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7465A -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7465A
KR20200047465A KR1020200045622A KR20200045622A KR20200047465A KR 20200047465 A KR20200047465 A KR 20200047465A KR 1020200045622 A KR1020200045622 A KR 1020200045622A KR 20200045622 A KR20200045622 A KR 20200045622A KR 20200047465 A KR20200047465 A KR 2020004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nscreen
hydrogel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희선
지보근
Original Assignee
손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희선 filed Critical 손희선
Priority to KR102020004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47465A/ko
Publication of KR2020004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특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보습 효과가 향상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상 수화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상 수화겔은 히알루론산 고분자 주쇄 및 상기 주쇄에 흡착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HAVING UV PROTECTION WITH SPF 40 OR MORE AND MOISTURIZING EFFECT WITH 144 HOUR OR MORE}
본 발명은 보습 효과가 향상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특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보습 효과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를 야기하는 요소로 태양광으로부터 유래한 자외선(ultra-violet ray)을 지적하고 있다. 자외선은 가시광선 보다 짧고 엑스선 보다 긴 약 10nm 내지 400nm의 파장을 가지고 약 3eV 내지 124eV 고에너지를 갖는 전자기파의 총칭이다. 자외선은 그 파장의 길이에 따라 약 315nm 이상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A(UVA), 약 280nm 내지 315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B(UVB) 및 약 100nm 내지 28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C(UVC)로 세분화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자외선-A는 대부분 지구에 도달하고, 자외선-B는 오존층에서 일부가 흡수되며, 자외선-C의 경우 오전층과 대기층에서 완전히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산소(O2)가 약 240nm 이하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고 오존(O3)이 약 110nm 이하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자외선은 살균 및 인간의 체내 비타민 D 합성 등의 긍정적인 생리 화학적 작용을 수행하는 동시에 각막염(keratitis), 피부 노화(skin aging), 피부 홍반(erythema)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노출되는 정도가 심하면 세포 변성을 야기하여 피부암(skin cancer)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태양광 내 자외선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간 피부에 바르는 자외선 차단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고형의 스틱 형태로 피부 표면에 자외선 차단 성분을 고르게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산란제로 대별될 수 있다.
우선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기 전 자외선 전자기파를 열에너지로 변화시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주로 유기 화학 물질을 자외선 흡수 물질로 이용하며 선 스크린(sun scree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면 자외선 산란제는 피부 상에서 자외선을 반사 내지는 산란시켜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자외선 산란제는 주로 무기 물질을 자외선 산란 물질로 이용하며 선 블록(sun block)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2595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79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391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045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74889호
유기 화학 물질을 이용한 자외선 흡수제의 경우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 상에 가볍게 도포되어 화장을 덧바르기 좋은 장점이 있다. 또, 자외선 파장 별로 흡수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을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넓은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화학 물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자극 내지는 피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구성성분과 조성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다.
반면 무기 산란 물질을 이용한 자외선 산란제의 경우 피부 안정성이 높아 민감성 피부나 어린 아이가 사용하기 바람직하나, 피부 상에 두껍게 도포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고 끈적이는 잔여감이 있어 많은 양의 자외선 산란제를 이용하기에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자외선 산란제에 화장을 덧바를 경우 부자연스러워 보이고, 보습 크림 등의 경우 피부로 흡수되지 않고 차단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안정성이 높으면서도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가볍게 도포하여 화장을 덧바르기에 용이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피부 보습 효과를 부여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 뿐 아니라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를 통해 흡수 가능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상 수화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상 수화겔은 히알루론산 고분자 주쇄 및 상기 주쇄에 흡착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갖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능을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리포솜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44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보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이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세륨, 지르코늄옥사이드,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엑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로졸트리실록산(dronetrizole trisiloxa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벤조페논-3(benzophenone-3),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에틸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설포닉산(terephthalylidene dicampher sulfonic acid),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nenzo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자상 수화겔의 평균 입도는 30㎛ 내지 50㎛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희석제, 안정제, 향료, 안료(색소), 증점제, 보전제, 항생제, 항균제, 보습제, 비타민, 왁스, 그 외 첨가제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피부 안정성이 높으면서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자외선 차단 기능 뿐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질 수 있어서 여름철에 자외선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자외선 차단과 함께 피부 보습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히알루론산 입자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르게 기재되지 않는 한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을 의미하며 단위는 g/mol을 사용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르게 기재되지 않는 한 온도에 관한 단위는 '℃'로 표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자외선 차단 지수로서 사용되는 SPF(sun protection factor)는 UVB의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UVB에 노출시켜 약 20시간 후의 피부 홍반을 판정하여 홍반이 발생하는 UVB 광량(최소 홍반량)을 측정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바른 후 동일 과정을 거쳐 최소 홍반량을 측정한 다음,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았을 때의 최소 홍반량을 자외선 차단제를 발랐을 때의 최소 홍반량으로 나누어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나타낸 지수를 의미한다. 예컨대 SPF 15는 자외선의 약 93%를 약 200분 이상 차단하고, SPF 30은 자외선의 약 97%를 약 300분 이상 차단하며, SPF 40은 자외선의 약 97%를 400분 이상 차단하는 수준을 의미할 수 있다.
