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754B1 -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754B1
KR101211754B1 KR1020120083141A KR20120083141A KR101211754B1 KR 101211754 B1 KR101211754 B1 KR 101211754B1 KR 1020120083141 A KR1020120083141 A KR 1020120083141A KR 20120083141 A KR20120083141 A KR 20120083141A KR 101211754 B1 KR101211754 B1 KR 10121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acne
water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김관철
Original Assignee
이노스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스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스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전성이 우수하고 여드름의 치료 또는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으로 이루어진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스트레스에 의한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Including an Natural Extract for Improvement of Stress Acne }
본 발명은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레스에 의한 피지생성 억제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주로 사춘기의 청소년들에게 발생하는 심상성좌창(尋常性挫創)을 일컫는데, 치유가 된 후에도 상처를 남기기 때문에 외모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들에게 정신적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병변을 일으키는 악순환을 유발하므로 발생한 즉시 조치를 취하여 회복시켜야 한다. 여드름의 발병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유전적, 환경적 요인을 배제하면 다음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피부세포 내의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 DHT)으로 전환되어 피지분비세포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피지가 과잉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모낭 벽이 과각화(過角化)하여 모공이 폐쇄되는 경우에 생성된 피지가 피부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모낭 내에 피지가 정체되어 미세면포를 형성하는데, 이 미세면포의 형성이 여드름발병의 초기단계이다.
셋째, 모낭 내 상주하는 혐기성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가 모낭 내에 정체된 피지에 의해 생장이 촉진되어 여드름 병변을 악화시키는 경우이다. 피지선 내에 여드름균이 증식됨에 따라 피지를 구성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가 자유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전환되어 자극원으로 작용하거나, 면포 유발성 물질로 작용하여 여드름 생성을 촉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염증 반응까지 수반하게 된다.
현재까지 여드름을 치료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피지 과분비 억제를 위해 비정상적인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제어하는 항안드로겐제 등의 여성호르몬의 사용,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제 및 항생제의 사용, 항염증 작용을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5α-리덕타아제 억제제를 이용하여 피지 과분비를 억제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사춘기에 남성 호르몬으로 인한 피지분비량 증가로 호발(好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여드름이 성인에서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성인기에 증가하는 여드름의 원인으로는 과도한 화장, 불규칙한 생활 습관, 환경오염 등의 여러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데,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여드름 악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이를 증명하는 연구 결과가 계속 보고되고 있다(Arch dermatol, 2003).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피부질환의 악화는 여드름 뿐만 아니라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 여러 피부질환에서도 발견되며, 심리적 스트레스로 자극을 받으면 신체는 호르몬 분비 및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가 나타난다. 코르티코트로핀 방출호르몬(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CRH)과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의 생성이 증가하고, 신경전달물질인 물질 P(Substance P), 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calcitonin gene related protein/CGRP) 등이 스트레스에 의해서 그 분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피부에도 영향을 미쳐 염증반응 및 색초 침착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06; 126:1697-1704).
이들 중에서 물질 P(substance P)는 타키키닌류(tachykinin family)에 속하는 신경전달 펩타이드로서 통증전달에 관여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물질 P는 혈류량 증가, 혈관확장, 비만세포의 과립화 등을 유도하며, 특히 피부의 각질형성세포 등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Neuropeptide. 2006;40:251-263) 여드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드름 병변 부위에는 물질 P를 포함하고 있는 신경이 비병변 부위보다 증가되어 있으며(Exp Dermatol. 2002 Jun;11(3):241-7), 물질P(substance P)에 의해서 피지선세포에서의 피지생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ed Electron Microsc.2001; 34(1):29-40).
