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595B1 -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595B1
KR102092595B1 KR1020190096755A KR20190096755A KR102092595B1 KR 102092595 B1 KR102092595 B1 KR 102092595B1 KR 1020190096755 A KR1020190096755 A KR 1020190096755A KR 20190096755 A KR20190096755 A KR 20190096755A KR 102092595 B1 KR102092595 B1 KR 10209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water
chlorella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석
김미성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to KR1020190096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유래 자외선 차단 소재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 유래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UVB(280~320 nm 영역) 파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에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조합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두드러지게 증대되는바, 이들 소재의 조합은 시너지 효과(상승 효과)를 발휘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UV screening comprising chlorell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천연 유래 자외선 차단 소재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천연 유래 자외선 차단 성분으로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학성분에 대한 이슈 증가로 화장품 구매 시 전성분을 확인하거나 저자극 천연 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시장도 화학물질을 배제한 해양, 식물 유래의 천연소재로 대체되고 있으며 이를 적용한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 차단 소재 대부분이 화학물질이므로 천연물질로의 대체가 가장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은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 파괴, 야외 활동 증가 및 과도한 노출 시 주름, 색소침착, 탄력저하 등의 피부노화 및 일광화상, 홍반, 흑화, 피부암 등의 유발 가능성이 알려짐에 따라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자외선은 200-400 nm 영역으로, 그 파장에 따라 UVA(320-400 nm), UVB(290-320 nm), UVC(200-290 nm)로 나뉘며, UVC의 경우 오존층으로부터 흡수되기 때문에 오존층 흡수가 일어나지 않는 UVA, UVB 영역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인 자외선 차단제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이러한 유해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바르는 제품으로, 자외선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킬 수 있는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 소재를 사용하여 피부가 자외선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나 기존의 유기 자외선 차단 소재는 자외선을 흡수함에 따라 구조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화학합성물질이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무기 자외선 차단 소재는 넓은 영역의 자외선 차단이 가능하나, 분산 및 용해가 어려워 백화 현상이 나타나므로, 많은 양을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사용감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저자극 천연 성분의 자외선 차단 소재를 찾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렐라 추출물이 높은 UVB(280~320 nm 영역) 차단 활성을 가지며, 클로렐라 추출물에 특정 천연 소재 추출물을 조합한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바, 이들 소재가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천연 소재로서 화장품 산업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928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유래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자극이 낮고 UVB(280~320 nm 영역) 파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a) 클로렐라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득액을 55~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녹두 추추물, 백합 추출물, 옥수수 속대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조성물에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 형 에멀젼, 유중수 형 에멀젼, 페이스크성 무수 생성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지질 소포체, 비이온성 지질 소포체,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 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 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UVB(280~320 nm 영역) 파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에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조합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 효과가 두드러지게 증대되는바, 이들 소재의 조합은 시너지 효과(상승 효과)를 발휘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자외선 흡광도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2는 제브라피쉬 배아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배아 응고율(Coagulation rate, %)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제브라피쉬 배아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처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배아 부화율(Hatching rate, %)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각질형성세포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각질형성세포에 UVB 조사 및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SPF 차단 지수 판정 결과를 보여주는 보고서이다.
도 7은 SPF 15 선크림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한 샘플의 SPF 차단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핸드크림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과 다른 추출물을 첨가한 샘플의 SPF 차단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클로렐라’는 단세포 녹조류(Green algae)로서 일반식물의 생리와 같이 광합성에 의하여 탄소원(공기중의 이산화탄소)과 질소, 기타 무기염류를 동화하여 신속히 자기세포의 증식(분열)을 일으키는 유력한 녹조류이다. 클로렐라는 단백질 함량이 많고 유용한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방, 기타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므로 유기자원으로 중요하며, 앞으로의 단백질, 지방자원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클로렐라 내에 존재하는 자외선 흡수색소가 파괴되지 않는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 클로렐라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득액을 55~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SPF 15 선크림에 클로렐라 추출물을 0.5%, 1%, 3%, 5%, 10%(w/w)로 첨가하여 SPF 지수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SPF 지수가 높아지지 않으며, 특정 수치범위의 안과 밖에서 높은 SPF 지수를 보여주었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클로렐라 추출물 이외에 유효성분으로 녹두 추추물, 백합 추출물, 옥수수 속대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녹두 추출물, 백합 추출물, 옥수수 속대 추출물 또는 대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녹두, 백합, 옥수수 속대 또는 대나무)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녹두, 백합, 옥수수 속대 또는 대나무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소재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녹두, 백합, 옥수수 속대 또는 대나무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녹두, 백합, 옥수수 속대 또는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두, 백합, 옥수수 속대 또는 대나무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녹두, 백합, 옥수수 속대 또는 대나무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중에서도 UV-B에 의한 피부보호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진다.
