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4442B1 -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4442B1
KR101124442B1 KR1020090086574A KR20090086574A KR101124442B1 KR 101124442 B1 KR101124442 B1 KR 101124442B1 KR 1020090086574 A KR1020090086574 A KR 1020090086574A KR 20090086574 A KR20090086574 A KR 20090086574A KR 101124442 B1 KR101124442 B1 KR 10112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xtract
lotion
oil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931A (ko
Inventor
이승호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44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레르기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추출물이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에 관련이 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전사인자인 MAPK 및 NF-κB 활성도 억제하는 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생강나무, 염증질환, 알레르기 질환

Description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inflammatory or allergic diseases}
본 발명은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Metcalfe, D. D. et al., The mast cell. Crit . Rev . Immunol . 3, p.23, 1981
[문헌 2] Miyajima, I. et al., Systemic anaphylaxis in the mouse can be mediated largely through IgG1 and Fc gammaRIII. Assessment of the cardiopulmonary changes, mast cell degranulation, and death associated with active or IgE- or IgG1-dependent passive anaphylaxis. J. Clin . Invest . 99, p.901, 1997
[문헌 3] Church, M. K. and Levi-Schaffer, F., The human mast cell. J. Allergy Clin . Immunol . 99, p.155, 1997
[문헌 4] Peterson, L. J. et al., Allergen-induced histamine release in intact human skin in vivo assessed by skin microdialysis technique: characterization of factors influencing histamine releasability. J. Allergy Clin . Immunol . 97, p.672, 1996
[문헌 5] Ennis, M. et al., Some studies on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stimulated with polylysine. Br . J. Pharmacol . 70, p.329, 1980
[문헌 6] Alfonso, A. et al., Functional compartments in rat mast cells for cAMP and calcium on histamine release. Cell Signal . 12, p.343, 2000
[문헌 7] Beaven, M. A. et al., The mechanism of the calcium signal and correlation with histamine release in 2H3 cells. J. Biol . Chem . 259, p.7129, 1984
[문헌 8] Beaven, M. A. and Metzger, H., Signal transduction by Fc receptors: the Fc epsilon RI case. Immunol . Today , 14, p.222, 1993
[문헌 9] Alm, P. E., Modulation of mast cell cAMP levels. A regulatory function of calmodulin. Int . Arch . Allergy Appl . Immunol . 75, p.375, 1984
[문헌 10] Botana, L. M. and MacGlashan, D. W., Differential effects of cAMP-elevating drugs on stimulus-induced cytosolic calcium changes in human basophils. J. Leukoc . Biol . 55, p.798, 1994
[문헌 11] Galli, S. J. et al., Mast cells as ‘tunable' effector and immunoregulatory cells: recent advances. Ann . Rev . Immunol . 23, p.749, 2005
[문헌 12] Azzolina, A. et al., Substance P induces TNFalpha and IL-6 production through NF kappa B in peritoneal mast cells. Biochim . Biophys . Acta . 1643, p.75, 2003
[문헌 13] Kim, S. H. et al., Gallic acid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ast cells. Toxicol . Sci . 91, p.123, 2006
[문헌 14] 중약대사전, 상해과학기술출판사, p.1913, p.1915
[문헌 15] Ou, M., Chinese-English manual of common-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ong Kong: Joint Publishing , p.154, 1992
[문헌 16] Kwon, K. B. et al,, Amomum xanthoides extract prevents cytokine-induced cell death of RINm5F cells through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formation. Life Sci . 73, p.181, 2003
[문헌 17] Kim, S. H. et al., Anti-allergic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Exp . Biol . Med . (Maywood), 230, p.82, 2005
[문헌 18] Shore, P. A. et al., A method for the fluorometric assay of histamine in tissues. J. Pharmacol . Exp . Ther . 127, p.182, 1959
[문헌 19] Peachell, P. T. et al., Regulation of human basophil and lung mast cell function by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J. Immunol . 140, p.571, 1988
[문헌 20] Kemp, S. F. and Lockey, R. F., Anaphylaxis: a review of causes and mechanisms. J. Allergy Clin . Immunol . 110, p.341, 2002
[문헌 21] Mousli, M. et al., Interaction of substance P, compound 48/80 and mastoparan with the alpha-subunit C-terminus of G protein. Immunol . Lett . 25, p.355, 1990
