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272B1 -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272B1
KR102371272B1 KR1020210102877A KR20210102877A KR102371272B1 KR 102371272 B1 KR102371272 B1 KR 102371272B1 KR 1020210102877 A KR1020210102877 A KR 1020210102877A KR 20210102877 A KR20210102877 A KR 20210102877A KR 102371272 B1 KR102371272 B1 KR 10237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yangbuja
perilla oil
improving skin
peri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욱
최희정
이경구
김은경
Original Assignee
진바이오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바이오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바이오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Cyperaceae (Sedge family)
    • A61K36/8905Cyperus (flats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온 압착 추출한 들기름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어성초 추출물 및 부평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trouble comprising of perilla seed oil and cyperi rhizoma extract}
본 발명은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다양한 자극과 유해물질, 미생물 등에 대해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장벽기관으로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신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방어에도 불구하고 여러 위해 요인에 대하여 비특이적 또는 특이적인 면역반응을 유발한다. 피부면역계를 구성하는 세포에는 조혈모세포 유래인 각종 수지상 세포, 림프구, 호산구, 호중구, 비만세포 뿐 아니라 피부 장벽과 조직을 지지하는 각질형성세포, 섬유아세포 그리고 혈관내피세포, 신경세포 등이 있다. 이 세포들은 사이토카인이나 케모카인, 신경 펩티드 등을 이용하여 각 종 세포 간에 체계적이고도 활발한 상호작용을 일으켜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피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트러블은 여러 피부 자극원인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꽃가루, 음식물, 특정 화학물질 등에 의하여 피부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극원에 대한 피부세포 및 면역세포의 면역과민 반응 인자의 생성, 이로 인한 면역세포의 과민 반응으로 인하여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등의 급성,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 유발되고 결절, 낭종, 화농 구순포진, 두드러기 등의 피부에 다양한 형태의 트러블이 발생하며, 때로는 가려움과 통증 등을 수반하게 된다.
피부에서 염증은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아토피성 피부질환, 여드름성 피부질환, 광 민감성 피부질환, 민감성 피부질환의 생리학적 기전은 염증반응의 과정을 거치며, 다양한 염증 현상에 의해 hyaluronidase, elastase, collagenase 등의 진피층을 파괴하는 효소들의 발현이 증가하여 피부의 노화 및 주름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는 대식세포(macrophage)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반응 시에는 nitric oxide (NO)와 cytokine을 생산하여 감염초기에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독소로 잘 알려진 lipopolysaccharide (LPS)는 그람-음성균의 세포외막에 존재하며, macrophage 또는 단핵구(monocyte)에서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6 (IL-6), interleukin-1β (IL-1β)와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들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염증매개 물질의 형성은 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arachidonic acid가 prostaglandin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형성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체내 염증과정에서는 과량의 NO 및 prostaglandin E2 (PGE2) 등의 염증인자가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및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 형성된다. 이 중 NO는 체내 방어기능, 신호전달기능, 신경독성, 혈관확장 등의 다양한 생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세균을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과잉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현상으로 가려움, 통증, 부종, 열 등의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환경적 스트레스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중 과도한 자외선과 산소는 피부세포에 자유라디칼(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시켜 염증 및 조직 손상, 면역억제, DNA 및 결합조직의 손실 등을 초래하며 collagen의 분해 촉진, 주름의 형성 등 피부질환 및 피부노화를 촉진시킨다.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산소는 체내의 항산화 방어체계의 균형을 깨뜨려 세포내 구조와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키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때 생성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세포의 노화, 유전적변형,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드름은 과도한 피지생성으로 인한 모공막힘이나 피지선에서의 염증반응으로 나타나는 만성 염증 질환으로, 세계적으로 흔한 질병이다. 여드름은 스트레스, 유전, 호르몬의 불균형, 스트레스, 세균감염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 약물남용으로 인해 다양한 연령층에서 여드름이 나타난다.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그람 양성의 혐기성 세균으로 여드름의 염증반응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P. acnes는 대식세포에서 IL-1β와 IL-8, TNF-α를 포함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도록 유도하여 여드름을 유발하는데 이는 NF-κB가 활성화되어 핵으로 이동하여 IL-1β, IL-6, COX-2, iNOS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외부 공기가 안으로 쉽게 들어가지 못하고, 마스크 내에는 고온 다습한 피부 환경이 형성된다. 