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415B1 -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415B1
KR101337415B1 KR1020110093994A KR20110093994A KR101337415B1 KR 101337415 B1 KR101337415 B1 KR 101337415B1 KR 1020110093994 A KR1020110093994 A KR 1020110093994A KR 20110093994 A KR20110093994 A KR 20110093994A KR 101337415 B1 KR101337415 B1 KR 101337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ne
atopy
w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491A (ko
Inventor
최양원
최희선
Original Assignee
최희선
최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희선, 최양원 filed Critical 최희선
Priority to KR102011009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4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없이 아토피와 여드름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아토피와 여드름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고삼, 백지, 측백엽, 백선피, 어성초, 마치현, 석창포, 우방자, 자초, 상백피, 금은화 및 월견자를 포함하는 생약재혼합물로부터 추출된다. 또한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5 내지 15 중량부의 고삼, 5 내지 15 중량부의 백지, 5 내지 9 중량부의 측백엽, 5 내지 9 중량부의 백선피, 5 내지 9 중량부의 어성초, 5 내지 9 중량부의 마치현, 6 내지 10 중량부의 석창포, 5 내지 9 중량부의 우방자, 5 내지 9 중량부의 자초, 4 내지 8 중량부의 상백피, 4 내지 8 중량부의 금은화 및 4 내지 8 중량부의 월견자, 특히 10 중량부의 고삼, 10 중량부의 백지, 7 중량부의 측백엽, 7 중량부의 백선피, 7 중량부의 어성초, 7 중량부의 마치현, 8 중량부의 석창포, 7 중량부의 우방자, 7 중량부의 자초, 6 중량부의 상백피, 6 중량부의 금은화 및 6 중량부의 월견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CLUDE DRUG COMPOSITION FOR TREATMENT ATOPY AND ACNE}
본 발명은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삼, 백지, 측백엽, 백선피, 어성초, 마치현, 석창포, 우방자, 자초, 상백피, 금은화 및 월견자를 포함하는 생약재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흔히 태열이라고도 불리는 만성 피부질환의 하나이다. 가려움증이 심하고 면역학적인 특성이 있어 다른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나 금속 알레르기, 천식, 비염 등을 동반하며, 가족적인 경향으로 나타난다.
또한 현재 아토피는 1970년대 이후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병되는 중요 질병 중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미국에서도 1500만 명의 사람들이 아토피를 앓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초중고생의 16.3%가 아토피를 앓고 있을 정도이다.
아토피는 근본적으로 치료가 어려운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의학으로는 알레르기가 원인이라고 하나 그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서 각종 치료제를 개발하고는 있으나 적절한 치료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양 의학적 처방으로는 스테로이드 제재 및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여 주로 연고류 및 내복약 주사제를 사용한다. 스테로이드 제재의 경우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일시적으로 증상의 개선을 엿볼 수 있으나 치료 후에 연고나 약물치료를 끊을 시 나타나는 반동현상으로 인하여 아토피 증상이 더욱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결국 약한 스테로이드 치료로 안 되어 강한 스테로이드를 쓰게 되고 그로 인한 폐해는 매우 심각한 증상을 초래한다. 면역 억제제는 스테로이드를 대신하는 약물로서 그 사용 폭이 넓어지고 있는데 식약청은 아토피피부염 치료제인 몇몇 연고제품에 대해 발암 위험성이 있다며 2세 이하의 아동이나 성인이라도 면역체계가 약화된 사람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밝힌 바 있으며, 사용 범위도 다른 치료제로 효능을 얻지 못한 경우나 아토피에 내성이 있는 경우 2차 처방약으로 제한하였으며, 사용 기한도 단기간 또는 간헐적으로 쓰도록 하였다.