[문헌 22] Chahdi, A. et al,, Compound 48/80 activates mast cell phospholipase D via heterotrimeric GTP-binding proteins. J. Pharmacol . Exp . Ther . 292, p.122, 2000
[문헌 23] Kaliner, M. and Austen, K. F., Cyclic AMP, ATP, and reversed anaphylactic histamine release from rat mast cells. J. Immunol . 112, p.664, 1974
[문헌 24] Tasaka, K. et al., Intracellular calcium release induced by histamine releasers and its inhibition by some antiallergic drugs. Ann . Allergy , 56, p.464, 1986
[문헌 25] Weston, M. C. and Peachell, P. T., Regulation of human mast cell and basophil function by cAMP. Gen . Pharmacol . 31, p.715, 1998
[문헌 26] Seo, S. B. et al., Disodium cromoglycate inhibits production of immunoglobulin E.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 23, p.229, 2001
[문헌 27] 김숙현 외 4, Inhibitory effect of Lycopus lucidus on mast cell-mediated immediated-type allergic reactions. 약학회지, 46, p.405, 2002
염증이란 신체 국소에 일어나는 상해에 대하여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이다. 즉, 각종의 유해한 자극(stressor)에 응답하여,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 반응이 염증반응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 등이 있다. 염증반응에 관련된 생체구성인자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단백질, 당질, 지질 등의 저분자나 고분자의 화학물질과, 혈장, 혈구, 혈관 및 결합조직 등이 있다. 염증의 과정은 보통 2가지로 나누며, 급성 및 만성 염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염증은 수일이내의 단기적인 반응이며, 혈장성분이나 혈구 등이 미소순환계를 개재하여 이물 제거에 관련한다. 만성염증은 지속시간이 길며, 조직의 증식 등이 나타난다.
비만세포(mast cell)는 피부, 호흡기, 림프관 주위, 혈관 주위, 위장관의 점막, 뇌 등 전신의 장기에 분포하고 있으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매개하는 중요한 세포이다(Metcalfe, D. D. et al., The mast cell. Crit. Rev. Immunol. 3, p.23, 1981).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유리는 알레르기 반응의 병리적 진행과정에서 필수적인 단계인데, 비만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면역글로블린 E (IgE)의 수용체인 FcεRI에 항원이 결합하여 유발되는 비만세포 활성화에 의해 히스타민이 유리된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비만세포는 탈과립 되고 또한 아라키돈산 대사물질과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분비된다(Metcalfe, D. D. et al., The mast cell. Crit . Rev . Immunol . 3, p.23, 1981; Miyajima, I. et al., Systemic anaphylaxis in the mouse can be mediated largely through IgG1 and Fc gammaRIII. Assessment of the cardiopulmonary changes, mast cell degranulation, and death associated with active or IgE- or IgG1-dependent passive anaphylaxis. J. Clin . Invest . 99, p.901, 1997; Church, M. K. and Levi-Schaffer, F., The human mast cell. J. Allergy Clin . Immunol . 99, p.155, 1997).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염증 유발물질 중 히스타민은 즉시형 과민성 반응을 유발하는 가장 강력한 생리 활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의 탈과립 반응은 IgE 수용체를 통한 자극 이외에도 칼슘 이오노포아(ionophore), 코데인(codeine), 합성 부신피질 자극호르몬, 화합물 (compound) 48/80과 같은 약리학적 복합물에 의한 자극 등이 있다. Compound 48/80은 비만세포 내의 칼슘 수준을 증가시켜 아나필락시 반응을 일으키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비만세포의 탈과립을 유도하는 자극에 의해 세포내 과립에 저장되어 있는 히스타민 등의 화학적 매개물질이 유리되고, 그 결과 말초혈관에 대한 투과성 항진과 확장작용, 점막표면에 대한 선세포의 분비 항진작용, 기관지 평활근에 대한 수축작용 등을 일으켜 알레르기 반응이 발현한다(Ennis, M. et al., Some studies on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mast cells stimulated with polylysine. Br . J. Pharmacol . 70, p.329, 1980). 비만세포의 활성화 후 유발되는 탈과립 과정의 신호전달 경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특히 티로신 키나제(tyrosine kinase)의 인산화와 칼슘의 세포내 유입이 중요하다(Alfonso, A. et al., Functional compartments in rat mast cells for cAMP and calcium on histamine release. Cell Signal . 12, p.343, 2000; Beaven, M. A. et al., The mechanism of the calcium signal and correlation with histamine release in 2H3 cells. J. Biol . Chem . 259, p.7129, 1984; Beaven, M. A. and Metzger, H., Signal transduction by Fc receptors: the Fc epsilon RI case. Immunol . Today , 14, p.222, 1993). 또한,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의 유리에는 cAMP가 중요한 역할은 한다고 알려져 있다(Alm, P. E., Modulation of mast cell cAMP levels. A regulatory function of calmodulin. Int . Arch . Allergy Appl . Immunol . 75, p.375, 1984; Botana, L. M. and MacGlashan, D. W., Differential effects of cAMP-elevating drugs on stimulus-induced cytosolic calcium changes in human basophils. J. Leukoc . Biol . 55, p.798, 1994).