먼저, UV-A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으며 파장영역이 0.32~0.40㎛에 해당하고, UV-B에 비하여 에너지량이 적지만 피부를 그을릴 수 있다. 피부를 태우는 주역은 UV-B 이지만 UV-A는 피부를 벌겋게 만들 뿐 아니라 피부 면역 체계에 작용하여 피부 노화에 따른 장기적 피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에는 UV-A 노출 시간이 피부를 그을릴 정도로 길어지면 피부암 발생의 위험이 UV-B의 경우와 같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UV-B는 대부분은 오존층에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에 도달한다. 지구에 극소량이 도달하는 UV-B는 파장영역이 0.28~0.32㎛에 해당하는 자외선으로서, 동물체의 피부를 태우고 피부 조직을 뚫고 들어가며 때로는 피부암을 일으키는데, 피부암 발생의 원인은 대부분 태양 광선의 노출 및 UV-B와 관련이 있다.
또한, UV-C는 오존층에 완전히 흡수된다. 파장영역이 0.20~0.29㎛인 자외선 중 UV-C는 염색체 변이를 일으키고 단세포 유기물을 죽이며, 눈의 각막을 해치는 등 생명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다행히 UV-C로 알려진 이 범위의 자외선은 성층권의 오존에 의해 거의 모두 흡수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제공하는 피부 보호를 위한 자외선 차단은 상기 3가지의 자외선 중에서 280~320nm의 파장 영역을 갖는 UV-B에 해당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적으로 종래 알려진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메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아민,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옥틸,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페닐,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 부틸 페닐, 살리실산 호모 펜틸, 메톡시 계피산 옥틸, 메톡시계피산 옥틸, 메톡시계피산 에톡시에틸, 하이드록시 메톡시벤조페논, 디하이드록시 디메톡시 벤조페논, 부틸 메톡시벤조일 메탄 및 옥틸 트리아존과 같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 및 아연산화물, 티타늄이산화물, 철산화물 및 마그네슘산화물과 같은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피부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원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하여 제형화할 수도 있다. 상기 화합물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키면, 화합물의 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추출물로부터 기대되는 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0~500nm인 리포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300nm이다.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3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침투의 개선 및 제형 안정성의 개선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유효성분을 안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oil)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와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40 지방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1.0~30.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2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이 이용되며, 천연 인지질(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예를 들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틴 또는 포화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인지질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40중량%일 수 있다.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bar의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아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나노리포좀 충 중량 기준으로 0.1~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제조
<1-1> 클로렐라( Chlorella vulgaris ) 배양 및 분말화
본 발명에 사용된 클로렐라는 멸균한 해수에 F/2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으며, 온도는 23℃, 광량은 60 μmol/㎡/s에서 일주일 간격으로 scale-up 배양하였다. 배양 후, 클로렐라는 원심분리기(VS-550, Vision Co.)를 이용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펠렛 부분을 수확 처리하였다. 남은 펠렛은 가볍게 물기를 제거한 후 48시간 동결건조 하였다. 동결건조가 끝난 시료는 분쇄기를 활용하여 분말화한 후 냉동고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클로렐라 배양조건
항목 조건
배양수 카트리지 필터 통과 후 멸균한 자연해수
온도 22~24℃
광량 60 μmol/㎡/s
광주기 Light:Dark(16:8)
먹이 F/2 배지 13.2㎕/100mL
용기 Polycarbonate bottle
