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1781A -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1781A
KR20080071781A KR1020070010080A KR20070010080A KR20080071781A KR 20080071781 A KR20080071781 A KR 20080071781A KR 1020070010080 A KR1020070010080 A KR 1020070010080A KR 20070010080 A KR20070010080 A KR 20070010080A KR 20080071781 A KR20080071781 A KR 2008007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oot
roots
hot water
at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근
Original Assignee
산청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청군 filed Critical 산청군
Priority to KR102007001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1781A/ko
Publication of KR2008007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성분을 사용함은 물론, 제조의 전(全) 과정 중에 일체의 화학적 처리과정을 배제함으로서 부작용 없이 누구나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용매 내에 식물로부터 얻어진 생약 추출물을 함유시켜 제조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로서, 상기 식물은, 소리쟁이 뿌리, 유근피, 지황, 당귀, 자소를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를 제공하며,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으로서, (a) 유근피,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 전초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유근피로부터 유근피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 각각으로부터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d) 물에 상기 추출액 들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는 부작용에 대한 걱정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안정적인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Atopic disease remedy using natural-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유근피 14 : 소리쟁이 뿌리
16 : 지황 18 : 당귀
20 : 자소 22 : 요소
24 : 글리세린 26 : 라벤더정유
S1 : 온수추출 S1' : 열수추출
S2,S2' : 여과 S3 : 혼합
본 발명은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성분을 사용함과 동시에 제조의 전(全) 과정 중에 일체의 화학적 처리과정을 배제함으로서 부작용 없이 누구나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병률(有病率, prevalence rate)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그 위험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아토피(atopy)는 과민증(過敏症, hypersensitivity)의 일종으로, 면역학적 관점에서는 '면역글로불린 E(immunoglobulin E)와 알레르겐(allergin)의 면역반응에 의한 주요증상을 동반하는 유전경향이 강한 알레르기성 질환군'으로 정의된다. 다시 말해, 아토피란 아토피 소인을 가진 개인의 신체가 특정항원에 노출될 때 나타나는 즉각적인 생리반응을 총칭하는바, 면역글로불린 E의 과잉생산과 세포매개성 면역기능의 저하 등을 원인으로, 피부, 호흡기 점막, 안점막, 장잠막 등의 신체 각 부분에서 알레르기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의 증상을 수반한다.
그러나 아토피는 그 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발병원인과 증상이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것은 물론, 완화와 재발을 반복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완치가 불가능한 난치성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토피의 대표적 증상인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전(全) 인구의 0.5%-1%, 어린이의 5-10%가 심각한 증상을 호소하고 있지만, 유전적인 요인과 면역계 결핍에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될 뿐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바 없고, 환경 및 식생활 개선을 통해 다소 완화되는 것으로 기대될 뿐 근본적인 치료방법이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토피 피부염은, 개인차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극심한 가려움증을 비롯한 피부건조증, 발진, 진물, 부스럼딱지,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인비늘) 등을 수반하며, 이로 인한 정서적 불안, 스트레스, 긴장, 좌절, 분노의 감정과 함께 기타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 금속 알레르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빈번한바, 오늘날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현재까지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 약물로는 스테로이드제(steroid).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 항생제(antibiotic), 비스트로이드제를 비롯한 기타 진정제와 신경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중 스테로이드제는 소염 및 면역억제에 대한 효과가 뛰어난 반면,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피부의 탄력이 사라지고 얇아져서 실핏줄이 드러나는 등 흉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호르몬에 의한 전신증상, 부신기능의 저하, 면역력의 저하가 나타나며, 약을 중지하면 증상이 폭발적으로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항히스타민제는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이 유리되지 못하도록 하여 가려운 증상을 경감시키는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 불면, 불안, 식욕감퇴 등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또한 항생제는 아토피 피부염의 근본적인 치료 약물이라기 보다는 긁음 등으로 발생되는 2차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장기간 사 용할 경우에 내성이 증가하고 위장 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간 손상이나 위막성 대장염, 골수기능로 인한 재생 불량성 빈혈 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의 비스트로이드제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완화를 위한 보습제에 불과하고, 진정제나 신경안정제 역시 근본적인 치료의 목적보다는 증상완화를 위한 보조제에 지나지 않는다.
