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588A -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588A
KR20150086588A KR1020140006416A KR20140006416A KR20150086588A KR 20150086588 A KR20150086588 A KR 20150086588A KR 1020140006416 A KR1020140006416 A KR 1020140006416A KR 20140006416 A KR20140006416 A KR 20140006416A KR 20150086588 A KR20150086588 A KR 2015008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allergic
cosmetic composition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872B1 (ko
Inventor
장문식
정욱순
송지은
강재원
이하연
김수야
손재학
윤유진
주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라비앤에이치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라비앤에이치,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내추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라비앤에이치
Priority to KR102014000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872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분동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효능이 동시에 뛰어난 추출 방법 및 그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초음파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동량으로 배합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Nitrite 합성 저해능 시험, β-hexosaminidase 방출 시험 및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 억제능 시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과가 동시에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inflammatory, anti-allergic and antioxidant effects containing Ge-8 extract mixture}
본 발명은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라 함은 피부를 청정, 보호, 미화시키기 위해 피부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그 효과가 경미한 것으로 정의되는 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파운데이션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중 방부제, 계면활성제, 색소, 자외선 흡수제 및 여타 성분들은 피부상에 오히려 피부세포를 자극한다든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든지 하여 결국 피부에 염증을 유발시킴으로써 피부부작용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된 피지성분, 땀성분 및 화장품성분중의 지방산, 고급알코올, 단백질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상재균들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에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므로 피부염증을 막아준다는 것은 화장품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인데, 이러한 목적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알란토인, 비사보롤 등이 있으며, 의약품에 사용되는 물질에는 인도메타신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알란토인은 물이나 오일등에 용해도가 나빠서 (실온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는 0.5중량부 이하, 오일에는 불용성) 제품에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비사보롤은 항염효과는 우수하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인도메타신은 의약품이기 때문에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화장품에 있어서는 상기한 항염증 효과 이외에 항산화 효과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데, 여기서 항산화 효과라 함은 화장품에 유연제로 사용되는 유지, 오일들이 공기중 또는 물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 및 자외선으로부터 유발된 활성라디칼 등에 의해 산화되고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의 화장품들은 유통기간이 2∼3년정도 되기 때문에 화장품에서 장기 산화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면 제품이 유통과정 중 산폐에 의해 쉽게 변질될 수 있다. 화장품에서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대표적 물질로는 디부틸히드록시아니졸(이하 BHA라 칭한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이하 BHT라 칭한다.)을 비롯하여 아스코르빈산(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토코페롤(비타민E) 및 그 유도체 등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BHA 및 BHT는 항산화 효과는 우수하지만 피부부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타민 C와 비타민 E는 그 자체의 안정성이 나빠서 직접 사용하기 어려우며, 이들의 안정성을 개선시킨 비타민 C 유도체, 비타민 E 유도체들은 항산화 효과가 거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알러지(allergy)란, 이물질에 대한 특이하고 변형된 반응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현상이다. 이는 면역 불균형에 의한 민반응의 일종으로 알러젠(allergen)이라는 특정한 항원에 대하여 나타나는 반응으로, 그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IgE급 항체가 비만세포(mast cell)나 호염구(basophile)에 결합되어 유도되는 반응이다. 