한편, 여드름은 피부의 모낭 피지선에서 일어나는 염증성 질환으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 피부각질 생성, 피지와 세균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며 특히 혐기성 상재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가 주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의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항안드로겐제, <6> 항염제로 사용하는 비스트로이드 소염제, 및 항균효과가 있는 레조시놀, 유황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와 항생효과가 있는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매크로싸이클린 등에 의한 병산간균 등의 활성억제방법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등의 비타민 A 유도체에 의한 치료방법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들은 여드름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어느 정도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드름의 치료는 여드름 간균 또는 화농성 세균에 대한 살균이 문제인데 여드름 간균은 피지의 성분을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시키는 지방분해 효소를 만들어 내는 세균이기 때문에 피부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부작용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지실 3~6 중량부, 백출 4~8 중량부, 숙지황 4~10 중량부, 천궁 4~8 중량부, 자초 5~12 중량부, 황금 4~9 중량부, 편백 6~10 중량부, 인진 8~15 중량부, 감초 4~9 중량부, 작약 4~9 중량부, 유근피 6~9 중량부, 우방자 5~9 중량부, 황련 2~3 중량부, 황백 3~9 중량부, 백선피 6~12 중량부, 어성초 6~15 중량부 및 시호 3~6 중량부의 혼합물을 추출한 것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여 특허등록 제10-0981038호(2010.09.01.)로 등록받은 바 있으나, 이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의 경우 주로 섭취를 통해 약효를 보는 용도로 제조되어 어느 정도의 약효를 보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을 섭취해야 하므로 소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구매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없이 아토피와 여드름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아토피와 여드름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삼, 백지, 측백엽, 백선피, 어성초, 마치현, 석창포, 우방자, 자초, 상백피, 금은화 및 월견자를 포함하는 생약재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5 내지 15 중량부의 고삼, 5 내지 15 중량부의 백지, 5 내지 9 중량부의 측백엽, 5 내지 9 중량부의 백선피, 5 내지 9 중량부의 어성초, 5 내지 9 중량부의 마치현, 6 내지 10 중량부의 석창포, 5 내지 9 중량부의 우방자, 5 내지 9 중량부의 자초, 4 내지 8 중량부의 상백피, 4 내지 8 중량부의 금은화 및 4 내지 8 중량부의 월견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10 중량부의 고삼, 10 중량부의 백지, 7 중량부의 측백엽, 7 중량부의 백선피, 7 중량부의 어성초, 7 중량부의 마치현, 8 중량부의 석창포, 7 중량부의 우방자, 7 중량부의 자초, 6 중량부의 상백피, 6 중량부의 금은화 및 6 중량부의 월견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4 내지 8 중량부의 하수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3 내지 7 중량부의 현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7 내지 11 중량부의 천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6 내지 10 중량부의 감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4 내지 8 중량부의 한련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2 내지 6 중량부의 인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열수추출로 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의하면,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단기간의 사용으로도 아토피 및 여드름의 개선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의하면, 섭취를 통해 약효를 보는 내복재로 사용되지 않고 그 자체 그대로 아토피 및 여드름 부위에 바르거나 아토피 및 여드름 개선용 피부외용제에 첨가되어 아토피 및 여드름 부위에 바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은 양으로도 아토피 및 여드름에 대한 우수한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비용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의하면, 여드름 흉터 등과 같은 각종 흉터자국을 개선함과 동시에 두피에 사용될 경우 발모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아토피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여드름피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기타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발모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부작용없이 아토피와 여드름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삼, 백지, 측백엽, 백선피, 어성초, 마치현, 석창포, 우방자, 자초, 상백피, 금은화 및 월견자를 포함하는 생약재혼합물로부터 추출된다.
여기서, 고삼(苦參)은 맛이 쓰다는 의미의 고(苦)라는 글자와 효능이 삼과 유사하다는 의미의 삼(參)이라는 글자를 합성한 것으로, 뿌리의 생김새 때문에 '도둑놈의 지팡이'라는 식물명을 가진다.
