이 탈락한 자리에 새로운 모발이 나지 않는 증상 등을 포함한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로 모낭에서 형성되며, 모낭에 분포되어 있는 미세혈관이 모발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한다. 인체의 모발은 하루에 약 80 내지 100개의 모발이 탈락하는데, 하루에 모발이 100개 이상 빠지면 의학적인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각각의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로 이루어지는 독립적인 수명 주기를 나타낸다. 충분한 모발 수를 유지하려면 성장기에 있는 모발이 전체 모발의 약 85% 이상이어야 하고 휴지기 모발은 14% 이하이어야 한다.
탈모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호르몬, 유전, 영양 불균형, 생활습관, 면역기능 이상, 각종 질환, 스트레스 등이 거론된다. 그러나 아직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 들어 탈모증으로 고민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으며 그 연령층도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탈모증의 치료법에 관해서도 아직까지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없으며, 종래 경험에 바탕하여 두부에 브러시 등으로 물리적 자극을 가하거나 혹은 상기의 원인을 제거, 경감하는 작용을 지닌 화합물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종래에는 이런 탈모증의 치료에 호르몬설과 관련하여 여성 호르몬을 주재료로 한 제제가 있으나 피부 염증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최근의 발모제로는 미국 업존사의 미녹시딜(minoxidil), 이탈리아 크리노스(Crinos, Co.)사의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유통되고 있으나 이들 발모제는 화학물질을 사용한 것으로서 인체 안정성 등의 부작용 문제가 있다. 또한, 일시적인 혈류유통을 하여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모근에 자극을 주는 것이므로 일시적일 뿐만 아니라 과다 분비된 피지에 의한 탈모 증상에만 효과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349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0082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0490호 등은 천연소재의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는 아직까지 그 효과가 충분히 입증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모촉진에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에 대한 연구를 계속 진행하던 중,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 또는 여기에 국화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첨가한 복합 추출물이 기존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추출물보다 발모촉진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복합 추출물에 국화잎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발모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추출물에 국화잎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 약초로서 약모밀의 개화기의 잎과 줄기이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이며,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소엽(Perillae Folium)”은 차즈기(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또는 주름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의 잎과 끝가지이다. 자소엽은 항산화, 항염, 면역조절, 진정, 항균에 효과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녹차(green tea)”는 동백나무과(Theaceae)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의 싹이나 잎을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으로 화열(火熱) 또는 증기로 가열하여 싹 또는 잎 속의 효소를 불활성화시켜 산화를 방지하고 고유의 녹색을 보존시킨 것이다. 녹차의 카테킨 성분은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백엽”은 백나무과(Cupressaceae) 측백나무속 늘 푸른 바늘잎나무의 잎이다.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이고 출혈시간단축, 진해, 거담작용이 있고 혈압강하, 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본 발명에서는 잎과 줄기를 사용한다. 함초는 고혈압과 당뇨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초(Glycyrrhiz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와 줄기를 사용하며,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고,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박하(Menthae Herba)”는 꿀풀과 식물인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의 잎과 줄기이다. 박하는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이며, 이 멘톨은 치약, 잼, 사탕, 화장품, 담배 등에 청량제나 향료로 쓰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은행잎”은 은행나무과 낙엽교목인 은행나무(ginkgo)의 잎이다. 은행잎에는 혈관 및 혈류장애, 심장질환, 치매, 류머티즘, 당뇨병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국화잎”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국화(Chrysanthemum)의 잎이다. 국화잎은 어린 잎은 데쳐서 나물로 먹고 커다란 잎은 찹쌀풀을 발라 부각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을 혼합하고 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또는 이들을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국화잎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복합 추출물”은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에 국화잎을 추가로 혼합하고 이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또는 이들을 각각 추출한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들은 추출액뿐만 아니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말한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은 세척 및 건조한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의 8 내지 12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용액을 농축하고 다시 동결건조하여 건조물을 분쇄함으로써 고순도의 분말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상기 “국화잎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복합 추출물”은 세척 및 건조한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은행잎 및 국화잎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의 8 내지 12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80 내지 10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추출용액을 농축하고 다시 동결건조하여 건조물을 분쇄함으로써 고순도의 분말을 수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출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하여 가온 추출한다.