<1-2> 클로렐라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준비한 클로렐라 분말 2kg 당 70% 에탄올 20L를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25rpm으로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액을 1차 원심분리 (4500 rpm, 90분) 한 후 상등액만을 취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1차 추출물을 2차 원심분리(5600rpm, 30분) 한 후 상등액만을 취하여 2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2차 추출물은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 및 농축 처리하고, 동결건조하여 64g의 최종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냉암소에 보관하면서 필요한 경우 정제수로 희석하여 농도를 조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흡광도 스펙트럼 분석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준비한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클로렐라 추출물을 1차 증류수로 100배 희석한 뒤,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SpectraMax Plus384, Moleculardevices, USA)를 이용하여 250nm~700nm 영역대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경우 자외선 B 영역대인 280~320nm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그중에서도 294nm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어 자외선 B(UV-B; 280~320 nm) 영역을 차단하는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독성 평가
<3-1> 제브라피쉬 배아 독성 평가
제브라피쉬 성어는 Artemia를 부화시켜 하루 3회 급여하였다. 인공광원을 이용해 낮 16시간, 밤 14시간을 유지하였으며, 수온 28±1℃로 유지하였다. 배아(Embryo)는 최소 5회 이상 산란 경험이 있는 암, 수컷을 1:2 비율로 산란 전날 충분히 영양보충을 하고 mating box에 분리한 상태로 24시간 후 다음날 아침 인공광원을 조사하여 배아 생산을 유도하였다. Mating box의 성어와 배아를 즉시 분리해 주어 배아 손상을 막고, egg water를 이용하여 배아를 3회 이상 세척하였다. 이후 100mm 페트리 디쉬에 배아가 최대 50개가 넘지 않도록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였다. Egg water는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 실험용 배아의 신선도를 유지하였다.
산란한 제브라피쉬의 배아를 24-well plate에 각각 20마리씩 분주한 후 시료를 egg water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0005, 0.1, 0.5, 1 mg/mL 농도로 처리하여 각 웰(well) 당 2mL씩 처리하였다. 무처리 대조군은 egg water를 2mL씩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후 96시간(4일) 동안 관찰하였으며 24시간마다 응고되거나 부화 지연이 일어나는 배아를 확인하여 응고율(Coagulation rate, %)과 부화율(Hatching rate, %)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0.05, 0.1, 0.5, 1mg/mL 농도로 처리한 배아에서는 24시간 후 응고율이 각각 0%, 0%, 0%, 0%, 8%로 나타났다. 72시간 경과 후에는 각각 0%, 0%, 0%, 58%, 100%로 나타났다. 이때 응고율 수치가 증가할수록 독성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무처리 대조군인 egg water를 단독으로 처리한 배아에서는 24, 48, 72시간 후 배아 응고율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0.05, 0.1, 0.5, 1mg/mL 농도로 처리한 배아에서는 72시간 경과 후 100%로 모두 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0.05mg/mL 이상에서는 부화지연 현상이 나타났다. 이때 부화율 수치가 증가할수록 독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무처리 대조군인 egg water를 단독으로 처리한 배아에서 48, 72시간 경과 후 모든 배아에서 부화 지연이 나타나지 않았다.
<3-2> 각질형성세포 독성 평가
인간각질형성세포주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cells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세포배양을 위한 Dulbecco’s modified Eagel’s medium (DMEM), fetal bovine serum (FBS) 및 항생제 (penicillin/streptomycin)는 Gibco사 (Grand Island, NY, USA)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DMEM에 10% FBS, 100 U/㎖ penicillin을 혼합한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배지는 2일마다 새로운 배지로 갈아주었다. HaCaT cells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은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1 (WST-1) assay를 이용하였다. HaCaT cells을 96-웰 플레이트에 5 × 10⁴ cell/well 농도로 200μl 씩 분주하여 24 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뒤, 웰(well)에 클로렐라 추출물 시료를 각각 0.01, 0.05, 0.1, 0.5, 1 m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후 WST-1 solution을 well 당 20μl씩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WST-1 에세이는 세포 증식능력이나 세포생존 능력을 정량하기 위한 에세이 키트로 세포내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에 의해 Tetrazolium Salts (WST-1)에서 포르마잔 발색 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ELISA로 측정한다. 