알러젠에 특이적인 IgE 항체가 많이 만들어지면 이들 항체는 비만세포나 호염구 표면에 있는 Fc수용체와 결합하게 되며, 여기에 알러젠이 결합하게 되면 이들 세포가 활성화되어 여러 가지의 생리활성 물질(사이토카인, 프로스타글란딘, 루코트리엔, 히스타민, 브래디키닌, 트립테이즈 등)이 분비되어, 혈관확장, 혈관의 침투성의 증가, 평활근 수축, 염증반응 등과 같은 변화가 유도된다. 이러한 반응은 이들 세포가 만들어내는 매개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국소적으로 또는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질환으로는 알레르기성 아토피, 전신 알레르기,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음식 알레르기, 피부 알레르기 등이 있다.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히스타민은 히스티딘이 L-히스티딘 디카복시레이즈에 의해 디카복실레이션되어 형성되며, 비만세포나 호염구에 과립형태로 저장된다. 알러젠이 비만세포나 호염구에 결합하여 알레르기 반응이 시작되면 세포가 탈과립되어 히스타민이 분비되며, 이때 β-hexosaminidase도 함께 분비된다. 이런 효소적 활성은 비만세포 탈과립의 척도로 사용될 수 있어 실험에 사용할 수 있었다. 알레르기 질환은 1979년 10만명 당 0.9명이였으나 1998년 1.4명으로 약 55.6%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질환 완화 및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기존에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와 항히스타민제 또는 항류코트리엔제로 나눌 수 있으며, 전자는 대부분 강력한 면역억제 작용을 가지므로 단기간 내에 일시적인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메스꺼움 등의 가벼운 부작용부터 성장 억제나 골다공증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까지 있어 장기 복용에는 많은 문제가 따른다. 후자는 일시적인 완화 효과를 보일 수는 있으나, 졸림이나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체내 부작용이 적으며 항알레르기 활성이 높은 천연 추출물에서 유래한 물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천연물의 추출물에 사용되는 어성초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Houttuynia Cordata이고, 중약대사전(상해과학기술출판사)에 따르면 약모밀, 십약 등의 다른 이름이 있다. 잎, 줄기, 뿌리 전체에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유의 독특한 냄새를 포함한 생리활성물질들이 신진대사를 도와 혈액을 맑게 하고 신장기능을 촉진시키며, 염증 증상과 체내 독소를 배설하는 등의 기능이 있어서 중국, 일본 등에서 민간약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한방에서 어성초는 고혈압, 변비증, 당뇨병, 해열, 종기, 해독, 관절염, 염증성 질환과 피부질환에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07404호에는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또한, 합환피(Albizzia Julibrissin)는 콩과식물인 자귀나무의 수피(줄기껍질) 이다. 자귀나무는 낙엽 교목이며 높이는 10 m에 달하며 수간은 회흑색이며, 소지는 털이 없고 능각이 있다. 잎은 2회 우상복엽으로 어긋나고 우편은 5 내지 15쌍이며, 소엽편은 겸상 장방형이고, 잎끝이 작고 뾰족하며, 엽저는 절형으로 대칭이 아니며, 전연이고 탁엽은 선상 피침형이다. 꽃은 가지끝에서 두상화서에 달리고, 꽃자루 전체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협과로서 편평하다. 분포는 중국의 동북, 화동, 화남, 서남, 하북, 하남, 호북에 분포하며 여름과 가을에 수피를 벗겨서 햇빛에 말려 사용한다. 합환피에는 쥴리브로게닌(julibrogenin) A, B, C 와 쥴리브로사이드(julibroside) A1, A2, A3, A4, B1, C1 류의 화합물 및 당류, 배당체 등의 화학 성분이 존재한다. 합환피 추출물은 합환피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등을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Sea buckthorn)는 보리수과의 작은 키 낙엽관목으로, 사극 나무, 가는 버드나무, 까만 가시나무, 갈매 보리수나무, 보리수 아재비 등으로도 불린다. 중국, 러시아, 몽골지역이 자생지로서 척박하거나 염기가 있거나 습도가 높은 지역, 극도의 저온지대와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장할 수 있고, 추위나 더위에도 강해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될 수 있다. 중국에서는 산지 복원식물로 이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비타민 C 함량이 사과보다 200배 이상 많아 '비타민의 보고'로 알려져 있고, 그 밖에도 탄닌, 각종 비타민과 18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비타민나무의 잎은 탄닌 함량이 높고,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티에로사이드 등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C, 지방, 섬유질, 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병풀( Centella asiatica (L.) Urbain)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포복성 초본으로 주로 고온 다습한 곳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아프리카의 madagascar섬, 인도양의 해안지역, 인도 남방 및 malaysia 지역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제주도와 남부 도서지방의 저습지에 군생하고 주요성분으로서 amyrin-ursolic acid group에 속하는 pentacyclic triterpene glycoside인 asiaticoside와 madecassoside는 예전부터 피부 상처나 만성 궤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으며 식용, 피부치료제, 상처치료제, 기억력 증강제 및 강장제 등 다양한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5512호에는 병풀 및 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더덕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서 학명은 (Codonopsis lanceolata)이며,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중국 및 러시아 극동지방 등 습기가 있는 초지, 숲, 또는 계곡에 자생하는 식물이다. 