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773B1 -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773B1
KR101142773B1 KR1020050053853A KR20050053853A KR101142773B1 KR 101142773 B1 KR101142773 B1 KR 101142773B1 KR 1020050053853 A KR1020050053853 A KR 1020050053853A KR 20050053853 A KR20050053853 A KR 20050053853A KR 101142773 B1 KR101142773 B1 KR 10114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foliation
promoting
skin
ker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282A (ko
Inventor
곽택종
노석선
신현종
정진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53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7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3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따가움 등의 자극이 없어 인체에 안정하며, 피부 각질의 박리속도를 촉진시켜 각질의 불필요한 중층화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각질 박리,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촉규화

Description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TRATUM CORNEUM DELAM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한약 추출물과 종래 각질 박리제인 알파하이드록시산의 각질박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한약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각질박리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한약 추출물을 2 종 이상 혼합 사용시 각질박리촉진의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따가움 등의 자극이 없어 인체에 안정하며, 피부 각질의 박리속도를 촉진시켜 각질의 불필요한 중층화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피부 상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 지방 층의 세 부분으로 분류된다. 이중 표피는 다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세분되며, 기저 층의 표피 세포는 피부 상부로 올라오면서 분화되어, 최종적으로 각질층에 도달하게 된다.
각질층에 도달한 표피 세포는 핵이 소실되고, 케라틴(keratin)이라고 하는 불수용성 단백질로 채워지면서 죽은 세포로 전환된다. 각질층은 분화된 표피 세포(각질 세포)와 이들 사이를 채워 주는 피부 지질(skin lipid)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체내 물질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막아주고,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각질 세포는 데스모좀(desmozom)이라고 하는 단백질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각질층 상부로 올라갈수록 데스모좀은 분해되어 각질 세포간 응집력이 약화되고, 결국 각질 세포는 피부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간다.
정상 피부의 경우 각질층은 15 내지 20 개의 층으로 구성되고, 이들이 완전히 분리되는 데는 15 내지 20 일이 소요(Britsh J. of Dermatology, 86, 14-19, 1974; K.M.Halprin, 향장회지, 12(4), 265-271, 1988; M.Takahashi)되므로 하루에 약 1 층의 각질 세포층이 떨어져나간다. 노화 피부, 건조 피부, 여드름 피부 등은 각질층의 분리가 정상보다 늦어져 각질층이 두꺼워지는 각질 중층화 현상을 보이고, 이 경우 피부 외관상으로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징은 피부 비늘(scale)의 발생이다.
각질 중층화는 주로 피부의 보습력 감소, 데스모좀 분해 효소의 생성 및 활성 감소, 세포 활성 저하 등에 기인하며, 피부 노화, 자외선 노출, 공해 등이 유발 요인이 된다.
상기한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두꺼워진 각질층을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얇게 해주면, 각질층 밑에 있는 살아있는 세포의 활성 혹은 재생이 증가되어 피부외관에 나타나는 피부 비늘이 감소하고, 피부가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어 자극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질 중층화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물리적으로 문지르거나 화학적 박피술을 이용한다. 특히, 화학적 박피는 잔주름 개선, 거친 피부 완화, 잡티 제거 등의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적 박피에 사용되는 물질로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페놀, 알파하이드록시산(AHA) 등이 있다.