고삼은 마트린(matrin), 옥시마트린, 소프라놀, 아나기린, 소포카르핀, 메틸시티신, 아로마트린, 플라보노이드, 이소안하이드, 로이카린 등을 함유하고 있어 살균, 항균, 항진균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염, 아토피, 여드름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삼은 5 내지 15 중량부, 특히 10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지(白芷)는 산형과의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또는 그 변종의 뿌리를 말려 만든 약재로, 쿠마린계 성분인 백-안겔리신, 옥시포이세다신과, 크시안토톡신, 이소임페라토린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 진정, 진통작용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광과민성작용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아토피, 만성피부병, 여드름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지는 5 내지 15 중량부, 특히 10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백엽(側柏葉)은 측백나무과의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의 어린 가지와 잎을 말하는 것으로, 항균작용을 하는 테르펜류(예 pinene, thujene 등)와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염증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백엽은 5 내지 9 중량부, 특히 7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선피(白鮮皮)는 운향과의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오바쿠논, 디크탐닌, 할로핀, 루틴, 디오스민, 마쿠로시딘, 프락시넬론 등을 함유하여 해열, 진균억제작용이 탁월하여 열로 인한 피부발진, 피부미란, 습진, 풍진,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피부염, 신경성 피부염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백선피는 5 내지 9 중량부, 특히 7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성초(魚腥草)는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하는 것으로,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 쿠에르치트린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배농작용이 탁월하며, 모세혈관의 혈액운반작용을 촉진시켜, 피부염증, 여드름 및 발모촉진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성초는 5 내지 9 중량부, 특히 7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하는 것으로, 보습성이 우수한 폴리사카라이드와 각종 아미노산을 함유되어 있어, 해열작용, 해독작용이 뛰어나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건조를 해소하고, 항염 및 피부진정작용이 우수하여 아토피,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발모촉진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마치현은 5 내지 9 중량부, 특히 7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창포(石菖蒲)는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갈라메놀, 아사론, 팔미틴, 세키숀, 사프롤 등의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부스럼, 습진에 효과적이며 피부진정작용이 뛰어나 아토피, 여드름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석창포는 6 내지 10 중량부, 특히 8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방자(牛蒡子)는 국화과(菊花科: Compositae)에 속한 이년생 초본인 우엉(Arctium lappa Linne)의 성숙한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 아크티제닌, 글리코사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해열작용, 소염작용, 해독작용, 항균작용이 뛰어나 피부가려움증과 피부가 헐어서 생긴 발진 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우방자는 5 내지 9 중량부, 특히 7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초는 지치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지치의 뿌리을 말하는 것으로, 베타카로틴, 나이아신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해열작용, 해독작용, 항염작용, 혈액순환촉진작용 등이 뛰어나 아토피, 여드름 등의 염증완화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초는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백피(桑白皮)는 뽕나무과의 뽕나무(Morus alba L.)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다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어 소염작용, 해열작용, 진정작용이 뛰어나며,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미백 및 피부노화방지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백피는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은화(金銀花)는 인동과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Thunberg)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를 말하는 것으로, 탄닌(tannin), 이노시톨(inositol), 스테롤(sterol), 클로로제닉산(chlorogenic acid), 이소클로로제닉산(iso-chloge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루테오린(luteolin), 아피제닌(apigenin), 쿠에르세틴(quercetin) 등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해열작용이 우수하며, 특히 염증에 좋아 화농성피부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은화는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견자(月見子)는 달맞이꽂의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 리놀렌산(linolenic acid), 감마리놀렌산, 기타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발진, 아토피피부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월견자는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경우에는 하수오(何首烏)가 추가적으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하수오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및 그 덩이뿌리를 말하는 것으로, 안트라퀴논(thraquinone) 유도체로 크리소판산(chrysophanic acid),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에모디레인(emodinrhein), 안트로닌(anthrone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염증치료와 발모 및 모발강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수오는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는 현삼(玄蔘)이 추가적으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현삼은 현삼과의 다년초로 검다라는 의미의 현자와 뿌리가 굵다는 의미의 삼자가 조합된 이름이다. 