그로 인해 초래된 높은 온도는 피지 분비량을 증가시키고, 높아진 습도 역시 세균증식에 유리한 환경을 형성해 모낭염 및 여드름을 유발하게 되다. 또한 문제는 오염된 대기, 개인의 땀, 침 등 분비물로 인해 더러워진 마스크를 반복해 사용하면서 구진 및 농포 등 피부 병변의 발생 및 악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마스크를 장기적으로 착용하게 되면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접촉피부염도 유발한다. 접촉피부염은 크게 자극성 접촉피부염과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나눌 수 있다. 자극성 접촉피부염의 경우, 알칼리나 산과 같은 강한 자극이 아닌 낮은 정도의 자극도 장기간 반복 접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피부가 습기 등에 노출되어 젖어있는 상태에서 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비누, 세제, 용매, 먼지, 화장품, 귀금속, 염색약 등이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초래되는 습윤한 환경에 더해 온종일 마스크를 벗지 못하고 착용하므로 발생하는 반복적인 접촉은 접촉피부염이 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은 어떤 물질이 피부에 닿은 후 수일 이내 가려움, 발진, 반점 등 피부증상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이 역시 습하거나 더운 환경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원인 물질로는 니켈, 크롬 등과 같은 금속, 화장품에 포함된 방부제나 향료, 합성수지, 고무 등이 있다. 마스크는 코와 턱, 뺨 등 얼굴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의 합성섬유, 고무줄, 코 받침 등에 포함된 금속성분은 피부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게 되고, 일반적인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과 달리 수 시간의 접촉만으로도 쉽게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은 알레르기 물질에 민감한 사람에게 주로 습진과 같은 증상을 일으키게 되고, 피부염을 일으킨 물질에 한번 민감해진 이후에는 증상이 재발할 경우가 많아 증상이 일시 호전된 이후에도 반복적인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병변이 다시 발생하고, 지속적인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산업화의 심화에 따라 환경의 오염과 변화로 인해 아토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알레르기 관련 질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알레르기는 인체 면역반응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체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온 어떤 물질에 대해 면역체계가 지나치게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두드러기, 비염, 천식 등의 과민반응 현상이 나타난다. 비만세포는 다양한 알레르기성 질환을 유발하는 체내 세포로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효력 세포이며 전형적으로는 알레르겐 특이 IgE 항체와의 교차연결에 의해 활성화된다. 하지만, IgE 면역반응이 아닌 비특이적인 자극에 의해서도 활성화될 수 있다(Adv. Immunol., 2008, 98, p85-120).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다양한 염증 매개 물질을 생성 및 분비한다. 비만세포에서 만들어진 다기능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들은 다른 염증세포들을 모집하고 활성화시켜 염증을 증폭시킨다. TNF-α는 과립 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염증 초기에 분비되기도 한다.
두드러기는 임상에서 흔히 관찰되는 일종의 과민성 피부질환으로 증가된 피부혈관의 투과성으로 인하여 피부 또는 점막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부종에 의해 발생하며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면서 갑작스럽게 표면이 편평한 융기를 갖는 팽진을 말한다. 두드러기는 임상적으로 급성 두드러기와 만성두드러기로 나뉘는데, 보통 6주 또는 8주 이상 된 경우에 만성두드러기라고 하며, 급성은 수일 혹은 수 주 이내에 완쾌되고 흔히 음식물, 약물등과 같은 단순한 인자가 그 원인이 되어 원인물질도 쉽게 발견되나 만성은 수개월 혹은 수년간 반복되고 여러가지 인자가 관여하여 원인의 규명도 치료에도 저항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두드러기의 발생기전은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크게 면역학적 기전, 비 면역학적기전 및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나눌 수 있다. 면역학적 기전에 의한 두드러기는 IgE 매개성 두드러기와 보체매개성 두드러기가 있으며 비면역학적 기전에는 substance P, neuropeptide, morphine, codeine, 방사선조영제 등이 직접적으로 비반세포나 호염기구를 자극하여 매개물질을 분비한다. 비반세포나 호염기구의 탈과립으로 매개물질이 분비되어 홍반과 팽진, 가려움증을 일으킨다. 주 매개물질은 히스타민이고, arachidonic acid 대사물, PGD2, 류코트리엔 C, D,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헤파린, 키닌, 혈소판 활성화 인자, 신경매개물 등이 있다. 유전성 혈관 부종은 보체계가 관여하고 C3a, C4a, C5a는 아나필라톡신으로 비반세포 세포막 표면에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히스타민 유리를 촉발하게 된다.
모기는 피를 빨기 전에 피가 굳는 것을 막기 위해 타액을 주입하는데, 타액은 단백질성 항응고 성분(히루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항응고 성분이 인체의 항체인 면역글로불린 G, 면역글로불린 E와 결합하여 항체반응을 일으켜 가려움을 유발한다. IgG(감마 면역글로불린)은 보체(Complement)인 C1q을 유도하는데 보체가 연쇄적으로 활성화해 C3a, C4a, C5a가 주체가 되어 염증성 백혈구와 비만세포를 유리시켜 유도한다. 비만세포는 IgE와 결합하여 항체-항원 면역복합체를 형성하면서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과 류코트리엔 B4가 방출된다. 히스타민은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체액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염증이 유발되고 혈압이 낮아진다. 류코트리엔 B4는 염증성 백혈구를 유도하는데 염증성 백혈구는 호염기구가 주라 혈관 밖에서 침적되어 단백질 분해효소 등을 분비하여 염증을 만성화시킨다. 두드러기도 이와 비슷한 기전이다. 즉, 가렵다고 해서 계속 긁으면 히스타민 성분이 계속 나와서 더 가려워진다.
구순포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생기는 질환으로, 입술에 많이 발생하며, 입술포진이라고도 한다. 보통 입술 한쪽에 물집이 생기며, 우리나라 인구의 20∼40%가 재발성 구순포진을 경험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한번 감염되면 평생 사람의 몸속에 존재하여, 평소에는 잠복 상태로 존재하여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자극을 받아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면 증상이 재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입 주위에 수포를 동반한 물집이 생기면서 가려움증과 따가운 증상을 유발한다.