주로 뿌리를 식용하고 사삼 또는 백삼이라고도 부른다. 더덕의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으며, 식물을 자르면 흰색의 액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짧은 가지 끝에서는 4개의 잎이 서로 접근하여 마주 나므로 모여 달린 것 같으며 길이 3-10cm, 너비 1.5-4cm로 긴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 뒷면은 흰색이다. 8-9월에 종모양의 자주 꽃이 짧은 가지 끝에서 밑을 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끝이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며 녹색이고, 길이 2∼5cm, 나비 6∼10cm이다. 화관은 길이 2.7∼3.5 c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져서 뒤로 말리며 겉은 연한 녹색이고 안쪽에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봄에 어린 잎을, 가을에 뿌리를 식용한다. 생약의 사삼(沙蔘)은 뿌리를 말린 것이며 한방에서는 치열·거담 및 폐열 제거 등에 사용한다.
마치현은 주로 우리나라와 중국 각지에서 자생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과에 속하며 마치채, 마현, 오행초, 장판두초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어지며 연한 부분은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는 식물이다. 쇠비름은 높이가 15∼30cm인 초본식물로 쇠비름의 전초인 마치현의 맛은 시고 성질은 차다. 따라서 습열로 인한 설사나 세균성 이질로 쾌변이 어려울 때 날 것을 짜서 즙을 내 먹으면 효과가 있고, 습진 등에 날 것을 찧어 먹거나 붙이면 또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의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2002-0016960호가 공지되어 있다.
버드나무(Salix koreensis)는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옻독을 푸는 데 약으로 쓸 수 있다. 버드나무 껍질에는 탄닌, 플라보노이드, 아스코르빈산, 배당체, 살리찐 등이 들어 있다. 살리찐은 열을 내리고 뼈마디의 통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다. 버드나무 껍질을 달인 물은 폐렴, 감기, 열병, 기침, 두통, 소변이 잘 안 나올 때 등에 효과가 있으며, 균을 죽이고 염증을 없애는 작용이 있고, 상당히 센 방부작용이 있다. 버드나무 속껍질은 열을 내라고 통증을 멎게 하는 데, 류마티스 관절염, 감기, 학질 등에 쓴다. 꽃은 황달, 창이나 칼에 다친 데, 습기로 인해 몸이 굳어지고 마비된 데, 부스럼, 화상, 열독, 이빨이나 잇몸이 아픈 데에 사용한다.
맥문동(麥門冬)은 백합과(Liliaceae)의 식물로 학명은 Ophiopogon Japonicus이다. 1968년에 카토(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Ophiopogon Tuber isolation of steroidal glycosides from tuber of Op hiopogon japonicus Ker-Gawler var. genuinus. Yakugaku zasshi, 1968, 88 (6):710-4 )는 맥문동에서 시토스테롤(sitosterol),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루스코제닌(ruscogenin, 5-spiro-stene-1,3-diol)을 비당부로 하는 스테로이달 사포닌인 오피오포고닌(ophiopogonin) A, B, C, D를 분리하였고, 와타나베(Comparative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ophiopogonis tuber and its congeners. VIII. Studies on the glycosides of the subterranean part of 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 cv. Nanus. Chem Pharm Bull (Tokyo). 1993 Mar;41(3):566-7
0)가 비당부 사포닌인 3종의 오피오포고닌 B', C', D'를 분리하였다. 우리나라의 밀양 지역에서 재배중인 재래종 괴근 성분은 단백질 1.8∼2.6%, 전당함량 64.4∼77%, 천연 아포논(crude aponon)이 1.1∼1.5%이고, 수집종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으나 재배방법에 따라 그 성분의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맥문동은 항산화 작용이 있고, 관상동맥의 혈류량 촉진과 심장 근육의 허혈증에 대한 보호작용이 현저하며,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면역증강 작용이 있고, 혈당을 내리며 백색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으로부터 항균작용을 보인다. 또한 최근 연구 보고에 따르면 맥문동이 주약으로 포함된 生脈散(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맥문동, Ophiophogon japonicus Ker-Gwal;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Bail)은 신사구체 경화증 치료제(Peng, 2000). 국소빈혈(ischemia) 치료제, 강심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3731호에는 맥문동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이상에서 공지된 문헌들에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어성초, 합환피, 비타민나무, 병풀, 더덕, 마치현, 버드나무, 맥문동의 각각에 대한 추출물의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는 공지되었으나 상기 천연물의 추출물을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효과를 동시에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는 암시되거나 교시된 바 없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선행기술들에는 열수추출법이나 열수추출법과 초음파추출법을 병행하여 추출하였을 뿐, 초음파 단독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경우는 개시된 바 없다.
