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064A -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064A
KR20040047064A KR1020020075138A KR20020075138A KR20040047064A KR 20040047064 A KR20040047064 A KR 20040047064A KR 1020020075138 A KR1020020075138 A KR 1020020075138A KR 20020075138 A KR20020075138 A KR 20020075138A KR 20040047064 A KR20040047064 A KR 2004004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mixed extract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노병화
김윤수
채희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씨
Priority to KR102002007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064A/ko
Publication of KR2004004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064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수렴작용, 세포막 보호작용, 세포 증식작용, 세포 대사 활성촉진을 가짐으로서 피부의 신진대사작용을 원활하게 해주는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Anti-wrinkl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주름지고 늘어진 피부에 탄력성을 부여하며, 동시에 항스트레스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홍삼(Panax ginseng C.A. Mey.)이란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증숙 또는 팽숙하거나 그 밖의 방법으로 인삼의 전분을 호화시켜 건조, 제품화한 것을 말한다. 홍삼은 6 년근 수삼을 증삼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수분 함량이 12.5 ~ 13.5% 가 되도록 가공한 것이다. 제조과정 중 비효소적으로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짙은 다갈색의 색상을 띠며, 매우 단단한 형태로 가공하여 원형을 유지시킨 제품이다. 홍삼은 오갈피과 식물 인삼(Panax ginseng C.A. Mey.)의 뿌리라고 도흥경의 <신농본초경>에 나온다. 인삼의 학명의 어원을 살펴보면 pan 은 '모든 것'이라는 뜻으로 '만병통치'를 의미한다. 인삼이 강장제(强壯劑) 또는 영약으로 약물사에 처음 나타난 것은 약 2 천년 전 전한(前漢)시대의 중국 서적을 통해서이다. 한방에서의 인삼의 약용은 「오장을 보(補)하고 정신과 혼백(魂魄)을 안정시키며, 경계(驚悸)를 멈추게 하고 사기를 제거하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고 지력(智力)을 늘리며, 오래 복통하면 몸을 가볍게 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다.」라고 <신농본초경>에 나와 있다.
인삼의 식물학적 특성은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60cm이며, 잎은 타원형 또는 난형의 쪽잎이 5 개 모인 겹잎이다. 4 년생부터 겹잎은 5 ~ 6 개이다. 여름철에 작은 꽃이 우산모양으로 모여 핀다. 성분으로는 뿌리에 인삼 사포닌인 진세노시드가 약 5.22% 함유되어 있다. 인삼 사포닌은 13 종 이상의 사포닌 혼합물이며, 그 가운데에서 진세노시드 Rb1, Rc 및 Rg 1 의 함량이 비교적 높다. 파낙스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등의 혼합물이며, 뿌리에 포함된 지질의 가수 분해에 의해서 생성한 것이다. 뿌리는 또 콜린을 0.1 ~ 0.2% 함유하는데, 이것이 인삼의 강압 성분이다. 또한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과 펩티드, 비타민 A, B1, B2, C 등과 글루코즈, 과당, 말토즈, 슈크로즈, 패노즈 A, B, C, D 및 펙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에는 또 뿌리에서 단백질 합성 촉진 인자, 즉 프로시토졸이라고 불리는 유효 성분이 추출되었다. 이 인자는 리보핵산, 단백질 및 지질류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고, 유기체의 면역 능력을 높이며 암 치료에 보조효과가 있다. 인삼의 약리작용은, ① 신경계에 대한 영향으로 대뇌 피질의 흥분과정과 동시에 억제 과정을 강화하여 신경 활동의 기민성을 개선한다. 그리고 항피로 작용을 나타내어 뇌의 활동이나 체력의 기능을 높이는 작용을 갖는다. 인삼은 수면과 정서를 안정시켜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② 생체의 반응성에 대한 영향으로는 생체가 갖는 각종의 유해한 자극에 대한 방어 능력을 강화한다. 또한 생체의 반응성 회복 및 해독효과가 있어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③ 내분비계에 대한 영향으로 인삼 글루코시드에 의한 분명한 항스트레스 작용이 있어, 스트레스에 의해 일어난 변화의 회복을 빠르게 한다. 그리고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며, 항이뇨 작용이 있다. ④ 물질대사에 대한 영향으로 성장, 식욕, 단백질 및 간장 리보핵산의 합성에 대하여 촉진작용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⑤ 순환계에 대한 영향으로 심장의 심근무력을 개선하고, 혈압의 강압작용이 있다. 그 밖의 작용으로는 세균, 원충, 결핵균에 대하여 상당한 억제작용이 있다.