추출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냉침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분리, 분획)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추출물은 어성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소엽 80 내지 120 중량부, 녹차 80 내지 120 중량부, 박하 40 내지 60 중량부, 측백엽 150 내지 200 중량부, 함초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20 내지 40 중량부 및 은행잎 150 내지 200 중량부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 또는 여기에 추가적으로 국화잎 150 내지 200 중량부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함량을 벗어날 경우 본 발명의 발모촉진 효과가 감소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이용되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모촉진”은 모발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모발 생성 속도 및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모근 기능이 강화되거나, 모발의 굵기가 증가되거나, 모발이 자라나는 속도가 증가되거나, 또는 모발의 탈락 및 생성 주기가 짧아져 모낭에서 자라는 모발의 수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 또는 “국화잎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복합 추출물”은 발모촉진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1 내지 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발모촉진 효과가 발휘될 수 없으며, 1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비타민, 안료 및 항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어토닉, 샴푸, 린스, 영양 크림,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로션, 에센스, 영양젤 또는 마사지 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에테르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헤어토닉인 경우 보조제 및 담체 성분으로서 비타민, 피부침투제, 향료, 보습제, 글리세린, 가용화제, 알코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샴푸 또는 린스인 경우 보조제 및 담체 성분으로서 계면 활성제, 기포안정제, 보존제, 보습제, 향료, 가용화제, 에센셜 오일, 알칼리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 용도로서, 본 발명의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복합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 크림,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데, 그 방법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 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투여방법은 모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내 주입,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등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을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5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0.005 중량% 미만일 경우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발모촉진 효과가 발휘될 수 없으며,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의 증가에 따른 발모촉진 효과가 비례적이지 않아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등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 또는 상기 복합 추출물에 “국화잎 추출물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발모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촉진용 약학적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에 1 내지 14의 복합 추출물의 발모효과를 측정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의 복합 추출물로 제조한 샴푸를 사용한 피험자의 모발상태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실시예 6의 복합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실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이 좀 더 이해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을 각각 절단 및 세척한 다음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어성초 1kg, 자소엽 1kg, 녹차 1kg, 측백엽 1.8kg, 함초 0.5kg, 감초 0.3kg, 박하 0.5kg 및 은행잎 1.8kg(총 중량 9.7kg)을 혼합한 다음 8 시간 동안 90℃ 물 300kg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20brix의 농도로 농축하였으며, 농축물은 다시 동결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0%이하가 되도록 한 다음 80 내지 1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약 2.4kg의 복합 추출물 분말을 수득하였다.
동결건조가 완료된 시료(복합 추출물 분말)에 대해 최초 건조시료 대비 수득율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득율은 24.7%로 나타났다.
구성 건조시료량(kg) 총 원료량(kg) 동결건조 및 분쇄 후 시료량(kg) 수득율(%)
어성초 1 9.7 2.4 24.7
자소엽 1
녹차 1
측백엽 1.8
함초 0.5
감초 0.3
박하 0.5
은행잎 1.8
실시예 2 내지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박하를 0.4kg(실시예 2) 또는 0.6kg(실시예 3)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5: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은행잎을 1.5kg(실시예 4) 또는 2.0kg(실시예 5)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국화잎 1.8kg를 추가적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수득한 복합 추출물 분말은 약 2.8kg으로 측정되었다.
동결건조가 완료된 시료(복합 추출물 분말)에 대해 최초 건조시료 대비 수득율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4.3%로 나타났다.