그 외 자외선 차단 지수의 의미, 측정 및 계산 등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47호(2019.06.17),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 고시에 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가교된 수화겔을 준비하는 단계(S100), 입자상 수화겔을 준비하는 단계(S200) 및 입자상 수화겔을 화장료 조성물과 혼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된 수화겔을 준비하는 단계(S100)는 고분자 단량체와 자외선 차단제를 혼합하고 이를 가교시켜 수행될 수 있다. 고분자 단량체의 예로는 히알루론산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이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세륨, 지르코늄옥사이드,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엑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로졸트리실록산(dronetrizole trisiloxa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벤조페논-3(benzophenone-3),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에틸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설포닉산(terephthalylidene dicampher sulfonic acid),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nenzo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를 통해 준비된 가교된 수화겔에 대하여는 도 2 등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히알루론산 수용액의 농도는 약 20mg/mL 내지 40mg/mL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용액은 이관능성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은 히알루론산 수용액 대비 약 0.1wt% 내지 8.0wt%일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가교제 또는 공지의 가교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자외선 차단제가 흡착되어 가교된 수화겔을 입자상 수화겔로 분쇄한다(S20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화겔의 분쇄는 약 45℃ 내지 55℃, 또는 약 46℃ 내지 54℃, 또는 약 47℃ 내지 53℃, 또는 약 48℃ 내지 52℃, 또는 약 49℃ 내지 51℃, 또는 약 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수화겔을 45℃ 보다 낮은 저온에서 분쇄할 경우 입자상 수화겔의 입도가 고르지 못하고, 분쇄 과정에서 자외선 차단제가 용출된 잔여액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수화겔을 55℃ 보다 높은 고온에서 분쇄할 경우 입자상 수화겔의 입도가 고르지 못하고, 예컨대 수화겔의 평균 입도가 매우 작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입자상 수화겔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준비한다(S300).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가 흡착된 입자상 수화겔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희석제, 안정제, 향료, 안료(색소), 증점제, 보전제, 항생제, 항균제, 보습제, 비타민, 왁스,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과 함께 혼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N-알킬디아미노 에틸글리신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들을 유화시킬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예로는 PEG 실리콘 유화제, 비이온성 W/O 유화제, 폴리솔베이트60, 라놀린, 올리브 유화왁스(sorbitan oilvate),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올리브 리퀴드, 레시틴, 스테아르산, 붕사, 세토스, 솔루빌라이저, 세틸알콜,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 중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제어, 예컨대 증가시킬 수 있다. 용어 '증점제'는 점증제 또는 농화제와 혼용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의 예로는 구아검, 로카스트빈검, 퀸스씨드, 카라기난, 갈락탄,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펙틴, 만난 또는 전분 등의 식물계(다당류계) 천연고분자, 크산탄검, 텍스트란, 석시놀글루칸, 카드란 또는 히알론산 등의 미생물계(다당류계) 천연고분자, 젤라틴, 카제인, 알부민 또는 콜라겐 등의 동물계(단백류계) 천연고분자,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반합성고분자, 가용성 전분, 카르복시메틸전분 또는 메틸전분 등의 전분계 반합성고분자,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또는 알긴산염 등의 알긴산계 반합성고분자, 기타 다당류계 유도체 반합성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틸에테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또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의 비닐계 합성고분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블록공중합체 등의 기타 합성고분자, 베트나이트, 라포나이트, 미분산화규소, 콜로이드알루미나 등의 무기물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색소는 합성색소 또는 천연색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합성색소는 FD&C Yellow No 6 또는 FD&C Red No 4 등의 수용성/유용성 염료, 산화철 또는 울트라마린 등의 무기안료, D&C Red No 30 또는 D&C Red No 36 등의 유기안료, FD&C Yellow No 6 Al lake 등의 레이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천연색소는 β-카로틴, β-아포-8-카로티날, 리로핀, 카프산틴, 비키신, 크로신 또는 칸다키산틴 등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 시소닌, 라마닌, 니노시아닌, 카르사민, 사프롤옐로우, 루틴, 구엘세틴 또는 카카오색소 등의 플라보노이드계 색소, 리보플라빈 등의 플라빈계 색소, 라카인산, 카르민산(코키닐), 케르메스산, 아리자린, 시코린, 아르카닌 또는 니키노크롬 등의 퀴논계 색소, 크로로필 또는 혈색소 등의 포르피린계 색소, 크르크민(다메릭) 등의 디케톤계 색소, 베타닌 등의 베타시아니딘계 색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습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보습제의 예로는 