현삼은 스크로폴라딘과 피토스테롤, 피토스테린, 스테롤, 카로틴 등을 함유하고 있고, 해열작용 및 피부진균 억제작용이 탁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현삼은 3 내지 7 중량부, 특히 5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는 천궁(川芎)이 추가적으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천궁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물 전체에 쿠마린, 만니톨이 함유되어 있고 뿌리에 크니딜리드(cnidilide), 네오크티딜리드, 리쿠스티라이드(ligustilide), 부틸푸탈리드(butylphthalide), 센큐놀리드(senkyunolide), 세다닌산(sedanonic acid), 페루릭산(feru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페루릭산은 피부를 산화작용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염증을 줄이며 콜라겐의 파괴를 막아 피부의 노화현상을 늦추는 작용을 하여, 아토피 및 여드름, 기타 피부질환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궁은 7 내지 11 중량부, 특히 9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는 감초(甘草)가 추가적으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트리테르페노사이드사포닌의 하나인 글리치리진과, 플라보노이드에 해당하는 리쿠이리틴, 리쿠이리티게닌, 이소리쿠이리틴과, 쿠마린화합물인 헤르니아린, 움벨리페론, 유기산, 아스파라긴을 비롯한 여러 가지 아미노산 등을 함유하며, 항염, 항산화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초는 6 내지 10 중량부, 특히 8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는 한련초(旱蓮草)가 추가적으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한련초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올레아난 글리코사이드(oleanane glycosides), 에클랄바사포닌(eclalbasaponin) I-IV, 베타-아미린(beta-amyrin), 아피게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웨델로락톤(wedelolactone), 에클립탈(ecliptal), 콜룸빈(columbin)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작용이 뛰어나고 특히 모발성장촉진 작용 뿐만 아니라 모발이 검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련초는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에는 인삼(人蔘)이 추가적으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인삼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명명되는 총 30여 종의 사포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 재생력을 키워주며 피부트러블을 억제하고 피부 세포를 빠르게 재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삼은 4 내지 8 중량부, 특히 6 중량부의 양으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약재의 중량비 범위는 개선효과와 부작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한정된 것으로, 중량비 범위의 상한값은 다른 생약재들의 함량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었고 중량비 범위의 하한값은 그 이하에서는 아토피 및 여드름의 개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생약재의 중량비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치범위로 한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생약재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부탄올 및 메탄올과 같은 극성용매 및 에테르,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실온에서 침적 추출되거나 가온 추출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열수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시에 생약재혼합물과 추출용매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생약재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2배 내지 10배(중량기준)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생약재혼합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5배(중량기준)를 사용할 수 있다. 추출시간 및 추출온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75 내지 100℃에서 첨가되는 추출용매(물)의 양을 고려하여 6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아토피환부나 여드름 부위에 직접 외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섭취를 통한 내복재로 사용될 경우 아토피환부나 여드름 부위에 효과가 미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을 섭취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지만, 피부외용제로 사용될 경우에는 적은 양의 도포로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직접 아토피 환부나 여드름 부위에 직접 외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습성분이 다량 함유된 통상의 피부외용제에 추가적으로 첨가되어 외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70 내지 99 중량부의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피부외용제에 1 내지 3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삼 10g, 백지 10g, 측백엽 7g, 백선피 7g, 어성초 7g, 마치현 7g, 석창포 8g, 우방자 7g, 자초 7g, 상백피 6g, 금은화 6g 및 월견자 6g을 혼합한 생약재혼합물 88g에 물 440g(5배의 중량)을 넣어 90℃에서 8시간 동안 달여 농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아토피 환자들로 하여금 1일 3회씩 2주간 환부에 외용시킨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성별 연령 병력 증상부위/정도 외용기간 결과
59세 30년 온몸/상 2주 피부반점이 없어지고
완치에 가깝게 호전됨
28세 21년 다리/중 2주 거의 완치됨
3세 3년 가슴/중 2주 완치됨
16세 7년 배/중 2주 완치됨
5세 5년 얼굴/중 2주 완치됨
본 시험대상인 아토피 환자는 시험 전 대부분 붉은 반점, 미란, 태선화, 살틈, 가려움증을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이 심한 환자들이었으며 성별, 연령, 아토피 병력 및 증상부위 등이 다양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환부에 2주간 외용한 후 아토피 증상이 완화되거나 완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에 상기 표의 아토피 환자 중에서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인 59세 남자의 시험 전,후의 사진을 도시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생약조성물을 여드름 환자들로 하여금 1일 3회씩 2주간 환부에 외용시킨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성별 연령 병력 증상부위/정도 외용기간 결과
18세 4년 얼굴/상 2주 여드름자국이 상당히 없어짐
39세 10년 얼굴/상 2주 상당히 호전됨
20세 5년 얼굴,등/중 2주 상당히 호전됨
16세 3년 얼굴,등/중 2주 상당히 호전됨
20세 5년 얼굴/중 2주 상당히 완치됨
본 시험대상인 여드름 환자는 여드름 증상이 얼굴과 등, 목에 여드름 증상이 상당히 심한 환자들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환부에 2주간 외용한 후 여드름 증상이 상당히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에는 상기 표의 여드름 환자 중에서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인 18세 남자의 시험 전,후의 사진을 도시하였고 도 3에는 상기 표의 여드름 환자 중에서 가장 심한 증상을 보인 39세 남자의 시험 전,후의 사진을 도시하였다.