인체의 피부는 체온 유지와 장벽의 역할로써, 외부 환경의 자외선, 병원성 미생물, 독성 물질 등 유해한 요소로부터 보호한다. 만일 피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심각한 병원체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염증, 과립화, 재상피화, 혈관신생 및 조직 리모델링과 같은 매우 복잡한 다단계 과정을 포함하는 급성 상처 치유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염증 단계에서는 면역 세포는 손상된 조직 및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상처 부위에 모이게 되며, 병원체가 소거되면 상처 치유를 위해 염증 반응이 소강된다. 만일 병원체가 소거되더라도 염증반응이 유지되면 상처치유가 지연된다. 증식 단계에서는 섬유아세포가 상처 병변으로 이동되어 증식이 일어나고, 새로운 세포외 기질(ECM)을 분비함으로써 육아조직 형성을 유도하게 된다. 재상피화 과정에서 상처의 가장자리에서 나온 각질세포도 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증식하여 새로운 피부 조직을 형성한다. 그다음으로 혈관신생은 새롭게 형성된 조직에 새로운 혈액 공급을 확립하는 중추적인 과정이다. 조직 리모델링의 과정으로, 더 많은 인장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콜라겐 번들이 증가되고 더 조직화된다. 또한, 섬유아세포를 근섬유아세포로 전환시키는 것은 상처 수축을 촉진한다. 마지막으로, 과도한 ECM 제거에 의해 상처 치유 과정이 완료된다.
아토피 피부염(AD, Atopic Dermatitis)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습진의 증상이 생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약 20% 어린이와 3% 성인이 고통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발병율은 상승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꽃가루 등과 같은 특정 물질, 음식물, 인공적 화합물질 등에 의하여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혈청의 IgE 및 알레르겐-특이적 IgE 레벨의 차이로 외인성과 내인성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T세포, 대식세포 등의 신체 내 특정 면역세포들이 활성화하여 TNF-α를 비롯한 여러 사이토카인 및 가려움의 중재자인 히스타민의 분비를 유도한다. 이러한 가려움증이나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요법들로는 국소 및 전신 약제로 스테로이드, 항히스타민제, 면역억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졸림, 면역력 저하, 국소 투여의 피부 불안전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불안전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며 자극 완화 효과가 있는 새로운 물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들기름(Perilla seed oil)은 약 35~45%의 오일을 함유, 지방산이 풍부하다. 다가 불포화 지방산, 특히 알파리놀렌산(α-linolenic acid, 54~64%)의 좋은 공급원으로 식용유 생산에 사용되며 또한 다른 폴리페놀 또는 플라본(로즈마린산, 루테올린, 케르세틴, 카테킨 등)을 함유하고 있다. 들기름은 주로 인도와 동아시아에서 소비되며 요리와 전통의학에 사용된다. 다른 식용유보다 건강에 좋고 심혈관계 질환, 암, 염증성 관절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같은 다양한 질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그리고 페놀성 화합물, 피토스테롤 (주로 β- 시토스테롤) 및 토코페롤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의 좋은 공급원이다. 들기름에 존재하는 페놀 화합물은 자유 라디칼을 감소 및 중화시키고, 과산화물을 분해하는 항산화 특성이 보고 되어있다.
사초과(Cyp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향부자(Cyperus rotundus L., CR)는 아프리카, 남부 및 중부 유럽, 남부 및 동부 아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향부자의 뿌리는 무월경, 불규칙한 월경 및 골반 통증과 같은 다양한 부인과 질환과 스트레스성 위장질환이나 만성 장염 또는 담낭염 증의 증상에 활용되고 있다. 시페론(cyperone), 시페롤(cyperol), 시페렌(cyperene), 파출리논(patchoulenone), 시페로턴돈(cyperotundone)인 정유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방산과 페놀성 물질을 함유한다.
사우루라세(Saururaceae)에 속하며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인 어성초(Houttuynia cordata, HC)는 일본, 한국, 중국 및 동북인도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추출물은 암, 당뇨, 비만, 폐 섬유증, 피부 질환 및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코로나 및 뎅기열바이러스 등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대한 향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도 보고 되고 있으며 최근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관련 질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성분 중 아프젤린(afzelin), 하이퍼사이드(hyperoside) 및 쿼시트린(quercitrin)은 체외 및 생체내 모델에서 강력한 항염증 및 항산화 특성이 보고 되어 있다.