알레르기성 질환은 대부분이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활성화된 조직의 비만세포 및 혈액의 호염기성 세포 및 호산구에서 유리되는 매개체들(주로 히스타민(histamine), 류코트리엔(leukotrienes), 종양괴사요인α(TNFα), 사이토카인(cytokines) 등)에 의해서 야기된다고 알려진 바 있다(Galli, S. J. et al., Mast cells as ‘tunable' effector and immunoregulatory cells: recent advances. Ann. Rev . Immunol . 23, p.749, 2005).
전사인자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와 NF-κB는 세포활성, 염증과 같은 다양한 세포내 반응을 조절하는 인자로서 특히 TNF-α, IL-1β, IL-6 및 IL-8와 같은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MAPK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c-jun N-terminal kinase(JNK), 및 p38 MAPK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세포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세포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Azzolina, A. et al., Substance P induces TNFalpha and IL-6 production through NF kappa B in peritoneal mast cells. Biochim . Biophys . Acta. 1643, p.75, 2003; Kim, S. H. et al., Gallic acid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ast cells. Toxicol . Sci . 91, p.123, 2006).
생강나무는 녹나무과의 다년생 관목으로 약명은 황매목(黃梅木)이라 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낙엽관목으로 꽃은 황색이며 잎보다 먼저 핀다. 관상용, 공업용, 약용으로 쓰이고, 관상수 및 열매로 기름을 짜며 향료로 사용된다. 민간에서는 열매, 잎, 가지 등을 해열, 강심제, 학질, 건위제 등으로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가지에 시토스테롤(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캠페스테롤(campesterol) 등이, 가지와 잎에는 방향유가 0.4-0.6%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l-보르네올(borneol)이다. 잎은 탄소수 16-33개의 파라핀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유 중에는 카프르산(carpric acid), 라우르 산(lauric acid), 미리스트 산(myristic acid), 린데르 산(linde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중약대사전, 상해과학기술출판사, p.1913, p.1915).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에서 비만세포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에 효과가 있는 생강나무를 시료로 하여 히스타민 유리와 염증 유발성 사이토카인 억제에 대한 효과 및 작용기전을 실험하기 위하여,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전사인자인 MAPK 및 NF-κB 활성도 억제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생강나무는 줄기, 가지, 잎, 바람직하게는 가지 부위를 포함하며, 추출물은 극성용매에 가용한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 질환은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상기도염 및 비염,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동맥경화, 심장병 질환,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씨 병, 알쯔하이머 병 또는 결장암 등을 비롯한 질환, 바람직하게는, 비만세포 매개성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알레르기 질환은 천식,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 염 등의 알레르기 반응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천식, 접촉성 피부염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시킨 생강나무 줄기, 가지 등을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생강나무 건조 중량의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을 가하여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동안 7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로 냉침추출, 열수추출, 가열추출, 초음파추출 및 환류냉각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가열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하는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생강나무 추출물이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에 관련이 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전사인자인 MAPK 및 NF-κB 활성도 억제함을 본 발명에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을 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의 염증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 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 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 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 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 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 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0 % 중량 백분율,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0 % 중량 백분율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생강나무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의 추출물이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에 관련이 있는 비만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 염증 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들인 TNF-α,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전사인자인 MAPK 및 NF-κB 활성도 억제하는 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강나무 추출물의 제조
생강나무는 2009년 4월 대구지역에서 채집한 것으로, 건조시킨 줄기 1kg를 잘게 썰어 100℃에서 증류수 1.5 ℓ로 4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한 후에 상기 용매를 유거하고 남은 잔사를 진공 여과하여 여액을 얻고, 이 여과액을 감압농축(EYELA사, N-1000, 일본)하여 생강나무 추출물 130g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WELB”라 명명함).