오배자(Rhus javanica L.)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붉나무의 잎에 진딧물(Aphis chinensis J. Bell)이 자상(刺傷)을 주어 생긴 벌레집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벌레집이 생기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9 월 하순 벌레집에 구멍을 뚫고 나온 날개 있는 암벌레는 중간숙주인 선태류(Minum versicatum, M. trichomane) 에 새끼벌레를 낳는다. 새끼벌레는 선태류의 즙을 빨아 먹고 자라서 흰 납으로 벌레집을 만들고 겨울을 난다. 다음해 봄에 번데기가 되고 4 월 하순 번데기에서 나와 날개 있는 암벌레가 된다. 암벌레는 교미 후 붉나무의 가지에 날개 없는 암수컷의 새끼벌레를 낳고 죽는다. 날개 없는 암벌레는 어린잎에 옮겨가 기생하는데 이때에 벌레집이 자란다. 이때 그 크기가 본래의 5 배나 되기 때문에 오배자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이른 가을 벌레가 나가기 전에 벌레집을 따서 증기에 쪄서 벌레를 죽인 후 말린다. 오배자의 형태를 보면, 외면은 회갈색으로 연한 털이 있고, 길이는 3 ∼ 7cm, 폭 2 ∼ 5cm, 두께 2mm 정도이며 단단하면서도 쉽게 부숴 진다. 속은 대개 비어 있거나 회백색의 죽은 벌레와 분비물이 남아 있을 때도 있고, 역겨운 냄새가 나기도 한다. 채집한 오배자는 햇볕에 말리거나 삶거나 찐다. 주성분은 피로가롤 탄닌 (pyrogallol tannin)이 50 ~ 70% 함유되어 있으며, 몰식자산, 갈산(gallic acid) 등이 있다. 약효로는 수렴, 지사, 지혈제로 설사, 가래, 당뇨, 하혈, 빈혈 등에 이용한다.
신진대사의 불활성화에 의한 생체 노화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자외선, 흡연, 스트레스, 질병 및 기타 공해물질에 의해 신체는 프리라디칼을 만들고, 이는 세포 및 조직을 공격하여 파괴하고, 생리학적 진행 메카니즘에 의해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에 손상을 주어 세포 신진대사가 불활성화 된다. 또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도 모든 신체의 대사능력은 떨어진다. 이들 요인들에 의해 세포들의 대사활성이 원활히 되지 않아 세포의 재생과 증식이 저하되고 결국 피부는 빠른 노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피부노화 메카니즘에 관여하는 원인을 차단해 주고 대사활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피부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포의 불활성화는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의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아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한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 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 내에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된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활성화 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외부의 여러 자극 원인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이미 손상된 세포를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에 주목하여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수렴작용, 세포막 보호작용, 세포 증식작용, 세포 대사 활성촉진 효과를 보이는 활성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천연의 물질에서 이러한 성분을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수렴작용, 세포막 보호작용, 세포 증식작용, 세포 대사 활성촉진에 효과가 있는 천연 추출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효능을 갖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프리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수렴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형예와 비교 제형예를 적용한 후의 피부주름개선효과를 측정한 사진.