개구리밥과(Lemnaceae)에 속한 다년생 수생식물인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L.) Schleid)과 청평(Lemna minor L.),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 Hegelm)의 전초를 건조한 부평초(Spirodelae Herba, SP)는 6월~9월 사이에 채취 및 건조하여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한약소재로 그 성분으로는 캄페스테롤(campesterol), 시토스테롤(β-sitosterol), 시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등의 스테롤과 apigenin-7-O-β-D-glucoside, cynaroside, hypolaetin-8-O-β-D-glucoside, vitexin, orientin 등의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및 타닌 등이 보고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부종, 수종, 갈증, 강장, 발한, 해독, 충독, 수독, 양모, 당뇨병, 창종, 화상 등 피부와 관련된 질환의 사용되었으며 지방세포합성을 억제하는 효능, 면역과 아토피관련 효능, 항암,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들기름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조절을 통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목적의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상기 추출물의 혼합물은 피부 세포의 염증원인 항산화 소거, 피부세포에서 면역세포 자극원의 분비억제, 과잉면역 반응의 대식세포 및 비만세포 활성화 억제 그리고 상처부위 과잉면역 반응 소거와 함께 피부세포 재생의 활성화에 관련된 인자들의 발현조절에 관한 선행 연구 보고가 없었다. 이에 대해 연계된 면역 조절 억제 결과로 모기 물린데 나타나는 부어오름 현상과 가려움이 완화되고, 통증을 동반한 여드름의 완화, 마스크에 의한 피부 발진 완화, 가려움 또는 통증을 동반한 두드러기, 뾰루지 등의 완화, 그리고 반려동물 발톱 등 일상생활 속에서 겪는 쓰라린 통증을 동반한 상처 회복 및 통증을 동반한 입술 갈라짐의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피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트러블은 여러 피부 자극원인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꽃가루, 음식물, 특정 화합물질 등에 의하여 피부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극원에 대한 피부세포 및 면역세포의 면역과민 반응 인자의 생성, 이로 인한 면역세포의 과민 반응으로 인하여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등의 급성,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 유발되고 결절, 낭종, 화농 구순포진, 두드러기 등의 피부에 다양한 형태의 트러블이 발생하며, 때로는 가려움과 통증 등을 수반하게 되는데 상기 추출물의 혼합물은 이를 완화시키며, 통합적인 피부진정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2052511호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8359호 한국등록특허 제1248404호 한국등록특허 제1533213호 한국등록특허 제14857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들기름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상처치유, 염증 및 면역반응 억제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은 1: 10 내지 10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은 각각 향부자 추출물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트러블은 상처,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여드름, 뾰루지, 종기, 모기물림, 발진, 두드러기, 헤르페스 감염증, 포진 및 입술 갈라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들기름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 트러블에 효과가 있으므로, 상처회복,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등의 급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과 개선을 위한 약학 조성물,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들기름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들기름(P),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PE) 또는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CR)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염증이 유발된 인간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 들기름(P),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PE),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CR)의 염증 관련인자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염증이 유발된 대식세포에서 들기름과 향부자 복합물(P+CR)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PE+CR)의 염증 관련인자 발현과 nitric oxide (NO)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염증 반응시 인간 비만세포에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E+CR)의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간접적으로 탈과립화(degranulation)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PE+CR), 들기름과 향부자 복합물(P+CR)에 의한 상처 치유 및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및 부평초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HS)의 아토피 가려움증에 대한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및 부평초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HS)의 염증 관련인자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염증 반응시 인간 비만세포에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및 부평초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HS)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과 간접적으로 탈과립화(degranulation)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모기 물림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PE+CR, PC)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피부발진 또는 두드러기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트러블 멀티 밤)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헤르페스 감염(구순포진)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상처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여드름 또는 뾰루지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입술 틈 또는 갈라짐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종기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과 향부자 복합물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모기물림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및 부평초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HS)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여드름 또는 뾰루지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및 부평초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HS)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상처에 대한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에탄올 추출물, 어성초 에탄올 추출물 및 부평초 에탄올 추출물 복합물(PCHS) 연고의 임상 사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 또는 "방지"라 함은 질환의 원인으로부터 발생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라 함은 완전히 치유하지 않아도 증상의 진전 및/또는 악화를 억제하여 손상의 진행을 멈추거나, 또는 증상의 일부 혹은 전부를 개선하여 치유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선”은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이고, 추출물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유기용매로 추출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상기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은 1: 10 내지 10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은 각각 향부자 추출물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트러블은 상처,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여드름, 뾰루지, 종기, 모기물림, 발진, 두드러기, 헤르페스 감염증, 포진 및 입술 갈라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트러블 개선에 유용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성분은 화합물, 천연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에 효과가 공지된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산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및 액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제화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 일 0.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약 0.1 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300 mg/kg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일반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g을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솔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인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들기름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저온 압착 방식의 들기름은 저온 보관된 양질의 들깨씨앗의 이물질을 메쉬(mesh)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물에 4시간 동안 침수하여 수세시킨 후에 10 내지 50℃의 냉온풍으로 건조시킨 후 상기 건조된 들깨를 27 내지 37℃ 온도에서 압착기를 이용하여 저온압착 하여 착유하였다(도 1). 그 다음 압력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저온압착 방식을 통해 들기름을 제조하였고, 종래의 제조방법인 들깨 씨앗을 짜서 얻는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알파리놀렌산(ALA, C18:3(n-3))의 함량이 70%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ALA는 중요한 n-3 지방산 공급원으로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C20:5(n-3))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C22:6(n-3))과 같은 n-3시리즈의 장쇄 지방산의 전구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착유된 저온 압착 방식의 들기름 10 ml을 취하여 반응용기에 넣고, 100%(v/v) 에탄올 10 ml을 혼합하여 22℃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교반이 종료된 들기름은 22℃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취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하층액은 버렸다(도 2).
2. 향부자( Cyperi Rhizoma ), 어성초( Houttuynia cordata ) 또는 부평초( Spirodela polyrhiza ) 추출물의 제조
향부자 추출물은 향부자 100 g을 95%(v/v) 에탄올 1 L에 22℃에서 4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잔사를 제거하였다. 어성초 또는 부평초 추출물은 어성초 또는 향부자 100 g을 95%(v/v) 에탄올 1 L에 22℃에서 18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잔사를 제거하였다. 획득한 에탄올 추출물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였으며, 건조 및 동결건조 후에 보관하였다. 실험 전 증류수 또는 DMSO(dimethylsulfonyloxide)에 희석하여 필요한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3. 들기름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의 복합물 제조
들기름(P)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PE)은 향부자 추출물과 각각 1: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들기름(P)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PE) 각각 0.05 내지 0.5 중량%와 향부자 추출물(CR) 10 내지 50 ㎍/ml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4.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부평초 추출물의 복합물 제조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향부자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부평초 추출물의 복합물은 각각 1:10 내지 100:10 내지 100:10 내지 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PE) 0.05 내지 0.5 중량%와 향부자 추출물(CR), 어성초 추출물(H) 및 부평초 추출물(S) 각 10 내지 50 ㎍/ml을 상기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DPPH scavenging activity
ROS소거 활성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방법을 사용하여 수소 공여 또는 라디칼 소거 능력으로 측정되었다. PE(들기름 에탄올 추출물)와 P(들기름)는 각각 0~5% 농도에서 그리고 CR(향부자에탄올 추출물)은 100μ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용액 (0.1 mM) 및 무수 에탄올 (99.9 %)에 혼합되어 실온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반응물을 microplate reader 사용하여 517 nm에서 측정하였고, 억제율을 % 계산하였다.