고삼 10g, 백지 10g, 측백엽 7g, 백선피 7g, 어성초 7g, 마치현 7g, 석창포 8g, 우방자 7g, 자초 7g, 상백피 6g, 금은화 6g, 월견자 6g, 하수오 6g, 현삼 5g, 천궁 9g, 감초 8g, 한련초 6g 및 인삼 4g을 혼합한 생약재혼합물 126g에 물 630g(5배의 중량)을 넣어 90℃에서 10시간 동안 달여 농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아토피 환자들로 하여금 1일 3회씩 2주간 환부에 외용시킨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성별 연령 병력 증상부위/정도 외용기간 결과
43세 10년 배/ 상 2주 거의 완치됨
18세 11년 등/중 2주 완치됨
7세 7년 얼굴/상 2주 완치됨
22세 4년 팔/중 2주 완치됨
4세 4년 온몸/중 2주 완치됨
본 시험대상인 아토피 환자는 시험 전 대부분 붉은 반점, 미란, 태선화, 살틈, 가려움증을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이 심한 환자들이었으며 성별, 연령, 아토피 병력 및 증상부위 등이 다양하였으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환부에 2주간 외용한 후 아토피 증상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보다 더욱 완화되거나 완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여드름 환자들로 하여금 1일 3회씩 2주간 환부에 외용시킨 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성별 연령 병력 증상부위/정도 외용기간 결과
18세 4년 얼굴/상 2주 여드름자국이 상당히 없어짐
39세 10년 얼굴/상 2주 상당히 호전됨
20세 5년 얼굴,등/중 2주 상당히 호전됨
16세 3년 얼굴,등/중 2주 상당히 호전됨
20세 5년 얼굴/중 2주 상당히 완치됨
본 시험대상인 여드름 환자는 여드름 증상이 얼굴과 등, 목에 여드름 증상이 상당히 심한 환자들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환부에 2주간 외용한 후 여드름 증상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보다 더욱 호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부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미백, 흉터개선, 모공축소 등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모 및 양모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10)

  1. 고삼, 백지, 측백엽, 백선피, 어성초, 마치현, 석창포, 우방자, 자초, 상백피, 금은화 및 월견자를 포함하는 생약재혼합물로부터 추출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5 내지 15 중량부의 고삼, 5 내지 15 중량부의 백지, 5 내지 9 중량부의 측백엽, 5 내지 9 중량부의 백선피, 5 내지 9 중량부의 어성초, 5 내지 9 중량부의 마치현, 6 내지 10 중량부의 석창포, 5 내지 9 중량부의 우방자, 5 내지 9 중량부의 자초, 4 내지 8 중량부의 상백피, 4 내지 8 중량부의 금은화 및 4 내지 8 중량부의 월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10 중량부의 고삼, 10 중량부의 백지, 7 중량부의 측백엽, 7 중량부의 백선피, 7 중량부의 어성초, 7 중량부의 마치현, 8 중량부의 석창포, 7 중량부의 우방자, 7 중량부의 자초, 6 중량부의 상백피, 6 중량부의 금은화 및 6 중량부의 월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혼합물은 4 내지 8 중량부의 하수오, 3 내지 7 중량부의 현삼, 7 내지 11 중량부의 천궁, 6 내지 10 중량부의 감초, 4 내지 8 중량부의 한련초 및 2 내지 6 중량부의 인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혼합물의 추출은 열수추출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93994A 2011-09-19 2011-09-19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337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994A KR101337415B1 (ko) 2011-09-19 2011-09-19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994A KR101337415B1 (ko) 2011-09-19 2011-09-19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491A KR20130030491A (ko) 2013-03-27
KR101337415B1 true KR101337415B1 (ko) 2013-12-06

Family

ID=4818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994A KR101337415B1 (ko) 2011-09-19 2011-09-19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4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660B1 (ko) * 2013-05-07 2013-10-02 (주)엔제이와이생명과학 항아토피 크림
KR101538743B1 (ko) * 2013-10-04 2015-07-2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목향 및 측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4914B1 (ko) * 2014-02-28 2014-11-25 김인숙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3961606A (zh) * 2014-05-07 2014-08-06 苏玉琴 一种去除青春痘的祛痘中药配方