본 발명은 이러한 견지에서, 세포 신진 대사활성화로 인한 피부노화 예방과 더불어 항스트레스성을 갖는 근본적 물질을 찾고자 자연의 여러 가지 천연물들 중에서 유효한 물질을 검색한 결과, 홍삼과 오배자를 선정하여 추출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은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수렴작용, 세포막 보호작용, 세포 증식작용, 세포 대사 활성촉진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일정농도 이상 배합하여 사람 피부에 직접 도포한 실험 결과에서도 뚜렷한 피부탄력 증강 및 프리라디칼에 의해 손상 받은 피부가 개선되는 효과를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수렴작용, 세포막 보호작용, 세포 증식작용, 세포 대사 활성촉진을 가짐으로서 피부의 신진대사작용을 원활하게 해주는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삼, 오배자의 혼합 천연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차로 홍삼, 오배자를 완전 건조한 후 일정 건조 중량비에 대하여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부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용매를 10 ∼ 20 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50 ∼ 95℃, 4 ∼ 20 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 37℃ 에서 1 ∼ 15 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홍삼, 오배자의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증발되어 나오는 용매를 회수하면서 완전히 감압 농축한 후 그 건조중량으로서 0.01 ∼ 5%, 바람직하게는 0.1 ∼ 3%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하는 것이다.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나, 본 발명의 내용이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 을 물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34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2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 을 함수 에탄올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30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3.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 을 메탄올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29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4.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을 부탄올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27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5.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을 에틸아세테이트 10kg에 넣고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27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6.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을 핵산 10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28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7.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kg을 함수 부틸렌글리콜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27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시예 8.
완전 건조시킨 홍삼, 오배자 혼합 원료 1 kg을 함수 프로필렌글리콜 10kg 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3 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후 5 ~ 15℃ 에서 7 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 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혼합 식물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60℃ 로 감압 농축하여 30g (건조중량)을 얻었다.
실험예 1. 프리라디칼 소거 효능 실험
상기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 중 실시예 2 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0.2 mM 의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DPPH) 용액 2mL 에 홍삼, 오배자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상온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52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 을 구했다. 이때 대조시험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에 대한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농도(㎍/mL)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SC50
1020304050 15.438.951.269.380.1 29 ㎍/mL
또, 동일 농도의 상기 각 실시예의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 효과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실 시 예 농도 (㎍/ml) 프리라디칼 소거활성 (%)
실시예 1 50 75.9
실시예 2 50 80.1
실시예 3 50 78.9
실시예 4 50 68.7
실시예 5 50 74.6
실시예 6 50 76.8
실시예 7 50 71.5
실시예 8 50 76.8
실험예 2. 수렴실험
상기 홍삼, 오배자 추출물 중 실시예 2에 대하여 수렴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방법
0.1% 헤모글로빈 완충 수용액(0.9% Saline Phosphate) 2.0mL에 각 농도의 실시예 2의 홍삼, 오배자 추출물 2.0mL 를 가한 후 혼합, 교반하고, 3,500 rpm 에서 5 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 1mL 에 증류수 2.0mL 을 가하여 UV 스텍트럼 407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3.
농도 (㎍/㎖) 헤모글로빈 침전 (%)
10 12.26
30 28.32
50 51.85
70 70.21
90 85.9
또, 상기 각 실시예의 홍삼, 오배자 추출물에 대하여 수렴 효과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실 시 예 농도 (㎍/ml) 헤모글로빈 침전(%)
실시예 1 90 78.1
실시예 2 90 85.9
실시예 3 90 80.4
실시예 4 90 69.1
실시예 5 90 61.2
실시예 6 90 69.9
실시예 7 90 78.8
실시예 8 90 81.7
실험예 3. 세포보호 효과 실험
상기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 중 실시예 2 에 대하여 히드록실 라디칼로부터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사람 섬유아세포를 2 ×105세포/웰로 웰 플래이트에 놓고 10 % FBS 함유하는 DMEM 배지를 0.2㎖ 을 공급한 후 24 시간 동안 CO2배양기에서 배양한다. 여기에 DMSO 에 녹인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히드록실 라디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30mM H2O2를 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다. 세포의 증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MTT assay 를 수행한다. MTT assay 는 배양한 세포에 MTT 용액 0.1㎖ 을 가한 후 4 시간동안 배양한 다음 배지는 제거하고 DMSO 0.5㎖ 를 넣어 형성된 포르마잔을 ELISA reader 를 사용해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5. 홍삼, 오배자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
농도 (㎍/mL) 세포보호효과(Cells Viability) (%)
100150200250300350 21.933.647.951.463.776.1