참고예 1. 시약 및 세포 배양
Phorbol-12-myristate 13-acetate(PMA, Cat No. P145), calcium ionophore A23187(Cat No. C7522)은 Sigma사에서 구입하였다. 항 TNF-α(Cat No. CMC3013)와 IL-6 항체(Cat No. CHC1263)는 R&D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인체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미국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의 Dr. Cologan으로부터 제공받음)는 10% FBS가 첨가된 Invitrogen 사(미국)의 Iscove's media (Cat No. 12200-036)에서 배양하였다.
참고예 2. 통계학적 분석
실험결과는 mean±SEM으로 표시하였고, ANOVA와 Duncan's multiple range tests에 의해 유의성을 검정하여 p<0.05인 결과를 얻었을 때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실험예 1.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유리 억제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생강나무 추출물의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 하였다.(Shore, P. A. et al., A method for the fluorometric assay of histamine in tissues. J. Pharmacol . Exp . Ther . 127, p.182, 1959).
비만세포에 PMACI(PMA와 calcium ionophore A23187)를 투여하면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면서 세포내의 주 함유물질이며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히스타민이 유리된다(Kim, S. H. et al., Anti-allergic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Exp . Biol . Med . (Maywood), 230, p.82, 2005).
참고예 1에서 준비한 인체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에 미치는 실시예 1의 WELB의 유리억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37℃에서 배양한 상기 HMC-1 세포(2×106 cells/ml)에 PMA(20nM) 및 calcium ionophore A23187(1 μM)을 투여하기 10분전에 시료(WELB 0.1-100 ug/ml)를 처리하였다.
즉, 에펜돌프 튜브에 시료 500 μl를 취하여 0.1 M HCl 450 μl와 60% 과염소산 용액 50 μl를 혼합한 후에 원심분리(400g, 20분, 5415R, Eppendorf 사)하였다. 그 상등액 800 μl를 취해 5 M NaOH 용액 500 μl, 증류수 3 ml, n-butanol 10 ml, NaCl 1.2 g을 혼합한 시험관에 넣고 이를 진탕한 후에 원심분리(500g, 10분)를 수행하였다. 상기 시험관에서 부탄올(Butanol)층 8 ml를 취해 0.1 M HCl 3 ml, n-heptane 10 ml를 가하여 진탕하고 다시 원심분리(500g, 10분)를 수행하여 얻어진 수층 2 ml에 1M NaOH 400 μl, 1% o-phthaldialdehyde 용액(Sigma 사, Cat No. P1378) 100 μl를 가하여 혼합하고 2분 동안 방치한 다음, 방출파장(emission) 438 nm, 여기파장(excitation) 353 nm에서 형광강도를 형광분석기(RF-5301 PC, Shimadzu 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강나무 추출물(WELB)은 비만세포에서 PMACI에 의한 히스타민의 유리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MTT 어세이 시험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생강나무 추출물(WELB)의 비만세포에 대한 독성여부 를 확인하기 위해 문헌에 개시된 MTT 시험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 하였다(Kim, S. H. et al., Anti-allergic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Exp . Biol . Med . (Maywood), 230, p.82, 2005).
MTT 어세이는 살아 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효소가 MTT를 환원시켜 포르마잔(formazan)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근거로 포르마잔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존한 세포 수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HMC-1 세포(2×106 cells/ml)에 생강나무 추출물(WELB)을 0.1-1000 ug/ml까지 처리하고, 24시간 후 살아 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효소에 의해 생성된 포르마잔을 0.04N HCl-isopropanol 용액 100 μl로 잘 녹여서 ELISA reader(Anthos2010, Anthos Labtec 사)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WELB의 비만세포에 대한 독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TT 실험을 한 결과, WELB 농도 1 mg/ml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3. 염증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 및 분비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생강나무 추출물(WELB)의 염증유발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발현 및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 하였다(Kim, S. H. et al., Gallic acid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ast cells. Toxicol . Sci . 91, p.123, 2006).
TNF-α, IL-1β, IL-6 및 IL-8은 잘 알려진 염증유발물질로서 PMACI의 자극에 의해 비만세포에서 발현된다(Kim, S. H. et al., Anti-allergic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on mast cell-mediated allergy model. Exp . Biol . Med . (Maywood), 230, p.82, 2005).