상기 화학적 박피에 이용되는 알파하이드록시산의 농도는 적어도 20 내지 30 % 이상의 고농도가 이용되나, 10 % 미만의 저농도에서는 각질층을 서서히 박리시키고(J.AM.Acad.Dermatol., 11, 867-879, 1984; Van Scott 등), 피부 보습 증진(happi, jully, 66-68, 1994; Tom 등), 잔주름 완화(Cutis, 43, 222-228, 1989; Van Scott 등) 등의 효과도 보여 최근 화장품이나 제약업계에서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알파하이드록시산은 pH가 낮은 경우 피부의 따가움을 야기시키고 자극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기 때문에 사용 농도와 pH 조절이 피부 부작용을 완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알파하이드록시산에 단백질, 지질 등을 붙이거나 부작용 완화제의 첨가, 구조 변경 등을 시도하여 피부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각질 박리, 잔주름 개선 등의 효과 또한 감소되어 최소의 부작용과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피부에 따가움 등의 자극이 없어 인체에 안정하며, 피부 각질의 박리속도를 촉진시켜 각질의 불필요한 중층화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에 적용되어 피부에 자극이나 부작용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의 각질 박리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부터 생약, 한방요법 등으로 사용되던 자연의 천연물로부터 탁월한 각질박리 효능 물질을 찾아내기 위하여 여러 물질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가 인체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동시에 피부 각질 박리 속도를 촉진하는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은 자연계에 존재하며 한방이나 민간요법 으로 사용되는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연교(連翹, 학명: Forsythia koreana)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관목으로 개나리꽃나무, 영춘화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에서 많이 자라며 높이는 약 3 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皮目]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고 길이 3~12 ㎝이며,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인데 양쪽 모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1~2 ㎝이며, 4 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1~3 개씩 피며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4 갈래이며 녹색으로, 화관은 길이 2.5 ㎝ 정도이고 끝이 4 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2 개이고 화관에 붙어 있으며 암술은 1 개이다. 암술대가 수술보다 위로 솟은 것은 암꽃이고, 암술대가 짧아 수술 밑에 숨은 것은 수꽃이다. 열매는 9 월에 삭과로 달리는데, 길이는 1.5~2 ㎝이고 달걀 모양이다. 번식은 종자로도 하지만 가지를 휘묻이하거나 꺾꽂이로 한다. 병충해와 추위에 잘 견디므로 흔히 관상용, 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한방에서 쓰는 연교는 개나리 종류의 열매를 말린 것인데, 한열(寒熱), 발열, 화농성질환, 림프선염, 소변불리, 종기, 신장염, 습진 등에 처방한다. 뿌리를 연교근, 줄기와 잎을 연교지엽이라 하여 모두 약용으로 쓴다. 개나리 열매껍질에서 추출한 물질에는 항균 성분이 있다. 개나리꽃으로 담근 술을 개나리주라 하고, 햇볕에 말린 열매를 술에 담가 저장한 것을 연교주라 한다. 한국(함경남도,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중국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청상자(靑箱子, 학명: Celosia argentea)는 쌍떡잎식물 명아주목 비름과의 한해살이풀로 개맨드라미, 들맨드라미, 계관화라고도 한다. 주로 밭둑이나 길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40~80 ㎝로 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부드러우며 흔히 밑동에서 가지를 치고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8 ㎝, 나비 1~2.5 ㎝로 잎자루는 거의 없다. 꽃은 양성화로 7~8월에 피고, 가지 끝과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5~8 ㎝이고 원기둥 모양으로, 포와 작은 포는 흰색의 넓은 바소꼴이다. 꽃받침은 바소꼴이고 꽃이 진 뒤 흰색이 되며 수술은 5 개이고, 수술대 밑부분은 붙어 있다. 열매는 포과로 9 월에 익으며 달걀 모양인데, 꽃받침보다 짧으며 가로로 갈라지고 지름 1.5 ㎜ 정도의 종자가 여러 개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가려움증, 종기, 외상출혈 등의 치료에 쓰고, 종자를 눈병, 가려움증, 종기, 고혈압 치료에 처방한다.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경기도, 함경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오배자(五倍子)는 매미목[同翅目] 진딧물과의 오배자면충(학명: Schlechtendalia chinensis)이 옻나무과의 붉나무(오배자나무)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혹으로 불규칙적인 주머니 모양으로 사람의 귀 모양을 닮은 것이 많다. 속이 비어 있고, 맛이 매우 시며, 한방에서는 수렴(收斂), 지혈, 해독, 항균의 효력이 있어, 설사, 탈항,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도한, 유정(遺精), 혈변, 혈뇨, 구내염 등에 처방한다. 상기 오배자는 탄닌 성분을 50~60 % 정도 함 유하고 있어 탄닌제를 비롯하여 염모제(染毛劑)나 잉크의 원료가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유채(油菜, 학명: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는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로 평지라고도 하며 보통종(Brassica napus)과 서양종(B. campestris)이 있다. 보통종은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아시아 고원 지대 원산으로서 꽃은 노란색이고 종자는 붉은 갈색이라서 적종(赤種)이라고도 한다. 서양종은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시베리아와 카프카스 지방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서, 꽃은 녹색을 띤 붉은색이며 종자는 검은빛을 띤 갈색이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재배하는 것은 서양종 유채이며, 1962 년부터 유료작물(油料作物)로서 본격적으로 재배하였다. 