※ 억제율 % = [(A0-A1) / A0×100], (A0=대조군, A1=각 시료)
그 결과 PE와 P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그리고 CR 100μg/ml 농도를 처리한 결과 DPPH 소거능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6).
2. 인간 피부 각질형성 세포에서 염증 관련인자 발현에 대한 효과
인간 피부 각질 형성세포 HaCaT cell(1.5×105cells/well)에 그람 음성 세균의 내독소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발한 후, 염증관련 인자 발현 여부를 RT-PCR 반응으로 확인하였다. 12well 플레이트의 PE+CR, P+CR, PE, P, CR군에서 각각 PE(0.5 중량%), P(0.5 부피%), CR(50μg) 농도로 1시간 전처리하고 LPS(1μg/ml)을 24시간 반응 후 RNA를 추출하였다. COX-2, iNOS, TNF-α, IL-1β의 각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β-actin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염증 관련인자들의 발현 확인을 위한 PCR 증폭에 사용한 primer 서열은 다음과 같다.
hCOX-2(106bp), Forward: 5’-GTTCCACCCGCAGTACAGAA-3’
Reverse: 5’-AGGGCTTCAGCATAAAGCGT-3’
hiNOS(378bp), Forward: 5’-CCCGAAGTTCTCAAGGCACA-3’
Reverse: 5’-TGCATCCAGCTTGACCAGAG-3’
hTNF-α(252bp), Forward: 5’-GCTGCACTTTGGAGTGATCG-3’
Reverse: 5’-ATGAGGTACAGGCCCTCTGA-3’
IL-1β(153bp), Forward: 5’-CAGAAGTACCTGAGCTCGCC-3’
Reverse: 5’-AGATTCGTAGCTGGATGCCG-3’
β-actin(275bp), Forward: 5’-CAAGAGATGGCCACGGCTGCT-3’
Reverse: 5’-TCCTTCTGCATCCTGTCGGCA-3'
그 결과 LPS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PE, P, CR 단독군보다 PE+CR, P+CR 복합군에서 염증 유발인자인 산화질소 생성에 관여하는 iNOS 및 염증 인자 prostagrandin E2 생성에 관여하는 COX-2의 mRNA 발현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PE+CR, P+CR 각 복합물이 대표적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와 IL-1β의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PE+CR과 P+CR 복합물이 PE, P, CR 단독군보다 LPS가 유도된 HaCaT세포에서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7).
3. 대식세포에서 염증 관련인자 발현과 NO 생성에 대한 효과
Raw264.7(2×105cells/well)세포에 각 PE+CR, P+CR 복합군을 각 PE(0.5 중량%), P(0.5 부피%), CR(50μg)을 1시간 전처리한 후, LPS(0.5μg/ml)를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RNA를 추출하여 IL-6, iNOS, COX-2, IL-1β, TNF-α의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GAPDH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염증 관련인자들의 발현 확인을 위한 PCR 증폭에 사용한 primer 서열은 다음과 같다.
mIL-6(239bp), Forward: 5’-TCTGCAAGAGACTTCCATCCA-3’
Reverse: 5’-GCAAGTGCATCATCGTTGTTC-3’
miNOS(109bp), Forward: 5’-GCCAATGAGGTACTCAGCGT-3’
Reverse: 5’-TGGCCACCAGCTTCTTCAAT-3’
mCOX-2(583bp), Forward: 5’-ACTCACTCAGTTTGTTGAGTCATTC-3’
Reverse: 5’-TTTGATTAGTACTGTAGGGTTAATG-3’
mIL-1β(230bp), Forward: 5’-GCCCATCCTCTGTGACTCAT-3’
Reverse: 5’-AGGCCACAGGTATTTTGTCG-3’
mTNF-α(300bp), Forward: 5’-GGCAGGTCTACTTTGGAGTCATTGC-3’
Reverse: 5’-ACATTCGAGGCTCCAGTGAATTCGG-3’
mGAPDH(223bp), Forward: 5’-AACTTTGGCATTGTGGAAGG3’
Reverse: 5’-ACACATTGGGGGTAGGAACA-3’
PE+CR, P+CR 복합군이 염증 유발을 위한 지질다당류(LPS)에 의해 대식세포(Raw264.7)에서 iNOS 발현 조절에 의한 산화질소 생성과 염증유발 인자 COX-2 발현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IL-1β, IL-6 및 TNF-α)의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 결과 PE+CR 복합군이 P+CR 처리군보다 의미있게 IL-6, iNOS, COX-2, IL-1β, TNF-α의 발현을 더 많이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Griess reagent [2%(w/v) sulfanilamide in 10%(v/v) phosphoric acid와 0.2%(v/v) N-(1-naphtyl)ethylenediamine]를 이용하여 PE+CR, P+CR 복합군이 포함한 LPS 유도된 Raw264.7 세포로부터 생성된 NO양을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Sodium nitrite(NaNO2)로 standard curve를 그려서 실제 nitrite 농도를 결정하였다. Griess reagent를 100μl씩 혼합하여 96well plate에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PE+CR, P+CR 복합군 모두 유의성 있게 NO생성이 억제 되었고 그 중 PE+CR 복합군의 NO생성이 control군 만큼의 수치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PE+CR 복합군이 P+CR군보다 염증 관련인자 발현과 Nitric oxide(NO) 생성 저해에 더욱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8).