비만세포 유래의 염증유발에 대한 생강나무 추출물(WELB)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HMC-1 세포(2x106 cells/ml)에 PMACI로 자극하기 1시간 전에 WELB(0.1-100 ug/ml)를 처리한 후, PMA(20nM) 및 A23187(1 μM)로 4시간 동안 자극하였으며, TNF-α, IL-1β, IL-6 및 IL-8의 유전자 발현정도는 RT-PCR법으로 정량하였다.
또한, 37℃에서 배양하는 상기 HMC-1 세포(2x106 cells/ml)에 WELB(0.1-100 ug/ml)를 1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에, PMA(20nM) 및 A23187(1 μM)로 12시간 동안 자극하여 TNF-α 및 IL-6의 분비 정도를 ELISA법으로 시험하였다.
3-1. RT - PCR 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분석
RNA 분리 kit(RNA-spin, iNtRON 사)를 사용하여 세포로부터 total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total RNA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 후, 1㎍의 RNA로 cDNA를 합성하고, 이 cDNA를 주형으로 표 1에 기재된 다양한 프라이머(primer)를 사용하여 PCR로 증폭하였다(PCR 조건: 변성- 94℃, 30초, 프라이머 결합- 60℃, 30초, 신장- 72℃, 1분 30초). 이때, 대조군으로 β-actin에 대한 PCR을 함께 실시하며 얻어진 DNA 생성물은 1.5%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한 후에 염색시약(Ethidium bromide, Sigma 사 Cat No. E7637)으로 염색하여 UV하에서 카메라(Kodak DC 290 digital camera)로 확인 및 관찰하였다.
유전자(Gene) 프라이머 Annealing
temperature (℃)
Amplified
size(bp)
TNF-α sense 5'-cct acc aga cca agg tca ac-3' 57 279
antisense 5'-agg ggg taa taa agg gat tg-3'
IL-1β sense 5'-aaa cag atg aag tgc tcc tt-3' 57 391
antisense 5'-tgg aga aca cca ctt gtt gc-3'
IL-6 sense 5'-aaa gag gca ctg gca gaa aa-3' 59 412
antisense 5'-atc tga ggt gcc cat gct ac-3'
IL-8 sense 5'-aca gca gag cac aca agc tt-3' 59 247
antisense 5'ctg gca acc cta caa cag ac-3'
β-actin sense 5'-gga ctt cga gca aga gat gg-3' 54 234
antisense 5'-agc act gtg ttg gcg tac ag-3'
3-2. Western blot 분석시험
HMC-1 세포를 2 mM PMSF(Phenylmethanesulfonyl fluoride, Sigma 사 Cat No. P7626)와 10 μg/ml 류펩틴(leupeptin; Sigma 사 Cat No. L2884)을 함유한 추출완충액(1% triton X-100, 0.5% sodium deoxycholate, 0.1% SDS를 함유한 PBS용액)으로 용해시킨 후, 신디케이션(syndication)하여 DNA를 조각내었다. 단백량은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으로 이용해서 Bio-Rad 사의 protein assay kit(Cat No. 500-000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총단백 10-50 μg을 0.1% SDS를 함유한 8-12% (w/v) 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에 gel에 존재하는 단백을 electroblotting 방법으로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NC) 필터에 옮긴 후, 비특이적인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필터를 5% 탈지분유를 함유한 tris-buffered saline-tween(TBS-tween; Sigma 사)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필터를 타겟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함유한 TBS-tween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horseradish peroxidase(Sigma 사 Cat No. P0889)로 표지된 2차 항체로 표지하였다. Enhanced chemiluminescence(Sigma 사 Cat No. A4685)을 이용하여 band들을 가시화 하였다.
3-3. 세포활성물질 분비 측정 ( Enzyme - linked immunosorbent assay , ELISA )
각 세포활성물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PBS(pH 7.4)로 희석하여 96 well plate에 100 μl씩 각각 코팅하고, 0.05% tween이 함유된 PBS로 씻어낸 다음에 1% BSA, 5 % sucrose, 0.05% NaN3를 함유한 PBS용액으로 1시간동안 blocking 하였다. 여러 번 씻어 낸 다음에 이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청과 각각의 1차 항체를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Biotin이 결합된 2차 항체(Sigma 사 Cat No. R3631)를 첨가한 후에, avidin peroxidase(Sigma 사 Cat No. A7419)를 첨가하고 기질인 ABTS 용액(Sigma 사 Cat No. A1227)을 첨가하고, 발색반응은 ELISA reader(Anthos2010, Anthos Labtec 사)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강나무 추출물(WELB)은 비만세포에서 PMACI에 의한 TNF-α,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PMACI로 자극된 비만세포에서 TNF-α와 IL-6의 분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전사인자 활성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생강나무 추출물(WELB)의 전사인자인 MAPK와 NF-κB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 하였다(Kim, S. H. et al., Gallic acid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ast cells. Toxicol. Sci . 91, p.123, 2006).
