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093B1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093B1
KR100570093B1 KR1020040000014A KR20040000014A KR100570093B1 KR 100570093 B1 KR100570093 B1 KR 100570093B1 KR 1020040000014 A KR1020040000014 A KR 1020040000014A KR 20040000014 A KR20040000014 A KR 20040000014A KR 100570093 B1 KR100570093 B1 KR 100570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nanoliposomes
skin irritation
weight
to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1730A (ko
Inventor
안기웅
정지헌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0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0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7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 (Phaseolus aureus, Phaseolus radiatus, Mung Bean, Green Bean) 추출물을 내포하여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및 섬유아세포에 대한 독성 억제 작용 등을 통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녹두 추출물은 나노리포좀에 의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침투 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매우 향상되며,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된다.
녹두 추출물, 나노리포좀, 피부자극 완화, 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tion for Alleviating Skin Irritation Comprising Mung Bean Extract Stabilized in Nanoliposome}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그 주된 기능은 수분손실을 막는 보호장벽으로서의 역할이다. 표피의 각질층은 피부에서도 가장 외측에 존재하면서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고 피부의 정상적인 생화학적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접촉성 피부염은 외부의 자극 물질을 피부에 적용할 때 피부에서 나타나는 국소적 염증반응으로서, 임상적 증상으로는 가려움 (itching), 따끔거림 (stinging), 화끈거림 (burning) 등의 자극감과 홍반 (erythema), 부종 (edema) 등의 염증성 자극 반응이 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진피에서 부종이 발견되며 표피와 진피에서 단핵세포의 유입이 관찰된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은 임상적 증상이나 발현 기전에 따라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irritant contact dermatitis),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allergic contact dermatitis), 감각성 자극 (sensory irritation) 및 광독성 피부염 (phototoxic dermatitis)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나, 이들의 명확한 구분은 어려우며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많다. 어떤 물질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기 위한 공통적인 과정은 물질이 피부에 침투하여, 표피 세포나 진피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여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와 관련된 많은 제품은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개인 관리 제품 (Personal care products)을 사용하는 사람 중 10% 이상이 피부에 대한 부작용을 호소하고 있으며, 1990년대 미국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자신을 민감성 피부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최근의 화장품은 피부에 실질적인 효과 (real effect)를 줄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 (cosmeceutical)에 치중하는 동향이어서 화장품 등의 개인 관리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피부 부작용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피부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어 왔으며, 예를 들면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기능성 원료 자체가 자극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즉, 락트산 (lactic acid), 글리콜산 (glycolic acid), 살리실산 (salicylcic acid), 레티노이드 (retinoid) 등은 피부세포 재생의 촉진 또는 항주름의 효과를 위해 화장품에 함유되지만 피부자극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NaOH나 KOH 등의 강알칼리를 자극 유발 기능성 원료에 첨가하여 산도를 중화시켜 자극을 완화하고자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이와 같은 처방은 기존 원료의 효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능성 원료의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고, 부작용을 줄이면서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자극 완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선행 특허출원에서 민간요법에서 널리 사용되는 녹두를 추출하여 화장료 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우수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보임을 확인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번호 1998-0053972, 1999-005041 및 2001-0073206). 그러나, 대부분의 추출물들은 그 자체가 불안정할 뿐 아니라 화장료 적용시, 내용물의 침전, 색깔의 변화 등과 같은 화장료의 안정성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녹두 추출물을 나노리포좀에 내포시켜 안정화시키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두 추출물을 내포하여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내포하고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녹두(綠豆)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원산지는 인도로 추정하며 한국·중국·인도 등의 아시아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녹두는 따뜻한 기후의 양토 (壤土:모래와 점토가 알맞게 섞인 검은빛의 흙)에서 잘 자라며 높이는 30-80 cm 정도이다. 줄기는 가늘고 세로로 난 맥이 있고 10여 개의 마디가 있으며 가지를 친다. 잎은 한쌍의 떡잎과 갓 생겨난 잎이 나온 뒤,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 나온다. 꽃은 노란색으로 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모여나나 3-4쌍만이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협과로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익으면 검어지고 길고 거친 털로 덮인다. 길이 5-6 cm이고 한 꼬투리에 10-15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녹색인 것이 많으나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인 것도 있다. 품종을 나누지 않고 종자의 빛깔에 따라 노란색, 녹색을 띤 갈색, 검은빛을 띤 갈색 녹두로 구분하나 녹 색 녹두가 전체의 90%를 차지한다. 성분은 녹말 53-54%, 단백질 25-26%로 영양가가 높고 향미가 좋다.