따라서 물질 P에 의한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스트레스로 인한 여드름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여성호르몬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여드름 치료 과정 중에 부작용으로서 피부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높고, 여성호르몬의 장기 투여 시 그에 따른 부작용 발생 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있어 사용이 자제되고 있다. 또한 여드름 균에 대한 전형적인 항균제로서는 레조르시놀, 황, 벤조일퍼옥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또는 메크로사이클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러한 항균제의 사용으로 어느 정도의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지만, 접촉성 피부염의 발생, 내성균의 출현 및 광 과민 작용에 의한 부작용 가능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여드름 치료를 위해 모공의 과각질 형성을 억제하거나, 이를 제거하여 분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들은 치료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피부 발적(發赤), 부종, 접촉성 피부염, 홍반, 피부 건조 및 박리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종래 사용되던 호르몬제 또는 화합물 제제들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물 제제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부작용이 적고,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보조성분으로 난용성 성분이 이용성 성분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분해성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는 이에 관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질 유래의 항균, 항진균 및 항염 효과를 갖는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의 혼합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괴화의 생약재로부터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스트레스에 의하여 생성되는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여 부작용이 적고 피부 자극이 없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기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5 ~ 3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용매 10~5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기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이 30~50℃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침적시켜 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수렴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샴푸, 린스, 팩 등의 기초 화장료;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 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등 메이크업 제품, 헤어팩, 헤어에센스 등 헤어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은 항염증효과를 가지며,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가져 스트레스시 발생하는 피지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여 여드름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가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구성 물질 중에서 황금(黃芩)은 꿀풀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플라보노이드, 우고닌(Wogonin), 바이칼린(Baical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며, 약리 효과로는 심장 및 폐의 열을 내리게 하거나 기침 및 피를 멈추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피부에는 항알레르기,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갖고 있고 유해 산소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알려져 있다.
감초(甘草)는 모든 약의 독을 풀어 중화 및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한방 처방에서는 필수불가결한 묘약이다. 또한 부신피질(附腎皮質) 호르몬처럼 조정작용도 있어 급박한 증상을 푸는 것으로 근육의 긴장으로 인한 동통이나 신경의 긴장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이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에도 효과가 크다. 탈콜레스테롤 작용이 있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유독물질을 해독하는 작용을 하므로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연교(連翹)는 물푸레나무과 식물인 개나리의 과실을 말하며, 의성개나리의 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며 성질은 약간 차다. 과실이 처음 익었을 때 또는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며, 열매 껍질의 추출물이나 분해물은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꽃에는 색소 배당체인 크웨르세틴, 글루코사이드, 루틴, 아스코르빈산이 함유돼 있어 항산화, 항균, 항염, 엘라스틴분해효소 억제 등 여성의 미용에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
승마(升麻)는 끼멸가리라고도 부르고, 근경에 cimicifugine, 살리실산, 탄닌, 수지, 카페인산, 페루라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 근경을 승마라 하여 봄, 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건조하여 불에 그을리거나 죽염을 그을려서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썰어 햇볕에 말린 후 발한, 해열, 해독, 두통, 급성 전염병, 탈항, 구창, 부녀붕대(婦女崩帶), 자궁탈출(子宮脫出), 장기의 탈수(脫垂) 등에 달이거나 알약을 만들어 약재로 사용한다. 황새승마 근경은 shengmanol xyloside, cimicifugoside, 이소페루라산, 페루라산, 카페인산, 살리실산, cimicigogine, 탄닌 및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다.
백지(白芷)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er)의 뿌리로서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며, 거풍제습, 통규지통, 소종배농의 효능이 있고,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이 연이어 나오는 증상을 다스린다. 양명위경(陽明胃經)에 작용하므로 위장 장애로 인한 미능골통(眉稜骨痛) 및 치통을 치료하며,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의 치료율이 높다. 풍한습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사지마비 및 안질환, 부인의 대하에도 유효하며, 소염, 배농 작용이 있어 창양, 종독, 피부궤양에 활용한다.
작약(芍藥)은 단백질, 당질, 지질 등과 함께 나이아신, 비타민 A, B군, K, Ca, Fe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부족으로 인한 도한을 완화하는 수렴작용을 한다. Paeonifolrin의 혈관 운동능력 강화작용이 신나믹 알데하이드의 혈관확장 작용에 힘입어 말초혈관과 소화관 점막에 분포된 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소화관 운동능력을 항진시켜 소화, 흡수를 촉진한다. Paeoniflorin이 중추신경 흥분을 억제해 진정, 진경, 진통을 하며 위산분비억제 작용이 있다.
괴화(槐花)는 루틴 등 플라보노이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 생장단계의 괴화는 모두 루틴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 중 괴미(槐米)가 23.5%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고 꽃이 핀 후에는 13%로 감소한다. 괴미 중의 루틴 등 플라보노이드 및 사포닌은 가수분해 후에 베튜린, 소포라디올, 스테로이드류의 물질 및 탄닌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괴화를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에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하고, 건조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괴화를 분쇄하여 사용한다. 이들 분쇄물을 추출 용기에 넣은 다음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용매를 넣고 침적(沈積)시킨 후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추출하며,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은 여과되고 농축된다.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괴화를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및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상기 약초로부터 유기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에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또는 괴화는 용매에 대해 10~50중량부가 되게 하고,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부가 되게 하며, 이때 10중량부 미만의 경우는 과량의 용매를 사용하게 되어 경제성 및 농축의 어려움이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또는 괴화는 용매에 충분히 함침되기 어려워 추출이 잘되지 않는다.