또,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존의 열수추출법은 추출효율이 낮고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열로 인해 많은 유용성분이 파괴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단백질과 비타민 C가 열 변성되거나 기타 열에 취약한 유용한 성분들이 파괴되고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 열에 대한 불안정성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초음파 추출법은 추출공정상의 추출효율을 높이고 유용성분의 파괴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안정적인 추출법이어서 본 발명자들은 이 추출법을 적용하였다.
초음파는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없는 높은 진동수의 소리를 말하며, 초음파추출이란 초음파를 추출물질(허브나 한방약재)과 추출용매에 발사하면 그 파동이 천연물 내부에 깊숙이 침투하여 천연물의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으로, 초음파 추출한 황기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2691호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는 본 발명의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문동추출물을 혼합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효능이 동시에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는 전혀 암시되거나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음파 추출한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문동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한 Ge-8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효능이 뛰어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문동추출물을 각각 40∼60℃ 온도에서 40 KHz의 초음파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추출수득한 각 추출물을 동량으로 배합하여 Ge-8 혼합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Ge-8 혼합물의 농도(0.5부피%, 1부피%, 2부피%)별 항염 효능, 항알러지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을 평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결과 화장료 조성물 전체 부피대비 2부피% 농도의 Ge-8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달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에 처리한 결과, Nitrite 생합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대식세포에 endotoxin으로 알려진 LPS(lipopolysacharide)를 처리하면 iNOS(inducible NOS) 발현에 의해 Nitric Oxide(NO) 생합성이 증가하여 염증반응이 유도된다. NO는 많은 세포들이 분비하는 병리적인 2차 신호전달 물질이며 COX의 활성을 조절하고 염증반응에 상승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 섬유아세포(HDFn)에 처리한 결과, 세포 내에 형성되는 활성산소의 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세포에서의 에너지 생산에서는 미토콘드리아 호흡에 의한 부산물인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성이 수반되며 이는 단백질, 지방 및 핵산에 손상을 가져온다. 이러한 손상으로부터 세포 자체를 보호하기 위해 세포 내의 방어체계가 작동을 하지만 유리 라디칼이 생성되고 항산화 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산화 스트레스가 세포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신체노화를 비롯한 각종 성인병과 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만세포의 일종인 RBL-2H3 세포에 처리한 결과, 알러지 지표물질인 β-hexosaminidase의 세포외 방출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아토피성 피부염의 대표적인 지표는 혈중 호산구수와 혈청 IgE 양의 증가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초기에 항원의 자극에 의해 항체 IgE가 생산된 후 항체가 비만세포 표면의 high affinity receptor에 결합하였을 때 항원이 재침입하면 수용체와 결합하고 있는 항체와 결합하여 비만세포 내로 신호를 빠르게 전달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적 매개물질(cytokine, histamine, leukotrienes)을 분비한다. 