대사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에 존재하는 탈수소효소 (Dehydrogenase)인 succinatetrazolium Reductase에 의한 것으로 살아있는 세포에만 유효하며 곧 발색강도가 세포수와 직선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WST는 수용성의 tetrazolium salt로서 살아있는 세포와 반응하여 오렌지색 수용성의 포르마잔을 생성한다. 따라서 포르마잔을 녹이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배양액을 제거할 필요가 없어 suspension cell에 대해서도 낮은 오차율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Mitochondrial dehydrogenase activity만 측정하는 MTT법은 엄밀히 말하면 mitochondrial activity를 측정한다고 할 수 있지만 이와는 달리 WST를 이용한 방법은 세포내의 모든 dehydrogenase와 반응하므로 MTT법 보다 세포상태를 높은 감도로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인 세포 생존률을 보였으며, 특히 0.5, 1 mg/mL 의 농도에서 급격히 낮아지는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0.01, 0.05, 0.1, 0.5, 1 mg/mL에서 각각 98.03, 93.64, 77.71, 64.14, 60.54 %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4>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활성산소종 소거 활성 평가
UVB 노출에 의해 케라틴세포에서 지속적으로 생성된 ROS는 효소, 비효소적인 방법에 의해 빠르게 제거되지만, 과생성된 ROS는 피부손상을 일으킨다. ROS로부터 생성된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세포의 구조와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세포내 비정상적인 유전자 발현의 결과를 가져온다. UVB로 생성된 ROS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신호전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MAPK는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 kappa B (NF-κB)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NF-κB는 전사인자인 AP-1 (activation protein 1)의 활성화를 통해 ROS의 생성 그리고 콜라겐 분해를 촉진하여 피부에 손상을 야기한다.
피부각질형성 세포인 HaCaT에서 ROS를 유도하기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mL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뒤에 무혈청(serum free) 배지로 한번 세척한 후 무혈청 배지를 200 μL씩 분주한 뒤 미세조류 추출물을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1시간 뒤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를 20 μL씩 분주하고 후, UVB를 세포에 조사한 뒤 무혈청 배지를 180 μL씩 추가로 분주하였다. 이후 ROS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 염색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DCFH-DA의 농도는 2.5 μM로 처리 하였고, DCFH-DA 처리 후 1시간 뒤에 형광분석 ELISA reader기(Bio-Tek)를 통해 excitation wavelength 485 nm, emission wavelength 530 nm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양성대조군은 N-acetyl-L-cysteine (NAC, Sigma aldrich, St. Louis, MO, USA)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UVB 선량이 0, 5, 10, 15, 20, 25 mJ/cm2로 증가함에 따라 ROS의 생성량도 눈에 띄게 증가되었고, 특히 25 mJ/cm2의 선량을 조사한 그룹은 대조군에 비해 ROS의 생성량이 약 1.7배 증가 되었다. 반면에, UVB 조사 후 클로렐라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모든 처리 그룹에서 ROS의 생성이 감소되었고, 그중에서도 0.05 mg/mL 농도에서 활성이 가장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NAC (N-acetyl-L-cysteine)은 광범위하게 연구가 진행된 ROS 제거제로서 본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 활용되었으며 86.0%의 ROS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NAC은 글루타치온(glutathione)의 전구체로 작용하며 직접적으로 H2O2 또는 hydroxyl radical (OH)과 같은 ROS 제거제로 작용하여 ROS를 감소시키거나 ROS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및 염증성 반응을 감소시킨다. UVB 단독처리군, 0.01, 0.5, 0.1 mg/mL에서 각각 186.4, 160.5, 134.6, 162.1의 ROS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 실시예 5>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지수 평가
본 발명에 사용된 클로렐라 추출물의 자외선차단 지수 평가 시험을 위해, 시험으로 대한민국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중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의거하여 최소홍반량을 이용해 자외선차단지수 (SPF, Sun Protection factor)를 판정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2mg/cm2씩 1회 도포한 후 각 피험자의 무도포 최소홍반량에 따라 적합한 광량의 홍반 유발자외선 조사 후 약 16~24시간의 시간차를 두고 최소 홍반량을 판정하였다.