전사인자인 MAPK와 NF-κB는 세포활성, 염증과 같은 다양한 세포내 반응을 조절하는 인자로서 특히 TNF-α, IL-1β, IL-6 및 IL-8와 같은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Azzolina, A. et al., Substance P induces TNFalpha and IL-6 production through NF kappa B in peritoneal mast cells. Biochim . Biophys . Acta . 1643, p.75, 2003; Kim, S. H. et al., Gallic acid inhibits histamine releas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mast cells. Toxicol . Sci . 91, p.123, 2006).
비만세포 유래의 MAPKs 및 NF-κB I 활성에 대한 WELB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HMC-1 세포를 PMACI로 자극하기 1시간 전에 WELB (0.1-100 ug/ml)를 처리하였다. 37℃에서 배양하는 상기 HMC-1 세포(2×106 cells/ml)에 WELB를 1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에, PMA(20nM) 및 A23187(1 μM)로 1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MAPK의 인산화(Phosphorylation) 및 NF-κB의 활성화 정도는 상기 실험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Western blot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생강나무 추출물(WELB)는 비만세포에서 PMACI에 의한 NF-κB의 활성을 억제하였고, MAPK중 특이적으로 JN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이 사실은 WELB가 NF-κB와 JNK의 활성을 억제하여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함을 시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만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에 대한 생강나무 추출물(WELB)의 효과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WELB는 인체 비만세포주에서 PMACI에 의해 유도된 히스타민의 유리를 억제하였으며, 전사인자인 NF-κB와 JNK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다양한 염증유발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분비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강나무 추출물인 WELB는 비만세포 매개성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크림, 맛사지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센스, 팩, 클렌징폼의 제형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크림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2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4 마이크로 스탈린 납 2.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6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7 밀납 2.0
8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2.0
9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5.0
11 액상 리놀린 5.0
12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8.0
13 스쿠알란 8.0
14 농글리세린 5.0
15 1,3-부틸렌글리콜 5.0
16 알란토인 0.1
17 생강나무 추출물(WELB) 10.0
18 향료 미량
19 황색4호 미량
2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맛사지크림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용해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4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6 바셀린 3.5
7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3.5
8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8
9 유동 파라핀 35.0
10 트리 (카프릴, 카프린산) 글리세린 3.0
11 옥틸도데칸올 5.0
12 스쿠알렌 2.0
13 농글리세린 5.0
14 생강나무 추출물(WELB) 5.0
15 히아루로닉애씨드추출물 1.0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로션 조성물
유상과 수상을 각각 75 ℃로 가열 혼합 유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2 스테아린산 1.0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4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0
5 바셀린 1.0
6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글리콜 1.5
7 세스퀴올레인산 소르비탄 1.0
8 유동 파라핀 5.0
9 스쿠알렌 5.0
10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1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12 농글리세린 5.0
13 생강나무 추출물(WELB) 15.0
14 트리에탄올아민 0.5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스킨로션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글리세린 2.0
2 1,3-부틸렌글리콜 2.0
3 구연산 0.01
4 에탄올 15.0
5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6 생강나무 추출물(WELB) 25.0
7 향료 미량
8 위치하젤추출물 1.0
9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에센스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제조 혼합한 후 여과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농글리세린 15.0
2 1,3-부틸렌글리콜 5.0
3 알란토인 0.1
4 에탄올 7.0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6 트리에탄올아민 0.15
7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8 초산토코페롤 0.5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10 생강나무 추출물(WELB) 30.0
11 향료 미량
12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팩 조성물
수상과 에탄올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이스나트륨 0.3
3 농글리세린 3.0
4 알란토인 0.1
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0.01
6 폴리에틸렌글리콜 1.0
7 에탄올 6.0
8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9 타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10 디엘판테놀 0.1
11 폴리옥시에틸렌(12)노닐페닐에테르 0.5
12 생강나무 추출물(WELB) 45.0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클렌징폼 조성물
수상과 오일상을 각각 분산 용해하여 혼합 검화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번호 원료명 중량 %
1 스테아린산 6.5
2 미리스틴산 28.0
3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4 프로필렌 글리콜 5.0
5 농글리세린 10.0
6 수산화나트륨 7.0
7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1
8 태반 추출물 0.5