또, 동일 농도의 상기 각 실시예의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히드록실 라디칼로부터 세포보호 효과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실 시 예 농도 (㎍/ml) 세포 보호 효과(%)
실시예 1 350 67.8
실시예 2 350 76.1
실시예 3 350 74.3
실시예 4 350 59.9
실시예 5 350 62.2
실시예 6 350 63.2
실시예 7 350 71.8
실시예 8 350 69.7
실험예 4. 세포 증식 효과 실험
상기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 중 실시예 2 에 대하여 세포증식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96 마이크로웰 플래이트에 5% 어린 송아지 혈청(FBS) 용액 100 ㎕ 씩 넣은 다음, 2% FBS 가 함유된 DMEM 배지에 시료를 일정농도 분산시켜 묽혀 100 ㎕l 씩 다시 첨가하였다.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신생아의 포피 (foreskin) 조직에서 얻은 섬유아세포를 well 당 4000 개씩 100 ㎕ 배지에 분산시켜 가한 후 7 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후 상등액을 제거 하고 다시 5%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200 ㎕ 씩을 가하여 세척하고 DMSO 를 well 당 150 ㎕ 씩 가하여 10 분간 흔들어 녹인 후, 57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상대적인 흡광도의 차이로 세포증식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7. 홍삼, 오배자 추출물의 세포증식효과
농도 (㎍/mL) Cells Viability (%)
0.001.0010.001001,000 100101105112120
또, 동일 농도의 상기 각 실시예의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에 대하여 히드록실 라디칼로부터 세포증식 효과를 상기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실시예 반응액 중에 함유시킨 시료의 최종농도(㎍/mL) 세포증식효과
실시예 1 1,000 115
실시예 2 1,000 120
실시예 3 1,000 118
실시예 4 1,000 115
실시예 5 1,000 109
실시예 6 1,000 115
실시예 7 1,000 107
실시예 8 1,000 102
처방예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스킨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2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 5.0 -
2 글리세린 3.0 3.0
3 부틸렌 글리콜 2.0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2.0
5 폴리옥시에칠렌(60) 경화피마자유 1.0 1.0
6 에탄올 1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0.1
8 방부제 미량 미량
9 색소 미량 미량
10 향료 미량 미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1 : 11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며 용해시킨 후, 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1 : 11번에 2, 3, 4, 8 번을 순서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5번을 60℃ 정도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10번을 투입 교반하여 11번에 투입한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2.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로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2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2 비교제형예 2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 10.0 -
2 밀납 1.0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10.0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3 방부제 미량 미량
14 색소 미량 미량
15 향료 미량 미량
16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2 :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35℃ 에 1번을 투입하여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 제형예 2 : 10, 11, 13, 16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를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3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2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3 비교제형예 3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 10.0 -
2 밀납 8.0 8.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20.0 2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1.0
7 친유형 모노 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프로필렌글리콜 6.0 6.0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3 : 10, 12, 15 를 교반, 혼합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3 : 10, 12, 15 를 교반, 혼합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4.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2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4 비교제형예 4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 10.0 -
2 밀납 10.0 10.0
3 폴리솔베이트 60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0.8
5 유동파라핀 40.0 40.0
6 스쿠알란 5.0 5.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 1.0
8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0.2 0.2
9 부틸렌글리콜 6.0 6.0
10 글리세린 6.0 6.0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4 : 8, 9, 10, 12, 16 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4: 8, 9, 10, 12, 16 을 교반, 혼합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11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처방예 5.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2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중 량 부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 5.0
2 시토 스테롤 13.0
3 폴리 글리세릴 2-올레이트 0.2
4 세라마이드 0.1
5 세테아레스-4 5.0
6 콜레스테롤 0.3
7 디세틸포스페이트 미량
8 농글리세린 미량
9 마카데미아 오일 미량
1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량
11 산탄검
12 방부제
13 향료
14 정제수
<제조방법>
제형예 5 :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한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1,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5 : 원료물질 2, 3, 4, 5 및 6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이라 칭힌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원료물질 7, 8 및 14를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하고 이어 원료물질 9를 일정한 온도에서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재차 통과시킨다. 그리고 10, 11, 12, 13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숙성시킨다.
처방예 6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실시한 시료는 실시예 2 의 것을 말한다.