그 결과 도 6a 및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의 SPF 차단 지수는 15.3±2.9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6>
선크림에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에 따른 자외선 차단 증대 효과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을 SPF 15 선크림(로고나 산테 솔레이센서티브 로션, 산테 나투르코스메틱, 독일)에 1% ~ 10%(w/w) 사이의 농도로 넣은 샘플을 만들어 UV 투과율을 측정하였다(290-400 nm). 무첨가구인 SPF 15의 선크림과 비교하여 자외선 차단 정도를 확인하고, 샘플을 2시간 정도 UV에 노출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고체 실험 방법 (solid method)으로 자외선 차단능을 확인하였다. 간략하게는, 3M transpore 테이프를 석영슬라이스에 뭍인 다음 그 위에 샘플들을 도포(코팅)한 다음 15~20분 동안 암실에서 건조 후 290-400 nm 파장에서 각 샘플들의 UV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UV 투과율을 하기 식으로 계산하여 SPF 값을 계산하였다. 하기 SPF 계산식에 파장 290-400nm까지의 홍반스펙트럼효과(E), 태양분광 발광(S), 샘플의 투과율(T)의 값을 넣어 계산하였다.
Figure 112019081413012-pat00001
E(λ ) : CIE Erythemal spectral effectiveness
S(λ) : Solar spectral irradiance
T(λ): Spectral transmittance of the sample
그 결과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PF 15 선크림에 클로렐라 추출물을 0.5%, 1%, 3%, 5%, 10%(w/w)로 첨가한 결과, 무첨가인 기존의 SPF 15 선크림보다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1-3% 첨가군에서 차단능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5% 및 10% 첨가군에서는 1-3% 첨가군에 비해 SPF 지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 농도에 의존적으로 SPF 지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존 선크림에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최적의 첨가 조건을 규명하였으며, 특히, 상기 1-3% 수치범위의 안과 밖에서 현저한 효과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범위는 임계적으로 의의를 갖는다 하겠다.
< 실시예 7>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과 조합하여 시너지 활성을 갖는 소재 확인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과 함께 조합되는 경우 자외선 차단에 시너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추출물을 찾고자, 종래 자외선 차단 효과가 알려진 추출물(녹두 추출물, 백합 추출물, 옥수수 속대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과 조합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였다.
<7-1> 녹두 추출물 준비
녹두 분말 100g에 70% 알코올을 5배의 양으로 부가한 다음, 3일 동안 침적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4.7g의 건조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7-2> 백합 추출물 준비
시중에서 판매하는 백합을 구입하여, 깨끗이 세척한 다음 꽃 부분을 70℃에서 15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분쇄하였다. 분쇄물 100g에 증류수 300ml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진공 및 감압농축하여 최종적인 백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7-3> 옥수수 속대 추출물
옥수수 속대 30g에 80% 에탄올을 250ml 첨가하여 7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농축하여 최종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7-4> 대나무 추출물 준비
본 실험에서 사용한 대나무(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는 전남 담양 대나무 영농조합에서 구입하였으며, 수세 후 7일간 자연 건조하여 세절·분쇄하여 사용하였다. 대나무 줄기 분쇄물 10 g을 80% 에탄올 800 mL에 넣어 7일간 침지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해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건조하였으며, 수율은 1.71 g 이었다.
<7-5> 클로렐라 추출물과 다른 추출물 조합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7-1> 내지 <7-4>를 통해 준비한 각각의 추출물을 조합에 따른 자외선 차단 효과를 살펴보았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일반크림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니베아 핸드크림(퓨어 앤 내추럴 핸드크림, 100 mL)에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 1%(w/w) 및 상기 실시예 <7-1> 내지 <7-4>를 통해 준비한 추출물 1%(w/w)를 각각 첨가하여 샘플을 만들어 UV 투과율을 측정하였다(290-400 nm). 무첨가구로서 일반크림과 비교하여 자외선 차단 정도를 확인하고, 샘플을 2시간 정도 UV에 노출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PF 값은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샘플 구성
시료 구성
무첨가구 핸드크림
처리구 1 핸드크림 + 클로렐라 추출물
처리구 2 핸드크림 + 클로렐라 추출물 + 녹두 추출물
처리구 3 핸드크림 + 클로렐라 추출물 + 백합 추출물
처리구 4 핸드크림 + 클로렐라 추출물 + 옥수수 속대 추출물
처리구 5 핸드크림 + 클로렐라 추출물 + 대나무 추출물
각 처리구별 자외선 차단 지수
시료 무처리구 처리구 1 처리구 2 처리구 3 처리구 4 처리구 5
SPF 3.2 13.5 10.6 10.5 25.4 13.8
그 결과 표 3 및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구 대비 처리구 1 내지 5에서 모두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클로렐라 추출물 단독 처리구 대비 클로렐라 추출물과 다른 추출물의 조합한 처리구 2, 3 및 5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더 감소되거나 증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클로렐라 추출물과 다른 추출물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길항작용이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면에, 클로렐라 추출물과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조합한 처리구 4의 경우 다른 처리구 대비 약 2배 이상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클로렐라 추출물은 옥수수 속대 추출물과의 조합을 통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더욱 증대되는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8>
피부 인체 안전성 실험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무처리구와 처리구 1 내지 5의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시험자들의 등에 무처리구와 처리구 1 내지 5의 시료를 각각 6mL씩 도포 후, 시험 부위를 밀폐하여 48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 제거 후 30분 및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응을 ICDRG guideline에 제시된 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하였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시험자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1 미만이면 저자극, 3 미만이면 경자극, 5 미만이면 중자극, 5 이상이면 강자극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 피부자극지수