1,2-헥산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비톨 또는 트레할로스 등의 폴리올, 아미노산, 요소, 젖산염 또는 PCA-Na 등의 천연보습인자(NMF), 히아루론산염, 콘드로이친 황산염 또는 가수분해 콜라겐 등의 고분자 보습제를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타민은 레티놀, 토코페롤 또는 아스코르빅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왁스는 카나우바왁스, 칸델릴라 왁스 또는 호호바 오일 등의 식물성 왁스, 밀랍 또는 라놀린 등의 동물성 왁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식물 추출물 및/또는 동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멘톨(박하), 아줄렌(카모마일), 알란토인(밀), 카페인(커피), 감초추출물, 계피추출물, 녹차추출물, 라벤더추출물 또는 레몬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동물 추출물은 프라센타(소의 태반), 로얄젤리(벌의 분비물), 달팽이추출물(점액분비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물,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화장품에 허용되는 오일류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전술한 조성에 대해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고 피부 안정성이 우수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용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구체적인 예를 들지 않은 각 구성요소는 알려진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히알루론산 입자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200) 및 고분자 주쇄(100)를 포함하는 수화겔(1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200)는 자외선 흡수제 또는 자외선 산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전자기파를 열에너지 등으로 변화시켜 자외선을 흡수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유기 화학 물질일 수 있다.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갖는 유기 화학 물질은 유분산성 또는 수분산성일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학 물질의 예로는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엑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로졸트리실록산(dronetrizole trisiloxa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벤조페논-3(benzophenone-3),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에틸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설포닉산(terephthalylidene dicampher sulfonic acid),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nenzo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다만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에서 예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공지의 화학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자외선 산란제는 자외선을 반사 내지는 산란시켜 자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주로 무기 입자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물질의 예로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산화칼슘, 산화세륨, 지르코늄옥사이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다만 자외선 산란제는 상기에서 예시된 것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자외선을 산란 내지는 반사하는 특성을 갖는 공지의 무기 물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의 목적 하에서 자외선 차단제(200)는 입자상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자외선 산란제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200)로서 자외선 산란제를 사용함에 따라 피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조성을 자유로이 변경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분자 주쇄(100)는 고분자, 즉 수화겔의 골격을 이루는 줄기 분자쇄로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생리적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안정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주쇄(100)는 히알루론산 주쇄일 수 있다. 이하, 고분자 주쇄(100)로서 히알루론산 주쇄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고분자로서 공지된 다른 고분자 주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수화겔(10)은 가교제(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고분자 주쇄(100) 간을 가교시켜 수화겔(10)의 물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수화겔(10)은 가교제에 의해 균질한 물성을 갖는 3차원 망상 구조의 수화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예로는 디메타크릴레이트류, 알킬디에폭시류, 디글리시딜에테르류, 디비닐설폰류 및 에피클로르히드린류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GDMA), 1,4-부탄다이올 다이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 BDDE) 1,2,7,8-디에폭시옥탄(1,2,7,8-Diepoxyoctane), 1,5-헥사디엔디에폭시드(1,5-Hexadiene diepoxide) 및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ethe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화겔(10)이 3차원 망상 구조를 가짐에 따라 고분자 주쇄(100)는 자외선 차단제(200)와 흡착 내지는 물리/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수화겔(10)은 입자상 수화겔일 수 있다. 입자상 수화겔의 평균 입도는 약 30㎛ 내지 50㎛, 또는 약 31㎛ 내지 49㎛, 약 32㎛ 내지 48㎛, 약 33㎛ 내지 47㎛, 약 34㎛ 내지 46㎛, 약 35㎛ 내지 45㎛, 약 36㎛ 내지 44㎛, 약 37㎛ 내지 43㎛, 약 38㎛ 내지 42㎛, 약 39㎛ 내지 41㎛, 또는 약 40㎛일 수 있다.