4.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탈과립화 억제 효과
Calcium ionophore (CI) A23187은 칼슘 이온 운반체이고 PMA (Phorbol myristate acetate)는 PGE2의 합성을 촉진하여 결과적으로 혈장 칼슘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만세포에 PMA와 A23187로 동시에 자극할 경우, 사이토카인이 대량 생산되어 면역 과민 반응으로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과 히스타민, β-hexosaminidase와 같은 가려움 유발 물질을 방출한다.
HMC-1 (3×105cells/well) 인간 비만세포를 24well plate에 CO2 배양기에서 안정화한 다음, PE+CR 혼합군인 PE(0.1%) 및 CR(10μg) 복합물을 1시간 전처리한 후, PMACI(50nM PMA+1mM A23187)를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RNA를 추출하여 IL-6, TNF-α, COX-2의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β-actin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COX-2의 발현 확인을 위한 PCR 증폭에 사용한 primer 서열은 다음과 같다.
hIL-6(165bp), Forward: 5’-GTCCAGTTGCCTTCTCCCTG-3’
Reverse: 5’-CTGAGATGCCGTCGAGGATG-3’
hTNF-α(252bp), Forward: 5’-GCTGCACTTTGGAGTGATCG-3’
Reverse: 5’-ATGAGGTACAGGCCCTCTGA-3’
hCOX-2(106bp), Forward: 5’-GTTCCACCCGCAGTACAGAA-3’
Reverse: 5’-AGGGCTTCAGCATAAAGCGT-3’
β-actin(275bp), Forward: 5’-CAAGAGATGGCCACGGCTGCT-3’
Reverse: 5’-TCCTTCTGCATCCTGTCGGCA-3’
그 결과 PE+CR 혼합군이 의미있게 IL-6, TNF-α, COX-2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었을 때 PE+CR 복합물 처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억제하는데 효과를 나타내고, 간접적으로 COX-2의 발현억제가 탈과립화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9).
5. 섬유아세포에서 상처 치유 및 관련 유전자에 대한 효과
NIH-3T3 (1 x 106 cells/well)를 24well plate에 단층을 형성하는 세포로 완전히 채운 후, 스크레이퍼로 긁어 상처 틈을 만들었다. 그리고 세포에 PE+CR, P+CR 복합물을 각 PE(0.05%), P(0.05%), CR(50μg)으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세포의 양쪽에서 내피세포의 이동한 상처 부위를 광학 현미경으로 촬영하였다.
상처 치유 과정에서 섬유아세포는 세포외 기질(ECM) 형성을 위해 증식하고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섬유아세포 증식과 콜라겐 침착을 향상시키는 TGF-β1, 상처 치유의 리모델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섬유아세포 특이적 마커 α-SMA, ECM의 주요 단백질인 COL1, 혈관 신생에 관여하는 VEGF들은 중요한 인자들이다.
그 이후 MIH-3T3 세포의 총 RNA를 추출하여 TGFβ, α-SMA, COL1, VEGF의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GAPDH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PCR 증폭에 사용한 primer 서열은 다음과 같다.
mTGFβ(482bp), Forward: 5’-AGGAGACGGAATACAGGGCT-3’
Reverse: 5’-CCACGTAGTAGACGATGGGC-3’
mαSMA(160bp), Forward: 5’-CTGACAGAGGCACCACTGAA-3’
Reverse: 5’-CATCTCCAGAGTCCAGCACA-3’
mCOL1(244bp), Forward: 5’-AAGAGGCGAGAGAGGTTTCC-3’
Reverse: 5’-AGAACCATCAGCACCTTTGG-3’
mVEGF(234,306bp), Forward: 5’-CAGCACATAGGAGAGATGAGC-3’
Reverse: 5’-TCACCGCCTCGGCTTGTCAC-3’
mGAPDH(223bp), Forward: 5’-AACTTTGGCATTGTGGAAG-3’
Reverse: 5’-ACACATTGGGGGTAGGAACA-3’
그 결과 PE+CR, P+CR 혼합군 모두 TGFβ, αSMA, COL1, VEGF의 발현을 유의성있게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PE+CR과 P+CR 복합물은 피부 상처 치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도 10).
6. PC 또는 PCHS의 아토피 가려움증에 대한 효과
HaCaT (1.5×105cells/well)세포에 PC 또는 PCHS 혼합물을 1시간 전처리한 후, TNF-α(10ng/ml)와 IFNγ(10ng/ml)를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RNA를 추출하여 IL-6, IL-8, CCL17의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β-actin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hIL-8, Forward: 5’-CACTGCGCCAACACAGAAAT- 3’
Reverse: 5’-ATGAATTCTCAGCCCTCTTCAA- 3’
hCCL17, Forward: 5’-TCGGACCCCAACAACAAGAG- 3’
Reverse: 5’-GCTCCAGTTCAGACAAGGGG- 3’
그 결과 아토피 유발 사이토카인에 자극된 피부세포는 PC혼합물 그리고 PCHS 혼합물에 의해 가려움등의 피부세포 자극 활성화에 관련된 유전자 IL-6, IL-8, CCL17의 발현의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CHS 혼합물이 PC혼합물을 처리한 군보다 명확하게 IL-6, IL-8, CCL17의 발현을 더 많이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C혼합물 그리고 PCHS 혼합물이 아토피성 가려움 개선 활성에 관여하는 IL-6, IL-8, CCL17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1).