구성 건조시료량(kg) 총 원료량(kg) 동결건조 및 분쇄 후 시료량(kg) 수득율(%)
어성초 1 11.5 2.8 24.3
자소엽 1
녹차 1
측백엽 1.8
함초 0.5
감초 0.3
박하 0.5
은행잎 1.8
국화잎 1.8
실시예 7 내지 8: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제조
국화잎을 1.5kg(실시예 7) 또는 2.0kg(실시예 8)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14: 구성 또는 함량이 다른 비교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의 건조시료의 구성을 달리하여 비교예 1 내지 8로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건조시료의 함량을 달리하여 비교예 9 내지 12로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의 건조시료의 함량을 달리하여 비교예 13 내지 14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예 1 내지 14의 구성과 함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은행잎 국화잎
실시예 1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8kg -
실시예 2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4kg 1.8kg -
실시예 3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6kg 1.8kg -
실시예 4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5kg -
실시예 5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2.0kg -
실시예 6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8kg 1.8kg
실시예 7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8kg 1.5kg
실시예 8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8kg 2.0kg
비교예 1 1.0kg 1.0kg 1.0kg - - - - - -
비교예 2 1.0kg 1.0kg 1.0kg 1.8kg - - - - -
비교예 3 1.0kg 1.0kg 1.0kg - 0.5kg - - - -
비교예 4 1.0kg 1.0kg 1.0kg - - 0.3kg - - -
비교예 5 1.0kg 1.0kg 1.0kg 1.8kg 0.5kg - - - -
비교예 6 1.0kg 1.0kg 1.0kg 1.8kg - 0.3kg - - -
비교예 7 1.0kg 1.0kg 1.0kg - 0.5kg 0.3kg - - -
비교예 8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 - -
비교예 9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2kg 1.8kg -
비교예10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8kg 1.8kg -
비교예11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3kg -
비교예12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2.2kg -
비교예13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8kg 1.3kg
비교예14 1.0kg 1.0kg 1.0kg 1.8kg 0.5kg 0.3kg 0.5kg 1.8kg 2.2kg
시험예 1: 모발성장 효과 비교시험
1-1. 실험동물 처치 및 시험방법
실험동물로 SD(Sprague Dawley) 실험용 쥐 6주령 수컷을 Orient Bio(Sung-nam,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 20±2℃, 습도 55±5%, 12시간 명암조건에서 사육하였다. 실험동물은 구입 후 1주일 동안 순화한 다음, 각 군당 3마리씩 배치하여 총 24군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쥐의 등을 제모한 후 1% TXN으로 1주일간 도포하여 발모를 억제시켰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14의 복합 추출물을 1일 1회씩 0.2㎖의 양으로 제모한 실험용 쥐의 등에 도포하였다. 양성대조군은 동일한 방법으로 5% 미녹시딜을 도포하였고, 대조군은 동일한 스트레스를 주기 위하여 일정량의 생리식염수를 스프레이로 도포하였다. 상기 도포는 10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시험 후 모발길이를 버니어캘리퍼스(디지매틱 캘리퍼스 500-181-30, Mitutoyo, Japan)로 0.01㎜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1-2. 통계처리
시험예 1-1.에서 얻은 결과에 대해서는 평균 ±표준편차(mean ±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Inc., Chicago, IL, USA)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성이 있는 경우, p < 0.05 수준에서 Duncan’ Multiple Range Test (DMRT)를 실시하였다.
1-3. 시험결과
상기 시험예 1-1의 시험결과를 하기 표 4와 도 1에 나타냈다.