입자상 수화겔의 입도가 30㎛ 보다 작으면 수화겔(10)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고분자 주쇄(100)가 자외선 차단제(200)를 온전히 흡착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 입자상 수화겔의 입도가 50㎛ 보다 크면 화장료 조성물의 바름성이 저하되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 그 위에 화장을 덧바르는 등의 경우에 화장이 뜨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자상 수화겔의 입도가 너무 크면 수화겔(10)이 피부에 흡수되는 정도가 낮아지고 보습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수화겔(10), 즉 입자상 수화겔이 고분자 주쇄(100)에 흡착된 자외선 차단제(200), 예컨대 자외선 산란제를 포함함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자외선 산란제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기존의 자외선 산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무기 입자로 인해 사용감이 좋지 않고 피부에 두껍게 도포되는 한계가 있으며, 화장을 덧바르기 곤란하였다. 또한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끈적이는 느낌을 주어 여름철에 사용할 경우 사용감이 매우 좋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 직접 분산된 자외선 차단제(200)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조성물 내에 분산된 수화겔 입자(10) 내에 자외선 차단제(200)를 흡착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히알루론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화겔(10)을 포함함으로써 그 자체의 수분 공급 특성 내지는 보습 특성이 우수하고, 히알루론산 수화겔(10)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피부에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200)가 흡착된 수화겔(10)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20wt% 이하, 또는 약 19wt% 이하, 또는 약 18wt% 이하, 또는 약 17wt% 이하, 또는 약 16wt% 이하, 또는 약 15wt% 이하, 또는 약 14wt% 이하, 또는 약 13wt% 이하, 또는 약 12wt% 이하, 또는 약 11wt% 이하, 또는 약 10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수화겔(10)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 현상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200)가 흡착된 수화겔(10) 함량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요구되는 자외선 차단 특성 및 보습 특성을 고려하여 약 0.1wt% 이상, 또는 1.0wt% 이상, 또는 약 5.0wt% 이상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보습 특성은 입자상의 히알루론산 수화겔(10)의 점도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200)가 흡착된 수화겔(10)의 탄성은 약 100Pa 이상, 또는 약 110Pa 이상, 또는 약 120Pa 이상, 또는 약 130Pa 이상, 또는 약 140Pa 이상, 또는 약 150Pa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200)가 흡착된 수화겔(10)의 탄성은 약 250Pa 이하, 또는 약 240Pa 이하, 또는 약 230Pa 이하, 또는 약 220Pa 이하, 또는 약 210Pa 이하일 수 있다. 수화겔(10)의 탄성이 250Pa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보습 특성은 입자상 히알루론산 수화겔(10)의 점도와 관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200)가 흡착된 수화겔(10)의 점도는 약 30Pa·s 이상, 또는 약 32Pa·s 이상, 또는 약 34Pa·s 이상, 또는 약 36Pa·s 이상, 또는 약 38Pa·s 이상, 또는 약 40Pa·s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200)가 흡착된 수화겔(10)의 점도는 50Pa·s 이하, 또는 약 49Pa·s 이하, 또는 약 48Pa·s 이하, 또는 약 47Pa·s 이하, 또는 약 46Pa·s 이하, 또는 약 45Pa·s 이하일 수 있다. 수화겔(10)의 점도가 50Pa·s를 초과할 경우 화장료 조성물 전체의 점도가 증가하고 끈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수화겔(10)의 점도가 30Pa·s를 미달할 경우 수화겔(10)에서 자외선 차단제(200)가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 보관함에 따라 석출물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44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보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보습도의 유지 정도는 히알루론산 수화겔(10)의 탄성, 점성 및 함량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희석제, 안정제, 향료, 안료(색소), 증점제, 보전제, 항생제, 항균제, 보습제, 비타민, 왁스, 그 외 첨가제 및 용매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과 함께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폼(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수화겔을 준비하는 단계
S200: 입자상 수화겔을 준비하는 단계
S300: 화장료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Claims (6)