더욱이 이들 기존의 아토피 치료제는 개인의 체질에 따라 효과가 상이하고, 특히 성분 및 제조과정 중에 인공적인 화학조성물의 첨가 및 사용을 전제로 하는바, 약리성분과는 별도로 아토피 환자에게 심각한 알레르겐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때문에 그 안전성을 신뢰하기 어렵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89716호의 피부건조증 치료제는 스피로옥사티올란 퀴누클리딘 유도체 또는 그 산부가염을 유효성분으로 하지만, 해당 유도체의 합성을 위해서 3-하이드록시-3-메르캅토메틸 퀴누클리딘을 카보닐 화합물과의 반응 및 단리(單離) 등의 화학적 처리방법을 동원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7-0032871호에서는 부신피질 스테로이드를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한 후 다당류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 용해시킨 피부염의 치료외용제를 소개하고 있지만, 이의 수용액 내에는 염화칼슘, 염화칼륨 등의 화학성분이 첨가되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80495호에서는 하이드로키논 유도체가 함유된 항 산화작용을 보유하는 항 알레르기재를 소개하고 있지만, 이 역시 인공적 화학 조성물인 하이드로킨 유도체의 사용을 전제로 한다.
이와 비교해서, 부작용에 대한 위험을 덜고자 식물 등의 천연성분을 주원료 로 하는 아토피 치료제가 소개되기도 하였지만, 이들 역시 인공적인 화학조성물의 첨가 또는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72673호에서는 향나무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외용치료제 조성물을 소개하고 있지만, 향나무잎 추출물에 디엘-캄파, 페놀, 살리실산 등의 인공적인 화학적 조성물을 혼합하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21155호에서는 매실효소액을 일반적인 화장품 원료에 혼합함에 따라 제품 내에 Dipotassium glycrrhizate, Na-hyaluronate, Acetate 등의 화학 조성물이 함유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8270호에서는 복분자 엑스를 이용해서 아토피성 피부 염증 및 자극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만, 복분자 엑스의 추출과정에서 에틸초산을 가하는 화학적인 추출방법을 동원하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2631호에서는 대추, 송이버섯, 두릅, 인삼, 녹차, 목초액, 달맞이유, 알로에, 두충 등의 천연재료를 사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지만, 이 역시 알콜 및 M-P, Tween 20, NP-12, 글리세린, 1.3-B.B, DC-193, 하이루론산, 알란토인(C4H6N4O3), 구연산 및 구연산소다 등의 화학 조성물이 첨가된다. 아울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25975호에서는 신이화추출물을 함유한 피부면역조절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신이화의 추출용매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탄소수 1~4의 저급알코올을 사용하며, 1,3 부틸렌클리콜,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알콜, 모노스테아린산글리콜, 수산화칼륨 등을 첨가하고, 그밖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8764호에서는 작두콩을 이용한 알러지 및 염증 치료 용 조성물을 제공하지만, 알콜 등의 유기용제 추출방법을 사용하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4-0065498호에 소개된 알러지성피부염 및 피부가려움 완화효과를 갖는 천연조성물의 경우 화피, 자완, 백선피, 부평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유기용매로 추출함에 따라 화학 조성물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화학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자칫 심각한 알레르겐으로 작용될 위험이 크며, 그 안정성을 신뢰하기 어려운 단점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은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된 천연성분을 사용함과 동시에 제조의 전(全) 과정 중에 일체의 화학적 처리과정을 배제함에 따라 부작용 없이 누구나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이를 통해 아토피 증상의 완화 및 치유를 가능케 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용매 내에 식물로부터 얻어진 생약 추출물을 함유시켜 제조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로서, 상기 식물은, 소리쟁이 뿌리, 유근피, 지황, 당귀, 자소를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생약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온수 및 열수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온수 및 열수추출액은, 상기 유근피의 온수추출액, 상기 소리쟁이 뿌리의 열수추출액, 상기 지황의 열수추출액, 상기 당귀의 열수추출액, 상기 자소 전초의 열수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매는 라벤더정유, 글리세린, 요소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으로서, (a) 유근피,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 전초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유근피로부터 유근피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 각각으로부터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d) 물에 상기 추출액 들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40~50℃의 온수에 25~35 중량%의 상기 유근피를 20~28 시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90~100℃의 열수에 25~35 중량%의 상기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를 각각 3~5 시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근피를 상기 온수에 침지시키기 전, 1~3m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소리쟁이뿌리, 지황, 당귀뿌리, 자소 전초를 각각 상기 열수에 침지시키기 전, 1~3m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물에 글리세린, 라벤더정유,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d) 단계는, 상기 물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유근피 추출액 1~10%, 상기 소리쟁이 뿌리 추출액 0.1~10%, 상기 지황 추출액 0.1~0.5%, 상기 당귀 추출액 0.1~0.5%, 상기 자소 추출액 0.1~0.5%을 각각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물의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물에 글리세린 0.2~0.4%, 라벤더정유 0.1~1%, 요소 2.5~5%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이하, 간략하게 아토피 치료제라 한다.)의 제조방법을 간단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살펴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는 제조의 전(全) 과정 중에 화학 조성물의 사용 및 첨가를 일절 배제하고, 약용식물(12,14,16,18,20)로부터 얻어진 천연의 약리성분을 사용함에 따라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안정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를 위한 약용식물(12,14,16,18,20)로는 유근피(12), 소리쟁이 뿌리(14), 지황(16), 당귀(18), 자소(20) 등이 사용된다.