시료 무처리구 처리구 1 처리구 2 처리구 3 처리구 4 처리구 5
피부자극지수 0.18 0.35 0.35 0.45 0.35 0.45
판정 저자극 저자극 저자극 저자극 저자극 저자극
상기와 같이 무처리구와 처리구 1 내지 5 모두 피부 자극 1 미만으로 제품에 사용 가능한 저자극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클로렐라 추출물 및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a) 클로렐라 분말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교반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상득액을 55~65℃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렐라 추출물은 조성물에 1 내지 3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수중유 형 에멀젼, 유중수 형 에멀젼, 페이스크성 무수 생성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지질 소포체, 비이온성 지질 소포체,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보디오일, 수중유 형 메이크업베이스, 유중수 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펜슬류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96755A 2019-08-08 2019-08-08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755A KR102092595B1 (ko) 2019-08-08 2019-08-08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755A KR102092595B1 (ko) 2019-08-08 2019-08-08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595B1 true KR102092595B1 (ko) 2020-03-24

Family

ID=7000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755A KR102092595B1 (ko) 2019-08-08 2019-08-08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5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465A (ko) 2020-04-15 2020-05-07 손희선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7475A (ko) 2020-04-14 2021-10-22 손희선 특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보습 효과가 향상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149870A1 (ko) 2021-01-07 2022-07-14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0870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된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811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30A (ja) * 2000-10-17 2002-05-09 Ichimaru Pharcos Co Ltd 紫外線防御剤
KR20160036202A (ko) * 2014-09-25 2016-04-04 코웨이 주식회사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9287A (ko) 2016-11-25 2018-06-04 (주)튜링겐코리아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630A (ja) * 2000-10-17 2002-05-09 Ichimaru Pharcos Co Ltd 紫外線防御剤
KR20160036202A (ko) * 2014-09-25 2016-04-04 코웨이 주식회사 옥수수 속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9287A (ko) 2016-11-25 2018-06-04 (주)튜링겐코리아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475A (ko) 2020-04-14 2021-10-22 손희선 특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보습 효과가 향상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7465A (ko) 2020-04-15 2020-05-07 손희선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WO2022149870A1 (ko) 2021-01-07 2022-07-14 한국원자력연구원 센티페드그라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0870A (ko) 2021-05-28 2022-12-06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된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811B1 (ko) 2023-08-09 2023-10-30 주식회사 에이치티오인터내셔널 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595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Bucci et al. Skin penetration and UV‐damage prevention by nanoberries
KR102128974B1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1148B1 (ko) 여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여뀌 추출물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102401083B1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JPH0892057A (ja)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KR101664025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1005700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8190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94043A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502139B (zh) 富含2,5-二甲酰基呋喃的阿拉伯辣木种子提取物、其获得方法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的用途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2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8386A (ko) 유자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435260B1 (ko) 애기마디잘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60001B1 (ko) 대나무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4021A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8630B1 (ko)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및 광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20150008825A (ko) 아이소쿼사이트린을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아이소쿼사이트린의 경피 흡수를 증진시키는 리포좀
KR20160014315A (ko)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49265A1 (fr) Composition huileuse contenant un extrait d&#39;hemerocalle et utilisations
KR100570096B1 (ko) 녹용을 포함하는 한방 생약 복합 추출물이 내포된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