상기 화학적 매개물질에 의해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확장시키고 평활근을 수축시키며 분비선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등 특징적인 반응을 일으키게 되며 동반되는 염증반응에는 비만세포, 호산구, T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 등 여러가지 사이토카인에 의해 호산구가 염증부위로 이동한다. histamine과 함께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β-hexosaminidase가 있으며 β-hexosaminidase 방출은 면역세포 탈과립의 지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분동추출물을 각각 초음파 추출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에 동시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Ge-8 시료의 농도에 따른 Nitrite 합성 저해능 시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은 Ge-8 시료의 농도에 따른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 억제능 시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Ge-8 시료의 농도에 따른 β-hexosaminidase 방출시험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물을 추출할 때, 각 천연물의 특성에 맞는 추출조건에서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면 유효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손실을 최소화하는 뛰어난 효과를 가질 수 있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초음파 추출법은 천연물의 유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추출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40∼60℃의 비교적 저온에서 40KHz의 초음파로 추출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급한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분동추출물을 수득하여 이를 Ge-8 혼합물로 명명하고, 이들 각 추출물을 화장료 전체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특히, 2 부피% 농도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상기 Ge-8 혼합물을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확인되었고 상기 Ge-8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예컨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와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물성적인 측면에서는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또한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 초음파 추출물의 제조
더덕 1kg을 정제수 20L에 투입하여 8∼24시간 동안 40℃로 초음파 추출한 후 사용된 더덕과 불용성 고형분을 여과하여 더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문동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더덕추출물,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문동추출물을 동량(v/v)으로 혼합하여 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Nitrite 합성 저해능 시험
본 실험예에서는 Mouse macrophage cell인 RAW 264.7 cell에 염증 유발물질인 LPS(Lipopolysaccharide)를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웰 당 2×105cell이 되도록 분주한 다음, 24시간 동안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Overnight하고 새로운 배지로 교환한 후 LPS(1ug/mL)와 추출물을 농도별(0.5부피%, 1부피%, 2부피%)로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 상층액을 취해 13,000 rpm에서 3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 모아서 Griess 시약과 1:1로 반응시키고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Ge-8 혼합물은 그 농도가 높을수록 Nitrite 저해활성이 높았고 특히 2부피% 처리시 대조군에 비하여 28% 저해되었다.
실험예 2 β- hexosaminidase 방출 실험
본 실험예에서는 RBL-2H3 세포를 10% FBS를 포함한 DMEM에 현탁시킨 후 24-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5cell개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각 웰의 세포들을 세포외 완충액(5 mM KCl, 12.5 mM NaCl, 20 mM HEPES, 1.5 mM CaCl, 1mM dextros, pH 7.4)로 두 번 세척한 다음 각 웰당 세포외 완충액과 시료(0.5부피%, 1부피%, 2부피%)를 처리한 후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PMA(50 nM)와 A23187(1 mM)을 사용하여 세포를 37℃ 5% CO2 배양기에서 1 시간 반응시키고 얼음 수조에서 10 분 동안 배양한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상등액 20 μL를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펠렛은 Triton X-100(0.1%) 1mL를 24 웰 플레이트에 넣고 녹인 후 96 웰 플레이트에 20μL를 첨가하였다. 상등액과 펠렛이 담긴 96 웰 플레이트에 기질 완충액(4-p-Nitrophenyl-N-acetyl-β-D-glucosaminide 1 mM, sodium citrate 0.05 M, pH 4.5) 100μL를 넣고 37℃에서 1 시간 배양시킨 다음 각 웰 당 반응종료 용액(stop solution) 20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그런 다음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Ge-8 혼합물은 실험 최고농도인 2부피% 처리시 β-hexosaminidase 생성은 17% 저해하였다.