이들 각각의 일반적인 특징과 효능을 살펴보면, 먼저 유근피(楡根皮 : 12)는 느릅나무(학명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Rehder) Nakai)의 뿌리껍질로서, 느릅나무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만큼 전국의 산속이나 계곡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낙엽큰키나무이며, 그 뿌리인 유근피는 상처의 고름을 빨아내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매우 강해 각종 궤양은 물론 위암, 자궁암, 직장암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소리쟁이(학명: Rumex crispus L)는 한의학에서 양제(羊蹄)라 하지만, 흔히 소리장이, 야대황, 양제대황, 우이대황, 소로지, 솔구지, 참송구지, 홍근대황, 긴잎소루쟁이, 소루쟁이 등으로 불리는 마디풀과(Polygon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원산지는 유럽이지만 우리나라 전국의 풀밭이나 길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약용 및 식용 식물이며, 그 뿌리(14)는 항균 및 염증치료의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종기나 부스럼을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지황(학명 :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 16)은 달리 황강, 구산약 등으로 불리는 현삼과(ScrophulariaceaeO)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보통 그 뿌리만을 지황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고, 보혈과 표피피질의 합성을 촉진시켜주는 약용식물로 유명하다. 이하에서 지황(16)은 그 뿌리만을 지칭한다. 또한 당귀(18)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참당귀(학명 : Angelica gigas Nakai) 뿌리로서, 원산지는 우리나라이며 중국, 일본 등지에서도 널리 찾아볼 수 있는 약용 및 식용식물인바, 그 뿌리에는 방향성 정유와 설탕, 비타민 E 등이 풍부해서 보혈작용을 기본으로, 만성화농증의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식물로 많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자소(20)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차조기(학명 : Perilla sikokiana Britton)의 생약명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면서 우리나라 야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년생 초본에 해당되고, 독특한 향이 있어 식용으로도 널리 이용되며, 혈액순환을 돕고 흥분, 발한, 진해, 진정, 진통, 이뇨제의 효능과 항알르지, 항염증의 특징이 있어 약용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이때 자소(20)는 본 발명에서 잎, 줄기, 꽃, 뿌리를 갖춘 온포기 전체, 다시 말해 전초로 사용된 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는 이들 약용식물(12,14,16,18,20)로부터 각각의 약리성분을 추출해서 일정량에 물에 적절히 혼합한 형태를 나타내는바, 약용식물(12,14,16,18,20) 각각으로부터 약리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온수 및 열수추출 방법만이 동원되어 일체의 화학적 처리공정을 배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는 유근피(12)의 온수추출에 의한 유근피 추출액과, 소리쟁이 뿌리(14)의 열수추출에 의한 소리쟁이 뿌리 추출액과, 지황(16)의 열수추출에 의한 지황 추출액과, 당귀(18)의 열수추출에 의한 당귀 추출액과, 자소(20)의 열수추출에 의한 자소 추출액을 각각 일정량의 물에 적절히 혼합한 형태를 나타내며,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 약용식물의 천연 추출액과 함께 적절량의 요소(urea : 22)와 글리세린(glycerin : 24) 및 라벤더정유(lavender oil : 26) 등이 보조제로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요소는 가려움을 억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글리세린은 보습의 역할을 하며, 라벤더정유는 혼합물의 살균 및 향기를 위해 사용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약용식물로서, 유근피(12), 소리쟁이 뿌리(14), 지황(16), 당귀(18), 자소(전초로 사용된다. 이하 동일하다.)(20)를 준비한다. 이때 각각의 약용식물은 후술하는 온수 및 열수추출 단계에서 그 약리성분이 보다 원활하게 추출되도록 적절한 크기로 절단될 수 있고, 일례로 유근피(12)는 1~3mm의 길이로, 나머지 소리쟁이 뿌리(14), 지황(16), 당귀(18), 자소(20)는 1~3mm 정도로 얇게 절단될 수 있다.