상기 침적온도는 30 내지 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인데, 이 온도범위에서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며, 30℃ 미만에서는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50℃ 이상에서 변색 및 변취의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침적시간은 3일 내지 7일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일인데, 3일 미만에서는 원하는 성분의 추출이 미흡하며, 7일이 넘게 되면 추출 성분의 변화가 없고 추출물이 변색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한 추출여액을 300mesh 여과포로 고형분을 제거하고, 0.5~0.1㎛ 필터로써 여과하여 상층액을 감압 농축하여 75% 에탄올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에탄올추출물에 다시 증류수 및 1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용해한 후에 n-헥산으로 분획하여 탈지하였으며, 이때 얻어진 하층을 부분 감압 농축한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은 생리활성이 우수하여 여드름 예방 및 치료에 활성을 갖는 추출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시료는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을 혼합하여 추출하고, 괴화는 따로 추출하여 시료로 한다.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치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 때 추출물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기대하는 피지 생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고, 30.0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제형화에 어려움이 있고 변색, 변취 등의 화장료로서 갖추어야 할 제형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식품, 섬유,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에 포함될 수 있고, 특히, 화장품, 의약품 등으로 사용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더 구체적으로 피부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렴 화장수, 유연 화장수, 크림, 영양 에센스, 화운데이션, 선크림, 비비크림, 팩, 비누, 샴푸, 클렌징 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중에서 선택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추출물의 제조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은 국내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채취한 상기 약초를 각각 깨끗이 씻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10mesh로 여과하여 사용한다. 건조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을 각각 100g씩 얻은 후에 각각 용매(에탄올 : 정제수 = 75 : 25) 1000㎖에 침지시켜 45℃ 항온조에서 5일간 침출시켰다. 수득한 추출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거름망으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취한 후에 얻어진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시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추출물을 각각 200g씩 수득하였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에 다시 증류수 및 1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용해한 후, n-헥산으로 분획하여 탈지한 다음에 상기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에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을 사용하는 대신에 괴화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괴화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에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을 사용하는 대신에 감초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감초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을 사용하는 대신에 납작파래(Enteromorpha compressa)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하여 납작파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중성지방 측정
100mm 배양접시에 1x106개의 피지선세포(sebocyte)를 시딩(seeding)을 하고 substance P를 10~9M 첨가하여 70%정도의 콘플루언시(confluency)를 보일 때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험약물을 처리한다. 5일 후에 배지를 제거하고 생리식염수(PBS)로 3회 세척한 뒤, PBS를 넣어 스크레퍼로 긁어 세포 수거 후 12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으고 PBS를 제거한다. 지질 추출액의 구성은 0.9% NaCl + 1% triton X 100의 조성으로 만든다. 지질 추출액을 넣고 보텍스(vortex)하여 균질화한 다음 1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만 수거한다. 이후에 킷트 제조사(ASAN co. Seoul, Korea) 방법대로 효소법으로 중성지방을 측정하며, Bradford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여 단위 농도 단백질 당 중성지방 양으로 보정하여 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0.8170 0.8646 1.1986 0.9499 1.0210
* 비교예 2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상기 [표 1]로부터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이 피지생성이 제일 크게 감소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괴화 추출물인 실시예 2, 납작파래 추출물인 비교예 1 순으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감초추출물인 비교예 1,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 감초 추출물인 실시예 3의 순으로 피지생성 감소 효과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를 위한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 실험
피지선세포(sebocyte)에 트리졸을 처리하여 충분히 RNA를 녹여낸 뒤 1.5㎖ 튜브로 옮긴 다음 10% 용적의 1-Bromo-3-Chloropropane을 첨가한 뒤 15초 동안 보텍스하고 실온에 2~3분 동안 둔다. 4℃, 8,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에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긴다. 500㎕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한 후에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다. 4℃, 12,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RNA 펠렛을 얻은 후에 다시 75% 에탄올 1㎖을 첨가하며, 4℃, 9,000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펠렛을 모은다. 펠렛에 적당량의 DEPC 물을 첨가하여 60℃ 항온수조에서 10분 동안 녹인 후에 RNA 농도를 측정하며, 슈퍼스키립트Ⅱ 역트란스크립타제(Invitrogen)와 올리고 dT를 이용하여 3㎍ 총 RNA로 부터 cDNA를 합성하고,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적정조건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하여 아가로스 겔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IL-1B 0.7530 0.5947 0.8563 0.8347 1