녹두 (Phaseolus aureus, Phaseolus radiatus, Mung Bean, Green Bean)는 원래 강한 해열, 해독 작용을 가지고 있어 한방에서 해열, 해독제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나타난 피부미용과 관련된 처방을 보면 비누처럼 사용하여 얼굴이 옥처럼 예뻐진다는 '옥용서시산', 피부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한 피부에 효과적인 '여옥산', 기미를 없애주는 '영기여옥산', 여름에 잘 발생하는 땀띠를 제거해 주는 '옥녀영'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피부 각질층에 피부 사상균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황수창 (부스럼), 옹종 (종기) 및 볼거리 (유행성 이하선염) 등에서도 녹두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내포하고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녹두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녹두 추출물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4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100 nm인 리포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30-70 nm이다.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7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침투의 개선 및 제형 안정성의 개선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계면활성제, 인지질, 유성성분,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되며, 1가 알코올 (예: 에탄올 등)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 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이리톨 및 솔비톨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테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락테이트이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킬락테이트는 소듐스테아로일락테이트이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3-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로 이용된 것으로서, 천연 인지질 (예: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 (예: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 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시틴은 수첨 레시틴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레시틴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8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 (oil)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과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호호바유, 너트유, 스쿠알란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40 지방알콜 또는 세라마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과 같은 실리콘 오일, 또는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호호바유, 너트유, 스쿠알란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이다. 하이드로카본계오일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파라핀 오일이고,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이며, 실리콘 오일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디메치콘이며, 동식물성 오일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너트유 및 스쿠알란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라핀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메치콘, 스쿠알란 또는 너트유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5종의 오일의 혼합물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3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2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이다. 지방산의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20 중량%이다.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 (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 bar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아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나노리포좀 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난용성 물질을 녹임과 동시에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화시켜 피부침투효과를 극대화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나노리포좀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1-20.0 중량%가 바람직하다. 나노리포좀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 에는 뚜렷한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및 섬유아세포에 대한 독성 억제 작용 등을 통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하며, 이와 같은 사실은 하기의 실시예에 명시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녹두 추출물은 나노리포좀에 의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침투 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매우 향상되며,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녹두 추출물의 제조
녹두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하고 작은 조각으로 파쇄한 뒤, 여기에 그 건조 중량의 1-10배의 70%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였다.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47 g/㎏을 얻었다. 건조된 녹두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나노리포좀의 제조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A상에 B상을 첨가하 고, 균일하게 습윤 시킨후 C 상을 첨가하고 70-80℃까지 가열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600-1000 bar의 조건으로 고압 호모게나이저 (Microfluidizer M-110F, Microfluidics International Corporation)에 2-4회 통과시킨 후 냉각하여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시킨 지름 30-70 nm 입자 크기의 나노리포좀을 얻었다.
성 분 함량 (중량%)
A 글리세린 To 100
B 수첨 레시틴 5.0
유동 파라핀 1.0
마카다미아 넛 오일 1.0
스쿠알란 1.0
디메치콘 1.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소듐스테아로일 락테이트 0.5
폴리솔베이트-80 0.5
스테아린산 0.5
C 녹두 추출물 20.0
수산화 칼륨 적량
정제수 5.0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및 나노리포좀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 (비교실시예)을 다음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 비교실시예
함량(중량%) 함량(중량%)
나노리포좀 (제조예 2) 10.0 -
녹두 추출물 (제조예 1) - 2.0
A 세토스테아릴알콜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마이키로크리스탈린 0.7 0.7
스쿠알란 5.0 5.0
유동파라핀 3.0 3.0
트리옥타노인 5.0 5.0
폴리솔베이트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2 0.2
마이크로메치콘 3.0 3.0
BHT 0.05 0.05
B 글리세린 4.0 4.0
1,3-부틸렌글리콜 2.0 2.0
EDTA-2Na 0.05 0.05
정제수 To 100 To 100
향, 방부제 적량 적량
실험예 1: 제형의 안정도 측정
상기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안정성 시험을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한 후, 분리 정도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정리되어 있다. 이 때 제품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 : 변화없음; 1 :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 조금 분리(변색); 3 :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및 5 :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온도 분리 및 변색정도
실시예 비교실시예
45℃ 0 2.1
4℃ 0 0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45℃에서 변색이나 분리 현상이 없이 안정하였으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하지 않고 직접 제형에 사용한 비교실시예는 45℃에서 조금 분리 및 변색이 일어나 추출물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녹두 추출물이 제형에 들어가 제형자체가 불안정해 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항산화 효과
상기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항산화 작용은 펜톤반응 (Fenton reaction)에 의한 지질과산화반응계 (Lipid peroxidation system)를 이용한 TBA (Thio Barbituric Acid)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즉, 에틸리놀레이트 10 ㎕, 0.2% 소디움도데실설페이트 (SDS), 염화제일철 10 μmol 및 과산화수소 2 μmol을 함유하는 25 mM 트리즈마 (Trizma) 염산/0.75 mM 염화칼륨 완충액 (Sigma) 5 ㎖에 간 미토콘드리아 (1 mg 단백질, 30-50 ㎕)을 가하였다. 이어, 상기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 (표 2의 실시예)를 상기 혼합 용액에 첨가한 후, 1분간 25℃로 진탕하고, 10 mM Fe2+ 10 ㎕를 첨가하여 8분간 반응시킨 후, 40% 트리클로로아세톤산 (TCA) 0.5 ㎖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지질과산화 반응은 생성되는 말론-D-알데히드 (MDA)를 TBA법 으로 측정하였다. 이 때 MDA의 생성량은 아래의 분자흡광계수 (A532)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A532 = 1.52 x 105M-1 (cm-1)
실시예의 화장료 이외에 안정화하지 않은 녹두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비교실시예) 및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대조예)를 제조하여 항산화작용을 측정하였다. 각 화장료 시료 200 mg을 반응액 5 ㎖에 넣어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억제율은 검체만을 가했을 때의 MDA 생성량을 100으로 하고 각 시료를 가했을 때의 MDA 생성량과 비교하여 계산한 것이다.