이어서, 온수에 유근피(12)를 일정시간 침지시켜 약리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해서 유근피 추출액을 얻는다.(S1,S2)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1~3mm 정도로 절단된 유근피(12)를 40~50℃의 온수에 담궈 그 온도를 유지시킨 상태로 20~28 시간이 경과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 중에 필요한 유근피(12)의 양은 온수의 25~35 중량%, 다시 말해 물 1L에 25~35g 정도가 알맞으며, 해당시간이 경과된 후 여과를 통해 잔류물을 제거하면 점성이 큰 점액질의 유근피 추출액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소리쟁이뿌리(14), 지황(16), 당귀(18), 자소(20)를 각각 열수에 담근 상태로 일정시간 가열함으로써 약리성분을 추출한 후 여과해서 각각의 열수추출액을 얻는다.(S1',S2')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1~3mm 정도로 절단된 소리쟁이 뿌리(14), 지황(16), 당귀(18), 자소(20)를 각각 90~100℃의 끊는 물인 열수에 담궈 3~5 시간 달이는데, 이 과정 중에 필요한 소리쟁이 뿌리(14), 지황(16), 당귀(18), 자소(20)의 양은 각각 열수의 25~35 중량%, 다시 말해 물 1L에 25~35g 정도가 알맞으며, 해당 시간이 경과된 후 여과를 통해 잔류물을 제거하면 각각의 열수 추출액, 다시 말해 소리쟁이 뿌리 추출액과, 지황 추출액과, 당귀 추출액과, 자소 추출액이 얻어진다.
다음으로는,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약용식물의 추출액을 일정량의 물에 적정비율로 혼합한다.(S3)
이때 약용식물 추출액의 혼합량은 바람직하게는, 물 부피를 기준으로 유근피 추출액 1~10 부피%, 소리쟁이 뿌리 추출액 0.1~10 부피%, 지황 추출액 0.1~0.5 부피%, 당귀 추출액 0.1~0.5 부피%, 자소 추출액 0.1~0.5 부피%가 알맞으며,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0.2~0.4 부피%, 라벤더정유 0.1~1 부피%, 요소 2.5~5 부피% 중 하나 이상을 함께 혼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가 완성되는바, 결과물은 실질적으로 물과 같이 점성이 낮은 액체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아토피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상태의 아토피 치료제를 솜이나 거즈 등에 묻혀 환부에 바르거나 스프레이 등을 사용해서 뿌려 도포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표는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약용식물 및 보조제의 종류와 효능 그리고 그 첨가량 등을 정리한 표로서,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갈음한다.
<표>
구분 성분 형태 효능 첨가량(부피 %)
용매 - 유효성분 혼합용 100
약용식물 유근피 온수추출액 새살촉진효과 1~10
소리쟁이 뿌리 열수추출액 염증치료 0.1~10
지황 열수추출액 표피피질의 합성촉진 0.1~0.5
당귀 열수추출액 표피피질의 합성촉진 0.1~0.5
자소 열수추출액 항알러지, 항염증 0.1~0.5
보조제 요소 - 가려움 억제 2.5~5
글리세린 - 보습 0.2~0.4
라벤더정유 - 살균 및 향기 0.1~1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는 제조의 전(全) 과정 중에 일체의 인공적 화학조성물의 사용 및 첨가를 배제하였는바, 부작용에 대한 걱정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식물성 약리성분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치료제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성분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 끈적이지 않고 피부 흡수가 빨라 사용이 간편하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약용식물을 이용하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및 판매가 가능한 효과를 함께 나타낸다.