구분 모발길이(mm) 구분 모발길이(mm)
대조군 0.29±0.04 비교예 3 0.38±0.06
양성대조군 0.43±0.02 비교예 4 0.38±0.04
실시예 1 0.55±0.02 비교예 5 0.39±0.08
실시예 2 0.53±0.03 비교예 6 0.40±0.04
실시예 3 0.53±0.02 비교예 7 0.39±0.03
실시예 4 0.54±0.04 비교예 8 0.40±0.03
실시예 5 0.54±0.08 비교예 9 0.45±0.02
실시예 6 0.59±0.02 비교예10 0.45±0.04
실시예 7 0.58±0.05 비교예11 0.46±0.08
실시예 8 0.58±0.08 비교예12 0.46±0.02
비교예 1 0.37±0.01 비교예13 0.49±0.05
비교예 2 0.38±0.00 비교예14 0.50±0.08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성초, 자소엽 및 녹차 추출물만을 이용한 비교예 1과 여기에 측백엽, 함초 및/또는 감초를 추가적으로 첨가한 비교예 2 내지 8의 경우 모발길이가 양성대조군(미녹시딜 처리군)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8의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경우 모두 대조군(생리식염수 처리군) 및 양성대조군(미녹시딜 처리군)에 비하여 우수한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박하, 은행잎 및 국화잎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8)에 비하여 모발길이가 현저히 긴 것으로 나타나 우수한 발모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6 내지 8의 경우 모두가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하여 모발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나 국화잎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이용할 경우 발모촉진 효과가 더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구성성분의 함량과 관련하여, 어성초, 자소엽, 녹차, 측백엽, 함초, 감초, 박하 및 은행잎의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경우(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9 내지 12) 중 실시예 1의 함량비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국화잎을 추가적으로 첨가한 경우(실시예 6 내지 8 및 비교예 13 내지 14)에는 실시예 6의 함량비로 제조한 복합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발모촉진 효과 비교시험
탈모가 진행 중인 남자 실험자에 대하여 실시예 1 및 6과 비교예 7의 조성물을 각각 함유한 헤어토닉을 하기 제제예 1-1에 따라 제조하여 두피부위를 모발굵기와 밀도가 비슷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매일 아침 1회 및 저녁 1회(일일 2회) 5ml씩 사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헤어토닉을 1개월 동안 및 2개월 동안 사용한 후에 포토트리코그램(phototrichogram)을 이용하여 모발의 굵기(직경)의 변화량과 모발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모발 굵기 변화량은 헤어토닉을 사용하기 전에 측정한 굵기를 기준으로 헤어토닉을 1개월 동안과 2개월 동안 사용한 후에 측정한 굵기의 차이를 계산한 것이고, 모발 밀도는 1cm2 당 모발수를 계산한 것이다.
구분 1개월 후 2개월 후
모발굵기
(mm)
모발밀도
(모발수/cm2)
모발굵기
(mm)
모발밀도
(모발수/cm2)
실시예 1 0.006 104 0.010 115
실시예 6 0.008 113 0.012 131
비교예 8 0.003 82 0.005 95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6의 복합 추출물이 함유된 헤어토닉을 사용한 경우가 비교예 8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토닉을 사용한 경우보다 모발 굵기와 모발 밀도 면에서 매우 우수한 발모 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발모촉진 효과 시험
탈모가 진행 중인 남자 실험자에 대하여 실시예 6의 조성물을 함유한 샴푸를 하기 제제예 1-2에 따라 제조하여 매일 저녁 1회 20ml씩 사용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복합 추출물을 사용한 피험자의 모발상태를 사용 전, 1개월 후 및 2개월 후에 찍은 사진이다. 도 2로부터 피험자의 모발의 수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세포독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및 6에 따라 제조한 복합 추출물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마우스 섬유아세포주(NIH3T3)에 실시예 1 및 6에 따라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처리한 후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NIH3T3 세포주(10,000 cells/well)를 96-웰 플레이트에서 10% FBS를 포함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을 이용하여 5% CO2 존재 하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들 세포에 실시예 1 및 6에 따라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고 36시간 추가 배양한 다음, MTT assay를 통해 발색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때 세포생존율(Survival (%))은 하기 수학식 1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111950324-pat00001
상기 식에서, 흡광도 A는 570 nm 파장에서 실시예 1 및 6에 따라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처리군의 흡광도이고, 흡광도 B는 570 nm 파장에서 실시예 1 및 6에 따라 제조한 복합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흡광도이고, 흡광도 C는 570 nm 파장에서 0.1% 트리톤 X-100을 처리한 군의 흡광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NIH3T3 세포의 생존률이 실시예 1의 복합 추출물은 500μM에서 98.42%, 실시예 6의 복합 추출물은 500μM에서 98.59%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추출물은 500μM 농도에서 98% 이상의 생존률을 보임으로써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8에 따라 제조된 복합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기 때문에 인체에 안전한 발모촉진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