7. PC 또는 PCHS의 염증 관련인자 발현 저해 효과
Raw264.7(2×105cells/well)세포에 각 PC 또는 PCHS 복합군을 1시간 전처리한 후, LPS(0.5μg/ml)를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RNA를 추출하여 IL-6, iNOS, COX-2의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GAPDH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각 프라이머의 서열은 상기 실시예 2. 및 4.와 같다.
PC 또는 PCHS 복합군이 염증 유발을 위한 지질다당류(LPS)에 의해 대식세포(Raw264.7) 활성화 iNOS 발현 조절과 염증유발인자 COX-2 발현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의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PCHS 혼합물이 PC혼합물을 처리한 군보다 명학하게 iNOS, COX-2, IL-6의 발현을 더 많이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12).
8. PC 또는 PCHS의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탈과립화 억제 효과
HMC-1 (3×105cells/well) 인간 비만세포를 24well plate에 CO2 배양기에서 안정화한 다음, PC 또는 PCHS를 1시간 전처리한 후, PMACI(50nM PMA+1mM A23187)를 2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RNA를 추출하여 TNF-α, COX-2의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 방법으로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증폭된 DNA를 전기 영동하여 자외선(UV) 하에서 촬영한 후 그림으로 나타내었으며, 각 유전자의 발현량과 대조 표준인 β-actin의 발현량을 비교 대조하였다. 각 프라이머의 서열은 상기 실시예 4.와 같다.
그 결과 PC 혼합물 그리고 PCHS 혼합물 처리군은 TNF-α, COX-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CHS 혼합군이 PC 혼합물보다 TNF-α, COX-2의 발현을 더 많이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었을 때 PC 혼합물 그리고 PCHS 혼합물처리군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억제하는데 효과를 나타내고, 간접적으로 COX-2의 발현억제가 탈과립화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13).
9. PC 또는 PCHS 연고의 임상사례
PE+CR(PC) 연고를 테스트하였다. 일반적으로, 모기에 물리면 약 2주동안 물린 부위 주위로 넓게 부풀어 있고, 물린 부위가 가려워서 계속 손으로 긁게 되고, 이로 인해 상처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모기에 물린 후, 물린 부위를 포함하여 빨갛게 면역반응이 나타나고 있는 곳을 천연소재 연고 PC를 바르게 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가려움이 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모기에 물린 후, 서서히 부어 오르고 있는 상태에서 연고를 바른 후, 1시간 30분 정도 지났을 때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기 물린 자리에 부어오름이 가라앉고, 가려움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였다(도 14).
마스크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생긴 후, 오랫동안 고생하던 아이에게 멀티밤(PC 연고)을 바른 후 피부 트러블이 감소하였다. 또한, 가려움이 동반한 급작스런 두드러기(알러지) 반응에 트러블 멀티 밤의 효능을 확인한 결과, 앞서 마스크에 의한 그리고 원인 모르는 인자로 인해 발진이나 습진 등 그리고 알러지 반응은 피부에 쓰라리는 통증 또는 가려움을 동반하지만, 연고를 바른 후, 통증 및 가려움증이 먼저 사라지며, 발진도 서서히 줄어들었다. 10시간 후, 발진 부위가 거의 사라졌다(도 15).
피로 등에 의한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의 활성화는 입술 주변에 포진 형태로 나타나 극심한 통증을 수반하게 된다. 트러블 멀티밤(PC 연고)을 포진 주위에 바른 후, 빠르게 통증이 줄어들고 상처부위도 아무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12시간 후, 통증 뿐만 아니라 포진이 거의 사라졌다(도 16).
생활속에서 종이, 반려동물의 발톱 등 여러가지 상황에 의해 작은 상처가 발생한 경우, 상처부위가 쓰라리거나 통증을 동반하고, 때로는 가려움이 생기는데, 트러블 멀티밤(PC 연고)을 바르게 되면, 통증 및 가려움이 감소하고 상처가 회복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7).
오랜시간 동안 여드름으로 인해 해당 부위에 통증이 있어 고민이던 학생에게 트러블 멀티밤(PC 연고)을 바르게 되면, 홍반, 고름 및 피지를 동반한 여드름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종 뾰루지가 발생하는 다리, 턱 또는 볼에 사용한 결과 통증 감소, 고름이 줄어듬 및 두드러지게 부어오른 부위가 줄어드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18).
겨울철 입술이 건조하여 자주 트면서 갈라지고 피도 나는 경우에, 트러블 멀티밤(PC 연고)을 바르게 되면서 입술의 건조함이 줄어들고 갈라진 부위가 아물며 통증도 빠르게 사라지게 되었다. 진정이 되면서 가려움증도 사라지면서 24시간 후에는 오히려 입술이 촉촉함을 느낄 수 있었다(도 19).
심한 통증과 염증을 수반하여 두피에 나타난 종기는 트러블 멀티밤(PC 연고)을 바르게 되면서 일단 통증이 빠르게 사라지고 점차 홍반과 고름을 동반한 종기가 줄어들면서 염증이 진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0).