Claims (10)

  1. 물을 포함하는 용매 내에 식물로부터 얻어진 생약 추출물을 함유시켜 제조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로서,
    상기 식물은, 소리쟁이 뿌리, 유근피, 지황, 당귀, 자소를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약 추출물은, 상기 식물의 온수 및 열수추출액인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및 열수추출액은, 상기 유근피의 온수추출액, 상기 소리쟁이 뿌리의 열수추출액, 상기 지황의 열수추출액, 상기 당귀의 열수추출액, 상기 자소 전초의 열수추출액인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라벤더정유, 글리세린, 요소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5. 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으로서,
    (a) 유근피,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 전초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유근피로부터 유근피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c) 상기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 각각으로부터 추출액을 얻는 단계와;
    (d) 물에 상기 추출액 들을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40~50℃의 온수에 25~35 중량%의 상기 유근피를 20~28 시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90~100℃의 열수에 25~35 중량%의 상기 소리쟁이 뿌리, 지황, 당귀, 자소를 각각 3~5 시간 침지시킨 후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유근피를 상기 온수에 침지시키기 전, 1~3m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소리쟁이뿌리, 지황, 당귀뿌리, 자소 전초를 각각 상기 열수에 침지시키기 전, 1~3mm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물에 글리세린, 라벤더정유,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물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유근피 추출액 1~10%, 상기 소리쟁이 뿌리 추출액 0.1~10%, 상기 지황 추출액 0.1~0.5%, 상기 당귀 추출액 0.1~0.5%, 상기 자소 추출액 0.1~0.5%을 각각 혼합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물의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물에 글리세린 0.2~0.4%, 라벤더정유 0.1~1%, 요소 2.5~5%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제조방법.
KR1020070010080A 2007-01-31 2007-01-31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71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80A KR20080071781A (ko) 2007-01-31 2007-01-31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80A KR20080071781A (ko) 2007-01-31 2007-01-31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781A true KR20080071781A (ko) 2008-08-05

Family

ID=3988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080A KR20080071781A (ko) 2007-01-31 2007-01-31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17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O20100369A1 (it) * 2010-12-30 2012-07-01 Enable Innovations Srl Gamma di prodotti per uso oftalmico.
CN104922342A (zh) * 2015-07-15 2015-09-23 龚灿锋 一种治疗鼻炎的中药
KR20190046143A (ko) * 2017-10-25 2019-05-07 이충식 식품 첨가물 및 천연물 기능성 식품
KR20190046144A (ko) * 2017-10-25 2019-05-07 이충식 식품 첨가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O20100369A1 (it) * 2010-12-30 2012-07-01 Enable Innovations Srl Gamma di prodotti per uso oftalmico.
WO2012090170A1 (en) * 2010-12-30 2012-07-05 Enable Innovations S.P.A. Products for ophtalmic use
CN104922342A (zh) * 2015-07-15 2015-09-23 龚灿锋 一种治疗鼻炎的中药
KR20190046143A (ko) * 2017-10-25 2019-05-07 이충식 식품 첨가물 및 천연물 기능성 식품
KR20190046144A (ko) * 2017-10-25 2019-05-07 이충식 식품 첨가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415B1 (ko) 아토피 및 여드름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CN108392445B (zh) 一种草本止痒露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03393801A (zh) 具有祛痤疮功效的中药复方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080071781A (ko) 천연성분의 아토피 치료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72182A (zh) 一种具有皮肤修复功效的中药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102067832B1 (ko)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2819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5859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0315B1 (ko) 피톤치트 아토피 습진 완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7453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화상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82820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의제조방법
KR20140118322A (ko)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7514A (ko) 천년초 추출물 또는 백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유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
KR20160019636A (ko) 여성 질 분비물 완화 및 성적쾌감증진용 조성물
KR20160118417A (ko) 살모사 뱀독 액상 혼합물의 아토피 화장품 및 연고의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1888444A (zh) 用于内瘘穿刺后修复的活血通络组合物及制备方法及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