높이는 80~130 ㎝이며,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고, 원줄기에서는 15 개 안팎의 1차 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 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잎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며,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 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3~4 월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리며, 배추꽃과 비슷한 형상으로 약 10 ㎝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 꽃받침은 각각 4 개로 갈라지며, 수술 6 개, 암술 1 개, 꿀샘 4 개가 있다. 성숙한 이삭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 35~45 ㎝이고 한 이삭에 30~40 개의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각과(角果)로서 길이 8 ㎝ 가량의 원통 모양이다.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 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지며, 보통 20 개 가량의 짙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품종에는 파성(播性)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데, 한국에서 재배하는 서양종은 맥류와는 달리 감광성이 약하고 감온성의 차이에 의해서 파성 정도가 달라진다.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좋으며 빨리 자라고 추위와 습기에 잘 견디는 것이 우량품종이다. 대표적인 품종은 아사히, 유달, 목포11호, 용당 등이다. 종자에는 38~45 %의 기름이 들어 있는데, 15~20 %의 가용성 질소질과 20 % 가량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 식용유로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쓴다. 꽃은 밀원식물(蜜源植物)이고,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연고기제(軟膏基劑), 유성주사약(油性注射藥)의 용제나 기계의 윤활유로 쓴다. 한국(제주도와 남부지방),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촉규화(蜀葵花, 학명: Althaea rosea)는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두해살이풀로 접시꽃, 덕두화, 접중화, 촉규, 촉계화, 단오금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길가 빈터 등지에 자생한다. 원줄기는 높이 2.5 m에 달하고 털이 있으며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5~7 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6 월경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자루가 있는 꽃이 피기 시작하여 전체가 긴 총상꽃차례로 된다. 작은포는 7~8 개이며 밑부분이 서로 붙고, 꽃받침은 5 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5 개가 나선상으로 붙는다. 꽃색은 붉은색, 연한 홍색, 노란색, 흰색 등 다양하고 꽃잎도 겹으로 된 것이 있다. 수술은 서로 합쳐져서 암술을 둘러싸고 암술머리는 여러 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편평한 원형으로 심피가 수레바퀴처럼 돌려붙으며 9 월에 익는다. 뿌리를 촉규근(蜀葵根)이라 하고, 꽃을 촉규화라고 하며, 점액이 있어 한방에서 점활제(粘滑劑)로 사용한다. 관상용이며 잎, 줄기, 뿌리 등을 약용한다.
상기와 같은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종류 및 함량 등도 목적에 따라 임의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또는 촉규화 추출물은 깨끗이 씻은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또는 촉규화를 건조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약 10 배량의 추출용매로 5 일간 냉침하여 추출한 추출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추출용매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그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핵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거나, 1 종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후, 여기에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용매분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또는 촉규화 추출물은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2 종 이상의 혼합시 혼합비율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한방 추출물은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한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또는 촉규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인체에 무해하며 조성물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또는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은 비누, 폼 클렌징, 바디클렌져, 샴푸, 또는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은 연고, 패취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에 따가움 등의 자극이 없어 인체에 안정하며, 피부 각질의 박리속도를 촉진시켜 각질의 불필요한 중층화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천연 한방 추출물 제조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를 각각 한약재 분쇄기를 이용하여 100~20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한 후, 한약재 무게의 5 배 용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5 일 동안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상기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각각의 성분은 와트만 필터(Whatman filter paper No.4)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회전증발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연고,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각질박리 효과)
상기 수득한 5 종의 천연 한방 추출물 및 미국 시그마(Sigma)사에서 제조되는 알파하이드록시산, 구체적으로는 젖산(Lactic Acid) (이하, 알파하이드록시산 또는 젖산 또는 AHA 라 함)을 이용하여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20~40 세의 건강한 남성 25 명을 피시험자로 하였다.