시료 평균 흡광도 지질과산화 억제율(%)
대조예 0.015 ±0.0006 95.0
실시예 0.046 ±0.0008 84.6
비교실시예 0.262 ±0.0010 16.1
상기 표 4를 보면, 녹두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녹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가 녹두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에 비해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항염증 효과 평가법 - 카라기난 족 부종 (Carrageenan Foot Edema)
제조예 1 및 제조예 2에 의해 얻어진 녹두 추출물과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10-100 ㎎/㎏씩 쥐의 복강으로 투여하고 1시간 후, 0.1% 카라기난 용액 (Sigma) 0.5 ㎖을 실험 동물의 뒷 발바닥에 주입하여 염증을 유발했다. 카라 기난 주입 직후와 주입 후 4시간 뒤의 쥐의 발부피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억제율 = [(1 - ΔV처리군)/ΔV대조군] x 100
(ΔV : 발 부피의 변화)
항염증 효과
투여용량(㎎) %억제율
나노리포좀 (녹두 추출물 안정화) 녹두 추출물
10 37.3 22.6
30 49.4 32.9
50 65.9 51.7
100 80.1 59.6
상기 표 5를 보면, 녹두 추출물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이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피부침투 효과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에 대한 피부침투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 등가물 (Dermal Equivalent: DE)-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1 X 105 cell/㎖ (한국세포주은행)를 인체의 결합조직을 이루는 섬유조직과 유사한 겔 구조의 콜라겐 수용액 3 mg/㎖:5 X DEM : 2:2 소듐바이카보네이트와 200 mM Hepes 완충액이 포함된 0.05 N 수산화나트륨이 7:2:1로 혼합된 배지에 접종하여, 5% CO2,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물을 3 ㎛ 다공성폴리카보네이트 (porous polycarbonate) 재질로 된 막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된 플레이트의 안쪽에 넣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피부 등가물 (DE) 표면 위에 표피각질형성세포 (Epidermal Keratinocyte) 1 X 105 cell/㎖ 세포 (한국세포주은행)를 접종하여 EGF와 BPE가 함유된 K-SFM 배지 (Sigma)를 안쪽과 바깥쪽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 안쪽의 배지를 버려 공기가 배양세포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바깥쪽에 10% FBS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를 넣고 2주간 배양하여 다층의 표피와 진피가 형성된 인공피부를 얻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실험예 및 비교실시예를 맨 위층의 인공피부 조직에 적용하여 4시간 배양 후 10% FBS가 함유된 K-SFM과 물의 양을 HPLC로 분석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나 있다.
배지 중의 녹두 추출물의 양 (㎍/㎖)
실시예 비교예
36.9 3.6
실험결과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한 화장료는 녹두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한 비교실시예에 비해 10배 이상의 피부 침투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평균입자 크기가 30-70 nm로 아주 작아 피부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실험예 3의 항염증 효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부 침투효과가 비교실시예 보다 우수하여 좀 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인체 적용 시 피부 자극 완화 효과 비교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험예 2에서 사용한 실시예, 비교실시예 및 대조예에 자극원으로 5% 락트산 (L-lactic acid)을 첨가하여 10일간 사용하도록 하여 락트산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에 대한 완화 효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사용하게 한 다음 자극 여부 및 강도를 설문지에 표시하게 하였다. 시험 결과의 평가는 1일 1회로 하였으며, 주관적자극과 객관적자극으로 나누어 표시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와 같다.