1-1. 헤어토닉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의 복합 추출물
10.0
비타민 2.0
피부침투제 7.0
향료 1.0
보습제 2.0
글리세린 2.0
가용화제 3.0
73.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헤어토닉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1-2. 샴푸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의 복합 추출물
10.0
계면활성제 20.0
기포안정제 17.0
보존제 5.0
보습제 5.0
향료 2.0
가용화제 3.0
에센셜 오일 1.0
알칼리수 37.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샴푸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약학적 제제
2-1. 연고
성분 함량(g)
실시예 1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의 복합 추출물
10.0
올리브 오일 14.5
밀랍 3.7
1,3-부틸렌글리콜 6.3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가수분해 피브로인 2.0
15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기로 교반하여 연고를 제조하였다.
2-2. 크림
성분 함량(g)
실시예 1 내지 8 중의
어느 하나의 복합 추출물
5
스테아린산 1.5
스테아릴 알코올 2.2
스테아린산 부틸 0.5
프로필렌글리콜 0.5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수산화칼륨 0.3
크림베이스 40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탈기, 여과 및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Claims (5)

  1. 어성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소엽 80 내지 120 중량부, 녹차 80 내지 120 중량부, 박하 40 내지 60 중량부, 측백엽 150 내지 200 중량부, 함초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20 내지 40 중량부 및 은행잎 150 내지 200 중량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3. 어성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자소엽 80 내지 120 중량부, 녹차 80 내지 120 중량부, 박하 40 내지 60 중량부, 측백엽 150 내지 200 중량부, 함초 40 내지 60 중량부, 감초 20 내지 40 중량부 및 은행잎 150 내지 200 중량부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에 국화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9869A 2017-11-10 2017-11-10 한방 발모제 조성물 KR102000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69A KR102000693B1 (ko) 2017-11-10 2017-11-10 한방 발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69A KR102000693B1 (ko) 2017-11-10 2017-11-10 한방 발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992A KR20190053992A (ko) 2019-05-21
KR102000693B1 true KR102000693B1 (ko) 2019-07-17

Family

ID=6667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869A KR102000693B1 (ko) 2017-11-10 2017-11-10 한방 발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6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51B1 (ko) * 2011-02-01 2012-01-11 주식회사 예지미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0686A (ko) * 2002-02-26 2003-09-02 정성인 발모 촉진 및 탈모 예방용 외용제의 제조 방법
KR20140091376A (ko) * 2013-01-11 2014-07-21 이태후생명과학 주식회사 국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50128544A (ko) * 2014-05-09 2015-11-18 이명식 발모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모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51B1 (ko) * 2011-02-01 2012-01-11 주식회사 예지미인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992A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89407B1 (ko) 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39229B1 (ko) 탈모예방 및 모발 성장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98182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JP2006176436A (ja) Scf発現阻害剤
KR102179610B1 (ko) 월견자 및 의이인 정유 혼합물을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09763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102168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693B1 (ko) 한방 발모제 조성물
JP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CN112118854A (zh) 用于治疗脱发及促进生发的组合物
KR20160015074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보호용 조성물
KR20160003914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72441B1 (ko) 한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00333B1 (ko) 배암차즈기, 원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0970B1 (ko) 편백나무 피톤치드를 첨가한 복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