  1. 입자상 수화겔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입자상 수화겔은 히알루론산 고분자 주쇄 및 상기 주쇄에 흡착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리포솜 세라마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44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보습도를 유지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이산화티탄, 산화칼슘, 산화세륨, 지르코늄옥사이드, 호모살레이트(homosalate), 엑틸헥실살리실레이트(ethylhexyl salicylate). 드로메트리졸, 드로메트로졸트리실록산(dronetrizole trisiloxane), 옥토크릴렌(octocrylene),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벤조페논-4(benzophenone-4), 벤조페논-3(benzophenone-3),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에틸헥실트리아존(ethylhexyl triazone),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설포닉산(terephthalylidene dicampher sulfonic acid), 디에틸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nenzoate),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isoamyl-p-methoxycinnam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수화겔의 평균 입도는 30㎛ 내지 50㎛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희석제, 안정제, 향료, 안료(색소), 증점제, 보전제, 항생제, 항균제, 보습제, 비타민, 왁스, 그 외 첨가제 및 용매를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45622A 2020-04-15 2020-04-15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7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22A KR20200047465A (ko) 2020-04-15 2020-04-15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622A KR20200047465A (ko) 2020-04-15 2020-04-15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465A true KR20200047465A (ko) 2020-05-07

Family

ID=7073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622A KR20200047465A (ko) 2020-04-15 2020-04-15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4746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889B1 (ko) 2018-01-29 2020-02-07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0458B1 (ko) 2018-03-21 2020-0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914B1 (ko) 2015-06-30 2020-03-03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0796B1 (ko) 2018-03-16 2020-03-18 이종덕 리그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92595B1 (ko) 2019-08-08 2020-03-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914B1 (ko) 2015-06-30 2020-03-03 (주)아모레퍼시픽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4889B1 (ko) 2018-01-29 2020-02-07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0796B1 (ko) 2018-03-16 2020-03-18 이종덕 리그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2080458B1 (ko) 2018-03-21 2020-0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2595B1 (ko) 2019-08-08 2020-03-24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02557B2 (en) Sunscreen composition
EP3137045B1 (en) Composition comprising microcapsules containing particles with a high wet point
KR102052778B1 (ko) 알코올을 포함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KR101068276B1 (ko) 투명한 태양광 차단 겔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40113727A (ko) O/w 유액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40113729A (ko)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60007476A (ko) 컬러 체인지 조성물
KR20140113728A (ko) 겔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KR102055026B1 (ko) Uv 필터를 포함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40112086A (ko) 폼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KR100968715B1 (ko)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지 않은 자외선 차단용화장료 조성물
KR102020081B1 (ko) 폴리올을 함유하는 색상 변화 조성물
KR20160145829A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55833B1 (ko) 파우더상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JP7366882B2 (ja) 軽いつけ心地の美的日焼け止め剤組成物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618781B1 (ko)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전 형태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47465A (ko) Spf 40 이상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144시간 이상의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54352B1 (ko)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7475A (ko) 특수 히알루론산을 포함하여 보습 효과가 향상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6838A (ko) 무기산화물 입자로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플레이크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489994B1 (ko)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KR102419912B1 (ko) 미스트 타입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10036836A (ko) 무기산화물 입자로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6783A (ko)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으로 표면개질된 세륨옥사이드 입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