9 생강나무 추출물(WELB) 15.0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도 1은 생강나무 추출물(WELB)이 비만세포에서 PMACI에 의한 히스타민의 유리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생강나무 추출물(WELB)이 비만세포에서 PMACI에 의한 TNF-α, IL-1β, IL-6 및 IL-8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3는 생강나무 추출물(WELB)이 PMACI로 자극된 비만세포에서 TNF-α와 IL-6의 분비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4은 생강나무 추출물(WELB)이 비만세포에서 PMACI에 의한 NF-κB의 활성 및 MAPK 중 특이적으로 JNK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eungnam University <120>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inflammatory or allergic diseases <130> DIF/2009-08-0007/RS <160> 10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TNF-alpha sense <400> 1 cctaccagac caaggtcaac 20 <210> 2 <211> 20 <212> DNA <213> TNF-alpha antisense <400> 2 agggggtaat aaagggattg 20 <210> 3 <211> 20 <212> DNA <213> IL-1beta sense <400> 3 aaacagatga agtgctcctt 20 <210> 4 <211> 20 <212> DNA <213> IL-1beta antisense <400> 4 tggagaacac cacttgttgc 20 <210> 5 <211> 20 <212> DNA <213> IL-6 sense <400> 5 aaagaggcac tggcagaaa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IL-6 antisense <400> 6 atctgaggtg cccatgctac 20 <210> 7 <211> 20 <212> DNA <213> IL-8 sense <400> 7 acagcagagc acacaagctt 20 <210> 8 <211> 20 <212> DNA <213> IL-8 antisense <400> 8 ctggcaaccc tacaacagac 20 <210> 9 <211> 20 <212> DNA <213> beta-actin sense <400> 9 ggacttcgag caagagatgg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beta-actin antisense <400> 10 agcactgtgt tggcgtacag 20

Claims (8)

  1.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86574A 2009-09-14 2009-09-14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74A KR101124442B1 (ko) 2009-09-14 2009-09-14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574A KR101124442B1 (ko) 2009-09-14 2009-09-14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31A KR20110028931A (ko) 2011-03-22
KR101124442B1 true KR101124442B1 (ko) 2012-03-21

Family

ID=4393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574A KR101124442B1 (ko) 2009-09-14 2009-09-14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4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06B1 (ko) * 2011-11-09 2014-01-07 한국콜마주식회사 담나칸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560465A (zh) * 2015-01-08 2015-04-29 渤海大学 一种姜粉护肤皂
KR20160093468A (ko) 2015-01-29 2016-08-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101900407B1 (ko) * 2016-10-06 2018-09-20 주식회사 야다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조성물
KR102355104B1 (ko) * 2020-03-06 2022-0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순무를 포함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8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100586269B1 (ko) * 2004-01-31 2006-06-07 김기영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79584A (ko) * 2008-01-18 2009-07-22 양지화학 주식회사 생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18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KR100586269B1 (ko) * 2004-01-31 2006-06-07 김기영 생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079584A (ko) * 2008-01-18 2009-07-22 양지화학 주식회사 생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효과(약학회지 제52권 제5호 355-360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931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0755427B1 (ko)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0773856B1 (ko)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16852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주름 개선용조성물
KR20120015881A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서양배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94360B1 (ko) 항염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문주란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24442B1 (ko) 생강나무 줄기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6924A (ko)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05386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131073B1 (ko) 항염, 자극완화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갖는 복숭아 뿌리, 자두 뿌리, 매화 뿌리 및 호두 껍질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136763A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100755425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노르베르게닌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KR100748851B1 (ko) 항염 및 항자극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외용 조성물
KR20150050631A (ko) 코프리신 펩타이드 유도체 CopA3를 함유하는 항염증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706285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활성을 갖는 백량금 추출물을함유하는 피부외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0891734B1 (ko) 도인피 추출물 및 분획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4947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38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또는 비알러지성 피부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