시험 물질 주관적자극 객관적자극 합 계
대조예 31 18 49
실시예 9 8 17
비교실시예 15 11 26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제조예 2에 의해 얻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녹두 추출물 2.0%를 함유하는 화장료가 5% 락트산에 의해 유발된 피부자극의 완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하기의 제형예들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나노리포좀 1.0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올레일알코올 0.1
폴리솔베이트 20 0.5
에탄올 15.0
벤조페논-9 0.05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나노리포좀 3.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1.2
토코페닐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3.0
마카다이아너트오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0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나노리포좀 10.0
세토스테아릴알콜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트리옥타노인 5.0
폴리솔베이트 60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스쿠알란 5.0
유동 파라핀 3.0
싸이클로메치콘 3.0
비에이치티이 0.05
델타-토코페롤 0.2
농글리세린 4.0
1,3-부틸렌글리콜 2.0
산타검 0.1
EDTA-2Na 0.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나노리포좀 1.0
프로필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트리에탄올아민 0.5
밀납 2.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3.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세테아릴알코올 2.0
유동파라핀 30.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나노리포좀 2.0
프로필렌글리콜 2.0
글리세린 4.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에탄올 7.0
피이지-40 히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8
트리에탄올아민 0.3
비에치티이 0.01
EDTA-2Na 0.01
향, 방부제 미량
정제수 to 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녹두 추출물을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및 섬유아세포에 대한 독성 억제 작용 등을 통하여 피부 자극을 완화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녹두 추출물은 나노리포좀에 의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침투 효과가 크게 증가하여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매우 향상되며, 제형의 안정성도 크게 개선된다.

Claims (13)

  1. 폴리올, 계면활성제, 인지질, 유성성분,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이리톨 및 솔비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 중량%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ⅰ)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ⅱ)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이온계면활성제 또는 (ⅲ)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이며,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이고,
    상기 인지질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수첨레시틴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8 중량%이고,
    상기 유성성분은 하이드로카본계오일, 에스테르계오일, 실리콘 오일, 동식물성오일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2-30 중량%이고,
    상기 지방산은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며,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 중량%이고,
    상기 물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두 추출물은 나노리포좀 총중량에 대하여 0.001-40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30-7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이고,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7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소듐스테아로일락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3-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수첨레시틴이고,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2-8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성분은 파라핀 오일,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메치콘, 스쿠알란, 너트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은 스테아린산이고, 그 함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상기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의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1-2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락트산, 글리콜산, 살리실산 또는 레티놀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 화장료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00014A 2004-01-02 2004-01-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014A KR100570093B1 (ko) 2004-01-02 2004-01-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014A KR100570093B1 (ko) 2004-01-02 2004-01-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730A KR20050071730A (ko) 2005-07-08
KR100570093B1 true KR100570093B1 (ko) 2006-04-12

Family

ID=3726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014A KR100570093B1 (ko) 2004-01-02 2004-01-02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0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94B1 (ko) * 2014-07-24 2015-01-28 박희준 나노 리포좀화된 글리콜산을 함유하는 튼살 완화에 유효한 화장료
WO2020091416A1 (ko) * 2018-10-31 2020-05-07 ㈜아모레퍼시픽 나노리포솜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325A (ko)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02B1 (ko) * 2006-03-23 2007-08-08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피부 자극완화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57237B1 (ko) * 2006-12-28 2007-09-10 김지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101588010B1 (ko) * 2008-12-31 2016-01-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용성 녹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투명한 젤 상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6329B1 (ko) * 2019-10-22 2021-06-21 (주)더마펌 이데베논 및 비사보롤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KR102203360B1 (ko) * 2020-01-22 2021-01-18 (주)더마펌 아스타잔틴을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KR102632236B1 (ko) * 2021-03-10 2024-02-01 키맥스 주식회사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2315B1 (ko) * 2023-03-31 2024-01-08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고분자 다당류를 고함량으로 안정하게 포집한 나노베지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94B1 (ko) * 2014-07-24 2015-01-28 박희준 나노 리포좀화된 글리콜산을 함유하는 튼살 완화에 유효한 화장료
WO2020091416A1 (ko) * 2018-10-31 2020-05-07 ㈜아모레퍼시픽 나노리포솜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325A (ko) * 2018-12-13 2020-06-24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KR102272302B1 (ko) 2018-12-13 2021-07-05 (주)파이온텍 곤드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730A (ko) 200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139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906A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54063B1 (ko) 베타-1,6-분지-베타-1,3-글루칸을 포접하여 안정화한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142010B1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9054A (ko) 나노베지클 비타톡스를 함유하여 항산화 효과 및 눈가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3041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44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50122074A (ko) 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3925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감초, 산수유, 백하수오 및 상백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2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9B1 (ko)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802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백리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7193B1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47502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6B1 (ko) 녹용을 포함하는 한방 생약 복합 추출물이 내포된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9812B1 (ko) 항자극 복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51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리소포스파티딜콜린과 노루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3120B1 (ko) 나노리포좀에 안정화된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2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예덕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7138B1 (ko) 바위손, 사과, 오이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7914B1 (ko) 감꼭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