FR3034314B1 (fr) 2015-03-30 2019-10-04 Sederma Traitement cosmetique topique de la peau et du cuir chevelu et ingredient actif correspondant a base d'un extrait d'apium graveolens
KR101716426B1 (ko) * 2015-04-02 2017-03-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우엉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96315B1 (ko) * 2016-03-18 2019-07-04 (주)셀아이콘랩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려움증 완화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6601B1 (ko) * 2016-04-22 2016-11-15 양형열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용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7717B1 (ko) * 2017-12-05 2019-06-1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크리소파놀, 망기페린 및 시코노퓨란 a를 포함하는 여드름 완화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32625A1 (ko) * 2017-12-28 2019-07-04 엔앤씨 메디메틱 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5621B1 (ko) * 2018-11-15 2024-03-11 (주)아모레퍼시픽 아피게닌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WO2022010024A1 (ko) * 2020-07-07 2022-01-13 바이오코스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0086B1 (ko) * 2020-07-07 2023-01-19 코스사이언스주식회사 천연 복합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760A (ko) * 1997-12-24 1999-07-15 성재갑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KR20050083465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뉴트렉스테크놀러지 자초 추출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760A (ko) * 1997-12-24 1999-07-15 성재갑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팩조성물
KR20050083465A (ko) * 2004-02-23 2005-08-26 주식회사 뉴트렉스테크놀러지 자초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491A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415B1 (ko)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US6027728A (en) Herbal skin regeneration composition and method
KR101239879B1 (ko)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3751725A (zh) 一种抗炎杀菌去痘美白的药物
CN108888678A (zh) 一种含乳酸杆菌、鱼腥草及白柳树皮提取物的祛痘精华液
CN105641158A (zh) 一种治疗皮肤病配方
KR102067832B1 (ko)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Baldi et al. Synergistic use of bioactive agents for the management of different skin conditions: an overview of biological activities.
PD et al. Natural remedies for heart diseases
HU203668B (en) Cosmetic containing medicinal plants and process for producing composition against psoriasis
KR20150033797A (ko)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7303305A (zh) 一种护理凝胶
Khan et al. Nutritional importance and pharmacological activity of Mangifera indica
KR102025859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771344A (zh) 激素脸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KB et al. Review on Aloe vera
Deka et al. Mechanism of action of wound healing activity of Calendula officinalis: a comprehensive review
KR20080071781A (ko)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43542A (zh) 一种祛除皮肤红血丝的中药护理组合物
WO2017051950A1 (ko) 아토피 피부질환 개선용 한방비누 제조 방법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CN107536937B (zh) 一种治疗皮肤病和灰指甲的外用中药药液及其制备方法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8417A (ko) 살모사 뱀독 액상 혼합물의 아토피 화장품 및 연고의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5031254A (zh) 一种治疗皮炎的膏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