상기 수득한 5 종의 천연 한방 추출물 및 알파하이드록시산 도포 전 피시험 자의 팔 상박부 안쪽 색상을 크로마미터(CR-300, Minolta, 일본)로 측정한 후, 10 % 농도의 디히드록시 아세톤(dihydroxy acetone; DHA) 약 0.4 mL를 힐 톱 챔버(hill top chamber; The Hill Top Chmpanies)에 넣고 팔 상박부 안쪽에 8 시간 동안 부착하여 갈색으로 착색시켰다. 24 시간 후부터, 상기 착색된 부위에 상기 5 종의 천연 한방 추출물 및 알파하이드록시산을 용매(중량기준 물:에탄올:1,3-부틸렌글리콜=85:15:5)에 용해시켜 각각 0.01 중량%, 0.1 중량%, 1 중량%, 5 중량%, 10 중량%의 농도로 조절한 뒤, 이를 각각 1 일 2 회씩 도포하면서 25 일간 탈색정도를 크로마미터로 측정하여 시료 적용에 따른 TT (Turnover Time; 갈색으로 착색된 피부가 각질 박리에 의해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를 측정하여 각 시료의 각질 박리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질 박리 촉진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2 및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33089507-pat00001
(여기서, *(TT, Turnover Time))는 기존의 각질층이 새로운 각질층으로 대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DHA에 의해 착색된 피부가 완전히 원상복귀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함)
구분 Turnover Time (days) 각질박리촉진율 (%)
Blank* 22.1 ± 4.8 -
대조군(SCL**) 20.3 ± 3.5 8.3
5 중량%의 알파하이드록시산 17.5 ± 5.2 20.7
5 중량%의 연교 15.8 ± 3.2 28.5
5 중량%의 청상자 13.3 ± 3.1 39.6
5 중량%의 오배자 13.9 ± 2.0 37.0
5 중량%의 유채 14.8 ± 4.3 33.1
5 중량%의 촉규화 16.1 ± 3.9 27.2
[주]Blank - DHA로 착색 후 아무 시료도 바르지 않은 군
SCL(simple cosmetic liquid) - 피부에 도포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매(중량기준 물:에탄올:1,3-부틸렌글리콜=80:15:5)로, 본 각질 박리 실험에 사용되는 모든 시료는 SCL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각질 박리제인 5 중량%의 알파하이드록시산(Lactic acid)의 경우에는 약 21 % 정도의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방 추출물인 연고,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같은 농도에서 상기 알파하이드록시산보다 약 1.3~1.9 배 우수한 각질 박리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Turnover Time (days) 각질박리촉진율 (%)
Blank 22.1 ± 4.8 -
대조군 (SCL) 20.3 ± 3.5 8.3
연교 10 중량% 15.2 ± 3.8 31.2
5 중량% 15.8 ± 3.2 28.5
1 중량% 18.0 ± 2.1 18.6
0.1 중량% 20.4 ± 4.9 7.5
0.01 중량% 21.9 ± 5.3 0.9
청상자 10 중량% 12.5 ± 4.3 43.3
5 중량% 13.3 ± 3.1 39.6
1 중량% 18.2 ± 2.9 17.4
0.1 중량% 20.5 ± 2.9 7.2
0.01 중량% 21.0 ± 3.7 4.9
오배자 10 중량% 11.9 ± 2.4 45.9
5 중량% 13.9 ± 100 37.0
1 중량% 18.0 ± 4.4 18.7
0.1 중량% 20.2 ± 3.4 8.5
0.01 중량% 21.4 ± 2.9 3.0
유채 10 중량% 14.8 ± 3.3 32.9
5 중량% 14.8 ± 4.3 33.1
1 중량% 16.9 ± 1.9 23.5
0.1 중량% 19.5 ± 1.8 11.7
0.01 중량% 21.8 ± 4.5 1.3
촉규화 10 중량% 15.5 ± 3.2 29.9
5 중량% 16.1 ± 3.9 27.2
1 중량% 17.8 ± 3.1 19.3
0.1 중량% 20.2 ± 4.5 8.5
0.01 중량% 20.9 ± 3.7 5.4
상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방 추출물인 연고,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모두 10 %의 농도에서는 약 29.9~46 %의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나타냈으며, 0.1 중량%의 농도에서는 7.2 내지 11.7 %의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방 추출물인 연고,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의 각질 박리 촉진 효과는 농도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피부 따가움 유발 시험)
상기 수득한 5 종의 천연 한방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따가움 유발 정도(sting℃ test)를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20~40 세의 건강한 여성 35 명을 피시험자로 하였다.
먼저, 세안을 하여 기존에 분비된 피지, 먼지 등을 제거한 후, 항온 항습실(27 ℃, 70 %의 상대습도)에서 15 분간 적응시켰다. 그 다음 부직포에 5 중량% 농도(용매(중량기준 물:에탄올:1,3-부틸렌글리콜=85:15:5))로 용해시킨 5 종의 천연 한방 추출물과 알파하이드록시산을 각각 0.4 mL씩 적신 후, 코 주변과 뺨에 부직포를 붙이고 20 초가 경과한 후에 제거하였다. 부직포 제거 후, 10 초, 150 초, 300 초, 480 초에 따가움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피시험자의 주관적 판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따가움 정도 평가기준
0.0~0.3 점 따가움 유발능이 없음
0.4~1.0 점 약간 따가움을 유발함
1.1~2.0 점 따가움을 유발함
2.1~3.0 점 심한 따가움을 유발함
0 점: 아무런 느낌 없음 1 점: 미미하게 따끔거림
2 점: 확연히 따끔거림 3 점: 심하게 따끔거림
구분 시간 (초) 시간별 점수 (점) 평균 점수 (점)
Blank 10 0.1 0.13
150 0.2
300 0.1
480 0.1
대조군 (SCL) 10 0.2 0.30
150 0.5
300 0.3
480 0.2
5 중량%의 알파하이드록시산 10 2.0 1.98
150 2.3
300 2.1
480 1.5
5 중량%의 연교 10 0.4 0.78
150 1.1
300 1.0
480 0.6
5 중량%의 청상자 10 0.5 0.75
150 1.2
300 0.8
480 0.5
5 중량%의 오배자 10 0.3 0.70
150 0.9
300 0.9
480 0.7
5 중량%의 유채 10 0.4 0.53
150 0.7
300 0.7
480 0.3
5 중량%의 촉규화 10 0.4 0.63
150 1.0
300 0.8
480 0.3
상기 표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방 추출물인 연고,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은 종래 각질 박리제인 5 중량%의 알파하이드록시산(Lactic acid)과 비교하여 낮은 따가움 정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은 종래의 각질 박리제인 알파하이드록시산에 비하여 각질 박리 촉진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피부에 따가움을 덜 유발하는 안전한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연교 추출물 5.0 중량%, 디에틸세바케이트 8.0 중량%, 경납 5.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0 중량%, 벤조산 나트륨 적량, 및 잔량의 바세린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13