일반적으로, 모기에 물리면 약 2주동안 물린 부위 주위로 넓게 부풀어 있고, 물린 부위가 가려워서 계속 손으로 긁게 되고, 이로 인해 상처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모기에 물린 후, 물린 부위를 포함하여 빨갛게 면역반응이 나타나고 있는 곳을 천연소재 연고 PCHS를 바르게 되면 얼마 지나지 않아 가려움이 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시험자는 모기에 물린 후, 서서히 부어 오르고 있는 상태에서 연고를 바른 후, 50분 정도 지났을 때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기 물린 자리에 부어오름이 가라앉고, 가려움이 느끼지 못하는 상태가 되었다. 11시간 후에는 완전히 부어오름이 사라진 상태이고, 가려움증을 없애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골르 발랐다(도 21).
여드름 또는 뾰루지에 대하여 PCHS 연고를 바른 후 2일 내지 2.5일에 상태가 완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22).

Claims (10)

  1.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은 1: 10 내지 10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은 각각 향부자 추출물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트러블은 상처,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여드름, 뾰루지, 종기, 모기물림, 발진, 두드러기, 헤르페스 감염증, 포진 및 입술 갈라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처, 건선, 아토피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여드름, 뾰루지, 종기, 모기물림, 발진, 두드러기, 헤르페스 감염증, 포진 및 입술 갈라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약학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약학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들기름(perilla seed oil) 또는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및 향부자(Cyperi Rhizoma) 추출물은 1: 1 내지 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약학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및 부평초(Spirodela polyrhiza) 추출물은 각각 향부자 추출물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약학 조성물
  10. 삭제
KR1020210102877A 2021-08-05 2021-08-05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237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877A KR102371272B1 (ko) 2021-08-05 2021-08-05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877A KR102371272B1 (ko) 2021-08-05 2021-08-05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1272B1 true KR102371272B1 (ko) 2022-03-07

Family

ID=8081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877A KR102371272B1 (ko) 2021-08-05 2021-08-05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937B1 (ko) 2022-03-29 2023-03-30 (주)콩두에프앤씨 들기름 버터 크림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생산되는 들기름 버터 크림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923A (ja) * 2000-07-12 2002-01-29 Maruzen Pharmaceut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皮膚化粧料
KR100424529B1 (ko) * 1998-11-30 2004-03-27 닛폰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090615A (ko) * 2010-02-04 2011-08-10 참살이 모악골 영농조합법인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248404B1 (ko) 2012-10-29 2013-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네모네 리불라리스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62112A (ko) * 2011-12-02 2013-06-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30077361A (ko) * 2011-12-29 2013-07-09 김태권 피부질환개선용 약초조성물 추출방법
KR101485705B1 (ko) 2013-10-21 2015-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향부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3213B1 (ko) 2015-03-18 2015-07-10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아네모네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3258A (ko) * 2014-12-16 2016-06-2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원광바이오시스템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70053407A (ko) * 2015-11-06 2017-05-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들깨유 유래 α-리놀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68359A (ko) 2016-12-13 2018-06-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생들기름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52511B1 (ko) 2019-03-12 2019-12-05 임수복 들기름의 자외선 차단효과와 항산화 효능 및 피부의 보습과 미백과 주름 및 기미와 주근깨 예방이 가능한 들기름뷰티오일 및 식물성 오메가-3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과 들기름뷰티오일 및 식물성 오메가-3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529B1 (ko) * 1998-11-30 2004-03-27 닛폰 유시 가부시키가이샤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2029923A (ja) * 2000-07-12 2002-01-29 Maruzen Pharmaceut Co Ltd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皮膚化粧料
KR20110090615A (ko) * 2010-02-04 2011-08-10 참살이 모악골 영농조합법인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30062112A (ko) * 2011-12-02 2013-06-12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피부외용 조성물
KR20130077361A (ko) * 2011-12-29 2013-07-09 김태권 피부질환개선용 약초조성물 추출방법
KR101248404B1 (ko) 2012-10-29 2013-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네모네 리불라리스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화합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5705B1 (ko) 2013-10-21 2015-01-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향부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세스퀴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73258A (ko) * 2014-12-16 2016-06-24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원광바이오시스템 천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건강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533213B1 (ko) 2015-03-18 2015-07-10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아네모네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3407A (ko) * 2015-11-06 2017-05-1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들깨유 유래 α-리놀렌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68359A (ko) 2016-12-13 2018-06-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생들기름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52511B1 (ko) 2019-03-12 2019-12-05 임수복 들기름의 자외선 차단효과와 항산화 효능 및 피부의 보습과 미백과 주름 및 기미와 주근깨 예방이 가능한 들기름뷰티오일 및 식물성 오메가-3가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과 들기름뷰티오일 및 식물성 오메가-3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937B1 (ko) 2022-03-29 2023-03-30 (주)콩두에프앤씨 들기름 버터 크림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생산되는 들기름 버터 크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FR2938439A1 (fr) Extrait de parties aeriennes d&#39;avoine recoltees avant epiaison
KR102098388B1 (ko) 피부 항상성 유지 및 항염성 천연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509413A (ja) カポックの木の花抽出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容、医薬又は皮膚科用組成物
KR102033088B1 (ko) 식물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산화, 피지분비억제 및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6588A (ko)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3792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371272B1 (ko) 들기름 추출물 및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20190036388A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1754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9843A (ko)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및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KR10181681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미백 및 항염용 조성물
KR20090085844A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200114189A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대자호를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586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