번 호 원 료 제형예 6 비교제형예 6
1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 10.0 -
2 밀납 2.0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2.0
4 유동파라핀 5.0 5.0
5 스쿠알란 5.0 5.0
6 스테아린산 2.0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3.0
8 마카데미아 오일 4.0 4.0
9 글리세린 4.0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11 부틸렌글리콜 3.0 3.0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0.5
14 안료 12.0 12.0
15 방부제 미량 미량
16 향료 미량 미량
17 정제수 잔량 잔량
<제조방법>
제형예 6 :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35℃ 까지 냉각한 뒤 1번을 투입한다.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비교제형예 6 : 9, 10, 11, 12, 13, 14, 15, 17을 혼합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을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45℃ 까지 냉각한 뒤 16번을 투입하고 25℃ 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시험예 1. Silicon replicas 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측정
피부 주름 개선효과에 대한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의 영향을 실험하기 위해 20명의 왼 손등 부위에 하루에 두 번 제형예 2를 적용하였다. 오른 손등 부위는 비교 제형예 2를 적용하였다. 각각 처리하고 난 8주 후 미세한 선과 주름의 측정을 위하여 silicon replicas 를 digital image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비교제형 2 적용 후(도 5) ; 비교 제형 2 적용후에는 피부결 세선의 끊어짐이 있고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돌출과 함몰부분이 있으며, 각질의 뭉침이 심하다.
제형 2 적용 후(도 6) ; 제형 2 적용 후에는 피부결 세선이 선명하고 그물눈 모양이 일정하고 돌출 혹은 함몰부분이 거의 없으며 각질층이 얇고 분포가 아주 균일해졌다.
상기 본 발명의 실험예와 시험예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소거작용, 수렴작용, 세포막 보호작용, 세포 증식작용, 세포 대사 활성촉진을 가짐으로서 피부의 신진대사작용을 원활하게 하여 피부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홍삼 및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0 ~ 100℃ 에서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프로판올, 함수 부틸렌글리콜, 함수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에 1 ~ 30 일간 침적시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홍삼, 오배자 혼합추출물을 그 건조 중량으로서 0.01 ~ 10 % (w/v)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화장수(스킨로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또는 영양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75138A 2002-11-29 2002-11-29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KR20040047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38A KR20040047064A (ko) 2002-11-29 2002-11-29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38A KR20040047064A (ko) 2002-11-29 2002-11-29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064A true KR20040047064A (ko) 2004-06-05

Family

ID=3734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38A KR20040047064A (ko) 2002-11-29 2002-11-29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73B1 (ko) * 2005-06-22 2012-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639A (ko) * 1991-03-27 1992-10-21 한동근 피부화장료
KR20000042616A (ko) * 1998-12-26 2000-07-15 강석창 홍삼을 주재로 한 화장료
JP2001278769A (ja) * 2000-03-29 2001-10-10 Kao Corp 皮膚化粧料
KR20010096669A (ko) * 2001-06-30 2001-11-08 조임래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20020008268A (ko) * 2000-07-20 2002-01-30 성재갑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7639A (ko) * 1991-03-27 1992-10-21 한동근 피부화장료
KR20000042616A (ko) * 1998-12-26 2000-07-15 강석창 홍삼을 주재로 한 화장료
JP2001278769A (ja) * 2000-03-29 2001-10-10 Kao Corp 皮膚化粧料
KR20020008268A (ko) * 2000-07-20 2002-01-30 성재갑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10096669A (ko) * 2001-06-30 2001-11-08 조임래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773B1 (ko) * 2005-06-22 2012-05-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8670943A (zh) 一种保湿、美白、淡斑植物提取物组合物
JP2011505353A (ja) 複方生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002012B1 (ko) 산딸나무, 찔레나무, 비자나무, 파초 및 죽절초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477397B (zh) 一种制备石斛花提取液的方法及其应用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40091858A (ko) 홍삼 및 죽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CN110652475A (zh) 甘松提取物的应用
CN107375154A (zh) 一种祛斑净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99130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93251A (ko)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알부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71384B1 (ko) 쌀 캘러스 및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크서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7753378A (zh) 一种中草药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40047064A (ko) 홍삼, 오배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항스트레스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57210B1 (ko)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34898B1 (ko)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100552307B1 (ko) 항노화 효과가 있는 한약제 추출물이 첨가된 화장료
KR20140114709A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