상기 실시예 2에서 하기 표 4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비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피부외용연고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4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실시예
2 3 4 5 6 7 8 9 10 11 12 13
한방추출물 연교추출물 5.0 - - - - 2.5 - 2.5 - 1.67 1.25 1.0
청상자추출물 - 5.0 - - - - - - 2.5 - - 1.0
오배자추출물 - - 5.0 - - - - - 2.5 - 1.25 1.0
유채추출물 - - - 5.0 - - 2.5 2.5 - 1.67 1.25 1.0
촉규화추출물 - - - - 5.0 2.5 2.5 - - 1.67 1.25 1.0
디에틸세바케이트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8.0
경납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벤조산 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바세린 100 중량%까지
상기 실시예 2 내지 13에서 제조한 피부외용연고를 이용하여 각질박리효과 및 피부따가움 정도를 상기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도 3 및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각질박리촉진율 (%) 피부따가움 정도 (점)
실시예 2 30.6 0.71
실시예 3 42.5 0.66
실시예 4 38.0 0.74
실시예 5 34.8 0.73
실시예 6 28.8 0.59
실시예 7 34.1 0.62
실시예 8 35.9 0.52
실시예 9 37.1 0.79
실시예 10 43.0 0.66
실시예 11 35.8 0.71
실시예 12 35.4 0.58
실시예 13 36.2 0.78
상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한방 추출물인 연고,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을 단독 또는 2 종 이상 함유하는 피부외용연고는 우수한 각질 박리 촉진 효과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피부 따가움 등의 부작용도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 종 이상의 한약추출물을 혼합 사용할 경우에는 각질 박리 효과가 단독 사용시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나는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은 피부에 따가움 등의 자극이 없어 인체에 안정하며, 피부 각질의 박리속도를 촉진시켜 각질의 불필요한 중층화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있어서, 연교, 청상자, 오배자, 유채, 및 촉규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천연 한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한방 추출물이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에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피부 및 모발세정제 조성물, 또는 피부외용연고 조성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팩, 비누, 폼 클렌징, 바디클렌져, 샴푸, 린스, 연고, 패취, 및 분무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KR1020050053853A 2005-06-22 2005-06-22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KR101142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53A KR101142773B1 (ko) 2005-06-22 2005-06-22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853A KR101142773B1 (ko) 2005-06-22 2005-06-22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82A KR20060134282A (ko) 2006-12-28
KR101142773B1 true KR101142773B1 (ko) 2012-05-18

Family

ID=3781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853A KR101142773B1 (ko) 2005-06-22 2005-06-22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7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8172A1 (fr) * 2012-11-20 2014-05-23 Lea Lab Composition a usage cosmetique comprenant une eau florale de rose tremiere en tant que principe actif hydrat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68A (ko) * 2000-07-20 2002-01-30 성재갑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020046614A (ko) * 2000-12-15 2002-06-21 유상옥,송운한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KR20040047064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씨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68A (ko) * 2000-07-20 2002-01-30 성재갑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020046614A (ko) * 2000-12-15 2002-06-21 유상옥,송운한 연교추출물을 함유한 미백제
KR20040047064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씨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8172A1 (fr) * 2012-11-20 2014-05-23 Lea Lab Composition a usage cosmetique comprenant une eau florale de rose tremiere en tant que principe actif hydra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282A (ko) 200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800213B1 (ko)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20130001441A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KR101540410B1 (ko) 마사지 크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3940B1 (ko)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2510B1 (ko)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353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277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KR102646545B1 (ko) 비비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피부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7943A (ko)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316B1 (ko)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20160043698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959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