IL-8 0.8432 0.8132 1.1676 0.9760 1
* 비교예 2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상기 [표 2]의 항염 실험에서는 괴화 추출물인 실시예 2,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 복합추출물인 실시예 1, 납작파래 추출물인 비교예 1, 감초 추출물인 실시예 3, 무첨가인 비교예 2의 순으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여러 가지 제형으로 하여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조 실시예 1> 수렴화장수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기 능
1,3-부틸렌글리콜 5.0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60) 경화피마자유 0.5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2.0 보습제
향료 0.1 방향제
에탄올 4.0 장벽강화기능제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0.2 피부보호제
EDTA-2Na 0.02 피부컨디셔닝제
알란토인 0.1 피부보호제
정제수 잔부 피부컨디셔닝제
황금 등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 1.5 피지억제제
<제조 실시예 2> 유연화장수
하기 [표 4]의 조성과 같이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기 능
1,3-부틸렌글리콜 7.0 보습제
세토스테아릴알콜 0.1 에몰리엔트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5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
글리세린 5.0 보습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5 에몰리엔트제
해바라기유 8.0 에몰리엔트제
향료 0.1 방향제
황금 등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 2.0 피지억제제
콜레스테롤 0.5 피부보호제
세라마이드 0.2 "
스테아린산 0.8 피부컨디셔닝제
KOH 0.05 중화제
카보머 0.1 점증제
정제수 잔부 피부컨디셔닝제
<제조 실시예 3> 에센스
하기 [표 5]의 조성과 같이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추출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기 능
1, 3-부틸렌글리콜 7.0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0.5 계면활성제
모노스테아릴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
글리세린 15.0 보습제
스쿠알란 3.0 에몰리엔트제
향료 0.1 방향제
황금 등 복합추출물 또는 괴화 추출물 1.5 피지억제제
세라마이드 0.2 피부보호제
베타글루칸 1.0 피부보호제
KOH 0.2 중화제
카보머 0.2 점증제
히아루론산(1.0%) 5.0 피부보호제
정제수 잔부 피부컨디셔닝제

Claims (7)

  1. 황금, 감초, 연교, 승마, 백지, 작약의 혼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5 ~ 30.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용매 10~5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30~50℃에서 3일 내지 7일 동안 침적시켜 침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렴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밀크로션,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연고,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샴푸, 린스, 팩 등의 기초 화장료; 수중유형 또는 유중수형 메이크 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등 메이크업 제품, 헤어팩, 헤어에센스 등 헤어 제품 중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83141A 2012-07-30 2012-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1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41A KR101211754B1 (ko) 2012-07-30 2012-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41A KR101211754B1 (ko) 2012-07-30 2012-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754B1 true KR101211754B1 (ko) 2012-12-12

Family

ID=4790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41A KR101211754B1 (ko) 2012-07-30 2012-07-30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15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고운선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7193B1 (ko) 2018-07-13 2019-11-20 주식회사 대진메디슨 글루타밀아미도에틸인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및 광역학적 치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24B1 (ko) 1998-04-04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KR100845786B1 (ko) * 2008-02-04 2008-07-11 주식회사 뉴젝스 탈모 원인 물질 생성 억제용 괴화 추출물 및 이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24B1 (ko) 1998-04-04 2003-01-24 주식회사 태평양 여드름치료및예방에효과가있는천연물함유화장품
KR100845786B1 (ko) * 2008-02-04 2008-07-11 주식회사 뉴젝스 탈모 원인 물질 생성 억제용 괴화 추출물 및 이의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15A (ko)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고운선형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7193B1 (ko) 2018-07-13 2019-11-20 주식회사 대진메디슨 글루타밀아미도에틸인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및 광역학적 치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45B1 (ko) 자생 식물 및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조성물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CN106137823A (zh) 一种美白祛斑组合物及其应用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CN107937176A (zh) 一种高效抗氧化祛痘手工皂
CN103393801B (zh) 具有祛痤疮功效的中药复方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3006951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05125466A (zh) 一种祛斑晚霜及其制备方法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CN104095783A (zh) 一种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KR101274811B1 (ko) 소엽추출물 및/또는 해금사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CN109303724A (zh) 一种新型含艾叶的舒缓修护原液组合物
KR101133785B1 (ko) 황금을 함유한 탈모 예방 및 양모 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6835B1 (ko) 감자 추출물 또는 감자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0046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03440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44B1 (ko) 호로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KR102371272B1 (ko)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