실험예 3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 억제능 시험
본 실험예에서는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DMEM(10% 혈청 첨가, 1% 항생제 포함) 배지에 현탁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대수기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웰 당 약 1×105 세포 수가 되도록 96 well에 각각 접종한 후 시료 추출물 0.5부피%, 1부피% 및 2부피%로 처리한 다음 37℃, 5% CO2 배양기에서 20분 동안 배양하였다. 산화스트레스 유발물질인 H2O2 1mM을 첨가하고 DCFH-DA (stock 20mM) 20μM를 가한 후 spectrofluorophotometer(excitation 485 nm, emission 535 nm)로 측정하였다. 37℃에서 90분 동안 반응을 관찰하였다. 시료를 넣지 않고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만 측정한 것을 대조군으로 정하고, 시료를 넣어 활성 산소종을 소거시키는 시료 처치군과 비교하여 활성 산소종 저해율을 구하였다. 모든 실험은 3번 반복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Ge-8 혼합물은 그 농도가 높을수록 ROS 생성을 저해하였고 특히 2부피% 처리시 대조군에 비하여 22%의 ROS 생성을 저해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음파 추출법으로 추출한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Ge-8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어성초추출물, 합환피추출물, 비타민나무추출물, 병풀추출물, 더덕추출물, 마치현추출물, 버드나무추출물, 맥분동추출물을 각각 40∼60℃ 온도에서 40KHz의 초음파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추출 수득한 각 추출물을 동량(v/v)으로 배합하여 Ge-8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Ge-8 혼합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기능성 Ge-8 혼합물.
  3. 제 2항의 Ge-8 혼합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대비 1∼10 부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류, 로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 베이스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06416A 2014-01-20 2014-01-20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1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16A KR101591872B1 (ko) 2014-01-20 2014-01-20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416A KR101591872B1 (ko) 2014-01-20 2014-01-20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588A true KR20150086588A (ko) 2015-07-29
KR101591872B1 KR101591872B1 (ko) 2016-02-04

Family

ID=5387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416A KR101591872B1 (ko) 2014-01-20 2014-01-20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8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939A (zh) * 2015-12-30 2016-04-20 苏州威尔德工贸有限公司 一种婴儿湿巾的日常抗过敏防护液及其制备方法
KR20190140407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떡버들, 눈향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1663A (ko) * 2018-11-26 2020-06-03 김태형 동애등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367969A (zh) * 2018-09-14 2021-02-12 东洋纺株式会社 抗氧化剂
CN112791038A (zh) * 2020-03-05 2021-05-14 上海友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抗敏修复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49637B1 (ko) * 2021-07-09 2022-01-12 주식회사 오르나 씨벅톤에 함유된 팔미톨레산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01B1 (ko) * 2021-04-05 2024-02-26 주식회사 디엔엘바이오켐 칼시뉴린 억제제 및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1079B2 (en) * 2001-06-21 2009-04-21 Kyowa Hakko Kogyo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an extract of Hydrangea containing plant powd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6939A (zh) * 2015-12-30 2016-04-20 苏州威尔德工贸有限公司 一种婴儿湿巾的日常抗过敏防护液及其制备方法
KR20190140407A (ko) * 2018-06-11 2019-12-19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떡버들, 눈향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367969A (zh) * 2018-09-14 2021-02-12 东洋纺株式会社 抗氧化剂
KR20200061663A (ko) * 2018-11-26 2020-06-03 김태형 동애등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791038A (zh) * 2020-03-05 2021-05-14 上海友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抗敏修复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49637B1 (ko) * 2021-07-09 2022-01-12 주식회사 오르나 씨벅톤에 함유된 팔미톨레산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항산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872B1 (ko)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72B1 (ko) 항염, 항알러지 및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Ge-8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603789B2 (en)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extract
CN107809998B (zh) 柔毛肖乳香的水醇提取物、包含其的化妆品组合物及其美容用途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39703B (zh) 含有乡土植物和天然中草药提取物的洗发水组合物
KR102002894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9381419A (zh) 包含银木犀提取物及钝齿铁线莲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JP2011168555A5 (ko)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12000B1 (ko) 문신 부위 감염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9195A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4034B1 (ko) 덤불쑥, 알꽈리 및 동백나무잎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피부알러지, 항염증및 노인성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46690B1 (ko) 유기농 토마토, 매실, 진피, 복숭아 및 알로에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0659A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7138135A (ja) 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0409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4